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西歐의 시선으로 본 高麗圖經과 고려청자

        김윤정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rks the beginning of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eramics in Modern America and Western Europe. During this period of newfound preoccupation, Western scholars inquired after the true nature of Korean ceramics based on an examination of accurate documents. The Western world’s first reliable text on Korean ceramics was the chapter titled ‘Gao-li Yao(高麗窯)’ included in the Qing dynasty Jingdezhen taolu (Record of Jingdezhen Ceramics), translated in 1865. However, in the absence of actual examples of Goryeo celadon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fundamental limit to the scope of study that rendered the text ‘Goryeo Kilns’ an un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period,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acquired, changing the circumstances and allowing opportunity for direct exposure to the subject which altered the tone of discussion surrounding Korean ceramics. Post 1890, the substantial presence of Goryeo ceramics in Western society and the discovery of Goryeodogyeong (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高麗圖經) generated new perspectives on and a renewed interest in the topic of Korean ceramics. Expert on Chinese ceramics, 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 was the first scholar to make the connection between Goryeo celadon and the concept of ‘bisaek’ as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ccording to his publication of 1896.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Goryeo celadons in America and Europe was most active from 1910 up until the 1920’s.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1910’s,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countries and Western scholars began to formally pursue the study of Goryeodogyeong and its connection to Goryeo ceramics. Scholarly interest was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topics of the old Bi-se(secret colour, 越州古秘色), the recent wares of Ru-zhou(汝州新窯器) and the form of the Ding-zhou wares(定器制度)’ as mentioned in sub-chapter 3 ‘Containers’ under chapter 32 of Goryeodogyeong. Thes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subjects of Chinese ceramics such as Yue・Ru・Ding ware and Goryeo celadon we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both method of research and subject. Moreover, these academic pursui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between the formative or aesthetic qualities of Goryeo celadon and the shape, design, glaze color, firing methods, etc of Chinese celadon. It is further meaningful that Western scholarship on the subject preceded Japanese interest. 서구에서 19세기 중후반부터 한국도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체를 찾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1856년에 번역된 청대 『경덕진도록』에 실린 ‘高麗窯’는 서구에 처음 소개된 한국도자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였지만 고려청자의 不在로 인해 연구에 기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서구에서 고려청자를 접하기 이전 시기에 ‘고려요’의 기록은 믿을 수 없는 자료였지만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된 이후에는 논조가 바뀌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1890년대 이후에 『고려도경』의 사료적 가치와 고려청자가 서구 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면서 새로운 話頭가 되었다. 중국도자 전문가였던 스티븐 우튼 부셸(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은 189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에서 『고려도경』의 翡色과 고려청자를 처음으로 연결시킨 연구자이다. 서구에서 고려청자의 수집과 연구는 시기적으로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집중되어 있다. 1900년대 이후부터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되면서, 서구 연구자들이 『고려도경』의 내용과 고려청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고려도경』 권 32 기명 3에 언급된 ‘越州古秘色’, ‘汝州新窯器’, ‘定器制度’의 내용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중국의 월주요, 여요, 정요 자기 등과 고려청자와의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이나 내용적인 면에서도 학문적으로 깊은 의미를 준다. 또한 이러한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은 중국청자의 형태, 문양, 유색, 번조법 등과 차별화되는 고려청자만의 조형적 특징을 찾는데 일조했다. 이러한 연구는 일본 연구자들보다 앞 선 시기에 이루어진 성과였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高麗圖經』 譯註」(10) -권9, 「儀物一」편과 권10, 「儀物二」 분석을 중심으로-

        김선미,이진한,홍민호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4

        Goryeodogyeong(高麗圖經, Gaoli tu jing in Chiness) describes what SeoGeung(徐兢), a member of Song(宋) delegation, observed during his visit to Goryeo in 1123. This article examines Vol. 9 and 10 on Euimul(儀物, ceremonial objects) in Goryeodogyeong. These volumes introduce ceremonial objects that were used in ceremonies for the Song delegation, including Seon(扇), Gae(蓋), Hwangbeon(黃幡), Pyomi(豹尾), Geumwol(金鉞), Gujang(毬杖), Gipae(旂斾), and describe their design and rules of use in detail. First, four types of Seon are introduced: Banriseon(盤螭扇), Ssangriseon(雙螭扇), Suhwaseon(繡花扇), and Wooseon(羽扇). Seon is a long-handled fan used to protect king from sun, wind and dust. They are placed at a royal garden(殿庭) for a ceremony that the king attends, or in front of a royal carriage during the king’s trip. Then, three types of Gae are introduced: Gokgae(曲蓋), Cheonggae (靑蓋), and Hwagae(華蓋). Gae looks like a parasol, and used to shield sun and rain. All three types were used in front of a royal carriage during the king’s trip, or at a royal garden during a royal ceremony. Hwangbeon is a flag embroidered in yellow color, and Pyomi is a spear(矛) hung with the tail of a leopard. Geumwol is a wooden axe painted in gold, and symbolizes the king’s command and authority over life and death. Gujang is a ceremonial stick painted in silver, and Gipae is a type of flag. Ceremonial objects introduced in the Euimul section are those that are placed close to the king during respective ceremonies. SeoGeung’s view was that ceremonial objects of Goryeo could be properly made because they replicated and learned from the Chinese. However, he faithfully recorded the Goryeo system that used emperor’s ceremonial objects. This suggests Goryeo’s circumstanc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dynasty as it established a national system suitable for an empire, and China’s acquiescence thereof. The ceremonial objects introduced in the Euimul section are described in great details for their design and rules of use that the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ceremonial objects used during royal ceremonies of Goryeo Dynasty. 『高麗圖經』은 1123년에 송 사절단의 일원인 徐兢이 고려를 방문하여 견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은 『고려도경』 가운데 권9와 권10의 「儀物」편을 살핀 것이다. 「의물」편은 송 사신의 영접 의례 과정에 사용되었던 儀仗 중에 扇과 蓋, 黃幡, 豹尾, 金鉞, 毬杖, 旂斾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해당 의장의 규정과 형태를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먼저 扇은 盤螭扇, 雙螭扇, 繡花扇, 羽扇 등 4종류를 설명하고 있다. 扇은 자루가 긴 의장용 부채로, 국왕 가까이에 위치하여 햇빛과 바람, 먼지로부터 국왕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盤螭扇은 용 한 마리를, 雙螭扇은 용 두 마리를 수놓은 것이고 繡花扇은 모란꽃 두 송이를 수놓은 것, 羽扇은 무늬가 있는 푸른 깃털을 엮어서 만든 부채이다. 이들 부채는 繖・華盖와 함께 국왕 의례 시 殿庭에 배치되거나, 국왕이 행차할 때 御輅 앞에 배열한다. 蓋는 曲蓋, 靑蓋, 華蓋 등 3종류를 소개하고 있다. 蓋는 일산 모양의 의장으로, 대로 각을 잡고 비단을 씌운 뒤 그림을 그리거나 수를 놓아 장식하였으며 햇빛을 가리거나 비를 피하는데 사용하였다. 曲蓋는 자루가 굽은 것, 靑蓋는 청색 비단을 사용한 것, 華蓋는 수와 그림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것이다. 세 가지 모두 국왕의 행차 시 어로 앞에 배치되거나 궁궐 의례 때에 전정 위에 배치되었다. 黃幡은 황색 수를 놓은 표식기이다. 豹尾는 矛에 표범 꼬리를 매단 것으로, 천자가 사용하는 의장이다. 金鉞은 나무로 만든 도끼에 금으로 도금한 것으로, 국왕의 지휘권과 生死에 대한 권한을 상징하는 의장이다. 毬杖은 은빛을 칠한 의장용 막대이며, 旂旆는 깃발의 한 종류이다. 「의물」편의 의장들은 의례 시에 주로 국왕 가까이에 배치되는 것들이다. 서긍은 고려의 제도가 중국의 것을 본받았고 교화되었기 때문에 의장을 제대로 갖출 수 있었다는 시각으로 서술하였다. 그러나 천자의 의장을 사용하고 있는 고려 제도를 그대로 기록하였다. 이는 고려전기 황제국의 위상으로 제도를 마련한 고려의 상황과 당시 이러한 제도의 사용을 용인하였던 중국의 입장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하겠다. 이상에서 살펴본 「의물」편에 실려 있는 각종 의장들은 그 규정과 모양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高麗史』 輿服志의 儀衛條와 鹵簿條의 기록과 함께 고려의 국가 의례에 사용되었던 의장의 실상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 KCI등재후보

        고려도경 객주의 구조와 항로 ; 협계산~군산도를 중심으로

        강원춘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0 해양문화재 Vol.13 No.-

        The Goryeodogyeong is very valuable in that it recorded the life and customs of the Goryeo Dynasty in detail with the eyes of the people of that period, and it is the most well-remaining data of the names and routes of islands along the coast of Goryeo recorded in the itinerary. Based on the description of Gaekju recorded in Seogung's Goryeodogyeong, the West Sea route and some coastal routes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examined. Among the fleet that Seogung came on, the Gaekju is a commercial ship with a top-bottom liner, and its size is 31m long, 7.75m wide and 9.3m deep. Compared with the Sinan Ship excavated underwater in Korea, the load capacity of cargo, the structure of the internal watertight bulkhead, and the propulsion structure such as sails and rudders were reviewed. Also, based on Seogung's voyage records, the geographic light moon distance, voyage distance, and nautical power of each point were inferred, and the route was reviewed for the Hyeopgyesan-Gunsando section. The route shown in Goryeodogyeong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not only maritime exchanges with China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also the culture of the time. 『고려도경』은 고려시대 생활과 풍속 등을 그 시대 사람의 눈으로 세세하게 기록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고 여정에서 기록한 고려 연안의 섬 지명과 항로가 가장 잘 남아있는 자료이다. 서긍의 『고려도경』에서 기록하고 있는 객주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서해 항로와 고려시대 연안항로 일부를 살펴보았다. 서긍이 타고 온 사신선단 중 객주는 송대 첨저형 선형을 갖춘 상선이며 그 크기는 길이 31m, 너비 7.75m, 깊이 9.3m 규모이다. 우리나라 수중에서 발굴된 신안선과 비교하여 화물의 적재량, 내부 수밀격벽의 구조, 돛과 타 등 추진 구조 등을 재검토하였다. 또 서긍의 항해기록을 바탕으로 각 지점의 지리학적 광달거리와 항해거리, 항해송력 등을 유추하였고 협계산-군산도 구간에 대하여 항로를 검토하였다. 『고려도경』에 나타난 항로는 현재도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고려시대 중국과의 해상교류 뿐만 아니라 당시 문화상을 밝히기 위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언급·인용 사례로 살핀 고려 후기~조선 초기 지식인의 『고려도경』 인식

        강민경(Min-kyeong Kang)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7 No.-

        『고려도경』은 고려시대 연구의 주요 사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 책이다. 그런 만큼 예부터 이를 사람들이 널리 읽고 활용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 지식인들의 『고려도경』 인식은 지금과는 많이달랐다. 우선 『고려도경』을 직접 인용 또는 언급한 사례가 매우 드물다. 예외적으로 이제현, 김종직 등이 『고려도경』을 읽고 그 내용을 적극 인용한 글을남기기는 하였으나, 대개는 재인용 또는 이름과 지은이 정도만 간략히 언급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왕조가 교체되었음에도 지식인들이 공유하는사회문화의 성격이 크게 바뀌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에 『고려도경』을 대하는 태도는묘한 차이가 느껴진다. 고려 후기에는 주로 잊힌 사실을 찾거나 詩語에 활용하기 위해 『고려도경』을 공구서 개념에 가깝게 썼다면, 조선 초기에는 前史를설명하기 위한 사료로써 『고려도경』을 인용하고 또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고려도경』을 대하는 태도에서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지식인 사회의 연속성과 단절성이 동시에 보이는 것이다. 한편으로 이렇듯 『고려도경』의 인용과 언급 사례가 적다는 사실은, 고려말 조선 초에 『고려도경』이 판각을 통해서건 필사를 통해서건 널리 보급되지않았음을 시사한다. 현재 전하는 『고려도경』의 판본은 크게 宋本과 淸本으로나뉜다. 그러나 기록에서는 『고려도경』 ‘高麗本’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럼에도 『고려도경』 고려본이 있었는지 그동안은 정확하게 究明되지 못했다. 만약『고려도경』 고려본이 존재하였다면 대략 14세기 중반 원에서 유입된 宋本을토대로 교정을 거쳐 판각 출판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그러나 이것이 존재했다고 하더라도, 언급 또는 인용 사례로 살펴봤을 때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이내 사라졌다고 여겨진다. 이는 18세기 이후와는 달리 고려 후기~조선 초기지식인 사이에 『고려도경』의 수요가 크지 않았음을 뜻한다. Goryeodogyeong is a book recognized for its value as a major historical source of research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such, it can be thought that people have widely read and used Goryeodogyeong since old times. However, the perception of Goryeodogyeong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was very different from now. First of all, it is very rare to directly cite or mention the Goryeodokyeong. In most cases, it stays in re-authentication or simply mentions the name and author. This phenomenon means that even though the dynasty was replaced, the nature of the social culture shared by intellectual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is a strange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Goryeodogyeo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late Goryeo dynasty, Goryeodogyeong was mainly used to find forgotten facts or quote them in poetry. Bu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ryeodogyeong was cited as a historical source to explain the history of the old dynasty and critically reviewed in the sent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book called Goryeodogyeong, the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of intellectual society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shown at the same time. On the one hand, this fact suggests that Goryeodogyeong was not widely distributed through engraving or manuscript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records, the existence of the Goryeo dynasty edition of the Goryeodogyeo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Goryeodogyeong, is confirmed. However, it was not known exactly until now whether there was a Goryeo version of Goryeodokyeong. If the Goryeo version of Goryeodogyeong existed, it is most likely that the engraving was published after correction based on the Song dynasty version introduced from Yuan in the mid-14th century. However, even if it existed, it seems to have disappeared soon after it was not widely distributed. This means that unlike after the 18th century, the demand for Goryeodogyeong was not high among intellectuals at that time.

      • KCI등재

        중국 문헌의 『高麗圖經』 ‘인용’ 양상과 고려 인식

        김난옥 한국중세사학회 2019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6

        ‘Goryeodogyeong’ was quoted in various Chinese documents after it was compiled and published. It became a basis for writings on Goryeo for historical books such as ‘Songsa(宋史)’ and ‘Sokjachitonggamjangpyeon(續資治通鑑長編)’. In addition to historical records, ‘Goryeodogyeong’ was frequently quoted in anthologies and local journals as well. Anthologies such as ‘Yuhwankimun(游宦紀聞)’ and ‘Gonggoejib(攻媿集)’ included Seo Geung(徐兢)’s description of establishment of Goryeo, its politics and customs. ‘Hamsunimanji(咸淳臨安志)’, a local journal during the period of Southern Song, heavily quoted the section on seaways from ‘Goryeodogyeong’, and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rade with Goryeo was brisk at the time. Records in ‘Goryeodogyeong’ are sometimes compared to ‘Gyerimji(鷄林志)’, but the former is deemed more detailed and accurate. ‘Goryeodogyeong’ was widely quoted and used as a basis for records on Goryeo in various types of writings in China, ranging from formal historical records to anthologies and local journals, and it was also quoted in anthologies during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Sejongsillokjiriji’. Chinese documents that quoted ‘Goryeodogyeong’ show Chinese people’s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Goryeo. For instance, annotations for records on ‘Jachitonggam’ quoted ‘Goryeodogyeong’ and revealed a negative view on establishment of Goryeo by stating that Wang Gun was not enthroned for his virtue, but he took over the country in a coup by killing Gungye. Some inaccurate records in ‘Goryeodogyeong’ were repeated in other documents without corrections. Thus, quoting ‘Goryeodogyeong’ was not merely an act of replicating its contents, but also disseminated views on Goryeo through 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 KCI등재후보

        장서인(藏書印)을 통해 본 모의(毛扆) 교정본『고려도경』과 건도본『고려도경』의 관계

        김방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0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finds out the relation between Goryeodogyeong of Correction-edition and Goryeodogyeong of Geondo(乾道)-edition. Geondo-edition is the first edition published in 1167, handed down to Jeon Jeung(錢曾) and Emperor Qianlong(乾隆帝) of Qing Dynasty and now belongs to Taiwan National Palace Museum. Mo Eui(毛扆) Correction-edition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handed down to Mo Eui, Wang Sa Jong(汪士鐘), Gu Yong(瞿鏞) of Qing and now belongs to National Library of China. First, Correction-edition is the manuscript corrected by Mo Eui, the son of Mo Jin(毛晉) the owner of Private Library GeubGoGak(汲古閣) of early Qing. Mo Eui revised the old edition and published. I think Goryeodogyeong of Correction-edition might be made for publishing. Finally it wasn't published. Second, Geondo-edition had been housed by Jeon Jeung before owned by Emperor Collection of Qianlong. Jeon Jeung, grandson of Jeon Gyeom Ik(錢謙益), inherited the remaining old books of GangUnRu(絳雲樓) founded by Jeon Gyeom Ik after firing. Because The Book List of GangUnRu written by Jeon Gyeom Ik contains Goryeodogyeong, I think Geondo-edition possessed by Jeon Jeung also might be inherited from Jeon Gyeom Ik. Third, through Book Collection Seals of Correction-edition I examined who was the collectors. The Mo family of Mo Jin and Mo Eui, the Wang family of Wang Mun Chim and Wang Sa Jong and the Gu family of Gu So Gi and Gu Yong were all famous collectors representing Qing Dynasty. They are from Jiangsu Province(江蘇省), Mo and Gu from Changshu(常熟) and Wang from Suzhou(蘇州). Fourth, I tried to find 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two editions seemed to be different, even if the book name is same. USan(虞山) was the nickname of Changshu and produced many scholars and artists. Also Jeon Jeung and Mo Eui were born in this place, lived here and had the similar job contaneously. They were rivals and allies. I think Mo Eui, when corrected Goryeodogyeong, might refer to Geondo edition possessed by Jeon Jeung. 본 논문의 목적은 모의(毛扆) 교정본 『고려도경』과 건도본 『고려도경』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건도본은 1167년에 간행된 『고려도경』의 최초 판본으로서 청대 전증과 건륭제의 손을 거쳐 현재 대만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모의 교정본은 청대 모의와 왕사종, 그리고 구용의 손을 거쳐 현재 중국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첫째, 교정본은 청초 급고각 주인 모진의 아들인 모의가 교정한 필사본이다. 모의는 이전에 간행되었던 여러 책들을 교정하여 새롭게 출판하는 일에 종사했다. 『고려도경』 또한 출판을 위해 교정을 해 둔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둘째, 건도본은 건륭제의 황실 수장고에 들어가기 전 전증이 소장하고 있었다. 그는 전겸익의 족손으로 전겸익의 개인 수장고인 강운루가 불타면서 남은 서책들을 물려받은 인물이다. 전겸익의 『강운루서목』에도 『고려도경』이 수록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전증 소장 건도본은 전겸익에게서 전수받은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보았다. 셋째, 교정본에 찍혀있는 장서인을 통해 그 장서가들이 어떤 인물들인지 살펴보았다. 모진과 모의의 모씨 집안, 왕문침과 왕사종의 왕씨 집안, 구소기와 구용의 구씨 집안은 모두 청대를 대표하는 유력한 장서가들이었다. 이들은 모두 강소성 지역 출신들로, 모씨와 구씨는 상숙 출신이고 왕씨는 소주 출신이다. 넷째, 서명만 같을 뿐 전혀 별개인 것처럼 보였던 두 책이 과연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우산’은 상숙현의 별칭으로 이곳에서 많은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배출되었다. 전증과 모의 또한 이곳에서 태어나 살았고 같은 직업에 종사했던 동시대인이었다. 라이벌이자 동업자였던 것이다. 모의가 교정본을 만들 때 전증이 소장하고 있던 건도본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 KCI등재

        『고려도경(高麗圖經)』의 시장과 금속화폐 관련 기록 재고(再考)

        강병국 ( Kang Byeong-kuk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7 No.-

        『고려도경』의 시장과 금속화폐 관련 기록에는 그 자체로 상호 모순이 존재 하며, 『高麗史』 등의 기타 사료와도 모순되는 내용이 있다. 본고는 이처럼 상호 모순으로 느껴지는 서술에 대해 합리적인 이해를 시도한 논문이다. 그를 위해서는 우선 `圖經`이라는, 유례가 흔치 않은 기록물을 남긴 著者 徐兢의 독특한 이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저자의 이력과 특성, 『고려도경』 탄생의 내력을 고찰한 결과, 이들 요인이 『고려도경』 서술에 미친 영향이 4가지 특징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후 이러한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고려도경』의 관련 기록을 재차 독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서긍이 개경의 시장 체계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밝힐 수 있었다. 특히 개경에 `大市`라는 法制化된 시장이 별도로 존재했으며, 大市司의 관할 대상이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대시사의 경우는 그동안 그 실체가 불분명하여 街衢所로 비정되었던 것인데, 그 담당업무인 `關之政`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가 서긍의 기록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로이 밝힘으로써 대 시사의 성격 이해를 좀 더 분명히 할 수 있었다. 서긍이 기록을 남긴 `虛`의 경우는 그동안 그 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논란의 대상이었는데, 필자는 서긍이 大市와 함께 虛市가 개경의 시장체계에서 두 축을 이루는 것으로 인식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서긍이 虛로 묘사한 대상은 고려의 巷市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새로이 제시하였다. 고려의 금속화폐 사용 양상에 대한 기록 역시 그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는데, 이는 서긍이 직접 관찰한 것이 아니라 뱃사람들의 傳言을 기록한 것이며, 그 과정에서 착오가 빚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서긍은 고려의 동전 사용 여부에 대해 상호 모순되는 기록을 남겼는데, 특히 고려에 鑄錢監이 존재 한다는 기록과 고려의 조정이 동전의 사용법을 알지 못해서 그저 감상하는 용도로만 쓰고 있다는 관찰 기록은 정면에서 충돌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후자 의 관찰 기록은 동전을 포쇄하는 장면을 서긍이 목격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긍이 『고려도경』에 남긴 고려의 금속화폐 사용 양상에 대한 기록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역사에서 나타났던 양상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른 나라에서도 똑같은 양상이 나타났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서긍이 남긴 고려의 금속화폐 사용 양상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의 특수성과 보편성 중에서 특수성이 아니라 보편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The records of market and metallic currency contained in Goryeodogyeong are self-contradictory and also contradict other sources such as Goryeosa(高麗史). This paper attempts to rationally interpret such self-contradictory stat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 first paid attention to the unique background of Seogeung(徐兢), who wrote a collection of unique records consisting of pictures and words called `dogyeong(圖經)`.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genesis of Goryeodogyeong, I conclude that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appearing throughout Goryeodogyeong as the writing thereof had been affected by these factors. Then, I again attempted to interpret the records of market and metallic currency in Goryeodogyeong with such four characteristics in mind. Through this, I was able to prove how Seogeung perceived the market system of Gaegyeong(開京). In particular, I proved that there had existed a separate legal market called “Dae-si(大市)” in Gaegyeong and it had been governed by Daesi-sa(大市司). Daesi-sa had been identified as Gagu-so(街衢所) because the true identity was previously undiscovered. However, now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true identity of Daesi-sa based upon the new discovery in Seogeung`s records of a clue implicating `Gwan-ji-jeong(關之政)`, a responsibility of Daesi-sa. `Heo(虛)` in Seogeung`s records has been the subject of a controversy with respect to how to understand its identity. I propose that Seogeung perceived Heo-si(虛市) along with Dae-si(大市) was a component of the dual market systems in Gaegyeong. And I further postulate that the object described as Heo(虛) by Seogeung could possibly be Hang-si(巷 市) in Goryeo(高麗). The records on the use of metallic currency in Goryeo have been the subject of a controversy as well. I believe they were not from Seogeung`s own observations but rather based on sailors` comments and, therefore, there might have been a misunderstanding or mistake throughout the process. Seogeung left self-contradictory records with respect to the use of coins in Goryeo. Especially, the records on the existence of Jujeon-gam(鑄錢監) in Goryeo directly contradict the records from an observation stating that a governing body in Goryeo failed to understand how to put them to proper use. The latter observation leads to a hypothesis that Seogeung might have witnessed people drying wet coins outside in the sun. In addition, I researched the pattern of use of metallic currency throughout the histories of other counties and compared them with that of Goryeo in order to understand Seogeung`s records on the use of metallic currency in Goryeo.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at the same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histories of other countries. Therefore, I propose Seogeung`s records on the use of metallic currency in Goryeo is an example showing its commonality, not distinctiveness, between the common o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고려도경』에 비친 고려인들

        김병인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5

        This study reviewed Seo Geung’s view and presupposition of Goryeo, who was the writer of 『GoryeoDogyeong』. For the review, ‘the people who Seog Geung encountered’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d the study examined how his ‘view and presupposition’ was applied in his recognizing and estimati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o Geung shows his ‘view and presupposition’ in 『GoryeoDogyeong』. First, According to him, Goryeo was called DongYi of Four Yi (meaning Four barbarian tribes on the borders), but they were somewhat civilized by edification of China and the Song Emperor’s favor, and he added distinguished figures and splendid culture or civilized products of Goryeo were not ordinary, but specially prepared for the Chinese envoy. Second, though Goryeo was regarded to have Chinese custom based on Sino-centrism, they were still caught in their barbarian custom because of the nature of ‘Four Yi’. Third, he put a low estimate on not only the personality and physique of Goryeo people, but also Goryeo territory and politic,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The key words of his ‘view and presupposition’ were ‘edification by Gija’, ‘Chinese custom’, and ‘Song Emperor’s favor’, which means that 『GoryeoDogyeong』 was a product of Seo Geung’s arbitrary interpretation of Goryeo through the three codes. The people Seo Geung encountered in Goryeo can be classified into;first ‘those whom he met in person’, second ‘indirect encounter he saw as an observer’, and third ‘those whom he recognized with his prejudice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or status, or through what he read or heard’. Seo Geung applied his ‘view and presupposition’ to them. For example, he described representative five persons he met in person as ‘Confucian look and as accepted Chinese civilized products’. For those whom he encountered as an observer, he described as inferior with barbarian evil customs. And lastly for those whom he recognized with his prejudice, he insisted mechanically that ‘unlike other barbarian tribes, Goryeo shows proper attire and the proprieties, which results from long edification by China’.

      • KCI등재

        『高麗圖經』을 통해 본 群山島와 群山亭

        문경호(Mun, Gyung-Ho)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高麗圖經』에 따르면 군산정은 서긍 일행이 처음으로 고려 땅에 상륙하여 사신으로서의 정식대우를 받은 곳이다. 이 글에서는 고려도경에 기록된 군산도 인근의 바닷길과 군산도에 자리잡고 있었다는 군산정, 오룡묘, 자복사, 숭산행궁, 관아 등의 위치를 비정하고, 군산정에서 행해진 영접과정과 군산정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서긍 일행이 무녀도와 선유도 사이 뱃골이 있는 지역으로 입항한 후 고려에서 준비한 작은 배를 타고 군산정으로 이동하여 영접의식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군산도를 떠난 사신 일행이 거쳤던 횡서라는 섬은 방축도로 추정하였다. 군산도의 주요 시설인 군산정의 위치에 대해서는 망주봉 아래 남쪽의 유물 산포지로 비정하였으며, 관아 시설 역시 군산정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오룡묘와 자복사는 군산정의 동쪽 산기슭에, 숭산행궁은 오룡묘 건너편의 독립된 작은 산 기슭의 유물 산포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들의 위치가 고려도경에 기록된 것과 달리 군산정의 서쪽이 아니라 동쪽에 자리잡은 이유에 대해서는 서긍이 방향을 잘못 파악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서긍이 군산정 북쪽에 있었던 횡서(방축도)를 남쪽에 있다고 기록한 것을 들었다. 군산정의 구조와 관련해서는 고려도경에 나타난 환영과정을 토대로 뜰 위에 계단이 있고, 계단이 끝나는 높은 곳에 사방이 트인 형태의 군산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Gunsanjeong (Gunsanjeong Pavilion) was the first destination in Korea of the Chinese delegation led by Xu Jing. Officials of the Goryeo Kingdom greeted the delegation in a formal reception for foreign envoys at the pavilion. This article intends to identify, based on Goryeodogyeong (Illustrated Travelogue on Goryeo Kingdom), the sea route leading to Gunsando Island, as well as the locations of Gunsanjeong, Oryong Cemetery (五龍廟), Jaboksa Temple(資福寺), Sungsan Temporary Palace (崧山行宮),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that time, all of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on Gunsando Island. It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reception ceremony held at Gunsanjeong and the structure of the pavilion. The delegates led by Xu Jing are presumed to have reached Gunsando Island’s port through a sea route between Munyeodo and Seonyudo islands. After reaching the port, they would have moved to Gunsanjeong on a small ship prepared by the Goryeo people before being welcomed in the reception ceremony. The island named Hoengseo, which the Chinese envoys stopped at after leaving Gunsando Island, is presumed to be the Bangchukdo Island of today. This article assumes that Gunsanjeong, one of the key facilities on Gunsando Isla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foot of Mangjubong Peak where relics have been scattered, an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was next to the pavilion. Oryong Cemetery and Jaboksa Temple are presumed to have been at the foot of a mountain to the east of the pavilion, and the Sungsan Temporary Palace at a relic site at the foot of a small mountain across from Oryong Cemetery. The fact that these facilities were incorrectly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s being in the east of Gunsanjeong, instead of west of the pavilion, is attributed to Xu Jing’s mistake about the actual locations of the facilities. As a proof of that error, this article cites Xu Jing’s description of Hoengseo (Bangchukdo island) as located to the south of Gunsando Island, contrary to its actual location to the north of the island. Judging by the descriptions of the reception ceremony in Goryeodogyeong, Gunsanjeong is presumed to have been on a mounted platform reached by a staircase in the middle of an open field.

      • KCI등재

        한반도와 중국의 영접의식에 나타난 보편성과 고유성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절장(節仗)을 중심으로

        윤아영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claims that the procedures for the welcoming ceremony of Goryeo recorded in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written by Seo Geung (1091-1153), correspond to the jeoljang of the Prince of Song, China, and to distinguish the uniqueness of the welcoming ceremony of Goryeo and the universality of the two cultures. The artic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organized by Seo Geung, tells us two things. First, Song and Goryeo are independent countrie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quest and conquest, and second,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culturally. Therefore, it is an error to compare the procedure of the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with the welcoming ceremony of the Chinese crown prince. This is because the two countries are independent countries and the reception ceremony set by Goryeo must be compared to the design used in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of the Song Dynasty. It is understandable that Goryeo welcomed Song's delegation in accordance with Goryeo's unique design format, and some common procedures were in consideration of the other country. In addition, it seems difficult to convince the argument that the origin derived from Janggan-gi, the only event organized in the Tang noble lady's trip, as baekhee was Goryeo's and did not include such a form in China's official cabinet system. This is because the gap between the two is far in terms of timing, class, and scale. In other words, a welcoming ceremony introduced in the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is a unique style of Goryeo. More ultimately, it can be said that the key factor that determines the uniqueness of the two countries' reception consciousness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ekhee procedure. 본 연구는 서긍(徐兢, 1091~1153)이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기록된 고려의 영접의식 의장 절차[節仗]를 중국 송나라 황태자 노부의장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비교 검토해 보고, 당시 고려 의장의 고유성과 양국 문화의 보편성변별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서긍이 정리한 고려와 송과의 관계에 관한 글은 두 가지를 알려주고 있다. 첫째, 송과 고려는 서로 정복피정복의 관계와는 무관한 독립국가라는 것과 둘째, 양국은 독립국가이지만 문화적으로는 일부 공통점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고려도경』의 절장(節仗)을 중국 황태자 노부의장에 비교한 것은 오류이다. 양국은 독립된 국가로서 고려가 정한 영접의식 의장은 송나라의 국가 단위 의식에 사용되는 의장과 비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고려는 송의 사절단을 고려의 고유한 의장 형식에 맞게 영접했고, 이 중 백희(대)를 비롯한 나머지 절차는 중국 관방 의제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고려 영접의식의 고유한 특성이다. 즉, 『선화봉사고려도경』에 소개된 영접의식으로서의 의장은 고려의 고유한 양식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더 궁극적으로는 양국 영접의식의 고유성을 가르는 핵심요소는 백희의 첨입유무라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