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연구 대상으로서 환동해 지역의 설정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This paper reviews the East-Sea rim as a research region in the field of area studies based on the level of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en a area specialist investigates regional problems, he/she needs to answer a few of questions relates to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for instance, why do I need to study about a certain region? How do I conduct the research with this specific region?The concept of East-Sea rim as a research agenda has not been seriously recognized in scholarly field and seems to be used as an abstract terminology in social and natural science. However, the existential meaning of the East-Sea rim region tends to arouse researchers' interest and have become a generalized concept from the last decade. Therefore, the concept of East-Sea rim is regarded as a specialized research agenda which includes the necessity of systematized study. The purpose of East-sea rim research, as a whole,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regional mechanism which could be revealed in terms of the very existence of regional reality. I regard East-sea rim region as one of regions implying ‘complex adaptive system’ at the primary category, and presume the unit level of this region which cannot be reducible to the level of element. I also assume that the whole system of the region is not the same as a sum of independent parts. In sum, I emphasize, the East-Sea rim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composite of multi-layered properties. In other words, it shouldn't be understood as a strictly hierarchical system organized in mechanistic manner, rather, it can be better represented as a form of ‘complex adaptive system.’ Such a system in which the behavior of the whole system cannot be predictable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ts components' behaviors, and each property of the whole system tends to emerge from the initial level into the next level - these multi-leveled analysis can be overlapp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이 논문의 목적은 환동해 지역연구의 기초적 단계로서 환동해 지역을 규범적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지역연구는 특정 지역을 왜 연구하는가라는 규범적 차원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사회적 실재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인 인식론적 차원의 논의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환동해권에 대한 관심은 아직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환동해 용어가 추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지금은 환동해 지역의 존재가 사회적으로 점차 통념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환동해라는 개념은 그 현실성을 부여받음으로써 환동해라는 지역단위는 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환동해라는 지역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구성되는 세계이다. 이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며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이러한 지역은 특정 요소로 환원하는 방법을 통해 특정 부분을 이해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그것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복잡적응체계로서 환동해 지역은 존재론적으로 창발되기 때문에 그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을 전제해야 한다. 환동해 지역은 정체성 및 그 유지양식, 메커니즘에 따라 타 체계와 구분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이런 공간은 ‘개념’, ‘메커니즘’을 통해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복잡한 현상을 궁극적인 차원으로 설명하는 환원주의를 벗어나 현상을 존재론적 층위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층위를 고유한 분석수준으로 삼아 고유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환동해 문화와 문화연구방법의 역사적 고찰

        송완범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3

        In Korea, people call this sea ‘East Sea.’ We have not given much thought that calling it ‘East Sea’ might be strange to Japanese. Although it is a familiar name to Korean, for Japanese it would be hard to locate the sea. Considering the difference, the word ‘The studies of Hwandonghae,’ which might sound as a synthesis of researches of many areas, is very provocative. It is because ‘The studies of Hwandonghae’’ can be equipollent as The studies of Japan-Sea Rim (The Japan Sea Rim studies) for Japanese. From this kind of diametrical perspective, is it possible to expect same results for the same sea? Also doesn’t activity focusing on local government these days leave only structure for profit such as resources and development that speak for the country?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researches of ‘the studies of Hwandonghae’ or ‘the studies of Japan-Sea Rim (The Japan Sea Rim studies)’ as multi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scientific view for overcoming limitation that the research focusing on local government are open to question. As a result, I obtained several kinds of vision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about a view of ocean history and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ic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until now were mostly focusing on the land. On the other hand, the understanding focusing on sea should stand from the open view of ocean history and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 believe that doing so can free us from dichotomic view of land or center and provinces. Second, it is a view from description of naturalized citizen, Doraein and ruined people. The understanding on people who travels between Korea and Japan was mostly evolved around domination and subjec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But it is proved that the people who traveled Korea, Japan and even China were actually working in interaction and view of coexistence. Third, whether East Sea, which is told in the studies of Hwandonghae, can be seen as separated sea or connected sea like seen as sea area, and it will decided the scale and content of research. On other words, the sea seen from the view of sea area history called Hwandonghae (the East Sea Rim) needs establishment of a wide view of understanding everything related to the sea instead of stories of specific sea. Finally, working on itemized discussion of the studies of Hwandonghae after establishing an overall research method will result in regular results. In order to do so, I think Japan’s research of ocean area history, which has already experienced trial and error, could function as a good model. 우리는 그 동안 ‘동해’라는 명칭이 일본인에게는 낯선 것이라는 생각을 거의 하지 않았다. ‘동해’는 우리에게는 익숙하지만 일본인들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동해’를 둘러싼 종합적인 지역연구인 ‘환동해학’이란 용어는 도발적이다. 왜냐하면 일본인에게는 ‘환동해학’이라는 말은 그대로 ‘환일본해학’으로 등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대척적인 시점에서는 같은 바다를 두고 서로 확연히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지자체 중심의 연구활동은 국가 중심의 자원 개발이라는 이익 구조만을 남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지자체 중심의 연구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학술적 시야에 바탕을 둔 학제적 연구로서 ‘환동해학’이나 ‘환일본해학’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해양사(海洋史), 국제교류사(國際交流史) 시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역사적 서술과 인식은 거의 육지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환동해지역 연구는 동해라는 바다를 주무대로 하는 개방된 해양사, 국제교류사적 시점에 설 때 올바로 정립된다. 해양사, 국제교류사적 시야는 육지와 해양, 중앙과 지방의 이분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돕는다. 두 번째로 귀화인(歸化人), 도래인(渡來人), 유민(遺民)의 서술에서 얻는 시야 또한 중요하다. 지금까지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를 왕래했던 사람들에 대한 인식은 지배와 피지배 혹은 상하관계 속에서만 인식되는 것이 주류였다. 하지만 실제로 한반도와 일본열도 더 나아가 중국대륙을 오가는 사람들은 교류와 공존의 시각 속에서 활동하고 있었음이 증명된다. 세 번째로 앞으로의 환동해학은 동해를 분리된 바다로 볼 것인지 아니면 해역(海域), 즉 연결된 바다로 볼 것인지가 중요하다. 이는 동해를 특정한 바다 이야기가 아니라 바다와 관련된 전체를 인식 대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환동해학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전체적인 연구 방법론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의 해역사 연구를 하나의 연구방법론적 사례로 고찰할 수 있다.

      • KCI등재

        환동해 지역 생태협력의 실제와 생태공동체 형성 방안

        이선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1

        This paper has an ultimate purpose of searching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East-Sea Rim Region as an Ecological Community for the regionalization of the East-Sea Rim area. Giv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 focused on looking into the following three issues. At first, I critically consider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ooperation and practical activities for collaborating in the East Sea Rim region. Secondly, I examine the existing theories of ecological discourses, and find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applying these ecological discourses to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Finally, I try to find how to internalize ecological solidarity in this region and to suggest some practical plans for the solidarity. In conclusion, I emphasize on internal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Sea Rim area and on, in practice, containing the universal tenets of ecological community into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ast-Sea Rim Region to a regional ecological community. In order to practice these conceptual findings in actual reality, I suggest to internalizing solidarity of the region with bioregional narratives and to conduct solidarity in actual reality by promoting workers' collaborating consciousness in terms of transnational consumers. 본고는 환동해 지역의 지역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생태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살펴보았다. 첫째, 현재 환동해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생태협력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기존의 생태담론을 검토하고 이들 담론을 환동해 지역에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환동해 지역의 생태공동체 형성을 위한 연대의 내면화와 실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논의를 통해 환동해 지역의 생태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국가, 민족, 자본의 분할선을 넘어설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여기에서는 지역의 생태적 고유성을 내면화하면서 동시에 초국가적 연대 방식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인 생태공동체 형성 방안으로는 생물지역적 서사를 통한 연대의 내면화와 소비자로서의 노동자 의식을 통한 초국가적 연대의 실천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환동해 지역 고래 생태계 파괴의 원인과고래 생태계 보전의 가치

        여민경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Whales in East-sea rim are the symbol animals have related with culture and histological perspectives of East-sea rim. Although it was called the whale sea at Ming dynasty and Yuan dynasty, but we can’t show many whales in this area anymore. These whales are the ecological crisis animals of East-sea rim. In this study, I have the purpose to know the reason of whale crisis in East-sea rim. I suggest, there are three major reasons of the ecological crises. First is indiscriminate fishing for eating purpose. The reason of the whale crisis by-catch is known that the materials of fishing tools but Korea and Japan government are not active to find the solutions. The problem of eating whale has been considered as traditional food culture of this area. Second i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East-sea rim particularly by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the several reports, these whales of East-sea rim were shown high concentration of POPs or mercury. It is related with the rapid industry development of this area’s surrounding countries like Korea, Japan, and China. The increase of the water temperature in this area due to the climate change can be another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the whale populations. There are several reports the number of whale in East-sea rim increased in 2009~2010.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ncrease water temperature is related with increase the number of whale, but it is just a temporary status. Basically, we have to find the solution for whale conservation of East-sea rim and the cooperation with other surrounding centuries likes Japan, China and Russia. I suggest it can be the basic solution of peace sharing in this area and win-win situation for surrounding countries in East-sea rim. 환동해 지역의 고래는 이 지역과의 문화적, 역사적인 연관성이 깊은 생물체다. 그러나 과거 경해(鯨海)로 불렸던 이 지역은 더 이상 고래의 바다가 아니며, 이 지역의 고래는 생태학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 고래의 생태학적인 위기의 원인으로 남획,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상승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이지만 여전히 이 지역에서 소비되고 있고, 고래 혼획의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환동해 지역 국가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오염은 이 지역 고래의 체내에 높은 농도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인 수은의 농도와 관련성이 깊다.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상승이 일시적으로는 이 지역 고래의 빈번한 출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근본적인 고래 생태계 보전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환동해 지역 국가들의 국제적인 공조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환동해 지역 고래의 생태계 보전 뿐 아니라 평화와 상생의 해법으로도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

        발해의 환동해 교류와 연해주

        김은국(Kim, Eun-Kuk) 백산학회 2013 白山學報 Vol.- No.97

        이 글은 渤海시기 海陸交流史에서 동해안과 연해주가 차지하는 위상이 얼마나 컸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발해유적 중에서도 현재 우리나라와 동북아역사재단이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크라스키노 (鹽州) 발해성의 발굴을 통해 접근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고대 環東海역사교류 전반을 살펴보고, 그 결과 크라스키노, 즉 발해 염주성의 위상을 발굴성과를 통해 다루어 보았다. 이러한 환동해교류사 접근은 선사 이래 장구하게 이어온 역사 시대의 다양한 교류 실타래를 풀어 줄 실마리다. 나아가 우리의 자생적인 白頭大幹縱走的인식을 계승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All ages through the history of some of the trace of powers clearly and immediately located the sea, ocean and land that is used to evenly management had shown that there remains a significant phase. Depending on the way the oceans faster than the culture and people of the land exchange is to be deployed in a variety of places. Thus, the way of the propagation of traditional maritime rule a country with good people around in the center position for the exchange of culture and could be driven. Geopolitical developments of Korean history during the time the chief of the deal will be Baekdudaegan center. To do that, any time our walk along the ridges(縱走) via perception came to know the history and culture can be addressed. Cartography, and looked through the bars as related Baekdudaegan(白頭大幹) are already aware of the history of racism ever recognition of indigenous cultural framework was proved. Here we look at the history and culture of just two perspectives, namely relational Baekdudaegan awareness of racism and the Civil naturally be assumed, however, both temporal and spatial scope of vision narrows, rather we set ourselves. So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to the top of the center led to the Yalu River and the Tumen River Baekdu can be called around the stem of the river, large and small rivers, the East Sea to the east, began to gather again to the west by the Yellow Sea will upstage flowing. Since prehistoric marine flow of people and cultural traditions more tightly compacted by placing associated with road traffic through the various sea-land(海陸) by the term born again. Modern aviation industry flourished since the time of peak acceleration as the lead, even though the history of the river and the sea of humanity and the highway bridges because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future and means deep reserves of heat.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ast Sea Baekdudaegan exchanges recognized the succession of racism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whole will be able to gauge the prize. The history always seem to draw a map nested inside it historic territory and the territory of modern state. Perhaps aware of these differences, it is the culture of the inception of the will narrow. East Sea rim, including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the detail yellow-sea rim countries it will act as a bridge connects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China provinces since prehistoric times, and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s will be possible to set connects cultures. The flow of the ancient history of the East Sea region 1,000 years before the award is formed Goguryeo and Balhae was able to find one Donghae in exchange. Traffic flow is simply a history of East Sea Rim, but the meaning of traffic will not be reduced. East Sea and the East Sea into a modern economy is becoming linked to non. Mainly on the east coast of China, Japan, Russia, North Korea,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regions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to joint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multilateral means. Northeast Asian economies in the region have in the country on the basis of cultural commonality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of economic diversity, or fatty liver mutual complementarity and harmony by combining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whole region and the stability of the region kkoehamyeo residents living further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rade and production scale cross-borde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region means the organization. Mainly on the east coast so that trade and traffic which means more important than age. Overseas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areas of the country are mainly east sea rim living in China, Japan, and Russia's ethnic policy of the historical changes to any of these structural conditions and situations that you have to give is the time you need to look at the time. These changes in policy ea

      • KCI등재

        일본의 환동해 구상 및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academic research focusing on “East Sea Studies” and “Japan Seaology” in Japan. There ar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East Sea Rim region as an research agenda: the region of four countries (North and South Korea, Russia, China, and Japan)’s interests conflicting area, historical complicated region reflecting of contradiction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and the Cold War and post Cold War period, furthermore, the space of reality in which each country has implemented its own public policies based on regional situation in terms of political geology and political economy. No matter that there is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four countries and whether scholars focus on studying about regional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or not, this East Sea Rim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significant area being worthy to be studied in the systemic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The high level of public concern about East Sea Region has provoked to the necessity of studying the region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t has been recognized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that, for the sake of searching a new research paradigm for East Sea Regional Studies, reviewing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such as Japanese East-Sea Rim studies and research designs can be considered as a prerequisite for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in this academic field. The main feature of Japanese regional studies relating to East-Sea Rim area, Japanese scholars are tend to focus on more practical policy issues such as the issues of dynamic relations rooted in the problems of modern and post modern society. It is appropriate time to search out new research paradigm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which would help us recognize the nature and reality of East Sea Reg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환동해 구상 및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환동해 지역이란 동해를 둘러싼 한반도·중국·일본·러시아의 이해가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며 근대/탈근대, 냉전/탈냉전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역내 국가들의 지정학적·지경학적 정책이 복잡하게 전개되는 실재로서 장이다. 실질적인 협력이 존재하든 하지 않던, 경제적 차원․정책적 차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던지 간에 환동해 공간은 실재적인 장으로서 학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대상이다. 환동해에 대한 관심이 이제 학문적 차원으로 전환될 시점에 이르렀다. 한국의 환동해 지역연구 모색 과정에서 동 공간에 대해 선행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일본의 환동해 구상 및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필요한 작업이다. 일본의 환동해 연구는 다양한 근대/탈근대 문제를 제기하면서 현재 형성되고 있으며 실천을 지향하고 있는 실학 성격을 띠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고 적응하여 구성되는 세계, 즉 환동해 지역의 실재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환동해 국제관계의 역사와 지정학적 맥락

        배규성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동해의 역사는 지정학 이론과 결합되어 전개되어 왔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지정학 이전 의 시기인 고대에서 중세까지 동해는 환동해 연안지역 농어민들의 생활(어업과 채집)의 터 전이자 무역 및 문물교류의 ‘열린 바닷길’이었다. 근대기, 일본과 조선의 개항기 동안 동해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의 바다였다. 미국의 페리제독에 의해 개항된 일본은 청일전쟁(1894-1895)과 러일전쟁(1904-1905)의 승리 를 통해 조선과 동해의 제해권을 장악했고 북방으로 진출했다. 미국과 일본의 환동해를 둘러싼 이러한 제국주의 팽창은 마한의 ‘해양세력론’에 기초해 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독일 제국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고 거의 저항 없이 서태평양에 있는 독일 식민지(북마리아나군도, 캐롤라인군도 및 마샬군도)를 재빨리 장악했다. 전쟁이 끝난 후 국제연맹은 일본에 이들 지역에 대한 위임통치권을 주었지 만, 일본은 인종주의와 문화적 차이 때문에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을 구축했다. 그러나 결국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으 로 일본이 강점했던 식민지와 점령지가 해방되었다. 이렇게 1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태평양 전쟁의 시기까지는 주축지역의 세력인 독일과 중국이 안쪽초생달지역과 바깥쪽초생달지역 으로, 즉 해양으로 진출하지 못하도록 안쪽초생달지역인 일본과 바깥쪽초생달지역인 미국 이 협력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세력의 인종주의적 정책과 문화적 차이에 실망 한 일본이 하우스호퍼의 생활권이론을 도입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추진하자 미국과 대립했 고, 결국 미국에 패배했다. 이 시기동안 동해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지배하는 바다였다. 맥킨더의 심장지역이론과 더불어 스파이크만의 주변지역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 련 공산주의의 팽창을 막기 위한 미국의 봉쇄정책에 이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미국은 일본에 의해 림랜드가 통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륙세력인 소련과 협력하였지만, 2차 대전이 끝난 후, 다시 대륙세력인 소련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패전국인 일본을 해양세력으로서 다시 동맹국으로 끌어들여 대륙세력 소련에 의한 림랜드의 통합을 막았다. 따라서 2차 대전 이후-냉전기 동안 동해는, 특히 냉전의 전환점이 된 한국전쟁 (1950) 이후 남북한이 대치하고 미국과 일본 그리고 소련과 중국이 지원하는 냉전의 바다 가 되었다. G2 중국의 등장으로 탈냉전 이후 오늘날의 지정학은 냉전기 소련의 자리를 중국이 대체 한 형세를 이룬다. 즉, 미국은 대륙세력인 중국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양세 력으로서 일본과 동맹하여 중국을 포위한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미중 신냉전 체제의 핵심이다. 따라서 동해는 북한의 나진항과 두만강 유역 도시 훈춘을 통해 동해로의 출구를 마련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남북한과 일본, 러시아가 개입하는 신냉전의 바다가 될 것이다. 해양의 핵심적 의미는 “연결”과 “소통”에 있다. 그러나 동시에 “경쟁과 갈등의 장”, “대 립의 장”, “팽창/침략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까지도 동해는 역사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펼쳐져 온 환동해 연안국들 간의 지정학적 맥락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연결”, “소통”, “협력”보다 “경쟁”, “갈등”, “분쟁”이 동해를 지배하고 있다. The history of the East Sea has been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geopolitical theorie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pre-geopolitics), the East Sea was open to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as well as a living space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Rim. In modern times,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Japan and Korea, the East Sea was a sea of imperialist contests for colony. Japan, which was forcibly opened by Admiral Perry of the United States, took control of Chosun and the East Sea through the victories of the Sino-Japanese War(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1904-1905), and expanded to the north. The imperialist expansion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East Sea is based on Mahan's theory of Sea Power.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in 1914, Japan declared war on the German empire and quickly gained control of the German colonies(the Northern Mariana Islands, the Caroline Islands and the Marshall Islands) in the western Pacific with little resistance. After the war, the League of Nations gave Japan mandate over these regions. While from World War I to the Pacific War, the United States in outer crescent area together with Japan in inner crescent area have prevented pivot(continental) forces such as Germany and China from expanding into inner crescent and outer crescent, ie, the ocean,after World War I, Japan disappointed with the racist policie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the Western powers constructe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大東亞共榮圈) by introducing Karl Haushofer's living space theory(Lebensraum), but failed by being defeated in the Pacific war. During this period, the East Sea was dominat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addition to Mackinder's Heartland theory, Spykman's Rimland theory have been used in the US containment policy to prevent the expansion of Soviet communism after World War II. During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cooperated with the Soviet Union, a continental force, to prevent the unification of the Rimland by Japan, but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brought back Japan as a sea power to its allies to prevent the integration of rimland by the Soviet Union, a continental force. Therefore, from the end of Second World War to the end of Cold War, the East Sea became a sea of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South Korea, Japan and the Soviet Union with North Korea, China. With the advent of China as G2 in the post-Cold War era, today's geopolitics around the East Sea is similar to that of the Cold War era, but with China replacing the Soviet Union. In other words, the United States allied with Japan as a sea power surrounds China in order to prevent China, a continental power from integrating Rimland. This is the essence of the new Cold War system in East Asia today. Thus, the East Sea will become a sea of a new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a North Korean sea port Nazin and Tumen river city Hunchun as a exit to East Sea. The core meaning of the sea lies i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t may also be a "Field of Competition, Conflict and Confrontation" or "Path of Expansion/Invasion." Up to now, the East Sea still contains the geopolitical context among the East Sea coastal nations, Therefore, "competition", "conflict" and "conflict" rather than "connection","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ppear to dominate the East Sea.

      • KCI등재

        환동해 경제협력의 필연성과 정책대안

        김봉길,김인중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economic zone in East-sea rim region, while researching the geopolitical changes and current status of economic cooperation. The East-sea rim region generally includes countries bordering East-sea, such as South Korea, Japan, North Korea, China(Northeastern Three Shengs) and Russia(Far East Area). However, in this study, the East-sea rim region only includes South Korea, Japan, and China due to the lack of data. Possible alternatives are as follows. Multi-layered and progressive approache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spatial and temporal factors are essential to economic cooperation in the East sea rim region. Gradual expansion of economic cooperation in East-sea rim region can take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economic zone. In short-term, it is advisable to enhance the economic cooperation in a specific feasible region or industries. And in the long-term, the scope of the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from East-sea rim region to North-east Asia. The most practical alternative is the materials industry cooperation using the resources of the East-sea rim region. However, the economic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under the mutual trust considering the uniqueness and diversity of each countries. Enhancing the mutual interest and the political leadership of each country are also needed to build regional economic zone. Especially, South Korea should play as an arbitrator to prevent China and Japan from fighting for regional hegemony. 본 연구의 목적은 환동해지역의 지정학적 변화와 경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경제권 형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환동해권의 범위는 동해와 직접 접하는 한국, 일본, 북한, 중국의 동북3성 그리고 러시아의 극동지역이다. 다만 통계구득상 본 논문에서 환동해권 경제협력은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다. 제시된 대안은 다음과 같다. 환동해권 경제협력에 있어서는 공간적․시간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점진적이고 중층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점진적인 환동해 경제협력의 확대는 동북아시아의 서브지역으로써 동북아시아 경제권 형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단기적으로 환동해 경제협력은 가능한 지역이나 산업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환동해 나아가 동북아시아 경제권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환동해 부존자원을 활용한 소재산업협력이 가장 현실성 있는 대안이다. 그러나 경제협력은 각국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상호신뢰하에서 실행 가능하다. 상호이해증진과 각국의 정치적 리더십 또한 지역경제권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하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주도권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북동부 진출과 동해의 지정학적 의미

        이영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3 아태연구 Vol.20 No.3

        This aims to interpret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East Sea in a geopolitical standpoint. The Chinese-eastward and the Russian-southward advance policies are to set their benefit lin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and the East Sea and to control and manage the East Sea through North Korean ports. Against the movement of continental powers, countermeasures of marine powers are strongly implemente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merican and Japanese geopolitical strategies are implemented to react to North Korean political actions. However, they are, in fact, blockade policies of marine powers against the expansion of political actions of continental powers. American support for Japan to secure the right for self-defense collectively is acknowledged as a geopolitical strategy with which marine powers jointly react to the expansion of influence of continental powers. China and Russia are competing with the issue of controlling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and ports along the East Sea. China advances to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in order to secure the exit to the East Sea. China intends to use the East Sea of North Korea as their inland sea. As Russia is threatened by this, they actively started the railway connection to North Korea and repair work of the Najin port. Russia intends to use Najin port as their logistics bas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are marine powers, turn the East Sea into a stage of conflict. The conflict structure arising from the place name of the East Sea, the dominium of Dokdo, and the Japanese execution of collective self-defense right may change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have been changing. The geopolitical strategies of continental powers and marine powers are dividing the East Sea into two and the divided marine spaces may be divided again. In the upper part of the divided space, the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on rights may make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complex. Also,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the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may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Thus, it is required to build the East Sea rim security consultative group with the leading participation of South Korea. 본 글은 지정학적 관점에서 동해의 갈등구조를 해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중국과 러시아의 동진 및 남진정책은 북한의 북동부 및 동해에 자신들의 이익선을 설정하고, 북한의 항구를 통해 동해를 안정적으로 통제 및 관리하는 데 있다. 대륙세력의 이러한 움직임에 맞서 해양세력의 대응전략이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지정학적 전략이 북한의 정치행위에 대한 대응전략 차원에서 추진된다고 지적되지만, 그 내면의 모습은 대륙세력의 영향력 확장에 대한 해양세력의 봉쇄정책이다.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확보 움직임을 지지하는 현상 역시 대륙세력의 영향력 확장에 해양세력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지정전략으로 인식된다.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북동부 및 동해 항구의 관할권 문제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 중국의 북한 북동부 진출은 동해로의 출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중국은 북한의 동해를 자신의 내해로 사용하려 한다. 이러한 현실에 위협을 느낀 러시아가 북한과의 철도 연결 및 나진항 보수 공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러시아는 나진항을 자신의 물류기지로 이용하려 한다. 해양세력인 한국과 일본관계 역시 동해를 갈등의 무대로 만들어 가고 있다. 동해에 대한 지명표기, 독도 영유권, 그리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문제 등을 놓고 발생되는 갈등구조가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이 변화되고 있다.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지정학적 전략이 동해를 상하로 양분시키고, 양분된 해양 공간 각각이 또 다시 분열될 수 있는 상황으로 나아가고 있다. 양분된 상부지역에서는 중국과 러시아의 이권경쟁이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고, 동해의 남부지역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갈등관계가 동해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환동해 안보협의체 구성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환동해 해양쓰레기와 해양환경 협력체제 구축

        최영진(Choi, Young-J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연구는 환동해 국가에서 배출하는 쓰레기가 어떻게 동해로 흘러 들어오는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동시에, 동해 수역에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주로 무엇이며 그리고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부유 쓰레기가 조류와 파도를 통해 중국 동해안에서 한국 남동해안으로, 북한 동해안에서 한국의 동해안으로,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동해안과 극동 러시아에서 일본 서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 동북아 해양환경을 위한 북서 태평양 해양 및 연안 환경의 보전, 관리, 개발에 실천 계획(NOWPAP)과 동아시아 해양조정기구(COWBSEA)가 있지만, 북유럽이나 서유럽과 같이 해양환경 제도가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이론이 말하는 자기 완결적 체제를 아직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 기구는 느슨한 국제협력 레짐으로서 국가주의적 해양환경관리의 성격이 여전히 강하다고 볼 수 있다. 환동해 국가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기업체 등이 해양환경관리에 있어서 오염자부담원칙 준수, 해양폐기물 처리 기술 수준, 그리고 이해당사자 간의 유기적이고 중층적 협력체계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으로, 환경보호에 관한 시민의식을 고양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다양한 부처의 관련 업무를 통합 및 조정하는 국내 ‘협력체제(governance) 정비와 확대’ 개편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역사문제, 북한 변수 등으로 인해 환동해 해양환경협력체제의 통합적 작동은 현실적 어려움이 있어 현 상황은 제한된 지구적 관리체제 접근법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기존의 다소 느슨한 북태평양 행동계획(NOWPAP), 동아시아 해양조정기구(COBSEA) 등과는 차별되는 강력한 통합적 실천기구인 동아시아 해양환경협력을 위한 제도적 기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wastes produced from countries of East Sea flows into the other side of East Sea, how much they are and how they affect. We simultaneously take a look at what kind of marine litters are significant and how we can solve the problems. The floating litters are flowing from the eastern China to the southeastern coast of South Korea, from the east coast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from the coast of Russia Far East and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to the west coast of Japan through the currents and waves in East Sea. Although there are the Northeast and Western Pacific Action Plan(NOWPAP) and Coordinating Body on the Seas of East Asia (COBSEA) for the maritime environment in East Asia, it is evaluated that the marine environment system has yet to establish a self-completing entity, as the neoliberal institutional theory suggests. The nature of nationalistic maritime environment management is still strong in East Sea as the loose international regimes. On one hand, besides the technological level of the marine waste disposal, the multi-layered maritime governance amo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civic groups, and enterprises in East Sea Rim are assessed to b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subregion of the European Union (EU) such as the Baltic Sea region and the North Sea region, On one hand, a reorganization for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governance system’ that integrates and coordinates the related affairs of various ministrie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civic awarenes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is required. The current situation is merely a limited global governance approach due to the historical matter, the North Korea fact and so forth. Even so, it is necessar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marine debris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 East Sea Rim.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East Asian marine environment cooperation, which is a strong integrated action apparatus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omewhat loose North Pacific Action Plan(NOWPAP) and Coordinating Body on the Seas of East Asia(COB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