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 최초의 그림책 아해그림책 소아화편(小兒畵篇) (1918-1920) 연구

        김광식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79 No.-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hurriedly published a Japanese language textbook, Kokugo dokuhon (8 volumes, 1912–1915), to popularize the Japanese language.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the school bureau hired Umekichi Tanaka and others to publish “Common Readings” for preschool children.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newly found materials: three volumes of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 (1918–1920) and Compilation of Common Reading Materials (1918). With the aim of promoting Japanese national identity and the Japanese language among Korean children, the Bureau of Educational Affairs published picture books that allowed children to learn Japanese in a fun way. Thus, Chosun Fairy Tales and other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published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with the goal of assimilating Korean children into Japanese culture. Therefore, this picture book must be read critically. However, this picture book utilizes fairy tales and legends passed down in Korea without an ideological bias one way or the other. The Chosun Governor-General’s Bureau of Academic Affairs collected Korean fairy tales, legends, and folk songs in 1912, 1913, and 1916. Using these materials, they included Korean tales in Japanese textbooks, Korean textbooks, picture books, and other publications. The picture books published by the Bureau of Educational Affairs for preschool children utilized Korean oral literature to increase the children’s interest. In other words, Korean fairy tales and legends, including Korean nursery rhymes and riddles, were used. The Soahwapyeon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a series of “popular reading material” based on data from a three-part survey of proverbs, folk songs, popular reading materials, legends, and fairy tales conducted by the Governor-General’s Bureau of Academic Affairs in the 1910s. This paper focused on the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 but future research must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related reports, textbooks, and collections of materials.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는 먼저 일본어 보급을 위해 일본어 교과서 국어독본(國語讀本) (전8권, 조선총독부, 1912-1915)을 간행하였다. 일본어 교과서 간행 후에 학무국 편집과는 1916년 이후, ‘임시교과용 도서편집 사무촉탁’ 다나카 우메키치 등을 고용해 미취학 아동을 위한 ‘통속독물’을 펴냈다. 본문에서는 필자가 발굴한 그림책 소아화편 전3권(1918-1920)과 통속독물 편찬취의서 (1918)를 분석하여, 총독부가 조선아동에게 일본 국민성 함양과 일본어 보급을 도모할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하였음을 명확히 하였다. 이처럼 조선동화집 을 비롯해 소아화편 은 총독부가 조선인 아동의 국민성 교화를 목표로 간행한 것이기에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이데올로기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에 전하는 동화‧전설을 채집‧활용하여 개작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총독부 학무국 편집과는 1912년, 1913년, 1916년에 조선의 동화‧전설‧민요 등을 수집했는데, 이를 활용하여, 일본어 교과서, 조선어 교과서, 그림책 등에 조선 설화를 수록하기 시작하였다. 미취학 아동용으로 고안한 총독부 최초의 그림책 소아화편 은 아동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서 조선 전래의 구비문학을 다수 활용하였다. 조선의 동요, 수수께끼를 포함해, 조선동화‧전설이 활용되었다. 소아화편 을 시발점으로 계획된 ‘통속독물’의 발간은 일본어 보급이 저조한 상황 하에서 고안된 정책의 산물이었다. 1910년대 총독부 학무국은 연이어서 이언(俚諺)‧이요(俚謠)‧통속적 독물(讀物)‧전설 동화 등을 조사하였다. ‘통속독물’ 및 ‘조선민속자료’는 이러한 조사 자료를 활용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소아화편 을 중심으로 검토했지만, 앞으로 관련 보고서, 교과서, 자료집과의 관련성 및 영향관계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신필여 시학과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0 No.18

        This study examined the notion of story structure and story grammar. In addition, it tried to clarify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meaning about how the story structure education can be used in the Korean reading instruction for the subject of a folk tal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ory 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and understanding types of the story structure, Korean intermediate-level learners recognition about i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most of the learners recognized some peculiar events and actions, specially beginning parts and events and actions of the conclusion by paying their attention but their recognition was lower in other various important events and actions between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parts. It is understood that the result appeared because learners pay their attention to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parts and some points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when they recalled stor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use of story structure as a method to understand texts overall and perform reading more recognizably in important parts of events. And also, it suggested the use of various question lists to pay attention to story structure and the use of a story organizer to easily understand structure as a concrete plan.

      •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신필여 ( Pil Yeo Shin ) 시학과 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18 No.-

        This study examined the notion of story structure and story grammar. In addition, it tried to clarify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meaning about how the story structure education can be used in the Korean reading instruction for the subject of a folk tal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ory 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and understanding types of the story structure, Korean intermediate-level learners recognition about i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most of the learners recognized some peculiar events and actions, specially beginning parts and events and actions of the conclusion by paying their attention but their recognition was lower in other various important events and actions between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parts. It is understood that the result appeared because learners pay their attention to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parts and some points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when they recalled stor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use of story structure as a method to understand texts overall and perform reading more recognizably in important parts of events. And also, it suggested the use of various question lists to pay attention to story structure and the use of a story organizer to easily understand structure as a concrete plan.

      • KCI등재후보

        알코올 의존 환자를 위한 설화 읽기 프로그램의 의미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알코올 의존 환자들에 대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첫째, 알코올 의존의 원인과 환자들을 성격적 특성을 요약하였다. 둘째,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설화 읽기 프로그램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셋째,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성격적 특성과 반복적인 설화 반응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면서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의미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성격적 특성은 의존 욕구는 강하지만 초자아가 지나치게 가혹해서 내면적 갈등이 심각하다고 보았다. 그들의 자아는 매우 약화되어 있으며 불안, 긴장, 분노를 회피하기 위하여 알코올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런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특성은 설화 읽기 프로그램에서는 매우 편협하고 경직된 반응으로 나타났다. 예로 자녀서사와 부모서사에 대해서는 자녀의 의존 욕구를 즉시 충족시켜주지 않는 부모를 매우 원망했는데 그것은 그들의 강력한 의존 욕구와 관련이 있었다. 또 남녀서사와 부부서사의 경우에는 변심하는 인물에 대해 매우 화를 냈는데 그것은 그들의 가혹한 초자아와 연결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설화 읽기 프로그램에서 알코올 의존 환자 개개인이 그들의 성격적 특성에 따라 원하는 서사를 충분히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뒤에 자신이 만든 서사와 진단서사(diagnostic epic)를 비교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와 같은 진행 방식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반응이 매우 무리하고 경직된 것임을 알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 설화 읽기 프로그램에서는 환자들에게 진단서사의 전체적인 내용이 이해될 수 있도록 안내했다. 이것은 환자들이 현재 채택하고 있는 문제 해결방식 외에 새로운 대안을 깨닫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설화 읽기 프로그램에서는 환자들에게 알코올에 의존하려는 지향에서 점차로 벗어나게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is preliminary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literary-therapy on a alcohol-dependence patient. In this paper, firstly, causes of alcohol-dependence and personality traits of patients are summarizes. Secondly, contents of tale reading program on the alcohol-dependence patients are summarizes. Thirdly,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traits of alcohol-dependence patients and contents of tale reading program are analysed. As a result, personality traits of alcohol-dependence patients are that desire of dependence is strong, but internal conflict is very serious because superego is very severe. The ego of them has become weak, alcohol has been used to avoid anxiety, tension and anger. In the folk tale reading program, characteristics of alcohol-dependence patients are connected to very narrow-minded reaction. For example, narrations of being angry to a certain person and of not deciding are constructed. In the folk tale reading program, firstly, alcohol-dependence patients will make narration that they want. Next, narration of them and diagnostic epic are compared. By this method, patients become to be known that reactions of then are very stiff. Also, in the tale reading program, the tale become to be generally understood to patients. This method is that patients become to realize new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of human relations. As a result, the patients has been escaped from alcohol-dependence in the tale reading program.

      • 상호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한국어 설화 읽기 모형 개발 연구

        홍유화 ( Hong Yoowha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3 독서아카고라연구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문화적 접근법에 근거한 한국어 설화 읽기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상호문화적 접근법의 단계들에서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에 맞는 설화 읽기 모형의 단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들이 한국 문학 장르 중 하나인 설화 읽기를 통해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학습하는 것과 동시에,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이를 내면화 하여 개인의 정의적 영역의 성장에까지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reading Korean folktales based on the Intercultural approach. To achieve this goal, the common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stages of the Intercultural approach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se elements were used to formulate the stages of the folk tale reading model suitabl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xt.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odel in education aims to facilitate learners in simultaneously acquiring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the reading of Korean folktales, which are one of the literary genres in Korean literature. Additionally, it aims to internalize this proces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individuals’ domains of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