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에너지절감시스템 디자인연구

        문재호(Moon, Jea Ho),박경옥(Park, Kyoung 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본 연구는 에너지 효율의 잠재력을 디자인 관점에서 극대화하기 위하여 에너지절감에 대한 문제를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요구에 맞는 에너지절감 시스템 서비스디자인을 개발하고 검증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에너지절감 시스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에너지절감 서비스디자인 기본 모델링을 제시하고 설문조사와 FGI기법을 이용하여 에너지사용에 대한 사용자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에너지 절약시스템 서비스 디자인 개발을 통해 디자인모델링을 검증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에너지 절감 사례와 해외 선진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조사 연구하여 기본 모델링을 실시하여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서비스디자인 적용에 대한 효용성과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실천이 가능한 에너지절감 행동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의 접근과 서비스 이용을 지속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서비스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에너지 사용자, 공급자,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조사를 실시하고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세부적인 에너지 모니터링 및 에너지 소비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에너지 절약시스템 서비스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셋째, 서비스디자인모델을 검증한 것을 바탕으로 국내 상황에 맞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합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실제 에너지 사용자에 대한 절감 효율성에 대한 부분은 에너지 절약 아파트고지서 사업을 통한 검증을 하였고, 서비스디자인 개발자 측면의 효용성 입증을 위해 30명의 디자이너를 상대로 심층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통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This article aimed at developing the energy saving system design methodology that can apply effectively, as developing and verifying the adequate energy-saving system service design that user requires, applying the issue of energy-saving for maximizing the energy efficiency potential in terms of design. While it presented the basic modeling of energy saving service design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s contents of research, conducting the investigation of user of energy and the analysis using survey and FGI as method of study. Moreover, this paper took a concrete form of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r energy-saving and suggested, as verifying the design modeling through developing the energy saving system service design by the service design process. First, it verified the utility and need to apply the service design to the energy saving system, as conducting the basic modeling, studying the case of energy-saving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service design and the service design process that global advanced enterprises are using. With this, it suggested the necessity to develop the service design that motivates to continue accessing the service design and using the service that can supply and share information of energy-saving act that will work. Second, it conducted user investigation through interviewing on energy users, supplies and expert group and developed the energy saving system service design and suggested, which can supply detailed energy monitoring, consumption and management through an empirical study. Third, as verifying the service design model, it developed the suitable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r the service design process for saving energy to fit domestic situation based on it. While this study verified reduction efficiency on energy consumers through the energy saving apartment management expense bill program that was conducted by the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the efficiency on the service design developer was verified by group-interview-in-depth for 30 designers.

      • KCI등재

        에너지 절감을 위한 디자인 시각화 방안 연구

        문재호(Jae Ho Moon),김장수(Jang Soo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에너지는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와 달리 소비자들의 사용량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사용정보에 대해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피드백이 어렵고 디자인적으로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최근에 스마트 그리드 등을 포함한 많은 에너지 절감 솔루션들이 다양한 ICT기술과 더불어 발전하고 있고, 에너지 사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블랙아웃과 같은 상황이 발생되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응방안이 필요한 현실이다. 에너지를 절감 하고자 하는 방안은 IT 기술이나 전 력기술 등을 통한 에너지효율향상, 에너지 설비 변경또는 스마트시티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하려는 연구는 활발하게 상당한 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나, 디자인을 통한 에너지 절감 해결 방안 연구는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스스로 에너지절감 행동을 고취하고 유도하는 디자인시각화 중점의 연구정도가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한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중점 디자인 프로세스의 중요성과 실효성 요소에 대한 기존 국.·내외 연구 결과 및 에너지기술 동향자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에 국내에서 실시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에너지 고지서 리디자인 시범서비스 사업(방배동아트힐, 2011)에서의 약 10% 전기료 절감결과와 엔지니어 주도의 백만 호 에너지 절약형 아파트고지서 사업(에너지관리공단. 2012)에서의 약 2% 절감결과를 서비스디자인 기준으로 분석하여 에너지 절감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활용 가능한 디자인 프로세스와 시각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지속적으로 범국가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에너지 절감에 대해서 디자인 적용을 통한 최적의 제품 및 솔루션 및 서비스 연구개발에 대한 도움이 되고자 한다. A Study on energy saving design solve a hard question, in addition to the lack of consumer awareness, design of product and service is different from energy design. The focus of recent research on energy saving solution such as Smart Grid, ICT Technology is always changing. We are need energy saving solution because of the increasing of energy usage. The solution of energy saving such as IT technology and electrical power technology study deep into a subject in smart city. Attempts to find a design solution have very smaller than any other study. A study on service design is encourage energy saving activity and induce people to energy reduction. It Considered the effective use of energy-saving design of the need for user-centered design process and feedback`s applicability is emphasiz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guideline for energy informing consumers of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s and prices. First, theory and past studies on energy service design are reviewed. The study case is energy re-design project (Bangbae ArtHill, 2011) and million houses energy saving project(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2012). Then,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technologies and industry in both Korea and overseas are analyzed. Finally we proposed energy saving design process and elements regarding energy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esign for energy saving practices such as applied to analyze the energy savings that provides a method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design proces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comprehensive review the energy service design and previous studies helping energy-saving design researches avoid re-inventing to understand how to apply energy saving design and development of key technologies related to should help you.

      • 패시브주택 에너지 절감목표 수준별 요소기술 통합구성에 관한 연구

        김빛나(Kim Bich-na),윤종호(Yoon Jong-Ho),신우철(Shin U-Cheul),백남춘(Baek Nam-Choo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It is essential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from 2012 becaus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standard of annual total energy consumption by stages. So, this study analyzed energy saving rate of passive house by stages. it suggests the application of necessary technical elements to satisfy with the level in progressive energy performance objectives. The level of progressive energy saving rate of passive house is 30%, 40%, 50%. According to analyze the elemental heat, It can know that the heat loss from window per unit area loss is large. Passive technical elements is the insulation of wall and roof, highly efficient window system, reduction of infiltration. It is analyzed energy saving rate of base house by simulating with building energy analysis program. Consequently energy saving rate by the insulation of wall is the most largest. It is analyzed energy saving rate of base house by combining technical elements to apply base house. Energy saving proposal according to energy saving rate is calculated at 240 unit. Energy saving rate show from minimum 22.2% to maximum 51%. It selected the proposal of passive house of energy saving rate 30%, 40%, 50% based aim of this study from among these. Result is arrived that 30% saving proposal is 7 unit, 40% saving proposal is 8 unit and 50% saving proposal is 2 unit. It is expected to apply data of standard of annual total energy consumption from 2012 as this study suggests integrated application to compose technical elements of passive house by the level of energy saving.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에너지 서비스 비즈니스 디자인 개발

        문재호(Moon, Jae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디자인 분야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한 사회적 문제 해결의 시작은 2009년 산업통상자원부의 글로벌 디자인전문기술개발의 연구과제로 시행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전기에너지 절감 아파트 고지서사업의 결과물로부터 시작 되었다. 소비자의 행위 및 절감유도를 위한 디자인을 실제로 적용한 시범사업으로 아파트 에너지 절감 고지서 리디자인 개발을 한 이후로 매년 국방, 의료, 행정, 복지, 교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규 비즈니스 모델들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의료 서비스나 공공 행정 서비스 분야에서 좋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에너지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자원의 고갈에 대처하기 위한 범국가적인 차원과 기업들의 미래 신사업 모델로 다양한 연구의 움직임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진국과 후진국을 막론하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방법과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투자와 함께 다학제적인 연구가 증가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여, 현재 범국가적으로 에너지 절감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절감 사업 모델을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해결 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제 디자인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디자인을 뛰어넘어 신규 비즈니스를 새롭게 창조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 외 에너지 절감 서비스 디자인 개발 및 신규 에너지 신사업모델 사례, IoT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신규 서비스를 조사 분석하여 서비스 디자인 니즈들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IoT 기술과 소비자 행동유도, 그리고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통해 신규 에너지 절감 솔루션비즈니스 모델을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개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물을 에너지 분야에 자주 사용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적용을 통해 에너지 절감 서비스 개발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디자인 개발이 에너지 절감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니즈를 해결하는 것만이 아니고 사회적으로 문제되는 집안의 보안과 응급기능 등이 결합되는 통합 홈 관리 비즈니스 모델이 되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신규 사업화 모델 개발의 좋은 사례로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디자인분야의 신규사업 모델로 활용이 되었으면 한다. Solving a Social problem using a Service Design started from the Energy-Saving Bill Design which was 2009 research project of the Commerce, Economy, and Industry Ministry. After developing the Energy-Saving Bill design for changing customer behavior and reducing Energy as demonstration project, Service design has been proceeding for developing new business model in the national defense, medical care, administration, welfare, traffic education and all various field every year, especially the medical service part and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 part have been well timed. The Various study about Energy as the future new business of Enterprise for coping with an exhaustion of resources and the climate change has been proceeding actively. All countries, both rich and poor, has been increasing investment about Energy Source Development and Saving Energy Method Development. Korea also is part of this flow, has been set the goal of Energy Saving and find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Now Design has to create a New business over Service Design and Products. In this Study, We studied and analyzed the case of New Energy business model and Service Design needs thorough analyzing New Energy Saving Services using IoT technology. Based on this, We presented a New Energy Saving Solution model through analyzing the life style of customers, customer behavior. also We systemized a New Business Model through Energy Saving Service Development which applied Service Design Methodology. With this study, We suggest Design Development thorough Service Design not only solves the problems of Energy Saving, but also has to make the home management business model combining security, emergency function and more. We hope that the study will help to other researchers as a good case of New business model development using Service Design and utilize well for New business model.

      • KCI등재

        IT 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시스템 성능평가 방법-(1) : 육상시험 수행 결과

        유윤자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6

        선박온실가스 규제를 위한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기술 중 선박에너지절감을 위한 조치는 하드웨어 적인 장비를 선박에 탑재하여 구현하거나, 인적교육 및 운항패턴 개선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선체저항개선을 위 한 기술 중 하드웨어적인 장비 개조를 통해 구현되는 기술은 현존선에 적용하는데 장비의 규모 등에 의한 제약이 발생한다. 반면 소프트웨어 적인 에너지절감기술의 구현은 저렴한 도입비용과 하드웨어적인 방식에 비해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보이며, 선종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적 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IT 기술을 이용한 선박에너지절감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 기술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3개 선종에 대한 실선 모델링 기반의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육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성능검증 방법은 6개의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에너지절감기술 적용 전후의 운항결과로부터 에너지절감효과를 비교·분석하고, 해상상태 에 따른 구간별 비교결과를 통해 IT기반 에너지절감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벌크, 컨테이너, VLCC 선종을 이용한 육상시험 결과 컨테이너선의 연료절감률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육상시험 대상선박 모두 선박에너지절감시스템 사용전과 비교하여 연료절감효과를 보였다.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guidelines for a ship’s GHG reduction include a machinery modification of hull, an installation of energy efficiency enhanced attachment in hardware methods. It is also possible to bring a ship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by fuel-efficient operations or in other software methods. Hardware modification or installation on ship can bring financial burdens to a ship company compared to its improvement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Software based energy-saving technology can be applicable on various ship types, and it is also expected high efficiency of ship energy use compared to hardware based technology in perspective of the investment costs and efficiency. In this paper, it is described that the ship handling simulator based evaluation was carried out using representative ship model of bulk, container and VLCC. Simulation environments were separated into 6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ea-state and weather condition, and the oper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before and after energy saving system applied The container ship showed the largest FOC save rate after energy saving system applied although the others also showed energy save rate after using the system.

      • KCI등재

        전기에너지 절감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 요소에 관한 기초연구

        문재호(Jae Ho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최근 영국정부는 많은 규모의 예산을 들여 사회적 이슈해결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고, 미국 에너지 자원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DOE)는 에너지 효율 문제 컨설팅을 서비스디자인 기업(IDEO)에 의뢰하고 있다.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에너지 절감 특히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많은 노력과 정부 시책을 펴고 있으나 전기요금의 인상을 통한 강제적인 절감에 의존하고 있고 전기 에너지 사용자들의 자율적인 절감을 유도하는 정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의역할에 대한 효과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전달 방식과 피드백에 대한 방법을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에너지 절감 국내외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전기에너지 사용을 자발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실제전기에너지 접점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한 절감솔루션에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 개발을 제시하였으며, 에너지에 대한 서비스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 하는 적용요소들에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 하여 지속적으로 국가적,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는 전기 에너지 절감에 대한 부분을 서비스디자인 적용을 통해 해결해 보고자 한다. Recently, the British government aimed at resolving social issues for the budget of the scale of government is pushing a design projec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DOE) is energy efficiency, service design company and ask the at design consulting service companies(IDEO). Energy imports most of our country is the energy consumed many effort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electricity and the government’s policy of being responsible, but Increase the cost of electricity through compulsory savings rely on the electrical energy and users of the voluntary savings to drive them is lacking real condition. In the same vein, the purpose of this tries to propose the service policy for citizen energy consumer from rule-management to self energy reduction behavior by a service design which promotes users’ benefits, as a part of useful tools in social problem field. The study was mainly conducted by documentary studies, material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rvice design for energy reduction,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cases. As the result, it suggests drawing up a service design approaches: establishing a public energy reduction environment for consumers, collecting safety information and guidance for energy reduction activity. In this paper First, theory and past studies on electricity consumption feedbacks are reviewed. Then,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technologies and industry in both Korea and overseas are presented explained. Finally, I propose a framework for designing the devices conveying information to electricity consumer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ory and previous studies helping researchers avoid re-inventing the wheel, and the proposed framework design guiding on future service design studies

      • KCI등재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에너지절감성능 평가지표 제안

        곽노열(Kwak, Ro-Yeul),임동순(Yim, Dong-Soon),윤현진(Yoon, Hyun-Jin),정연쾌(Jeong, Youn-Kwae),이일우(Lee, Il-Woo)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3

        As annual energy consumption rates in the Korean built environment are significantly increasing every year, deployment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needs to be more encouraged and be thoroughly implemented in order to fundamentally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rate. However, its successful deployment and thorough implementation require understanding of the status and trends of BEM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building sector. Clea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BEMS and its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and assessment indice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level of BEM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ssessment indices for evaluating energy saving performance using AHP analysis in operating energy saving control as a base of impact of energy saving control on energy usage in building through analysis of building composition element and saving control element. To this end, weighting ratio of composition element are suggested using AHP method over energy management specialists and the items composing assessment indices are verified through the consensus among the domain experts. In addition, the assessment indices were applied to four real-world BEMS operated buildings in order to evaluate their energy saving performance an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ssessment metho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assessment indices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tegrate various kind of saving control schemes into the current energy saving control items if items of assessment indices is to reach the goal of energy saving.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option ratio of energy saving control item and degree of level of application item, additionally, in order to make up for degree of energy saving control.

      • KCI등재

        IT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시스템 성능평가 방법-(2) : 해상시험 수행 결과

        유윤자(Yun-Ja Yoo)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0 No.4

        IMO에서는 선박온실가스 규제를 위해 2013년부터 현존선의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인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의 시행을 강제화하고 있다. SEEMP에서 권고하는 에너지절감기술 가이드라인은 크게 하드웨어적인 장비의 탑재 및 개조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을 통한 연료유 절감효과로 구분된다. 신조선의 경우 하드웨어적인 기술구현이 용이하지만 현존선의 경우 운항상 제약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적인 에너지 절감기술 구현이 적용되고 있다. IT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 시스템 성능평가를 위해 해상시험을 수행 하였고, 시스템 적용 전후의 항차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료유 절감효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SEEMP에서 자발적인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선박 경제운항 지표 (EEOI, Ship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분석을 통한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has entered into force since 2013 for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 of operating ships. SEEMP guidelines include the hardware modification or installation of energy-saving device on ship. It also includes software based energy-saving technology such as optimum routing, speed optimization, etc. Hardware based technologies are not easy to apply to ongoing vessel due to the operational restriction. Therefore, IT based energy-saving technology was applied and its energy efficiency was evaluated using before and after energy-saving system applied voyage data. SEEMP advises a voluntary participation of EEOI (Ship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use as an indicator of ship energy efficiency operation, and those results were also shown to evaluate the improvement efficiency of energy-saving system.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에너지 절감 확산 사례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고려 요소 연구

        문재호(Moon, Jae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에너지절감형 아파트 고지서 확산 사업이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에너지절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아파트 고지서 디자인의 개선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에너지 절감 확산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 고려 요소에 관한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전기사용량 정보 제공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이론적 논리와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에너지 절감 사례, 서비스 디자인 고려요소 분류를 리뷰 하였다. 둘째,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최근 3년간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큰 아파트 단지의 설문 조사 내용을 재분석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절감 실천을 위한 디자인 시 고려하여할 사용자들의 관심요소는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서비스디자인의 지속성을 위한 에너지절감 확산사업의 서비스 디자인 고려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을 통하여 개발한 디자인결과물이 현실에 적용되어 장기간에 걸쳐 디자인의 효과나 확산의 효과를 추적 조사한 사례는 아직 존재 하지 않으므로. 본 사례를 통해 향후 서비스디자인이 공공부분에 대한 서비스디자인의 확산 및 향후 검증을 위한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The project to spread energy saving apartment bill through service design is expanding nationwide. Along with this, there is also a need to improve bills design to sustain energy savings. In this study, sustainable design consideration factor study was conducte through case analysis of energy saving diffusion applying service design. The study methodology is summarized in three fold : Firstly, the theoretical logic of consumer reaction according to providing electricity usage information, energy saving case through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consideration factor were reviewed. Second, the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reanalyzes the questionnaire survey of apartment complexes that have significant energy saving effect for the last three years. Third, through analysis, we derive what factors of users to consider in design for sustainable energy saving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erive the design consideration factors of diffusion project for sustainability of service design. Users who used to check and verify the amount received from old bills received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new bills. There is yet to be a case in which the effects of the actual service design are applied to the effect of the actual design of the design and the effect of the effects of the actual design of the product. Researchers hope that the researchers who study the service design will use the service design as a good resource for future service design and future verification of the service.

      • KCI등재

        자연생태계를 활용한 효율적 에너지 생산 및 절감 제품디자인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본 논문은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의 발생과정과 개념 · 기술 · 형태에 의한 분류, 효율적 에너지 생산 · 절감 제품디자인 유형의 분석과 발전적 전망을 토대로 향후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적 에너지 생산 · 절감 제품디자인이 개발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 발전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개념 · 기술 · 형태에 의한 분류, 효율적 에너지 생산 · 절감 제품디자인 유형 분석, 그리고 자연생태계 활용의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 개발과 발전을 위한 효율적 에너지 생산 · 절감 제품디자인에 대한 방안 및 전망에 대하여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 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의 발전은 1930년대의 ‘유기적디자인’, 1970년대의 ‘모든 인간을 위한 디자인, 1990년대 환경생태 보존을 통한 사회적 이익 추구의 ‘그린디자인’,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다음 세대를 위한 자연 · 환경생태 혜택의 보존과 향유 지향의 ‘지속가능디자인’으로 이어져 왔다. 둘째,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의 유형은 일상적 생활환경영역에서 사용자가 자연을 감성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의도된 인간 · 자연 교감 디자인과, 제품의 구조 · 원리 · 소재 · 기술에의 적용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 자연모방디자인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 되어진다. 셋째, 효율적 에너지 생산을 위한 디자인은 태양 · 바이오 · 풍력 · 수력 · 지열 등에 의한 신재생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에 의한 키네틱에너지가 대표적이며, 에너지 절감을 위한 디자인은 에너지 절약 행동을 자연스럽게 잠재적 습관으로 이어지게 유도 하는 제품디자인이 대표적 인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넷째, 인간과 자연, 그리고 문명의 공존을 추구하며 현재보다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인간 · 자연 교감 디자인과 생체모방디자인은 효율적 에너지 생산 ·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적 접근방식으로서 향후 더욱 큰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 · 분석되어졌다. 본 연구가 효율적 에너지 생산 · 절감에 의한 지속가능디자인제품 개발과 향후 자연생태계 활용 제품디자인시장의 확대를 위한 이론적 · 체계적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efficient energy producing · saving goods design in diverse areas by considering about development design process of natural eco system, classification of design types based on natural eco system by concept · technology · form, and an analysis on the category of efficient energy producing · saving goods design discuss with its advanced perspectiv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a development design progress of natural eco system and classification of design categories by concept · technology · form, an analysis on types of efficient energy producing · saving goods design,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efficient energy producing · saving goods design with future plan and prospect for developing sustainable product design utilized natural eco system.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development of design based on natural eco system started with an ‘Organic Design’ in 1930s, next of it goes on ‘Design for All’ in 1970s, ‘Green Design’ for societal benefit through conservation of natural eco system in 1990s, and continuing on ‘Sustainable Design’ aimed for conservation and possess of advantages from nature · eco-system to next generation after 2000s. Second, design based on natural ecosystem categorized with two types as a human · nature connection design intended to enjoy nature by emotional concept around daily life, and a biomimicry design focused on applying with structure · fundamental · material · engineering system to a product. Third, a renewable energy design by solar · biomass · wind-power · hydro-power · geothermal energy, and a kinetic energy were represented as an efficient energy producing goods design, and product design lead to unconscious energy reducing habits could be a representative efficient energy saving goods design above all. Fourth, human · nature connection design and biomimicry design would have crossed over to mass appeal as a representative design approach method for efficient energy producing · saving product intend to sustainability create balancing between human · nature, and civilization with future-oriented point of view more than now.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 · systematic data for developing sustainable design product applied witn an efficient energy producing · saving method, and expand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design utilizing natural ecosystem in domestic an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