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조선 일본인의 재외지정학교제도와 「소학교규칙」

        조미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1

        The history of education for Japanese children living in Korea started in 1877 when a primary school was established in Busan. The education for Japanese in Joseon in early stage was mainly conducted by Japanese individuals or groups. These groups conducted the education business in the same way as they did for their administrative or public business in their local regions of Japan such as Shi(市), Cho(町) and Machi(村). But as they did not have any law for the education, they could not have any legal ground for imposing any education fee to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hat caused the financial problems for education, thu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conduct the further education project in Korea. On this backdrop,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apply “Overseas Designated School System” in 1905 and promulgated (Primary School Rules) in 1909 in order to conduct the education for children living in Korea in a political and systematic way. By applying the Oversea Designated School System to Korea,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intervene in the education for Japanese children living in Korea in a systematic way. Japanese government applied this system to Korea in a way to invite good teachers from Japan to “schools for children living overseas.” Through this system, even before the forceful official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the Japanese students attending to the school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Japanese law can get the same educational status as those who attended or graduated from schools located in Japan. In 1910, the students and graduates from Middle School of Joseon Viceroy Administration could get the same status as those in middle schools in Japan. From 1912, with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chool rules and public school laws, this system was widely applied. The schools for Japanese living in Japanese colony of Korea have the same status with those in Japan. 「Primary School Rules」 was the law which applied to all Japanese primary schools which took a lion’s share of Japanese eduction institutions. It was also the first education law applied to all Japanese schools in Korea. According to 「Primary School Rules」, the primary schools for Japanese located in Korea could get the status of official Japanese education system. By not discriminating against the Japanese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law aimed to prevent Japanese from going back to Japa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also had a goal of separating the education for Japanese from that for Korean. The discriminatory system against the Korean in the primary school education had continued until the Japanese Imperialism finally ended. The Oversea Designated School System and 「Primary School Rules」 evidently show that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prepare the system for education or school policy prior to its official occupation of Korea. In addition, the basic contents and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se system expanded after the official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and had continued until the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ended. It means that the education system conducted by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for colonizing Korea prior to the official occupation is closely linked to the education system conducted after the official occupation. 조선에 거류하는 일본인 자녀 교육의 역사는 1877년 부산에 설립된 소학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초기 일본인 교육은 일본인 개인이나 단체들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이들 단체는 일본의 市ㆍ町ㆍ村과 마찬가지로 다른 공공사무 또는 사업과 더불어 교육사업을 함께 운영하였다. 그러나 이들 단체에는 법률적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에게 학교 운영에 필요한 경제적인 부담을 부과할 기능이 없었다. 거류민 단체들이 지닌 그러한 경제적 권한의 한계는 바로 재정적 한계로서 조선에서 교육사업을 추진하는 데도 커다란 어려움에 부딪쳤다. 이러한 배경 아래 일본 정부는 재조선 일본인 교육사업을 정치적ㆍ조직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1905년 재외지정학교제도를 적용하고 1909년 「소학교규칙」을 제정하였다. 일본 정부는 재외지정학교제도를 실시함으로써 재조선 일본인 교육에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적극 관여하기 시작하였다. 일본 정부는 ‘일본의 외국에 있는 일본인을 위한 학교’에 일본으로부터 우수한 교직원을 초청하여 유치하기 위한 조치로서 조선에 이 제도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재외지정학교로 지정된 학교 학생들은 일제 강점기 이전부터 일본에 있는 학교의 학생 또는 졸업생과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910년에는 조선총독부중학교의 학생과 졸업생도 일본의 중학교 학생들과 동일하게 취급받게 되었다. 1912년의 각종 공립학교 관제와 법령 제정을 기점으로 그 폭은 더욱 확대되었다. 식민지 조선 내 각종 일본인 학교들이 일본 내의 학교들과 동등한 취급을 받게 된 것이다. 「소학교규칙」은 일본인 교육 기관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학교 교육을 위한 제도이자 조선에 있는 일본인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교육 법령이었다. 「소학교규칙」에 의하여 재조선 일본인 소학교는 일본의 소학교 범주 내에 포함되었다. 재조선 일본인 소학교 학생과 일본에 있는 소학교 학생간의 차별을 두지 않음으로써 조선에 정착해 사는 일본인들에게 그들 자녀 교육문제로 인하여 일본으로 다시 돌아가려는 상황을 방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반면에 이 규칙은 조선에 사는 일본인 교육을 조선인과 분리하여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도 하였다. 소학교 교육에서 조선인과 차별화 시키는 정책은 일제가 폐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재외지정학교제도와 「소학교규칙」은 일본이 강점 이후의 교육 또는 학교 정책에 대한 제도적 준비를 통감부시기 이전부터 진행하였음을 분명하게 입증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통하여 실시된 기본적인 내용 또는 방향은 강점 이후에도 계속 확산되거나 일제시기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즉 일본이 강점 이전에 일본인을 조선에 식민하기 위하여 실시한 교육정책도 강점 이후 교육정책과의 연속성을 지니고 전개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에 있어서의 일본어 외래어의 음운 규칙에 대한 인식 경향

        가쓰라가와토모코 ( Katsuragawa Tomok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5 No.1

        본고에서는 한국인학습자가 어떤 일본어화(日本語化) 규칙을 구축하고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어떤 시기에 어떤 일본어화규칙을 가르치면 좋을지에 대해 고찰했다. 많은 피 실험자에 제대로 인식되어 있는 일본어화 규칙은 일부의 현상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한·일 양 언어 간에서 원어음을 수용하는 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는 지식이 부족한 것이다. 또한 습득 한 일본어 외래어로부터도 일본어화 규칙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초급단계에서 배우는 가타카나 단어에는 영어 이외의 언어가 기원이 된 외래어가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일본어화 규칙이 구축되기 어려운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어화 규칙을 알고 있는 경우 일본어 외래어의 정답률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일본어화 규칙을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급 수준을 진행한 후에 가르치면 학생들의 부담도 완화 되어 좋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were exam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 whether the Korean learners are building what Japanese localization rules. In addition, in Japanese education, to teach what Japanese of rule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Japanese localization rules have been properly recognized by many participants has been limited to a part. As the cause, Korean and in Japanes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knowledge that there is a case where sound receiving source language sound is different.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are building the Japanese localization rules from the Japanese loan words of distichum. But, for foreign language not English origin is in the katakana words learn in beginner stage, correctly Japanese of rules are expected to be less likely to be built.Is better to know the Japanese of rules, because the Japanese foreign langu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end to be high, it is desirable to teach the Japanese of rules in the Japanese education field, it is better after it went up to intermediate level, the burden of students will also be reduced.

      • KCI등재

        韓国人学習者における日本語外来語の 音韻規則の認識傾向

        桂川智子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5 No.1

        In this paper, we were exam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 whether the Korean learners are building what Japanese localization rules. In addition, in Japanese education, to teach what Japanese of rule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Japanese localization rules have been properly recognized by many participants has been limited to a part. As the cause, Korean and in Japanes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knowledge that there is a case where sound receiving source language sound is different.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are building the Japanese localization rules from the Japanese loan words of distichum. But, for foreign language not English origin is in the katakana words learn in beginner stage, correctly Japanese of rules are expected to be less likely to be built. Is better to know the Japanese of rules, because the Japanese foreign langu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end to be high, it is desirable to teach the Japanese of rules in the Japanese education field, it is better after it went up to intermediate level, the burden of students will also be reduced. 본고에서는 한국인학습자가 어떤 일본어화(日本語化) 규칙을 구축하고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어떤 시기에 어떤 일본어화규칙을 가르치면 좋을지에 대해 고찰했다. 많은 피 실험자에 제대로 인식되어 있는 일본어화 규칙은 일부의 현상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한·일 양 언어 간에서 원어음을 수용하는 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는 지식이 부족한 것이다. 또한 습득 한 일본어 외래어로부터도 일본어화 규칙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초급단계에서 배우는 가타카나 단어에는 영어 이외의 언어가 기원이 된 외래어가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일본어화 규칙이 구축되기 어려운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어화 규칙을 알고 있는 경우 일본어 외래어의 정답률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일본어화 규칙을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급 수준을 진행한 후에 가르치면 학생들의 부담도 완화 되어 좋을 것이다.

      • KCI등재

        잡지 『朝鮮公論』의 1910년대 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론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9

        The 『Choseon Gongron』 was published by Japanese living in Choseon in order to contribute toward establishment of colonial management and continental policy and politics of Chosen Governor General. The media activities of Japanese living in Choseon in the period of colonial rule had dualism, while internally they criticized the policies of the authorities that was opposed to the Japanese' profit, they abroad propagated the aggressive public opinion accordant with authority for national benefits. This paper examined following Japanese politics for colonial rule through analyzing the discourse on rule of Choseon in leading articles of 『Choseon Gongron』. It is as in the following criticisms that was brought up importantly about policy of colonial administration. First, it criticized the military rule and insisted on abolishing the military governor. However, it was not that criticism against the politics of Choseon Governor General was not directed to the rule of force of Japan, but preserved the freedom and profit of Japanese living in Choseon from suppression of the press and the ordinance of Choseon company. Second, 『Choseon Gongron』 introduced the two opposite opin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2 divisions. In the side of proponents, it was considered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for the nation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armaments. But, for the opponents, it came hard to prepare for war from now because of the extension of 2 divisions, and they insisted that moral education to Koreans and railway construction wer more urgent than their establishment. Third, it insisted on the theory of unity of government of Manchuria and Choseon. It was to place Manchuria and Choseon to same range of economy, and necessary to continent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m. It also was important for them to merger railways between Manchuria and Choseon to continental management. They considered the matter of assimilation of Korean as the important thing for rule over Choseon. For this at first, Japanese imperialism inspired Koreans into loyalty and patriotism to Japan through moving Japanese to Choseon, studying the trends of thought of Koreans, higher education for Koreans and same schooling to Japanese. Second, it was required for the way of assimilation to dissemination of Japanese language, discussion over marriage of Japanese living in Choseon and chaning Korean's name. Third, it was also important to research on Korean thought, give a right of autonomy and carry out a policy of civil administration for investigating the cause of disturbance and its measures. They thought that made Koreans not to hate Japanese through self-examination of responsibility for these situations. 『朝鮮公論』은 일제의 식민지경영과 대륙정책 확립, 그리고 총독정치에 공헌하기 위해 창간되었다. 식민통치기 재조일본인의 언론활동은 대내적으로 일본인의 이익에 배치되는 정책에 대해서는 당국에 대항해서 통치방침을 비판하고, 대외적으로는 국가 이익을 위해서 당국과 일치하여 침략주의적인 여론을 선전하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1910년대의 『朝鮮公論』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 담론을 분석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정책을 살펴보았다. 식민통치의 방침에 대해 중요하게 제기된 비평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무단통치를 비판하고 무관총독 폐지문제를 거론하였다. 그러나 총독정치 비판은 일제가 조선인들에게 무력통치를 자행한 것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언론탄압이나 ‘회사령’ 등의 규제로부터 재조일본인의 자유와 이익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둘째로 2개 사단증설 문제에 대해 찬반양론을 소개하였다. 사단 증설을 찬성하는 측은 군비확장의 연장선상에서 국가의 존망이 걸린 문제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반대론자들은 2개 사단증설로 금후의 전쟁에 대비하기 어렵고, 증사보다는 조선인에 대한 정신교육과 철도건설이 시급하다고 주장하였다. 셋째로 만선정무 통일론을 주장하였다. 이것은 만주와 조선을 동일 경제범위에 두는 것이며 일본제국의 대륙정책상 긴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滿鮮 양 철도의 병합도 대륙경영을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음 조선통치를 위해 중요한 것은 조선인을 동화시키는 문제라고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로 일본인의 조선이주, 조선인의 사상경향 연구, 조선인에 대한 고등교육, 일본인과의 동일교육을 통해 조선인에게 충군애국정신을 고취시킨다. 둘째로 동화의 방법으로 내선인 결혼문제에 대한 논의, 조선인 개명, 일본어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로 ‘소요’의 원인규명과 대책을 위해 조선인의 사상을 연구하고, 자치권을 부여하며, 문치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재조일본인은 이 사태를 초래한 책임을 반성하여 조선인이 일본인을 혐오하지 않게 만들어야 한다고 보았다.

      • 일제 식민역사의 청산과 역사부정

        최규환(Choe Kyu Hwan) 헌법이론실무학회 2015 헌법연구 Vol.2 No.2

        It has been now 70 years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the liquidation of colonial history is still progressive in Korea and Japan. It is the Authoritative and institutional state violence of the past which makes a key concept of the liquidation of the colonial history. In other words, historical clearance is an ex post facto measure to establish social justice and democratic order and to recover individual social damage caused by authoritative and institutional human rights abuse. Liquidation of history pass off discovery of truth, judgment on accountability, offender punishment, judicial remedies such as reparation/compensation and retrial, an official apology of perpetrator state, succession of history lesson such as national social commemoration business. However, it is establishment of social introspection and legal institution that makes possible liquidation of history. Historical clearance is performed on the three horizon. ① Clearance between colonial and colonialized states ② internal liquidation of colonialised nation ③ internal liquidation of colonial nation. Korea had bee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r 35 years smce early 20th century. Japanese colonial rule came in action in all different endeavor including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section. For decades Koreans could not u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name. Korea had been exploited economically. Men were drafted and conscripted to fight in the war by force. Women had been taken and coerced into sexual slavery by Japanese soldiers. Korea was emancipated when Japan was defeated in the Second World War. But after the war Korea couldn't obtain a victorious state position. Three years right after emancipation, Korea became under American military domination. America focused on keeping Korea and Japan not to be taken over by communist. Therefore historical clearance was just a secondary thing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view of point. Rather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ce officials succeeded themselves,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ld hands with past ruling class.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48 and the Constitution enact about liquidation of history on human sources. But since pro Japanese groups were in the core of power, sincere historical clearance was impossible. Furthermore cold-war era and military dictatorship in Korea made it impossible to discuss on colonial-rule history clearance. In 2000, special law was enacted to liquidate colonial rule history. But these laws only focused on fact- finding. Meanwhil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Korea and Japan made an arrangement on the right to compensation. This arrangement was totally incomplete because it dose not specify colonial rule compensation. Furthermore interpretation in that arrangement was not same. The fundamental reason of incomplete agreement was that Korea saw the Japanese ruling illegal but Japan vice versa. Lately, Korea's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 Court made senes of judicial decisions on the assumption that Japan's past ruling on Korea is illegal. Abe's cabinet is working on erasing responsibility of colonial rule and accountability of World War II. Historical clearance never go without historical denial. Some nations m Europe has law which regulate criminal punishment on holocaust denial. A constitutional review is needed on punishment of historic denial in view of freedom of speech and academic freedom. However since limitation on freedom of speech and academic freedom should be proportionate and punishment must be ultimate step, criminal punishment would be justified only when denial of history becomes hate speech.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배로부터 70여 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식민역사청산은 현재까지도 한국과 일본에서 현재진행형이다. ‘역사청산’은 과거의 ‘국가폭력’, 권력적·제도적 인권침해로 발생한 개인적·사회적 피해를 회복하고 사회 정의와 민주적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사후적 조치를 말한다. 역사청산은 우선 진상규명을 통한 진실 발견, 이를 바탕으로 한 책임 및 책임의 귀속자 판단, 가해자 처벌, 피해자 복권 및 배상·보상, 재심 등의 사법적 구제, 국가의 공식적 사과, 국가적·사회적 기념사업 등을 통한 역사적 교훈 계승과 같은 일련의 조치로 이루어진다. ‘역사청산’ 의 목적은 국가폭력, 권력남용에 대한 사회적 성찰을 전제로 하며, 동일 혹은 유사한 과오로 왜곡된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국가적·사회적·법적 구조와 제도를 수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청산에서는 청산의 결과도 중요하지만, 청산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과정, 청산 절차, 이를 뒷받침할 근거 법률의 제정 과정 역시 해당 ‘역사청산’의 유효성과 완성도를 결정한다. 식민역사청산은 3가지 문제 지평을 가진다 ① 식민지배국가와 피지배국가 간에 발생한 문제의 지평, ② 식민지배국가 내부의 청산 문제라는 지평, ③ 피식민지배국가 내부의 청산 문제라는 지평이다. 해방 직후 식민잔재 청산 논란은 대부분 ③ 지평 중에서 인적 청산 문제에 집중되었고 이것은 현재도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식민잔재 청산의 문제 해결 순서는 ③→②→①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③의 문제 지평인 피식민지배국가 내부 체제의 청산은 체제 민주화·헌법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전쟁과 한반도의 냉전 체제 고착화는 일제 식민잔재 청산을 위한 사실 확인조차 전혀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을 조성하였다. 일제 지배의 실상을 밝히고 식민지 동화정책의 실상을 정확히 규명하는 일은 식민잔재 청산의 일차적 과제임에도 가로막혀 있었다. 이것은 최근에 일본군성노예 문제나 강제동원 문제로, ‘식민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논쟁으로, 일본의 역사수정주의와 역사교과서 문제로 대표되는 식민 기억을 둘러싼 투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일 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논쟁은 모두 동일한 공동의 역사에 대한 기억과 해석 투쟁이기에 상호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일제 식민기간은 30∼50년이다. 일제의 식민통치는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모든 방면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이뤄졌다. 우리말, 우리글 그리고 이름조차 그 긴 기간 동안 사용되지 못했고 배우지 못했으며 전수되지 못했다. 한반도에 대한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는 그 당시 열강이 보였던 식민통치 양식과는 달랐다 단순한 정치적·경제적 수탈에 그치지 않았고, 민족말살 및 동화정책에 이어 군에 강제징용하고 전시동원체제에 편입시키며 부녀자를 일본군 성노예로 삼는 등 매우 혹독하고 반인륜적인 통치 양태를 보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항복을 선언을 하면서 한국이 해방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여기서 승전국의 지위를 얻지 못했고, 해방 직후 년간 미군정기를 맞게 되었다. 미국이 가장 우려했던 것은 일본과 한반도의 공산주의화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군정 입장에서 볼 때, 일제식민잔재의 청산은 부차적인 것에 불과하였다. 오히려 미군정은 일제식민지 시대 통치기구를 그대로 활용하고 일제 강점기 관료집단을 거의 그대로 유임시켰으며 일제법령도 상당 부분 존치시켰다. 1948년 대한민국의 광복과 동시에 헌법은 일제잔재 청산으로서의 인적 청산을 규정하였다. 그러나 친일파가 권력의 핵심을 장악한 상황에서 진정한 역사청산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더욱이 냉전과 한국에서의 군사독재는 일제식민역사의 청산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일제식민잔재 청산을 위한 특별법들이 제정되게 되었다. 다만 이 법들은 단지 진실 규명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한편, 한국과 일본은 외교관계를 수립하면서 청구권협정을 체결하였으나 식민지배 배상을 특정하지 않은 불완전한 것이었다. 더구나 이 협정을 둘러싼 해석마저 양국이 상당한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그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일제 식민지배를 한국은 불법강점이라고 보는 반면 일본은 합법적 지배였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한국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은 일본의 한국식민지배가 불법강점이었음을 전제로 일련의 사법적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일본의 아베정권은 식민지배 및 제2차 세계대전의 책임을 지우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 역사청산은 역사부정과 상호연관된다. 유럽의 몇몇 국가에서는 홀로코스트 역사 부인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증오표현을 처벌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 회사의 이사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한국·미국·독일·일본의 경영판단원칙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

        오선주 ( Oh Sun Jo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글로벌비즈니스와 법센터 2020 연세 글로벌 비즈니스 법학연구 Vol.12 No.1

        The Korean commercial law has provisions that allow a company to delegate the company’s management to directors, while also allowing the company to supervise their work. The Korean commercial law provides for the dismissal of directors through resolutions that are passed during shareholders' meetings (Article 385 Clause 1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or by exercise of minority shareholders’ right to exercise control (Article 385 Clause 2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However, in addition to indirectly holding directors accountable, such as through dismissals, the Korean commercial law directly stipulates the directors' liability for damages. The directors’ liability for damages can be divided into liability for damages to the company (Article 399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and liability for damages to third party of the director (Article 401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Korean commercial law stipulates directors’ liability for damages to the company (Article 399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but interpreting this too broadly may make it difficult for directors to make autonomous decisions.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no explicit provisions in the Korean commercial law, Korean courts have recognized and applied the business judgment rule in various cases. However, the business judgment rule, if expanded too much, will limit the directors’ responsibility for management. This papar deals with the provisions related to claims for damages against company directors in Korean commercial law, how the business judgment rule applies in Korean cases, and compare the Korean, the U.S., the German, and the Japanese businsess judgment rule. This paper studies how the business judgment rule should be legislated in Korean commercial law and how the business judgment rule should be applied in Korean cases. The standards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presented in the Korean cases are stricter than those in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This paper discusses why it is necessary to make it easier for directors to be able to make autonomous decisions in Korea, and reviews recent U.S. case law, Japanese cases, and the German securities law. Korean law and precedents should provide standards to allow directors' autonomous judgment while keeping them in check. Risk factors are inherent in all directors' decisions. If directors decide to invest only in projects that have low risk but have little growth potential, and are less innovative, and less likely to develop in the future, uncertainty that is associated with management may be reduced, but growth will be hampered and the company may not achieve its full development potential. If predictable and reasonable standards related to the business judgment rule are established by laws or precedents, and the business judgment rule is expanded to a certain extent, the board of directors will be able to better exercise its role than it is doing now. Legislating the business judgment rule like Germany may take a long time, it may be difficult to legislate the business judgment rule to apply in specific cases, and even if the business judgment rule is legislated, revisions may need to be mad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fore, instead of the congress legislating the business judgment rule, it may be more appropriate for the courts to adopt the business judgment rule in cases. However, the court may not have expertise to apply the business judgment rule. Thus, the Korean court may focus on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dures that the directors used in exercising business judgment were appropriate, rather than trying to judge the rationality of the business judgment like the U.S. court. Regarding judging the rationality of the business judgment, if the decisions of the directors did not conflict with or hurt the interests of the company, and if the decisions of the directors were fully reviewed in advance, the Korean court may lower the standard of the duty of care like the Japanese court.

      • KCI등재

        스즈키 다케오(鈴木武雄)의 식민지조선근대화론

        박찬승(Park Chan Seung)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스즈키 타케오는 1928년부터 경성제국대학에서 법문학부 교수로서 경제학을 가르치면서 총독부의 경제정책에도 깊숙이 간여한 인물이다. 그는 종전 후 일본에 돌아가 1946년 일본 대장성에서 비밀리에 수행한 『일본인의 해외활동에 관한 역사적 조사』라는 프로젝트의 조선, 만주, 대만편 가운데 조선편 집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스즈키 다케오는 이 프로젝트에서 「조선통치의 성격과 실적」이라는 글을 썼다. 이 글에서 그는 일본의 식민지 한국 지배정책을 미화하고, 일본의 지배에 의해 한국은 비로소 근대화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1945년 이후 이른바 '식민지근대화론'의 출발점이 된 글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이 글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한 것이다. 스즈키 다케오는 "일본의 한국 영유는 본질적으로는 제국주의적, 그 가운데에서도 군국주의적 지배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였지만, 서양 여러 나라의 소위 식민지정책과는 달리 이상주의적인 통치 행태를 보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조선인을 식민지민으로 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정부나 총독부의 '동화주의'나 '內地延長主義', 더 나아가 '內鮮一體' 정책이 그것을 잘 보여준다고 말하였다. 예를 들어 그는 일본이 한국에서 미곡 생산 중심의 산업구조를 만든 것이나, 전쟁 중에 인적ㆍ물적 자원을 동원한 것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산업정책이 근본적으로는 일본을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일본의 한국 통치 기간을 통하여 한국의 산업경제가 그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는 그런 점에서 일본의 한국 지배정책을 제국주의적 식민정책이라고 간단히 말해버릴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은 한국을 '一視同仁'의 입장에서 대하려 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그는 비록 일본의 한국 통치에 문제가 많았지만, 한국의 근대화가 이루어진 것은 일본의 통치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의 통치 기간 동안 한국인들의 경제적, 문화적 생활수준도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특히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역사적 사실을 은폐, 왜곡, 호도하는 내용이었다. 일제의 한국 지배정책은 한국에서 인적ㆍ물적 자원을 수탈하고, 한국인들을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스즈키 다케오의 '식민지조선 근대화론'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을 미화하고 합리화하기 위한 논리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akeo Suzuki (鈴木武雄) is the scholar who was deeply engaged in the economic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le teaching economics as a professor of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from 1928. After World War II, when he went back to Japan, he leadingly took part in writing the Part of Korea out of the Parts of Korea, Manchuria and Taiwan in the Project of Historic Investigation on Japanese Overseas Activities, which was secretly conducted by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大蔵省) in 1946. Takeo Suzuki wrot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the Rule over Korea," in the project. In his writing, he glorified Japan's ruling policy of colonial Korea, and insisted Korea could be modernized by Japanese rule. Therefore, his writing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fter 1945. This paper analyzed and criticized his writing. Takeo Suzuki asserted, "Japan's possession of Korea did not go beyond imperialistic, especially, militaristic ruling scope in essence, however, Japan showed an ideal type of ruling, unlike many Western countries' colonial policies." He said Japan did not regard Korea as a colony, and did not treat Korean people as colonial people those days. He insisted that the assimilation policy (policy to assimilate Koreans to Japanese), the mainland extension policy (Korea is the extension of Japan) and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are One" by the Japanese government 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howed Japan's position. For example, he acknowledged Japan's building of rice production-centered industrial structure or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during the war showed that Japan's industrial policy towards Korea was for Japan basically. He, however, stressed Korean industrial economy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incomparable to the past during Japan's colonial period of Korea. In this context, he insisted Japan's ruling policy over Korea cannot be simply regarded as imperialistic colonial policy. Takeo Suzuki claimed Japan tried to treat Korea in the position of treating Japan and Korea equally. Although, there were many problems in Japan's ruling over Korea, he insisted Korea's modern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Japan's rule over Korea. He especially emphasized Koreans' economic and cultural levels sharply improved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His claim, however, is actually to conceal, distort and mislead historic facts. The reason is that Japanese imperialistic ruling policy over Korea had such characteristics as exploi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Korea and treating Koreans in a discriminatory way. Takeo Suzuki's Modernization Theory of Colonial Korea can be rated as the logic to glorify and rationalize Japanese colonial ruling policy.

      • KCI등재

        1920년대의 『朝鮮公論』 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2

        『Chosun Gongron』 was monthly general magazine lasting the longest with total 380 issues from April, 1913 when Makiyama Gojo (牧山耕藏) began the first issue up to November, 1944. This magazine included discourses from Japanese intellects in the areas of politics, journalism, education, law, and also economy. They formed political power that constantly exerted influence on Japan’s policy of ruling Chosun then. The magazine’s editorials in the 1910’s criticized forceful ruling and discussed the matter of abolishing the rule of military officers as governors. They insisted that to govern Chosun properly, Chosun people’s assimilation would be crucial, and their mental assimilation would be essential through Japanese’s immigration, research on Chosun people’s thinking system, marriage between Japanese and Chosun people, Chosun people’s renaming, and also distribution of Japanese. The 1920’s was the period that the Japanese Empire that had faced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ltered their strategies of assimilation policy in the 1910’s into cultural ruling. While maintaining assimilation policy, they enforced it gradually as well and reduced discriminative treatment. In fact, in the 1920’s, instead of the term, ‘assimilation’, they used the word of ‘concili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y recognized the colony, Chosun, in the 1920’s with the editorials of 『Chosun Gongron』 and look into what opinions Japanese intellects presented about the matters of Chosun through their theory of ruling Chosun and Japan-Chosun conciliation. Comparing the editorials of the 1910’s and 1920’s,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y kept criticizing and advocating forceful ruling, there were controversies about reducing arms, and they genuinely discussed the matter of ‘Japan-Chosun conciliation’. The biggest problem of Derauchi’s forceful ruling was the system of military police. Along with disputes about the issue of reducing arms as one of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they presented various opinions around the matter of abolishing the system of military police. They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civil servants as governors and also supported the necessity of the age-limit system for governors. Meanwhile, it was also a controversy to provide Chosun people with their legitimate government. Kim Sim-seok or Inoue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their legitimate government whereas Miyajaki said it was just the ideal theory and Jungchuwon was needed to be reformed. Ishimori, too, said they should go with ‘Joguk Yeonjangjuui’ from ‘Naeji Yeonjangjuui’. It means that to conciliate Chosun people through ‘Japan-Chosun conciliation’, first, it would be needed to lead Chosun’s youths ideologically and focus more on studying Chosun people’s racial characteristics. To put it concretel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Chosun people with education for history, language, cultivation, and engineering, found youth organizations, and cultivate Chosun’s figures. It would be also needed to encourage Japanese’s immigration through ‘Japan-Chosun conciliation’ and attain economic assimilation and lay the grounds for ruling. In addition to that, it would be needed to cultivate superior figures from Chosun people and distribute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Japan-Chosun conciliation’ indeed.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get rid of discrimination on Chosun people and urge Japanese residing in Chosun to change and wake up 『朝鮮公論』은 마키야마 고조(牧山耕藏)가 1913년 4월 창간한 이래 1944년 11월까지 총 380호를 발행한 최장수 월간 종합잡지다. 이 잡지에는 일본의 정관계, 언론계, 교육계, 법조계, 경제계 등 지식인들의 담론이 담겨있다. 이들은 조선통치정책에 일정하게 영향을 미쳤던 정치세력들이었다. 이 잡지의 1910년대 사설에서는 무단통치를 비판하고 무관총독 폐지문제를 거론하였다. 조선 통치를 위해서는 조선인 동화가 중요하며 그것은 일본인 이주와 조선인 사상연구, 내선인 결혼, 조선인 改名, 일본어 보급 등을 통해 정신적 동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었다. 1920년대는 3ㆍ1운동을 겪은 일제가 1910년대 동화정책의 전략을 문화통치로 바꾼 시기이다. 동화정책을 유지하면서도 이를 점진적으로 실행하고 차별대우를 완화하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920년대에 들어 ‘동화’라는 말 대신에 ‘융화’라는 말이 채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조선공론』의 사설에서 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일본의 지식인들이 조선 문제에 대해 어떠한 주장을 펼쳤는지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10년대의 논조와 비교해 보면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옹호가 계속되고 있으며 군비축소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내선융화’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었다. 데라우치 무단통치의 가장 큰 문제는 헌병제도였다. 3ㆍ1운동에 대한 대응책의 하나로 제기된 군비축소 문제에 대한 논란과 함께 헌병제도 폐지를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나왔다. 문관 총독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견해와 총독 정년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한편 조선인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金心石, 이노우에 등은 참정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미야자키는 그것은 이상론에 불과하며 중추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시모리도 내지연장주의에서 ‘조국연장주의’로 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내선융화’를 내걸고 조선인을 회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선 청년을 사상적으로 선도하고 조선인의 민족성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조선인의 역사ㆍ국어ㆍ수신 교육과 공학 교육, 청년단 설립과 조선인물 양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내선융화’의 방법으로 일본인 이주를 장려하여 경제동화를 달성하고 통치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조선인 가운데 우량인물을 양성하고 초등교육을 보급하여 ‘내선융화’의 실적을 올릴 것을 강조한다. 조선민족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 재조선 일본인의 개조와 각성을 촉구하였다

      • KCI등재

        『朝鮮の敎育硏究』에 나타난 일제시대 초등 역사 수업 실천

        김봉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3

        The Practice of Elementary History Class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A Study on Chosun's Education』 Kim, Bong-Seok Seoul Yongma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history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verbal evid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two subjects of the history classe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for this study.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obtain those evidences. Accordingly, attention was paid to contemporary class guidelines and educational magazine "A Study on Chosun's Education." The magazine, only one magazine for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covered all areas of elementary education including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evaluation, and guidance for living and contain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phenomena. The study on three guide books of the Korean history and one class afternote has revealed that the contemporary history classes focused on questions and answers, presentation, teacher-led tale-based teaching, and self-study by students' research and presentation. Comtemporary students are assumed to have taken more various types of classes than stated in the guide book. Most of all, it is urgent to find and research the verbal evid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two subjects of comtemporary history education, and teachers' notes and diarie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make a following comprehensive study on "A Study on Chosun's Education", only one magazine for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magazine covers all areas of elementary education from 1930s to 194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본 연구는 일제시대 초등 역사수업의 실천 모습에 관한 것이다. 당시의 수업 실천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수업의 두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구술자료가 가장 생생한 자료가 될 수 있으나 이를 구할 수 없었다. 이에 당시의 수업지도안과 이를 수록한 교육잡지인 『朝鮮の敎育硏究』에 주목하였다. 이 잡지는 일제시대의 유일한 초등 교육잡지로서 교육과정, 교육방법, 평가, 생활지도 등 초등교육 전 영역에 걸친 글들이 게재되어 있다. 따라서 당시 교육 현상을 정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3편의 국사과 수업지도안과 1편의 수업 후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일제시대의 역사 수업은 문답과 발표 그리고 교사의 설화에 의한 교사중심의 수업과 아동이 조사발표하는 자학자습의 수업 형태가 혼합된 형태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 수업에서는 지도안에 실려 있는 내용 보다는 좀 더 다양한 수업 실천이 전개되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당시 역사교육의 두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구술자료 확보와 교사들의 수기나 일기 등 자료의 발굴과 연구가 절실하다. 아울러 일제시대의 유일한 초등교육잡지인『朝鮮の敎育硏究』에 대한 총체적인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여기에는 1930년대에서 1940년대 초까지 일제시대 초등교육의 모든 분야에 걸쳐 실질적인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日本 國字와 韓國 固有漢字의 고유성 판단 기준 설정의 필요성

        이건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5

        이 글은 日本 國字와 韓國 固有漢字의 고유성 판단 기준 설정의 필요성을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면서 일본에 유입된 한국 고유한자를 발굴하였다. 일본 국자와 한국 고유한자의 판단 측면에서 고유성 판단 기준이 명확치 않아 일본 국자와 한국 고유한자의판단에 착오가 있었음을 말하였다. 이러한 사례로 일본의 경우에는 한자 症과 喰을 일본 국자로 판단한 착오가 있었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한자 䑸과 艍를 한국 고유한자로 판단한 착오가 있었음을 말하였다. 同形異義 일본 국자와 한국 고유한자의 차이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한일 양국에서 적용한 조자법에 차이가있음을 언급하였다. ‘垈, 侤, 鐥, 䰳, 䲈’ 등은 일본 국자와 한국 고유한자에 모두 존재하지만 조자법의 차이에말미암아 그 의미가 다른 것임을 언급하였다. 일본 국자의 경우 ‘垈(ぬた, 沼田) 侤(はたらく) 생각해서(고민해서) 일하다) 鐥(みずかね, 水銀), 䰳((ど)じょう, 미꾸라지), 䲈(はも, 갯장어)’ 등의 의미를 가지나 한국 고유한자의 경우 ‘垈(터), 侤(다짐), 鐥(복자), 䰳(가물치), 䲈(삼치)’ 등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설명하였다. 한국 고유한자와 일본 국자 간의 수수 관계의 측면에서는 고대의 시기에는 한국 고유한자 ‘椋(창고), 獤(담비), [金瓮](금속제 장군), 鎰(자물쇠)’ 등이 일본으로 유입되어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말 20세기 무렵부터는 일본의 국자인 ‘峠(とうげ, 고개), 畑(はたけ, 밭), 働는(はたらく, 일하다), 柾(まさめ, 나무의 곧은 결), 鱈(たら, 大口魚), 叺(かます, 가마니), 籾(もみ, 벼), 込(こめる, 속에 담다), 鰯(いわし, 정어리, 멸치), 腺(분비샘), 膵 (췌장)’ 등이 한국으로 유입되어 사용되었음을 언급하였다. 일본 자료에 남겨진 한국 고유한자의 흔적을 찾는 측면에서는 ‘閪, 栍, 㵛’ 등의 훈이 일본 자료에 각각 ‘ミ ヤコ(도회지), いのる(신께 빌다), ヲサム(치료하다)’ 등으로 남아 있는 것에 착안하여 ‘閪, 栍, 㵛’ 등에 적용된조자법을 밝혔다. 閪의 경우 門(문)과 西(서울)로 구성된 회의자로 ‘복잡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栍의경우 生이 ‘근신하며 지냐다’의 의미인 ‘쇠-’의 훈차 표기인 근거를 가지고 栍을 차자 표기 ‘生/쇠’에 木 符를 첨가한 형성자로 밝혔다. 한편 㵛의 경우 善에 기원한 形聲字일 가능성과 그 의미는 ‘치료하다’일 가능성을 제안했다. This paper discovered the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flowed in Japanese, discussing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he standards for judging the inherence of Japanese nation characters (日本 國字) and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韓國 固有漢字) from the four aspects. It is said in this paper that there were mistaken in judging the Japanese nation characters and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since, in respects of judging them, the standards for judging the inherence were obscure. For example, the case of Japanese, there was a mistake in view of considering Chinese jeung (症) and sik (喰) as Japanese nation characters and Chinese jong (䑸) and geo (艍) as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homographic nation characters and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it was mention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ord formation applied in both nations. Furthermore, ‘dae (垈), go (侤), seon (鐥), jeong (䰳), ma (䲈)’ are in existence in Japanese nation character and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The meanings of them, however, are different due to the distinction of the word formation. In addition,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in the case of Japanese nation characters, they have the meanings which are ‘dae(ぬた, sojeon) go(はたらく, saegakhaeseo(gominhaeseo) ilhada), seon(みずかね, sueun), jeong(ど)じょう, mikkulaji), ma(はも, gaetjangeo),’ whereas the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have the meanings which are ‘dae(teo), go(dajim), seon(bokja), jeong(gamulchi), ma(samchi)’ Given the respect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and Japanese nation characters, in the ancient period,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ryang (椋, changgo), don (獤, dambi), [geumong (金瓮)](geumsokje janggun), il (鎰, jamulsoe)’ were flowed and used in Japanese. Furthermore,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around the 20th century, some Japanese nation characters were flowed in Korean, which were ‘sang(峠) (とうげ, gogae), jeon(畑) (はたけ, bat), dong(働)(はたらく, ilhada), jeong(柾)(まさめ, namuui goteun gyeol), seol(鱈)(たら, daegueo(大口魚)), ip(叺)(かます, gamani), in(籾)(もみ, byeo), ip(込)(こめる, soke damda), yak(鰯)(いわし, jeoneori, myeochi), seon(腺)(bunbisaem), chwe(膵)(chwejang).’ In respects of discovering the trace of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left in the Japanese data, this paper identified the word formation which was applied to ‘seo(閪), sang(栍), seon(㵛)’ from the point which the meanings have left in the Japanese data which included respectively ‘ミヤコ(dohoeji), いのる(sinkke bilda), ヲサム(chiryoha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