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근,박은주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using the 7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wo research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HMLR)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total number of sample was 3,869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8.9 years and 55.3% mal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35.8% of the respondents make financial plans for retirement, and 64.2% did no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65% of respondents take a responsibility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compared to 37% in European countries. Second, people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are more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people who think others(family, society, government) have to take a responsibility for retirement instead of them.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relationships betwee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s income level decreases, the moderating effect reduces the positive effect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vice versa. Fourth, as income level increases and educational level is higher, the tendency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is also increasing.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re less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incentive scheme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for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n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to encourage them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본 연구는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개인별 책임인식 차이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영향을 소득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모형에서는 통제변수와 독립변수인 ‘노후준비 책임인식’변수를, 2단계에선 조절변수인 ‘소득⋅욕구비율(INR)’을,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조합한 ‘상호작용항’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자는 3,869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세였고, 남성이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35.8%에 불과하였으며, 준비하고 있지않다 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약 2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노후준비에 대한 주된 역할이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 중 65%가 노후대책마련 책임이 자기 본인에게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37%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외부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경향을 보였다. 셋째, 소득수준은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보였다. 넷째,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 저소득⋅저 력학층은 고소득⋅ 고학력층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적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자신의 책임의식이 높더라도소득이 낮아 경제적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저소득⋅저학력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근(Jeungkun Kim),박은주(Eunju Park)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는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개인별 책임인식 차이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영향을 소득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모형에서는 통제변수와 독립변수인 ‘노후준비 책임인식’변수를, 2단계에선 조절변수인 ‘소득·욕구비율(INR)’을,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조합한 ‘상호작용항’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자는 3,869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세였고, 남성이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35.8%에 불과하였으며, 준비하고 있지않다 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약 2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노후준비에 대한 주된 역할이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 중 65%가 노후대책마련 책임이 자기 본인에게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37%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외부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경향을 보였다. 셋째, 소득수준은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보였다. 넷째,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 저소득·저 력학층은 고소득· 고학력층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적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자신의 책임의식이 높더라도소득이 낮아 경제적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저소득·저학력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using the 7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wo research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HMLR)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total number of sample was 3,869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8.9 years and 55.3% mal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35.8% of the respondents make financial plans for retirement, and 64.2% did no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65% of respondents take a responsibility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compared to 37% in European countries. Second, people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are more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people who think others(family, society, government) have to take a responsibility for retirement instead of them.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relationships betwee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s income level decreases, the moderating effect reduces the positive effect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vice versa. Fourth, as income level increases and educational level is higher, the tendency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is also increasing.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re less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incentive scheme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for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n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to encourage them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 KCI등재

        우리나라 중ㆍ고령자의 은퇴 과정에 관한 연구

        최옥금(Choi, Okgeu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ㆍ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중ㆍ고령자의 은퇴 과정을 생애주된일자리, 가교일자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차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의 가구, 개인 및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중ㆍ고령자들의 생애주된일자리, 가교일자리, 비취업의 비중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 생애주된일자리의 특성과 가교일자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ㆍ고령자들의 노동시장 지위를 생애주된일자리 유지, 가교일자리, 비취업으로 나누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중ㆍ고령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며, 가교일자리의 비중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중ㆍ고령자의 은퇴 과정에서 점차 '점진적 은퇴'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교일자리의 질이 생애주된일자리와 비교할 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ㆍ고령자의 생애주된일자리 유지, 가교일자리, 비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중ㆍ고령자가 생애주된일자리를 그만 둔 이후 가교일자리에서 일하는 것은 이들의 경제적 필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교일자리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노동시장정책의 확립, 그리고 생애주된일자리에서의 퇴출과 공적연금의 수급 사이의 소득 감소를 완화할 수 있는 소득보장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to retirement of the middle-aged in Korea according to the notion of "the career job" and "the bridge job". In order to scrutinize basic elements for the transition, three aspects such as the job history of the middle-ag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statu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one to three wave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job and the bridge job were analyzed by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conditional transition probability. Moreover, the influential factors to the job status of the middle-aged were examined by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gradual retirement is increasing in the transition to retirement of the middle-aged in Korea. Over time, the career job is decreasing whilst bridge job is increasing. However, the quality of the bridge job is poorer than the career job in terms of wage, employment status, industry, and occupation. Lastly, the middle-aged who work in the bridge job have vulnerable characteristics, so they work in the bridge job to supplement their economic needs. The results can be influential in the adjustment of the labor policies for the middle-aged in Korea. Moreover, the partial pension system could be a good alternative since the pension system is needed to protect the vulnerable situation of the middle-aged in Korea.

      • KCI등재

        중고령가구의 소비요인에 관한 연구

        홍중구(Hong Joong Ku),손재영(Son Jae You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16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4 No.4

        Interests in middle-and advanced-age households are mounting due to the rapid aging of our society. Their proportion in total households is on the increase, and their consumption is gradually exerting an increasing effect on the home marke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nfluences on household consumption such as the income element, the asset element and the demographical element by dividing the households of houesholders aged above their 50s by age grou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rned income as the income element had the greatest effect on household consumpt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come from real estate and financial income according to the age group. Income from real estate had the greater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on non-durable goods than financial income, whereas financial income had a greater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on social participation than income from real estate. The households of the householders ranging from 50 to 64 yea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value in both consumption on non-durable goods and on social participation in terms of transfer income(both private and public), and the households of those aged above 75 yea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value. And property assets had a much greater effect on household consumption than financial assets in terms of the asset elemen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 : Retired hoseholders would need jobs for earned income. So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assets from property assets occupying most of the assets of middle- and advanced-age households to financial income in order to revitalize their consumption o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ocial-security policy for the elderly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he super-aged household. The consumption of middle- and advenced-age households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y revitalizing the home market.

      • KCI등재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석상훈(Sanghun Seok) 한국노동연구원 2011 노동정책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은퇴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1~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로짓 분석과 성향점수 매칭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은퇴라는 사건은 주관적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건강상의 이유로 은퇴한 경우나 비자발적으로 은퇴한 경우, 그리고 조기은퇴를 경험하는 경우에 있어 은퇴라는 사건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효과를 강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은퇴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예를 들어 비자발적인 조기퇴직 등으로 인해 생애근로를 마감하는 경우에는 조기은퇴가 의료비용과 건강 투자비용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문제는 인구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이상의 결과는 앞으로 고령사회를 대비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은퇴의 건강효과도 반드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o estimate the effect of retirement on self rated health status, binary logit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on 1st through 3rd wave panel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alysis showed that retirement works to deteriorate subjective health status in Korea. Especially, in the cases of involuntary retirement, retirement due to health reasons, and early retirement, retirement has a strong negative effect on self rated health status. If retirement has such negative influence on health, retirement can cause undesirable results not only for the affected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society in general; for example, premature involuntary retirement may result in higher cost of medical care and health investment. This problem will become more severe as population aging progresses. Results herein shows that effect of retirement on health must be considered when forming policies to prepare for aging society.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Age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for Koreans

        이혜린,윤지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people aged 65 and over in Korea, focusing on the state of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upply and dem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secondary data, the eighth data of the KReIS. A total of 3,294 old people aged 65 or older participated in the data collection through '8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of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dependent variable is life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ven if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economy, physical strength, and psychological health are controlled, the national pension and special employment pension benefits significantly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ystematic policy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reduce blind spots for public pension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peopl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enhancing social implication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old people in preparation for an ultra-aged society.

      • KCI등재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1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과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 식하는 집단의 성공적 노화구성요소를 비교하고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 620명,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 3,460명으로 모두 4,080명으로 구성되었다.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는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 및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이 사용되었고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 건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교육수준, 심리적 건강이 높았다. 반면 질병 비율은 낮았고 직업활동, 노후 생활비준비나 경제적 독립은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중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고 연령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노후연령으로 인식한 집단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도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 또한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활동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of individual data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because the third wave of data only had the necessary variables which fit into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in 2010 using national random sampling. The target population was adults who are older than 65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4,080.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were compared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group ①: people who recognize they are not older adults(n=620); group ②: people who recognize they are older adults(n=3,460)). For comparison of each variable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t-test, chi-square test and ANCOVA were used depending on the types of variables. To test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used for each group. 1) Except for the number of leisure activities, older adults who recognized they were not old(group ①) had a higher level of factors composing of successful aging than older adults who recognized they were old(group ②). 2) For group ①, age did not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for group ② age negatively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ing were more important than avoiding disease and disability. 4) For group ②, IADL affect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for group ①, IADL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5) For group②, whether they had a job or not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differently.

      • KCI등재

        60세 이상 고령자의 성별 우울증상 유병률과 영향요인

        권경희(Kwon, Kyoung Hee) 韓國老年學會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60세 이상 고령자에서 성별에 따른 우울 유병률과 우울영향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4차년도 조사(2011-2012)자료 중 60세 이상 고령자 총 5,279명 (남성 2,196명, 여성 3,083명)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수준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른 영향요인들의 우울기여에 관한 차이를 성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고령자의 우울 유병률(CES-D≧21)은 19.9%였고, 남성 16.2%(경증 5.9%, 중증 10.3%), 여성 23.5%(경증 9.2%, 중증 14.3%)로 나타났다. 우울의 영향요인으로 남성, 여성 고령자 모두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으로는 비취업자일수록, 건강수준별로는 일상 및 사회활동에 제한이 있을수록, 지각된 신체적 건강상태가 매우 나쁠수록 우울의 위험도가 높았다. 특히 여성에서는 연령이 60대에 비해 70대와 80대에서 각각 OR 1.4, 1.8 로 나타났으며, 서울지역에 비해 도 지역 거주자에서 OR이 1.3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으로 성별, 연령대를 고려한 노인대상 우울 예방 정책 및 프로그램이 우울의 주요한 중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affecting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by sex among the elderly. 5,279 subjects(≥ 60)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health level and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CES-D≧21) was 19.9%, male 16.24%(moderate: 5.9%, severe: 10.3%), female 23.5% (moderate: 9.2%, severe: 14.3%). And the risk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non-economic activity state, worse self-rated physical health state and less daily and social activity in whole elderly. Especially, those were increased in older and living Province area compared to Seoul subjects in female. Therefore, to preven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should be considered the health policy and program specified by sex and age as important intervention of depression.

      • KCI등재

        중고령 비은퇴자의 예상 노후생활비 평가 연구

        이지윤,최현자 한국FP학회 202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6 No.4

        현재 우리나라는 초고령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평균수명의 증가, 저출산과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로 국가 차원의 노후보장 지원에는 한계가 있어 개인적인 노후 준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노후 준비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과 실행이 요구되는데, 그 기본은 은퇴 이후 생활에 대한 목표설정과 노후생활비 예측 기반 노후 자금 규모를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희망 수준이 아닌 현재 소비지출 수준과 향후 줄어들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조사 8차 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령 비은퇴자의 예상 노후생활비 금액뿐만 아니라최소 노후생활비와 적정 노후생활비 비율, 개인 및 부부 기준 노후생활비 비율을 포함한노후생활비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은퇴에 따른 소비지출 변화의 관점에서 현재소비지출을 기준으로 1인 및 부부 가구가 노후생활비를 어떻게 예상하는지와 현재 소비지출 수준 대비 예상 노후생활비 수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월평균 소득과 지출 수준이 높을수록 예상 노후생활비를 높게 평가하였고, 개인 대비 부부 기준 생활비는 약 1.7배, 최소생활비 대비 적정생활비는 1.4배로 나타났다. 또한, 1인 가구와 부부 가구 모두 최소 노후생활비는 현재 소비지출 수준과 유사하게, 적정 노후생활비는 약 1.3배 높게 예상하였다. 또한, 현재 소비지출 중위수 기준으로 중위수 이하 집단과 초과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중위수 이하 집단에서 현재 소비지출 대비 최소생활비를 약 1.3배, 적정생활비를 약 1.7배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소비지출 대비 예상 노후생활비 평가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노후생활비를 현재 소비지출 수준보다 더 적게 평가 확률이 높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노후생활비를 현재 소비지출 대비 더 많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이 높을수록 노후생활비를 현재 소비지출 수준과 비슷하게 평가하기보다 더 많게 평가할 확률이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현재 소비지출 수준보다 더 적게 예상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중고령 비은퇴자의 특성별 예상 노후생활비 수준이나 개인/부부 및 최소/적정 노후생활비 비율의 결과치는 은퇴 및 노후설계 시 참고치로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개인 특성에 따른 예상 노후생활비 분석 시금액 자체뿐만 아니라 현재 소비지출 대비 노후생활비 평가 수준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8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o examine the retirement living expenses evaluation, including the minimum-appropri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ratio and individual-couple retirement living expenses ratio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non-retiree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consumption expenditure due to retirement, it included how individuals and couple households estim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based on their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valuation of the retirement living expense level compar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comparing the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for individuals and couples, the living expenses for couples were approximately 1.7 times those of individuals, and appropriate living expenses were found to be 1.4 times the minimum living expenses. In addition, for bo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uple households, the minimum retirement living expenses were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and the appropri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were expected to be about 1.3 times higher. Finall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evaluation of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compar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analyzed. The higher the income, the more likely it was that retirement living expenses would be assessed as less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lower the income, the more likely it was that retirement living expenses would be assessed as more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In addition, the older the pers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stimating retirement living expenses as more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The younger the pers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stimating the retirement living expenses to be less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The results of the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level or individual/couple and minimum/appropri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ratio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tirement plan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analyzing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amount itself but also the level of estimation of retirement living expenses compar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 KCI등재

        은퇴자와 은퇴가계의 공적연금 실현소득대체율 분석

        차경욱 한국FP학회 202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6 No.3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ension(national pension, occupational pension) benefits of individual retirees and retired households and analyzed the realized income replacement rate of public pens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public pension benefits actually replaced their income and living expenses, the calculation of the realized income replacement rate was based on the income level of the pre-retired group, the current income and expenditure of retirees and retired households, as well as the minimum cost of living and adequate cost of living. The characteristics of pension benefits and the realized public pension replacemenr rate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 pension and retired household type. Data from the 2019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used. For research question 1, all retirees(n=2,852) were analyzed to compare total realized income replacement rates depending on whether they received public pension benefits or not. Research question 2 targeted only public pension recipients (n=1,062) to analyze the realized income replacement rate of public pensions, and compared recipients of national pension and occupational pension. For research question 3, retired households received public pensions(n=789) were extracted to analyze the realized income replacement rate of public pensions at the household level. The types of retired households were divided into single-beneficiary households, beneficiary couple households, and beneficiaryunemployed couple households.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etired individuals, 37.2% received monthly benefits from public pensions, and the average income of public pension recipients was found to be 2.8 times the average income of non-recipien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tal realized income replacement rate(income of retirees compared to the income of pre-retired 56-61 year old group, 16.2% for non-recipients of public pension and 45.2% for public pension recipients. Second, the average monthly benefit of public pension recipients(n=1,062) was only 24.5% of the income of pre-retired group, and only covered 47.3% of what they estimated to be adequate cost of living. Third, the average monthly benefit of public pensions was 699,000 won, but the amount received by national pension recipients(n=844) was 330,000 won and that of occupational pension recipients(n=218) was 2.126,000 won. Compared to the income of the pre-retired group, the average benefit of occupational pensions was 74.6%, while the average benefit of national pensions was only 11.6%. Fourth, single-beneficiary households had the lowest amount of public pension benefits(449,000 won) and had a higher rate of receiving national pension. The heads of single-beneficiary households were mainly women with low level of education and a high average age, and their household income, expenditures, and costs of living were all at the lowest, making them a vulnerable group. 본 연구에서는 은퇴자 개인과 은퇴가계의 공적연금(국민, 직역연금) 수급특성을 살펴보고, 공적연금 실현소득대체율을 분석하였다. 공적연금 수급액이 실제로 그들의 소득과생활비를 어느 정도 대체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은퇴 직전 연령대의 소득수준, 은퇴자와은퇴가계의 현재 소득과 지출 뿐 아니라, 그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최소생활비평가액, 적정생활비평가액을 기준으로 실현소득대체율을 산정하였다. 또한 공적연금 유형과 은퇴가계 유형에 따라 연금수급 특성과 실현소득대체율을 비교하였다.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2019년)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문제1은 공적연금 수급여부에 따라 실현소득대체율을비교하기 위해 조사대상 은퇴자 전체(n=2,852)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2는 공적연금의 실현소득대체율을 분석하기 위해 공적연금 수급자(n=1,062)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민연금과 직역연금 수급자를 비교하였다. 연구문제3은 공적연금의 실현소득대체율을 가계단위로 분석하기 위해 공적연금을 수급하는 은퇴가계(n=789)를 추출하였고, 은퇴가계 유형을 수급자1인가계, 수급자부부가계, 수급자-비취업자부부가계로 구분하였다. 주요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달 공적연금급여를 수령하는 은퇴자의 비율은 37.2%였고, 공적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총소득은 미수급자 월평균 총소득의 2.8배로 조사되었다. 공적연금 수급여부에 따라 총실현소득대체율(은퇴직전 56∼61세 소득 대비 은퇴자의 총소득)을 비교한 결과, 공적연금 미수급자는 16.2%, 공적연금 수급자는 45.2%로 나타났다. 둘째, 공적연금 수급자(n=1,062)의 월평균수급액은 은퇴직전 연령대 소득의 24.5%에 불과하고, 그들이 생각하는 적정생활비를 47.3% 밖에 충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적연금 수급자 전체의 월평균수급액은 69만 9천원이지만, 국민연금 수급자(n=844)의수령액은 33만원, 직역연금(n=218) 수급자의 수령액은 212만 6천원으로 6배의 차이가있었다. 은퇴직전 연령대 집단의 총소득과 비교할 때, 직역연금 수급자의 월평균수급액은74.6%인 반면 국민연금 수급자의 월평균수급액은 11.6%에 불과했다. 넷째, 은퇴가계유형중 수급자1인가계는 공적연금급여 수령액(44만 9천원)이 가장 낮고, 직역연금 보다는 국민연금을 수급하는 비율이 높았다. 가구주가 주로 여성이고 교육수준이 낮고 평균연령이높으며, 가계소득, 가계지출, 생활비평가액 등이 모두 가장 낮은 취약계층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