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5C 이탈리아 메디치家 빌라庭園의 造營實態 및 空間構成特性分析

        최종희,김용기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3 論文集 Vol.54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io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Italian Medici villa gardens in 15th century. In this study was selected the cases of the 5 gardens that were constructed as the suburban house of Podesta Medici family in 15th century. To do this, it was studied in two ways: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photographing,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form of physical structure and review historical documents.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sight of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was good matched. At the beginning, he concept of construction of the Medici villa gardens had been expressed as intrinsic nature and an ideal of a quiet life of suburb, enjoying of nature of philosopher, poets, politician etc..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Medici Villa gardens was built the hill area where were located in a very good geographical feature with nice looking at mountains and rivers. In the exterior space patterns of the Medici Villa gardens was imported borrowed scenery of surrounding landscape and while placed arranging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asino, terrace, parterre, ninfeo, grotta in trying to formalize the landscap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olitical and social, technical phenomena which constitute the physical construction pattern affected the locational property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 on Medici Villa gardens.

      • KCI등재

        빌라 데스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영,김규연,최종희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garde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Villa d'Este, which occupies a major role in the exploration of the contrasting background,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Italian Renaissance gardens. The survey for the study was divided into a literature survey and a field survey,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id-to-late 16th century, the villa was built under the direction of Cardinal Ippolito d'Este, and afterwards, the ownership of the villa was restored to the Italian government in 1850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The Villa d'Este, which suffered another damage, is now operated with many visitors after going through the restoration process. Second, in the case of location,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a located in the city center and has valley-type topographical conditions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Third, in the case of spatial composition, it is orthogonal to the axis, and each part of the garden is developed, influenced by the contrast principle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Cortile del Belvedere and Villa Madama in the early 16th century. The main building is located in the hills so that you can see the garden and the surrounding scenery at a glance. Fourth, among the components, there were stairs, logia, courtyard, and grotto, fountains, cascades, ponds, and vegetation such as laurels, thorn trees.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의 조영배경, 입지 및 공간구성특성 구명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점유하고 있는 빌라 데스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영의 경우 16세기 중후반 설계가 피로 리고리오(Pirro Ligorio)가 이폴리토 데스테(Ippolito d’Este) 추기경의 지시 하에 빌라 조영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데스테 가문 소유로 계승되다 재정난으로 1850년 추기경 구스타프 폰 호엔로헤(Gustav von Hohenlohe)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어 훼손된 정원 복구에 힘썼고 세계 1차 대전을 겪으며 이탈리아 정부 소속으로 소유권이 넘겨진 빌라 데스테는 전쟁으로 인해 무너진 빌라의 대규모 복구 작업이 시작되고 세계 2차 대전을 겪었다. 또 한번 피해를 입은 빌라 데스테는 복구 과정까지 거친 후 현재는 많은 방문객을 받으며 운영되어지고 있다. 둘째, 입지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는 우르바나 성격을 가지며, 산기슭에 위치한 계곡형의 지형조건을 가지고 있다.셋째, 공간구성의 경우 16세기 초기 코르틸레 델 벨베데레와 빌라 마다마의 노단의 설치, 기하학적 대칭 등의 조영원칙들에 영향을 받아 축선과 직교하며 정원의 각 부분이 전개된다. 주요 건물은 구릉에 위치하여 한눈에 정원과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구성요소 중 건조물의 경우 계단, 로지아, 중정, 석굴 등이 있었고 구성요소 중 빌라 데스테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인 수경관에는 분수, 캐스케이드, 벽천, 연못 등이, 식생으로는 월계수, 가시나무, 감탕나무 등이 있다.

      • KCI등재

        이탈리아 르네상스 빌라 란테의 정원건축적 특성

        최종희 ( Jong Hee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의 조영배경, 입지 및 공간구성특성 구명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점유하고 있는 빌라 란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영의 경우 16세기 초 비테르보(Viterbo)의 교구장인 라파엘레 리아레오(Raffaele Reareo), 옥타비아노 비스콘티(Ottaviano Visconti)에 의해 빌라 조영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추기경 니콜로 리돌피(Niccolo Ridolfi)에 의해 수로가 건설되고, 1574년 추기경 감바라(Gambara), 몬탈토(Montalto)에게 소유권을 넘겨진 이후 카지노 등 주요 정원요소들이 완성되었다. 이후 란테 가문에 의해 교황청과의 임대, 소유권 인정·이전 등에 과정을 거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둘째, 입지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는 우르바나 성격을 가지며, 지형조건과 주변 경관과의 관계에서는 도심의 중앙광장과 강한 시선 축을 형성하며, 주변 자연환경을 빌라 및 정원의 통합적 시계 내에 포함시켜 건물과 수림대, 동적인 수공간 요소와의 연계성을 형성하고 있다. 셋째, 공간구성의 경우 고대 신화의 상징적 이미지와 피에트로 데 크레센지(Pietro de Crescenzi)의 데 루러리움 코모도런 리브리(Liber ruralium commodorum libri), 수학적 이론에 근거한 신 플라톤의 비례법칙 등을 기반으로 카지노를 중양축의 양쪽으로 분리해서 위치하게 하고, 축을 공간구성의 중심으로 삼아 정원을 빌라의 부속이 아닌 독립된 하나의 요소로 다루고 있으며, 노단을 이용한 카지노와 정원, 수림대, 주변 경관의 통합적 시계구조를 구현하였다. 넷째, 구성요소 중 식생의 경우 상층식재로는 플라타너스, 소나무, 감탕나무 등이, 하층식재로는 서양호랑가시나무, 회양목, 장미 등이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건조물의 경우 주거기능의 카지노, 노단, 로지아 등이, 수경관으로는 분수, 캐스케이드, 벽천, 샘 등이, 점경물로는 해시계, 의자, 전망대 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architecture in Italian Renaissance Villa Lante that was constructed by the cardinal in Bagnaia at 16th century through actual survey and analysis of the garden`s elements. To do this, it was studied in two ways: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view historical docu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uildings, the garden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s are visually connected each other in relations between the topography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s.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accepted Neoplatonic law of multiple proportions and was influenced by ancient myth and "Liber ruralium commodorum" of Pietro de Crescenzi(1305). Third, the garden`s elements consist of plants, buildings and items. In plants, the upper plants are fir tree, cypress and pine tree and the lower plants are english holly, box tree and sweet oleander. The buildings are casino, loggia and terrace. The items are pot, sundial, chair, viewing platform and founta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olitical and social, technical phenomena which constitute construction pattern affected the locational property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 on Villa Lante.

      • KCI등재

        A Study and Identification on Design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Italian Villas Gardens

        Sara, Guerrero(사라 게레로),Kim, Shin Won(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이탈리아 빌라 정원 설계에 대한 선례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보여 주며 여러 세대에 걸쳐 정원설계자들의 회상을 명확히 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설계와 관련된 역사 연구는 많은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시초를 이루고 있으며, 이탈리아 건축 및 조경은 대부분의 미국 디자이너들의 역사적인 자극을 위한 가장 흥미로운 원천이었다(Antoniades, 1990)1). 이 연구는 이탈리아 별장 정원 7개, Villa Gamberaia, Villa Lante, Villa Medici, Vila D’ Este, Villa Garzoni, Villa Isola Bella 및 The Boboli 정원을 선정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디자인 원리 및 특성을 가치 있는 선례연구를 통해 보여준다. 각 정원의 부지선정은 디자인 원천으로서 그 지역의 대표적인 역사와 풍부한 디자인 특성을 지닌 장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먼저 이탈리아 정원에 적용된 디자인 원리를 개관하고 각 원칙에 따라 구성된 공간을 각 별장에 따라 살펴보았다. 또한 사진을 통해 실제 모습을 파악하고 역사적 문서를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기하학, 대칭, 균형/ 축/ 순환, 경로 및 가장자리/초점과 우세/ 리듬, 연속성 및 반복/ 단위 및 조화/그리고 수경시설 등 연구 분석을 위한 7가지 설계 원칙을 구체화하고 연구 대상지의 공간 디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조경디자인 분야에서 선례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향후 발전된 공간 분석 및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ecedents research, which highlights the knowledge of designers over many generations, and enables them to utilize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prototypes in creative designs. Historical research in spatial design fields constitutes the beginning for many design projects, Itali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nstitute at this moment the favorite source for the historical stimulation of most American designers (Antoniades, 1990)1). It is for that in this study was selected some of the most famous Italian villas gardens, Villa Gamberaia, Villa Lante, Villa Medici, Vila D’Este, Villa Garzoni, Villa Isola Bella and The Boboli Garden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value of precedent studies identifying the design principl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given in Italian Renaissance Era. The selection of each specific location was given by its representative history and the presence of a rich design characteristic as a design source. This research process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principles applied to the Italian gardens and the analysis of each Villa according to each principle. For this, the researcher selected four universal, academic and theoretical sources in order to synthesize and summarize in seven principles that through analysis and readings were identified that apply in the Italian villa gardens studied. The help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gardens through photographs and the review of historical documents and readings are used in the process. Finally, the researcher summarized, synthesized and obtained seven design principles for the analysis of each villa mentioned above: Geometry, symmetry and balance/ Axis/ Circulation, paths and edges/ Focal point and dominance/ Rhythm, sequence and repetition/ Unit and harmony/ and Water space. The study is expected to discover and rediscover quality design, document relevant information, which in many cases has been at the limit of disappearing and convey the importance of analyzing precedents in the field of desig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at can serve as a database for analysis and design of future projects.

      • KCI등재

        이탈리아 빌라 정원의 디자인 원리와 특성에 관한 연구-선행 분석의 중요성-

        사라케레로,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ecedents research, which highlights the knowledge of designers over many generations, and enables them to utilize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prototypes in creative designs. Historical research in spatial design fields constitutes the beginning for many design projects, Itali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nstitute at this moment the favorite source for the historical stimulation of most American designers (Antoniades, 1990)1). It is for that in this study was selected some of the most famous Italian villas gardens, Villa Gamberaia, Villa Lante, Villa Medici, Vila D’Este, Villa Garzoni, Villa Isola Bella and The Boboli Garden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value of precedent studies identifying the design principl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given in Italian Renaissance Era. The selection of each specific location was given by its representative history and the presence of a rich design characteristic as a design source. This research process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principles applied to the Italian gardens and the analysis of each Villa according to each principle. For this, the researcher selected four universal, academic and theoretical sources in order to synthesize and summarize in seven principles that through analysis and readings were identified that apply in the Italian villa gardens studied. The help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gardens through photographs and the review of historical documents and readings are used in the process. Finally, the researcher summarized, synthesized and obtained seven design principles for the analysis of each villa mentioned above: Geometry, symmetry and balance/ Axis/ Circulation, paths and edges/ Focal point and dominance/ Rhythm, sequence and repetition/ Unit and harmony/ and Water space. The study is expected to discover and rediscover quality design, document relevant information, which in many cases has been at the limit of disappearing and convey the importance of analyzing precedents in the field of desig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at can serve as a database for analysis and design of future projects. 이 논문의 목적은 이탈리아 빌라 정원 설계에 대한선례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보여 주며 여러 세대에 걸쳐 정원설계자들의 회상을 명확히 하고 창의적인디자인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할수 있게 하는 것이다. 설계와 관련된 역사 연구는 많은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시초를 이루고있으며, 이탈리아 건축 및 조경은 대부분의 미국 디자이너들의 역사적인 자극을 위한 가장 흥미로운 원천이었다(Antoniades, 1990)1). 이 연구는 이탈리아 별장 정원 7개, Villa Gamberaia, Villa Lante, Villa Medici, Vila D’ Este, Villa Garzoni, Villa Isola Bella 및 The Boboli 정원을 선정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디자인 원리 및 특성을 가치 있는 선례연구를 통해보여준다. 각 정원의 부지선정은 디자인 원천으로서그 지역의 대표적인 역사와 풍부한 디자인 특성을 지닌 장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먼저 이탈리아 정원에 적용된 디자인원리를 개관하고 각 원칙에 따라 구성된 공간을 각별장에 따라 살펴보았다. 또한 사진을 통해 실제 모습을 파악하고 역사적 문서를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기하학, 대칭, 균형/ 축/ 순환, 경로 및 가장자리/ 초점과 우세/ 리듬, 연속성 및 반복/ 단위 및 조화/ 그리고 수경시설 등 연구 분석을 위한 7가지 설계 원칙을 구체화하고 연구 대상지의 공간 디자인에 대해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조경디자인 분야에서 선례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향후 발전된 공간 분석 및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