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출기업의 수출기업 역량,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 및 수출 경쟁우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권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regard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apabilities of export company,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export competitive advantage and export performance and presen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export performance through an empirical study targeting Korean export compan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strategic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such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high satisfaction level of customers on an export product improves brand loyalty, and high brand loyalty leads to high repurchase and sales increase so that high financial performance can be achieved. A hypothesis saying that a competitive advantag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but it is shown that the competitive advantag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rategic performa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n export company has a direct effect on the strategic performance but it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the strategic performance. It is shown that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Therefore, as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of an export company becomes higher, the company can provide a higher value to consumers in foreign markets, improv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Among the influence factors of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export marketing program capabilities, relationship capabilities and managerial competence except for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capabil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Such analysis result shows that export marketing program capabilities, relationship capabilities and managerial competence which enable the company to implement export marketing strategies are specifically important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xport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capabilitie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because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capabilities seem to have an effect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rough the export marketing program which is a specific action program of export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trategic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capabilitie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because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capabilities have an effect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rough the export marketing program. The relationship capabilities have the highest effect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mong four export company capabilities, and this shows how important the favorabl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company and customers/distributors of export markets is, and the export company should place the most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distributors of export markets in the long term. Meanwhile, the managerial competence also has a substantial effect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it shows that the reinforcement of manager's leadership and export marketing manager's capability for implementing export marketing strategies can lead to the improvement of export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Second, no matter how good export marketing strategy is, it is difficult to expect high export performance without effective implementation. Therefore, the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should be kept in mind from the stage of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in order to improve ex... 본 연구의 목적은 수출기업의 역량,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 경쟁우위 및 수출성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축한 후에, 국내 수출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통하여 수출성과 제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연구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략적 성과는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업이 제공하는 수출제품에 대한 고객의 높은 만족도는 상표충성도를 제고시키며, 높은 상표충성도는 높은 재구매와 매출증가로 이어져 높은 재무적 성과를 창출하게 됨을 의미한다. 경쟁우위는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지만, 경쟁우위가 전략적 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출기업의 경쟁우위가 전략적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재무적 성과에는 전략적 성과를 매개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출기업은 단순히 재무적 성과 제고만을 중요시하기 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적 성과의 제고를 위한 수출마케팅전략의 개발과 실행을 통해 재무적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는 경쟁우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의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가 높아질수록 해외시장의 소비자들에게 보다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경쟁우위가 제고될 수 있다고 보아진다. 그러므로 수출기업은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 제고가 수출기업의 경쟁우위의 강화로 이어짐을 인식하고, 수출시장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보다 더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수출마케팅전략의 개발과 실행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중에서 수출마케팅전략개발 역량을 제외한 수출마케팅프로그램 역량, 관계형성 역량 및 경영자 역량이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수출마케팅전략의 효과적인 실행이 이루어기 위해서는 수출마케팅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수출마케팅프로그램 역량과 관계형성 역량 및 경영자 역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출기업은 수출마케팅전략 실행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수출마케팅프로그램 역량과 관계형성 역량 및 경영자 역량 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대학교 학장의 분산적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근정,제혜금 교육종합연구원 2020 교육종합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ed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an of the Chinese University. Specifically, the effect of distributed leadership of Chinese univers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dentif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takes distributed leadership as explanatory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mediator while tak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explained variable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distributed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the sub-variat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value acceptanc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mong sub-variates of distributed leadership, professor interaction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distributed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mpact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stributed leadership can directly affect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it can also be effec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mediator.

      • KCI등재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가족친화분위기가 듀얼아젠다에 미치는 영향

        박보람(Boram Park),김효선(Hyosun Kim),구자숙(Jasook Koo),박찬희(Chanhi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2

          여성 인력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사회변화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의 일과 가족의 조화는 조직에게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일과 가족의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 것과 ‘조직 효과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밝혀낸 듀얼아젠다(Dual Agenda)의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두 가지 변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부서의 업무과정의 특성과 부서의 가족친화분위기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부서의 업무과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한 부서를 중심으로 현장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40개부서의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서의 방해적인 업무과 정특성은 부서의 가족친화분위기와 부(-)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서의 효과성(성과ㆍ몰입ㆍ만족)과도 부(-)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서의 방해적인 업무과정 특성은 종업원의 직장-가정 간 갈등과 직접적으로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서의 가족친화적인 분위기의 경우 직장-가정 간 갈등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부서의 효과성과는 오히려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부서의 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이지 않을수록 부서의 성과지각과 부서몰입, 그리고 부서만족이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부서의 방해적인 업무과정 특성은 직접적으로는 부서의 효과성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으나 부서의 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이지 않은 것이 오히려 부서의 효과성을 높인다는 모순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가 앞으로의 듀얼아젠다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female labor market grows and dual income families increase, work-family balance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issue for corporate organizations. Dual agenda perspective proposes that the concern for work-family balance can enhance workplace effectiveness as it exposes ineffective work practices and aims to correct them. From this dual agenda perspective, we examined the effects that work process routines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within a department have on an employees’ percep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on departmental effectiveness. To measure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we used three sub-constructs of team effectiveness: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department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bout the department.<BR>  Our hypotheses are as follows. Negative work process routines would increase the work-family conflict felt by employees (Hypothesis 1) and lower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Hypothesis 2).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department will decrease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Hypothesis 3), while heighten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Hypothesis 4). We also suggested that these relationships may differ by gender and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BR>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nk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t a PR department in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for 6 weeks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Through time logs, shadowing and interviews,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process routine that has implication for both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and departmental effectiveness. At the end of our participant observation, we delivered the questionnaire with four major constructs of our study (work process routine, family-friendly atmosphere, work-family conflict, and departmental effectiveness) to every employee of the organization. Among the 700 employees who received the questionnaire, 297 returned it, showing 42% of response rate. The final sample is composed of 289 respondent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ample are as follows: 65% were male employees, 81% were married, 53% belong to dual income family, 48% belonged to the 7th rank within the organization, and 74% is in the age group of between 30 and 50.<BR>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4.0. In our model, we set the work process routine and family-friendly atmosphere as exogenous variables and work-family conflict and departmental effectiveness as endogenous variables. Since there was a correlation of .49 between work process routine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we incorpo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xogenous variables into our model.<BR>  Our results show that positive work process routine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rejecting Hypothesis 1. However, positive work process routines did increase all three dimensions of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department, supporting Hypothesis 2. In other words, employees working in the department with positive routines seem to perceive their departmental performance to be relatively high. They are also more committed to and satisfied with their department. As for the family-friendly atmosphere, it neither reduced the work family conflicts of employees nor increased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rejecting both Hypothesis 3 and 4. On the contrary, we found that family-friendly atmosphere actually lowered the perceived departmental effectiveness. We also examined whether gender and employee’s career aspiration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four major constructs. The result showed that neither gender nor individual career aspiration showed an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o summarize, our findings showed that department characteristics, such as work process routines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had li

      • KCI등재

        하향적 영향력 전술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김병진,임상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4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luence tactics and ethical leadership on leadership effectiveness(task commitment, influence effectiveness,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Data of this study were obtained 394 employees of company and public organization.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rational tactics such as rational persuasion and soft tactics such as consultation, ingrati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while hard tactics such as pressure, exchange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such as task commitment, influence effectiveness,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This study also examine interac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tactics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The empirical results show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tactics such as collaboration and task commitment. Also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d tactics such as pressure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영향력 전술과 윤리적 리더십이 리더십 효과성(과업몰입, 영향력 효과성, 관리적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394명의 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결과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를 보면 합리적 전술 중 합리적 설득, 연성적 전술 중 상담 및 비위 맞추기가 리더십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강성적 전술 중 압력 및 교환이 리더십 효과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윤리적 리더십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를 보면 윤리적 리더십은 종속변수인 리더십 효과성 즉 과업몰입, 영향력 효과성, 관리적 효과성 등에 대해 모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증결과 합리적 전술인 협력과 과업몰입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이고, 강성적 전술인 압력과 관리적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 A Study on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 Definition, Measurement, and Factors Affecting It

        Lee, Hong Jik,Bae, Chunghyu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 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 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 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주요개념 정의, 측정 방법, 주요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홍직 ( Hong Jik Lee ),배정현 ( Chung Hyun Ba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 KCI등재

        조직효과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고찰

        이수태(Lee Soo Tae) 한국정책개발학회 2009 정책개발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comparison analysis by Blau and Scott's organizational type : mutual-benefit associations, business concerns, service organizations, commonweal organizations. From this perspective, in order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have selected welfare system factor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 organizational structure factor. We would like to verify whether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ve the differences among four organizational-types categorized by prime beneficiary, such as mutual-benefits associations, business concerns, service organization, commonweal organization. In order to attain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based on extensive analysis of documentary records regard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ese analyse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fore testing the hypothesis, we performed a relatively detailed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on 26 agencies chosen as a sample. And in order to establish hypothesis, we selected fourt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one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Fourteen independent variables are such variables as pay, piece rate(payment by the result system), promotion system, chief executive officer's principle which respects innovation, and chief executive officer's principle which respects performance and output, informal group, decision-making, communication, conflict-management, shinbaram culture, specialization, complexity, formalization, centralization. Dependent variable i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the level of overall goal achievement and by the level of goal achievement against input cost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overall respondents revealed that three variables, such as pay, piece rate, promotion system, had not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A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 three variables, such as chief executive officer's principle which respects innovation, decision-making, conflict man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As for organizational structure factor, four variables, such as specialization, formalization, centralization, complexity,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Second, to verify hypothesis in four organizational typ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y had no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ree organizational types, such as business concerns, service organization, commonweal organization,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In mutual-benefit associations, four variables, such as pay, shinbaram culture, communication, chief executive officer's principle which respects inno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In business concerns, three variables, such as specialization, complexity, formaliz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In service organization, three variables, such as chief executive officer's principle which respects innovation, conflict-management, specializ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In commonweal organization, two variables, such as decision making, formaliz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5%. 본 연구에서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으로 후생복지 요인, 조직관리 요인, 조직구조 요인 등 3개 요인을 선정하여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직효과성의 측정을 위해 전반적인 목표달성도와 비용투입대비 목표달성도를 하위변수로 선정하였다. 후생복지 요인으로는 보수의 수준, 성과급, 승진제도 등 3개 변수를, 조직관리 요인으로는 최고관리자의 창의성 중시, 최고관리자의 성과 중시, 비공식조직, 의사결정, 의사소통, 갈등관리, 신바람분위기 등 7개 변수를, 조직구조 요인으로는 업무의 전문화 정도, 조직 내 수평적 분화, 업무의 표준화 정도, 권한의 위임 정도 등 4가지 변수를 채택하였다. 조직효과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사대상자 전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고관리자의 창의성 중시, 의사결정, 갈등관리, 업무의 전문화 정도, 조직 내 수평적 분화, 업무의 표준화 정도, 권한의 위임 정도 등 7개 변수는 5% 유의수준에서 조직효과성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14개의 영향력을 Blau와 Scott이 주된 수혜자를 기준으로 분류한 호혜조직, 사업조직, 서비스조직, 공익조직 등 4가지 조직유형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를 조직유형별로 살펴보면 호혜조직은 보수의 수준, 최고관리자의 창의성 중시, 의사소통, 신바람분위기 등 4개 변수가, 사업조직은 업무의 전문화 정도, 조직 내 수평적 분화, 업무의 표준화 정도 등 3개 변수가, 서비스조직은 최고관리자의 창의성 중시, 갈등관리, 업무의 전문화 정도 등 3개 변수가, 공익조직은 의사결정, 업무의 표준화 정도 등 2개 변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 KCI등재

        원조효과성 분석 연구 동향 고찰을 통한 개발협력 정책 제언

        박수영(Soo young Park)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재까지 원조효과성을 규정하고 측정해온 다양한 실증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원조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정된 원조 예산과 성과 강화 요구를 고려할 때, 원조효과성 제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분석은 원조효과성의 다면성에 대한 고려 없이 단편적으로 수행되어 효과적인 원조 정책 수립에 제약이 있었다. 본 연구는 원조효과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마련하고,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제시한다. 연구방법론: 원조효과성과 개발효과성에 대한 최근까지의 주요 연구를 거시적 경제성장 효과성, 거시적 사회개발 효과성, 미시 프로젝트 효과성, 원조체계 효과성의 네 가지 개념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한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최근 연구가 원조의 효과성을 대체로 인정하며, 미시-거시 패러독스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최신 연구는 미시 프로젝트 효과성을 명확히 검증하기 위해 무작위표본추출법을 도입하고 증거중심 원조를 지원한다. 즉, 최근 연구 동향은 원조효과성 유무논의에서 벗어나 효과성을 제고하는 정책과 접근법, 상황을 명확히 규명하여 이를 확대,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원조추진체계의 효과성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개선은 확인되고 있으나, 추진체계 효과성과 개발효과성 간의 논리적 연결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심층 분석이 요구된다.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 원조 특성을 고려 시, 프로젝트의 효과성과 추진절차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RCT방식을 적용하는 증거중심 정책 수립 강화를 제안한다. 한편, 원조추진체계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입장과 경험을 반영하여 개발효과성 증진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부산선언문의 원칙으로 돌아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아우르는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개발효과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diagnosi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Korean aid based on the systematic analysis on existing literature on aid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Originality: This study provides an analytic framework for comprehensive analysis on aid effectiveness and practical policy diagnosis. Methods: This study conducts review on existing literature and systematically analyzes aid effectiveness in four ways—macro economic growth, macro social development, micro project results, and aid delivery system effectiveness. Results: Recent studies admit positive effect of aid on both macro and micro level as the micro-macro paradox is weakened. Therefore, recent studies focus more on the way and how certain policies or interventions are effectives than on whether aid has positive or negative impact. New method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 has been introduced to better examine the actual effect of aid. The aid delivery system effectiveness is improving but further study is needed to verify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aid delivery system and its development impact. Conclusions and Implication: Enhancing project effectiveness and improving aid management system are needed to improve Korean aid effectiveness. This study suggests adopting RCT and strengthening evidence-based policy making for Korean aid. Increasing research on development effectiveness with alternative perspective is needed.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inclusive partnership following the Busan Partnership agreement.

      • 조직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부의 조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오시영,조태준,지규원,진종순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정부에 대한 신뢰는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부에 대한 일반시민의 부정적인 이미지(image)가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 결과로 해석됨 ○ 이와 같은 현상은 정부에 대한 신뢰 제고를 통해 일반시민과 정부(기관)의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정부조직의 민주성, 효과성, 효율성 등을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국민의 의식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정부 관료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이에 따른 불신은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에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정부 관료제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이미지는 공무원의 소속 기관에 대한 조직 이미지와 정부 조직의 효과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정부 신뢰의 제고를 위해 필수적으로 개선시켜야 할 조직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음 ○ 특히 전통적인 조직구조와 고용관계의 해체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이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현실에서 조직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심리적 기제로서 조직이미지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음 □ 연구의 목적 ○ 정부 관료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불신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관료제의 구성원인 공무원 자신이 소속된 정부조직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지각된 조직이미지), 일반 국민들이 정부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는가(해석된 외부이미지)하는 것이 정부 조직의 효과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이를 위해 정부조직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 이미지에 대한 양적(quantitative) 접근방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를 실시함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주요 연구문제 ○ 연구문제 기본방향 - 본 연구는 Duton & Dukerich (1991)가 개발한 조직 이미지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관료제 및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으로 측정되는 조직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 이미지에 대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 간 비교를 수행하였음 ○ 연구문제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조직이미지와 조직효과성 연구 - 정부관료제 전반에 대해 공무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측정하고자 함 - 가설 1: 정부관료제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 ○ 연구문제 (2): 소속부처에 대한 조직이미지와 조직효과성 연구 - 자신이 소속된 부처에 대한 공무원들이 느끼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심리적인 기제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자고 함 - 가설 2: 소속부처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 ○ 연구문제 (3):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연구 - 연구(1)과 연구(2)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석된 외부 이미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연구 (1)과 연구 (2)에서 분석한 인과관계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함 - 가설 3: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 가설 4: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 연구설계 -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함. 이를 위해서 다단계군집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여 10부 3청 3위원회를 임의로 선정하고, 이들 기관들에 무작위추출법을 통해 각 부처별로 40여부씩의 폐쇄형 설문을 배포함. 또한 부처별 설문 배포 과정에서 응답자의 직급 및 직책비율도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할당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였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16개 부처에서 총 600부의 설문지를 획득하였음 -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정부관료제와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을 통해 측정하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종속변수로 설정됨. 또한 정부관료제와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는 집단 간 비교연구를 통해 활용됨. 모든 변수들은 5점 기준의 Likert 척도를 이용해서 측정하였음 ○ 분석방법: 구조방정식 모형 -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주요 변수의 인과관계 분석 및 집단 간 비교를 진행함 - 이를 위하여 먼저 정부관료제 및 소속부처에 대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외부이미지, 그리고 조직효과성 등 주요 구성개념들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경향성을 확인하고 함의를 도출함 - 분석과정으로는 먼저 기존 연구에서 개발 및 활용된 구성개념 (변수)들이 본 연구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당도 및 모형적합도 분석을 수행하고 수정과정을 거침. 이러한 단계를 거친 이후 구조 방정식 모형의 구조모형에서 인과관계 및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시함 -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해석된 외부 이미지를 기준으로 두 집단 간 경로값의 차이를 파악함 □ 기초통계 분석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 간 비교 - 분석결과, 현재 정부에 대한 조직 이미지의 경우 공무원들 스스로 인식하는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공무원들이 국민들이 생각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해석된 외부이미지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공무원들은 정부조직 활동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음. 특히 근면성 측면에서는 공무원들은 자신들은 물론 국민들이 높게 평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예산활용의 측면에 있어서는 자신들은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외부 이미지는 낮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간 비교 - 소속부처에 대한 이미지 비교 결과, 공무원 스스로 소속부처에 대해 인식하는 조직정체성과 타부처 공무원들이 인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해석된 외부이미지와는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는 앞서 정부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간 결과와는 차이를 보여줌. 즉, 정부조직에 대해서는 공무원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정부 활동의 이미지와 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이미지가 차이가 나며 특히 국민들이 자신들 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함. 그러나 소속부처에 대한 이미지 비교 결과는 자신들이 소속부처에 대해 평가한 이미지와 타부처 공무원들이 인식할 것으로 생각한 이미지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조직 효과성 분석 결과 - 먼저 직무만족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남. 세부적으로는 `공무원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직장에서의 승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나타남. 한편 직무만족과 인구통계학적 변수간 관계를 살펴보면 직급과 직무만족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상위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또한 직무 몰입의 경우에도 긍정적인 응답결과를 보이고 있음.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 관계분석에서는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직급에 따라 차별적 인식을 보이고 있었는데 4급 이상 상위직 공무원들과 7급 이하 하위직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은 낮은 반면, 5급, 6급 등 중간 관리자급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구문제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 - 분석결과,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 모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 또한 표준화 경로값을 기준으로 한 분석 결과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각각 .60과 .62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남. - 모형적합성에 대한 보완한 수정지수를 바탕으로 수정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대한 표준화 경로값은 .56과 .59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것은 오차항 간 공분산 설정으로 인한 결과로 추정되며 전반적으로 모형적합도는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정부관료제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하고 있음. □ 연구문제 (2): 소속부처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결과 ○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 - 분석 결과,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 정체성은 조직효과성 개념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동일하게 .62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표준화 경로값 기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결정됨. - 모형적합도에 대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수정지수를 바탕으로 수정모형을 제시함. 구성 개념들간 오차항에 공분산을 설정한 수정 모형 분석 결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상관성은 표준화 값을 기준으로 .67로 나타났으며 조직정체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존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진 .55로 나타남. - 한편 모형 적합도는 기본모형에서 기준값에 미치지 못했던 세 개의 적합도지수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NFI =. 943, RMSEA =.064, Nomed X<sup>2</sup> = 3.491). 이러한 분석 결과는 소속부처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하고 있음. □ 연구문제 (3):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2.89)를 기준으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높게 평가한 집단 (N=332)과 낮게 평가한 집단(N=268)을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 대한 구조모형을 통해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 -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44 .46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표준화 경로값의 경우 각각 .58과 .61로 나타남. 또한 모형의 적합도는 대부분 적합도 지수의 기준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결과는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 이미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했던 값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영향력이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음. -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값이 낮은 집단 (N=268)에서는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47)과 조직몰입(.53)에 영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나 평균값이 높은 집단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남. 비표준화 경로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 대부분은 기준값을 만족시킨것으로 나타남. - 연구 결과, 표준화 경로값을 기준으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값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가 가정했던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외부이미지 간 일치성이 조직효과성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음을 보여줌.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3.49)보다 높은 집단(N=298)과 낮은 집단 (N=302)를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영향력을 비교하였음.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29 (비표준화 경로값: .47,p<.001)와 .37(비표준화 경로값: .56, p<.001)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 적합도는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낮은 집단 (N=302)에서는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58)과 조직몰입(.67)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비표준화 경로값은 각각 .82와 .8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 대부분은 기준값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남. - 분석 결과,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낮다고 평가한 집단은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 비해 표준화된 경로값의 크기가 약 두 배 이상의 크기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주장한 가설, 즉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경우에는 지각된 조직정체성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더욱 강화(reinforcement)할 것이라는 주장은 기각된 것으로 나타남. Ⅲ. 정책대안 □ 정부 관료제와 소속 부처에 대한 긍정적 조직이미지 형성을 통한 조직 효과성 제고 ○ 민간에서 활용되는 관리기법 등의 도입이 정부조직의 생산성이나 효과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 못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는 상황에서, 조직 이미지와 같은 심리적 기제를 통해서도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됨 ○ 공무원으로서의 자부심과 소속 부처 및 정부 관료제에 대한 조직이미지를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정부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됨 - 정책의 일관성 및 유연성 확보를 통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 제고 - 조직의 주요 의사결정 및 집행과정에 대한 민주적 참여 보장 - 주요 정책의 일관성 유지 및 권력의 간섭과 압력 배제 - 정부조직의 운영 절차 개선을 통한 효율성 제고 - 조직이미지 형성전략 활용: 광고 캠페인, 마스코트, 심볼마크, 조직슬로건 등 I.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 Background of the Research ○ The public distrusts governmen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tried to identify ways to increase trust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e exta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images of government because the public has not trusted public employees` behaviors and public policies ○ Organizational images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trust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image, which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may be one alternative to improve trust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image has been researched along two dimensions, including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but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mag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cluding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 Objective of the Research ○ Examin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mages on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image in governments leads to increas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consis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studies have argu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image to increase outcomes at the macro levels, while there is little empirical study of the thesis in public management II. Main Research Questions and Analysis Results □ Research methods ○ Sampl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he sampling frame was drawn from public employees who work at ten ministries, tree authorities, and commissions in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Six hundred usable data points were returned for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Multi- cluster sampling method has been adopted in this study -For conducting the analyses, this study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efore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s, in the measurement model, this study employ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constructs researched in this study □ Results of analyses ○ Measurement mode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wo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images met the cutoff values of model fit indices; they also show construct valida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idered as a second- order construct consisting of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not only met the thresholds of model fit, but also verified the construct validation ○ Structural model -The findings ar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to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leads to increases in job satisfaction (.56; unstandardized path: .61, p < .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59; unstandardized path: .63, p〈.001)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with the ministry improves job satisfaction (.55; unstandardized coefficient: .51, p〈.001)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55; unstandardized coefficient: .49, p < .001) ○ Multi- group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multi- group analysis for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trued external image considering the mean value -Considering mean value of construed external image to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and the ministry, respectively, this study expected to find that the higher group is more likely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effectiveness rather than the lower group -Unexpectedly, however, our hypotheses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 were rejected in this study. In general, the findings were that organizational image, which consis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would be an alternat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II. Policy Recommendations □ Psychological mechanism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Organizational images play a role of predictor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Management techniques and extrinsic motivation would be predictors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lthough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whether they can increase outcome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cluding organizational images, would be one predictor to increase outcomes in public management -Emphasizing public employees` trust, flexibility, and consistency regarding government policies, we expect that it would be one alternative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 Manager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public employees` positive images regarding their government and ministries -Managers should allow public employees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as well as to help achieve internal consistency regarding public policies

      • KCI등재후보

        한국정보경찰역량과 효과성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송병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경찰이 직면한 여러 환경변화와 그에 따른 조직의 현황을 알아보고,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역량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관련선행연구와 2010년 7월1일부터 7월 28일까지 전국정보경찰 3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응답을 분석한 결과, 조직역량이 높으면 조직효과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t=16.08, p=.000). 또한 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구성원 역량(ß=.258)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목표역량(ß=.228), 셋째, 계급(ß=.217), 넷째, 입직경로(ß=-.202), 그 다음은 연령, 학력 순이고, 시스템역량과 성별, 연령, 근속기간 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들이 정보경찰조직의 역량강화 및 효과성향상을 위해서 불필요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조사대상 정보경찰의 인식결과이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경찰 역량강화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abou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to the intelligence police that discussions for this Korean Police Office's development are required. That is, wished to analyze effect that the intelligence police ge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aying stress on constituent of recognizing core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Working this study, the first thing is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vided by member capacity, target capacity, system capac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vides by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mmersion and examined. Could receive the survey and following result and registration point. First, organizational performance exerted meaning effect to intelligence poli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if member's capacity is improved and member's organization target and target capacity that share vision bring, and systematic capacity is backed up in police authorities will be improved.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the influence in factors of organization capacity affecting to intelligence poli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ult of investigation, member capacity exerted the strongest effect and target capacity is then and system capacity exerted the lowest effect. As these result refers over, analysis is available by greatly two. First, when people surveyed intelligence police's capacity is hi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depended on member capacity. That is, the intelligence police adapt in organization's environment change with self-conceit and sense of mission and to foster passion and quality that can participate in organization's change and renovation can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element of organization capacity that get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lement differs. That is, member capacity and target capacity exert meaning effect in intelligence police's job satisfaction but system capacity was not so whereas, and member capacity and system capacity exert meaning effect in intelligence poli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arget capacity was not so whereas. These result is that need to consider possibility with abhorrent wave that analysis that detail first about measured variable enforces required point and specification policy. Finally, there was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investigation subject person's special quality and realization abou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can find valuable of study at time that empirical study about the intelligence police are lacking. However, problem can be the variable that use to meas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cause the variable that can meas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job satisfaction more exactly than these indicator pointers can be. Also, connectional researches about the intelligence police were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refered connectional study of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political science. Problem can be to apply as it is to intelligence police office in such result of survey. Nevertheless, this study can talk that is valuable. Because in some degree, analyzed relation of intelligence poli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