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바일을 위한 웹지도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최재영 ( Choi Jae Young ),정영지 ( Chung Yeong J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6 No.5

        최근 정보기술 발전과 컴퓨터의 고성능화에 따라 인터넷과 지리정보 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연동하여 많은 웹 사이트에서 지도정보 및 POI(Point of Interes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Web GIS는 시스템 구축이나 서비스 제공방법, 지도표현 형식에 있어 특정 시스템이나 환경에 의존적이며 제약이 많이 있다. 또한 무선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동 환경에서 현재 위치정보를 적용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서비스는 PDA와 같은 이동클라이언트에 LBS(Location Based Service)로 제공될 수 있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지리원의 표준 지도형식인 DXF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모바일 웹 서비스가 가능한 GIS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OGC(OpenGIS Consortium)에서 권고한 벡터 방식의 SVG(Scalable Vector Graphics) 포맷의 지도로 표현하고, XM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서비스로 제공하였다. 또한 이동클라이언트인 PDA에 GPS 수신기를 확장하여 이동환경에서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을 위한 실시간 위치기반 웹지도 서비스를 설계하고 서버기반 GIS 컴퓨팅 환경을 실용적으로 구현하였다. Recently, many WMS(Web Map Services) and POI(Point of Interest) services come to be in service on the Internet using Web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H/W are evolved faster in its speed, network bandwidth and features. The Web GIS is, however, limited and constrained on the specification of its system configuration, the service class provided and the presentation methodology of a map. As the mobile Internet becomes popular in mobile service, Web GIS service on mobile environment is strongly required and to be provided by location based WMS(Web Map Service) on a mobile client such as PDA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is paper, we made an effort to design and implement a GIS computing environment by thin client for mobile web map service. For implementing the thin client GIS computing environment, we were using NGI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s) DXF map, representing the map by SVG(Scalable Vector Graphics) recommended by OGC(OpenGis Consortium), and adapting standard XML web service to provide the thin client GIS service on PDA by appl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realtime with GPS on mobile environment.

      • KCI등재

        GIS 웹 서비스에서 SOA를 위한 공간정보 레지스트리 적용 전략

        하수욱,박종민,남광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pplication models and strategies of geospatial services registries for SOA in GIS web services. Recently. a number of SOA/web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various commercial or public applications. However, geospatial SOA services are less used than general purpose SOA services, because GeoSpatial service registries has been neglected in many GIS applications even though GeoSpatial registries are essential component for open geospatial services. These problems are due to lack of researches for GIS registry usages. In this paper, we define the role player in GIS SOAs, and develop the various GIS web service models among the players. Besides, we suggest the applications strategies of GeoSpatial services registries in the service models. 이 논문은 효율적인 GIS 웹 서비스에서 GIS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활용 모델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와 웹 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SOA 서비스의 핵심 컴포넌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공간정보 레지스트리의 활용 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실제적인 GIS 웹 서비스의 활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IS 웹서비스에서의 서비스 참여 주체를 규정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GIS 웹 서비스 모델을 분류한다. 또한, 각각의 분류된 모델유형에 대해 GIS웹서비스 레지스트리로서 참조되고 고려되어야 하는 특성들을 도출하여 가능한 분석관점도 함께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논문 : 웹(Web) 기반 GIS를 활용한 관광정보시스템의 아키텍쳐에 관한 연구

        노영 ( Young Noh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7 금융지식연구 Vol.5 No.1

        미래학자 존 나이스 비트(John Naisbitt)는 그의 저서 ``메가트렌드 아시아``에서 향후 3대 메가 트랜드를 글로벌화, 정보기술, 바이오(Bio) 기술로 제시하였다. 정보기술 중에서도 인터넷 혁명과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경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과거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새로운 디지털 경제의 신 법칙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다른 산업들과 마찬가지로 관광정보 산업도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서비스 망의 점차적인 범위를 넓혀 가는 관광정보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관광정보 인프라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는 최근 각 산업에서 도입하고 있는 웹(Web) 기반 GIS를 활용하여 관광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 아키텍쳐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향후 국내 환경에 맞는 웹(Web) 기반 GIS 관광정보시스템을 구현한다면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관광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s web services are rapidly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organizations are faced with the new paradigm of Internet world. Internet has proven to be an easy and efficient way of delivering a wide variety of services to users of web sites. The internet is more and more emerging as a handy tool of traveling for the tourist industry. However, web based tourist information system provides not only on-line brochures, but provides both value and service. Information technology is having a big effect on all sectors of tourism. Tourists have problems to find what they are looking for, especially in reference to the geographic position of the object and its surroundings. The use of GIS and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way organizations used geographic information, the processes of accessing, sharing disseminating and analysing data. Online GIS combines the advantage of both GIS and the internet. GIS has become more than an program since GIS is a visual and analytical tool and helps users to understand or visualize this information in a map and enables the users to manage these information interactively and analytically. This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Architecture of the tourism information system using web-based GIS. A new tourism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is developed as a web-enabling base. Using this, users are able to find the tourism information and spacial information conveniently.

      • KCI등재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정명훈(Jeong Myeong Hun),서용철(Suh Yong Cheol)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1

        Tile Map Service는 정적인 이미지들을 모아둔 저장소를 이용하여 매우 빠르게 지도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이다. 지도 이미지 저장소는 특정 축척별로 지도 영역을 Tile 이미지로 저장한 디렉토리 구조이다. 따라서 디렉토리 구조로부터 이미지를 불러오는 것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지도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직접 생성하는 것보다 훨씬 시간 단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Tile Map Service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복잡한 지도를 생성할 때 획기적으로 지도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와 성능 향상을 위한 제반 노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Open Source GIS를 사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Open Source GIS중 GDAL(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을 사용하여 Tile Map Image를 생성하였으며, OpenLayers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를 통한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 한 후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도 렌더링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성능테스트를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행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고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상용소프트웨어의 도입 없이 고가용성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A Tile Map Service is a regular map service that has been enhanced to serve maps very quickly using a cache of static images. The map cache is a directory that contains image tiles of a map extent at specific scale levels. Returning a tile from the cache takes the server much less time than drawing the map image on demand. Use of a Tile Map Service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time that clients take to display complex base-maps. Using Tile Map Services thus eliminate the need to trade quality for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construct Tile Map Service System using Open Source GIS. We used GDAL (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 which is one of the Open Source GIS Softwares to make Tile Map Image and OpenLayers to publish Web Page. Moreover, We conducted a performance test on Tile Map System and Dynamic Map System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it.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makes it easier to construct high performance Tile Map Service using Open Source GIS without commercial products.

      • KCI등재

        비구조적 공간정보를 지원하는 개념적 지오시맨틱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

        하수욱,남광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4

        본 연구는 공간정보 분야에서 시맨틱 웹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최근 웹 서비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선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을 통해 지리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기술이 주요 검색 포털들에 적용됨으로써 일반인들은 온라인상에 공개된 다양한 정보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이질적인 데이터 저장 구조를 갖는 공간정보 데이터에 대한 연계 이외의 활용 가능한 서비스 유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웹 서비스 및 시맨틱 웹과 관련된 표준들을 바탕으로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적용 가능한 유즈케이스들과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chitecture for geosemantic services. With the rapid progress of web servic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and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in recent years, a lot of application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are being developed. Moreover the search portals empowered by semantic web technologies are enabling general users to access on-line resources more easily. However, several studies in GIS domain have pointed out the practical limitation of existing service patterns, which are limited only to linking heterogenous spatial databases, insufficient for several important use cases. Hence we draw functional elements of geosemantic services from GIS and semantic web standards, and present the use cases and a new architecture for geosemantic services. This approach could set a foundation to implement geoemantic services.

      • KCI등재

        An integrated architectural framework for geoprocessing in cloud environment

        Reem Adnan AL Kharouf,Abdel Rahman Alzoubaidi,Mazher Jweiha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5 No.1

        Spatial data infrastructure had ensured the availability of geospatial data over the local and global boundaries to be used in more flexible and efficient manner. With the enhancement in web service technologies the need of geoprocessing the geospatial data from various heterogeneous sources over the web, to produce valuable information is of great interest among research community. Towards this implementation of geoprocessing web, open geospatial consortium (OGC) has provided several web processing service standards for handling the geoprocess over the web. Most of the current existing geoprocessing web platforms inherit the capabilities of these web processing service standards and protocols define by OGC. However there exist several challenges that includes, growing intensity of data, high performance computing, real time data processing, and to provide robust, reliable, and cost effective geoprocess services to the end user. The future of geo-processing lies in the adoption of cloud computing to overcome the existing challenges. Characteristics of cloud computing including scalability, elasticity, pay-per-use, and self provisioning, offers a more reliable, on demand, and cost effective geoprocessing services to its end user. In this context the study makes an attempt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eoprocessing services over cloud, with exiting GIS Cloud platform solutions in the literature to counter the challenges of GIS cloud. Furthermore, study proposes a design and architectural framework for geoprocessing over Cloud platform, based on OGC standards. The architecture includes developing geoprocessing service, and data management services as an essential part while storing/processing the geospatial data from heterogeneous sources. The architecture model including data management and geoprocessing can be bind together in a cloud platform to have an on demand service as per the requirement of end user.

      • KCI등재

        WMS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예측모델 데이터의 가시화 기법

        권태정,이재령,박재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6

        최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지도위에 제공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국외 의 경우 구글맵, 오픈스트리트맵, 빙맵 등이 있고, 국내의 경우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브이월드맵 등이 GIS 기술의 한 부분인 WMS(Web Map Service)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벡터장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조류의 흐름도 와 스트림라인의 표출 방안 알고리즘 연구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해양예측모델 데이터의 가시 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조류 흐름도 표출 및 스트림라인 표출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비교 를 하여, 기존의 기술 보다 2배 이상 빠른 표출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ly, many companies offer various web-based map that is based o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Google Map, Open street, Bing Map, Naver Map, Daum Map, Vwolrd Map, etc are the few examples of such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visualize ocean forecasting model data considering the flow diagram of tidal current, streamline expression algorithm, and user convenience by using vector field data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served.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of the flow diagram of tidal current, and stream line expression algorithm is fas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ocean prediction model data by more than 2 times.

      • KCI등재

        웹 서비스 기반 GIS 연동 폭풍 · 해일 시각화 시스템 개발

        김진아(Jinah Kim),박진아(Jinah Park),박광순(K. S. Park),권재일(Jaeil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9

        최근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태풍의 내습빈도와 강도의 증가로 태풍 내습시 연안지역의 침수·범람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폭풍·해일예측을 위한 수치모델의 수립과 개선을 통하여 해일의 높이 및 발생시간, 해일로 인한 침수·범람 지역을 보다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예측결과를 일반 국민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연안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웹 서비스 기반 GIS 연동 폭풍·해일 시각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치모델의 정확한 예측결과 및 연안지역의 정밀 지리정보 구축을 위하여 LiDAR 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 육도-해도 접합을 통한 연안지역 정밀해상도의 DEM을 생성하였다. Natural disaster such as inundation due to the typhoon induced storm-surge has inflicted severe losses on the coastal area.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and sea surface rising has issued and thus influences the increase of frequency and potential power of storm-surge. What we can do is to make intelligent effort to predict and prevent the losses through the early warning and prevention activity from the accurate prediction and forecasting about the time-varying storm-surge height and its arriving time resulted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with sea observations.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web service based GIS-Enabled storm-surge visualization system to predict and prevent the storm-surge disasters. Moreover, for more accurate topography around coastal area and fine-grid storm-surge numerical model, we have accomplished GIS-based coastal mapping through LiDAR measurement.

      • A Web-based System for Shelter and Evacuation Path Selection Using Spatial Models in Disaster Situations

        Hyun-Suk Hwang,Il-Kyeun Ra,Chang-Soo Kim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9 No.10

        Evacuation to disaster shelters can be optimized by giving instructions to evacuees to help them find the most suitable shelters and evacuation paths from their location. To generate such information in real-time, construction of spatial databases and complex spatial analysis models through Web Map Services (WMS) and Web Feature Services (WFS) based on Open Geospatial Consortium Web Services (OWS) is required.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OWS resources to provide more immediat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n emergency, we propose a Web-based system that identifies suitable shelters and provides the shortest evacuation path to each shelter for civilians who are within the danger zone. Specifically, (1) a search framework based on the OWS architecture is proposed and utilized to develop both Web-based and smartphone applications connected with WMS types of spatial data on the Web; (2) the spatial analysis models proposed include three sub-models, namely, data construction, shelter selection using scores by natural breaks, and an evacuation path model using network analysis. We identify candidate shelters by considering proximity to health care facilities and to major road, and coverage of each shelter in danger zone.

      • KCI등재

        웹-기반 다국어 지명 서비스의 구현 방안 연구

        이상일,조대헌,구형모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1

        지명의 중요성과 필요성의 증대로 인해 우리나라 지명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관리를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다. 하지만 구축된 지명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지명으로 인한 국가 간의 논쟁과 해외 주요 웹 사이트의 오류 지명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 주요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기반 지명 서비스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히 다국어 환경을 고려한 지명 서비스에 대한 구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각 서비스를 살펴본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관리, 사용자의 편의성, 서비스의 확장성이 효과적인 지명 서비스를 위한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런 서비스를 실지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여건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scientific efforts to establish and manage the geographical names databases in response to an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geographical names. However, we still suffer from the lack of awareness about geographical names services and thus have not been able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conflicts among countries regarding geographical names and make corrective efforts for geographical names errors on major websites. In this paper, we seek to identify major characteristics of a web-based multilingual geographical names service on the basi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ly working geographical names services across the countries. As a result, we suggest a guideline for building and operating a web-based multilingual geographical names service whose major components include the management of the geographical names database, the accessibility of users, and the scalability of geographical names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