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김보한(Bo-han Kim)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우리는 역사에서 어떤 국가의 내부 혼란이 주변의 다른 국가의 정치와 정책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한 가지 예로서 왜구의 출몰로 시작된 고려와 조선의 대왜(對倭)정책을 들 수 있다. 13세기 이후 왜구의 등장은 고려와 조선으로 하여금 왜구의 경계침탈을 막기 위한 대왜 외교를 적극 추진하게 만들었다. 왜구의 경계침탈과 그로 인해 전개된 외교의 양상을 몇 가지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가마쿠라 왜구는 조큐의 난의 발발과 관련되어 있으며, 고려군과의 군사적 충돌을 염두에 두지 않은 소규모 집단의 약탈에서 출발하였다. 또 가마쿠라 왜구가 고려에 등장하는 시점과 마쓰우라당이 고려의 경계를 침탈하는 시점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가마쿠라 왜구는 마쓰우라당이 주도적으로 가담한 약탈 행위였다. 둘째, 다자이후는 가마쿠라 왜구의 경계침탈을 막아줄 것을 요구하는 고려의 왜구 금지 사신이 도착하였을 때, ‘악당’ 을 참수하거나 약탈한 물품을 변상하는 등의 매우 호의적인 자세로 임하였다. 셋째, 무로막치 막부는 조선에 보낸 첩장에서 무로마치 왜구가 남북조 내란기의 규수의 정치 혼란과 직접 관련되어 있음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무로막치 막부는 고려와 조선에서 왜구의 경계침탈 금지를 요구하는 사신이 오자, 고려에 능동적으로 답례의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 러한 무로마치 막부의 적극적인 대(對)조선 외교 자세에도 불구하고 왜구의 경계침탈이 즉각적으로 사라지지 않았다. 넷째, 무로마치 왜구의 금지는 해적 금지령의 공포와 같은 막부의 의지와 재지세력의 자구적 노력, 그리고 조선의 대(對)왜인 강온정책 등의 상호 촉매 작용을 통하여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In general, the certain situation of a country influenced on foreign relations among neighbor countries. For example, this problem belongs with the diplomacy between Japan and Goryeo and Joseon that are related to Wakou. The diplomacy between Korea and Japan is as follows. Firstly, Wakou in the early Kamakura Bakuhu age is related to the rise of Joqui’s rebellion and is the small group that is not related to th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Goryeo and Wakou. Also, the time that Matsuura Tou disseise the boundary of Goryeo. Therefore, Wakou in the Kamakura Bakuhu age means that Matsuura Tou plunder autonomously Goryeo kingdom. Secondly, When the envoy of Goryeo kingdom come and demand to resist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Kamakura Bakuhu decapitate Ackutou and reimburse looted goods. Thirdly, Wakou in the Muromachi Bakuhu age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crisis of Kyushu in Japanese North and South Dynasties according to the letters to Joseon from Muromachi Bakuhu. When envoys of Goryeo and Joseon kingdoms came and demanded to resist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Kamakura Bakuahu sent replying envoys to Goryeo and Joseon. Nevertheless,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was perfectly eradicated. Fourthly, Wakou in the Muromachi Bakuhu age was annihilate through the volition and political stability of Bakuhu, and Joseon’s policy based on toughness and moderateness. Moreover, Muromachi Bakuful has been announced a low prohibiting pirate from plundering and tried to annihilate Wakou.

      • KCI등재

        1323年 倭寇 侵入 기사를 통해 본 新安船의 航路와 沈沒日

        문경호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2 島嶼文化 Vol.- No.60

        The Sinan shipwreck was a trade ship sunk on the sea in front of the Jeong-do Island in Goryeo period while it started from Kyungwon(慶元) in Yuan on 1323 and cruised towards to Hakata(博多) and Tokyo(京都) in Japan. This article estimated that the Japanese pirates had invaded to Goryeo between June 27 and 28, 1323 was not a plunderer group for simple looting but highly likely warriors dispatched by the Gamakura's feudal government to discover whereabout of the Sinan Shipwreck. This article suggested the ground of such estimation that Japanese Pirates invasion was timely near to the date of reaching to blue ocean after loading the cargo on the Sinan Shipwreck on June 3rd, and they invaded to the proximities of Gunsan-do Island and Chooja-do Island. Both islands were the points where almost 495 Japanese people had drifted on the way to the southern China on 1263. Therefore, the officials of Kamakura Bakuhu regarded that the ship, Sinan was adrift as the ship did not appear at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nd searched the proximities of Gunsan-do Island and Chooja-do Island where Japanese people had been adrift. The seaway from Kyungwon to Hakata was branched to the route crossing between the southern sea and Jeju Island of Goryeo and another route crossing between Jeju Island and Goto Islands. If the Kamakura Bakuhu`s warriors had appeared at Gunsan-do Island and Chooja-do Island to discover the Sinan shipwreck, it seems to be feasible that the navigational seaway was connected to Hakata through Kyungwon, southern sea of Goryeo and Jeju Island.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sunk date of the Sinan shipwreck in between June 20 and 25 in consideration of the terms from Kyungwon to far sea and the date of Japanese pirates appearance. Yuan has a record of observing the star on June 22 and Goryeo-sa (高麗史)recorded the observation of the star on June 26. There is an article that the farming land had been flooded due to big deluge at the northern part of China on June 25.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s, it is plausible to see the time of sinking from June 23 and 25. K

      • KCI등재후보

        鎌倉時代의 '武威'에 대한 일고찰

        南基鶴(Nam Ki-Hak) 역사학회 2003 역사학보 Vol.178 No.-

        The early period of Kamakura Bakuhu(鎌倉幕府), at that time samurai class was making its regime, the self-recognition which was proud of self-praise on the samurai's bravery and military prestige(武威, bui) to foreign country appeared. Although the self-praise on the bui of Japan could be seen in the ancient times, it was only the hollow notion' which has a power governing various barbarian countries(蕃國) because Japan is divine land(神國). In the middle ages, however, a self-recognition based on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samurai class or samurai's regime had evidently emerged. The crisis of Mongol invasion realized and enhanced all the more not only a strong sense of divine land but also Japan's self-recognition of bui, As a matter of fact, Kamakura Bakuhu on the strength of bui took a hard-line policy against Mongol. Also, we cannot overlook the posture making bui look in general samurai class on the war against Mongol. Since then the notion of bui stirred by external crisis of Mongol invasion assumed as aspect of deepening in military tension. The political and social anxiety or tension by Mongol invasion in Japan led to the dependence and expectation toward bui, It was a proper phenomenon because Kamakura Bakuhu repulsed twice the attack by Mongol. With the historical event of Mongol invasion, the notion of bui deeply lurked in the heart of Japanese society. After that when Toyotomi Hideyoshi(豊臣秀吉) invaded Korea, the notion with the sense of divine land of Japan was aroused and inspired again.

      • KCI등재

        鎌倉時代의 ‘武威’에 관한 논의에 붙여서 ―鎌倉時代 ‘武威’論의 현황과 쟁점

        남기학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8 No.-

        이 글은 鎌倉時代의 ‘武威’에 관한 논의를 정치의식과 국가의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鎌倉幕府를 東國國家(王權)로서 간주하는 시각과 국가를 守護하는 軍事權門으로 이해하는 시각에 따라 정치의식으로서 ‘武威’에 대한 평가가 다르다. 전자가 지역의 자립성을 주목한다면, 후자는 왕조국가로부터의 위임을 강조한다. 한편, 군사권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동국의 武士政權으로서 일정한 자립성과 독자성을 가진 권력으로서 막부의 ‘무위’를 파악하는 절충적인 이해도 있다. 鎌倉時代의 ‘무위’에 대해서 近世의 ‘무위’와의 격절을 강조하는 시각과 양자의 연결을 찾으려는 시각이 있다. 전자는 鎌倉時代의 국가의식을 ‘神國’의식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무위’를 낮게 평가하는 반면, 후자는 ‘무위’를 국가의식으로 적극 평가하고 ‘신국’과 ‘무위’의 결부를 주목하고 있다. 여기에는 鎌倉時代 무사와 무사정권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차가 가로놓여 있다.

      • KCI등재

        제주도 ‘環海長城’과 규슈 ‘元寇防壘’의 역사적 고찰

        김보한(Kim, Bo-Han)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5 No.-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공 이후 고려 조정에서 항복의사를 밝히고 본격적으로 개경환도를 추진할 때, 삼별초가 고려의 항복결정에 불만을 품고 진도로 내려가 대몽항전을 지속해 나갔다. 이 무렵 고려 조정은 진도 삼별초의 거점이 제주도로 확대되는 것을 미리 저지하기 위해 제주도 해안에 성곽 축조를 추진하게 된다. 이것이 고려 조정에서 삼별초가 제주도에 상륙하는 것을 방비할 목적으로 쌓은 제주도 ‘환해장성(環海長城)’의 시원이다. 한편 몽골의 1차 침공을 막아낸 가마쿠라 막부는 무사를 동원하여 규슈의 하카타(博多) 북쪽 해안에 성곽 축조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몽골의 2차 일본침공을 막아낸 이후에도 수십 년간 계속해서 해안성곽의 보수 및 확장 공사를 진행하였다. 즉 여몽연합군의 침공을 막기 위해 규슈의 북쪽 연안과 도서지역에 쌓은 해안성곽이 ‘원구방루(元寇防壘)’이다. 제주도의 환해장성과 규슈의 원구방루는 현재까지도 섬의 해안과 그 내륙 지역에 몽골 팽창의 역사적 흔적으로 남아있다. 특히 제주도의 환해장성과 규슈의 원구방루는 해안가 평지에 길게 쌓은 방어용 성곽으로서 몽골의 팽창 전쟁과의 관련성을 설명해 주는 매우 독특한 해안성곽들이다. 특히 제주도의 환해장성은 삼별초가 진도에서 제주도로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고려 개경정부에서 쌓았지만, 삼별초가 제주도를 장악한 다음에는 여몽연합군에 대항하는데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시 규슈 북쪽해안의 원구방루는 몽골의 1차 일본침공이 끝난 직후에 쌓기 시작하여 몽골의 2차 일본침공이 끝난 이후에도 수십 년 동안 계속해서 개축된 방어용 해안성곽이다. 따라서 제주도의 ‘환해장성’과 규슈의 ‘원구방루’는 공통적으로 해안가 평지에 길게 쌓은 방어용 성곽이며, 몽골의 팽창 전쟁과 직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대표적인 해안성곽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두 성곽은 몽골의 대륙적 특성과 제주도와 규슈의 해양적 특성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쌓아진 성곽으로서 동아시아의 해양성을 대표하는 역사 흔적들이다. In the 13th century, the Mongol Empire expanded leading influence in Central Asia, Europe, Goryeo and Japan. Goryeo court yielded to the Mongol Empire in 1270 but Sambyeolcho continued the resistance against Mongol Empire in Jindo. Goryeo court built a castle in the coast of Jejudo in order to block the expansion of Sambyeolcho’s influence. This is Hwanhe-Jangsung in Jejudo. Meanwhile, Kamakura Bakuhu resisted the first invasion of Mongol Empire in 1274 and began to build a castle at the coast of Hacata in 1276. Also, Bakuhu checked the first invasion of Mongol Empire in 1274, and constructed the coastal fortresses. This is the origin of Wonku-Bangru in the northern coast of Kyusyu. Hwanhe-Jangsung in Jejudo and Wonku-Bangru in Kyusyu are the defensive castle which is built in the flatland of shoreline and are the typical coastal fortresses of East Asia which is related to the expansionist war of Mongol Empire. These castles are historical tracks representing the ocean type that is formed in the conflict process between the continentalism of Mongol Empire and the marine character of Goryeo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