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지식인 김달수(金達寿)를 통한 ‘한․일 역사화해’의 모색

        송완범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3

        The works of Dalsu Kim can be characterized with three keywords: ‘the history of Korean Japanese life,’ ‘the history of socialists’ struggle’ and ‘ancient history.’ First of all, ‘the history of Korean Japanese life’ is found in Kim Dalsu’s early works; he wrote ab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ell as Korean Japanese who worked hard for their life as they were discriminated in various forms in Japan. ‘The history of socialists’ struggle’ can be found in his full-length novels published after The City of Descendants(後裔の街). His works during this period were filled with overwhelming passion, enthusiasm and a sense of duty with the belief that ‘socialist reform’ was the right path for Korean, showing the color of ‘engagement literature.’ However, due to the constant conflicts with Jochongnyeon(朝鮮総連), the pro- Pyeongyang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 in Japan, he had not written books about ‘the history of socialists’ struggle’ at all since Taebaek sanmaek(太白山脈;The Taebaek Mountains) was published in 1969. His research on ancient history started in the 1970s with his book series, ‘Korean Culture in Japan(日本の中の朝鮮文化).’ He worked hard on the 12-volume series, walking around every nook and cranny of Japan and writing down the journey, which was the lifework of Dalsu Kim himself. His research on ancient history seems to provide fertile ground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to seek reconciliation beyond his personal reconciliation. He had to ‘convert’ from nationalism to socialism, and again to nihilism, and his two ‘conversions’ were a symbol of sorrows, hardships and contradic tion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faced. His life journey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hedding new light on the meaning of Korean Japanese in the 70thyear of independence, which coincides with the effort to spread the project for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김달수의 작품세계는 ‘재일동포생활사’ ‘사회주의자투쟁사’ ‘고대사’라는 세 개의 키워드로 구분된다. 우선 ‘재일동포생활사’의 흐름은 김달수 초기의 작품으로 식민지시대를 포함하여 재일동포가 다양한 차별을 받으면서 자신의 삶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시기이다. 다음의 ‘사회주의자투쟁사’의 흐름은 후예의 거리(後裔の街) 이후의 장편에서 넘치는 정열과 의욕 그리고 사명감을 가지고 조선민족의 바른 진로라고 믿은 ‘사회주의개혁’의 실현을 위해 ‘참여문학’이라는 색채를 띤 시기였다. 이후 일관되게 민족조직인 조선총련(朝鮮総連)과의 알력이 계속된 탓으로 1969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이후에는 ‘사회주의자투쟁사’에 속하는 작품은 일체 쓰지 않게 된다. 김달수의 고대사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하는 ‘일본 속의 조선 문화(日本の中の朝鮮文化)’ 시리즈인데 이는 일본전국을 방방곡곡까지 걸어 다니며 기록하는 정성스런 작업을 거쳐 12권의 책으로 집필한 김달수의 라이프워크였다. 김달수의 고대사연구는 김달수 개인의 화해를 넘어, 한반도와 일본열도 간의 화해를 모색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 준 것은 아닐까.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또 다시 허무주의자로 ‘전향’하지 않을 수 없었던 김달수의 두 차례의 ‘전향’은 민족적 비애와 고난 그리고 모순의 상징이었다. 김달수의 인생 역정은 해방 70년의 재일의 의미를 다시금 재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일 역사화해’의 모색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식민지 조선의 黑板勝美와 修史사업의 실상과 허상

        송완범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6

        Kuroita is a person who established studies of ancient manuscripts of modern Japan. He developed studies of old manuscripts (古文書學) through his thorough analysis of old documents, and devoted his lifetime to the editing of“ ancient manuscripts of Great Japan (大日本 古文書)”and“ an outline of national history (國史大系).” His studying in advanced European countries has made him to pay attention to exhibi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the modern museum and research of historical sites. All these experiences were connected to the editing of history of Joseon (朝鮮史) and investigating ancient historical sites in colonial Joseon. As a result, his general experiences are still effectual nowadays not only editing historical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but establishing of modern museums, digging up historical sites, maintaining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so on. However, we need to be more cautious that these works of Kuroita are based on Japancentrism (日本中心主義). We should notice that his establishment of studies of ancient manuscripts and spread of his experience in colonial Joseon had selected and rearranged fundamental historical documents in studying history of Joseon. Selecting and rearranging historical materials could restrict the research of history of Joseon from its root. It means that Kuroita's works were related to the governing of colonial Joseon (植民地朝鮮). 구로이타의 학문적 활동기간을 크게는 세 부분으로 나누고 이야기를 전개해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1896~1907년은 일본에서의 고문서학의 체계화와 고전적의 출판과 보급에 힘쓴 전형적인 제국대학의 학자로서의 모습. 그리고 두 번째, 1908~1910년의 기간 중에 그 당시 쉽지 않았던 구라파에 유학을 한 구로이타는 유럽 각지의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조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1911~1936년은 첫 번째 기간 동안에 얻어진 일본에서의 고문서학과 고전적의 체계적인 보급과, 두 번째의 유럽에서의 선진적인 미술관과 박물관의 진열 및 사적 보호의 노하우를 일본과 조선에서 특히 조선에서 열정적으로 추진해 나갔던 시기라 보았다. 특히 구로이타의 40대 이후의 중진학자로서의 활동이 1915년 조선을 처음 방문한 이래 16년간에 걸친 ‘조선사편수’(1922-38년)와 ‘조선고적조사’ 사업에 집중되어 나타났던 것에 주목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가 있었다. 구로이타의 사망 후 60여년, 건강상의 이유로 학문적 사망으로 따지자면 70여년이 지났음에도 구로이타가 생전에 미친 영향력은 아직도 한일 양국의 사학계에 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료학과 고적조사, 박물관, 문화재보호법 에 이르기까지 사학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라는 측면에서 전 방위적으로 관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가능했던 배경을 보건대 근대일본 사료학의 정립이라는 실적에다가 당시로서는 드물었던 구미유학의 경험에 때마침 ‘한일병합’이라는 제국주의 경험을 실현할 수 있는 무대가 마련되는 등 구로이타에게는 그 어느 것 하나 버릴 게 없는 실천적 조건들이 펼쳐진 것이다. 특히 당시의 학문적 사회적 분위기가 조선에 대한 ‘일선동조론’의 입장 이 팽배해 있었다는 점도 그의 활동을 강하게 뒷받침해 주었다. 요컨대, 조선에서의 그의 활동은 철저하게 식민지 조선의 완성에 이르는 기초적 작업에 몰두한 것이었다. 그의 사료학의 배경이 국학의 전통을 가진 일본 사료학에 후발제국주의 국가 일본으로서의 서양 사료학의 도입이 있었던 것은 이상에서 확인한 대로 이다. 하지만, 그의 사료 편찬의 의도가 무엇이었던가에 대해서는 별로 논의가 되지 않았던 것 같다. 특히 조선사 편찬에서 보여준 그의 확고한 인식은 식민지 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는 조선사에 실릴 수 없는 비과학적인 요소로 치부되기에 이른다. 구로이타에게 있어 조선사는 공명정대하고 권위에 넘치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서이어야만 했다. 그렇다면 구로이타를 중심으로 한 조선사의 편찬 방침에 따르는 한, 식민지 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는 그 존재할 곳이 애초부터 없었던 것이다. 아울러 조선사 편찬은 철저하게 조선의 일본화를 달성하기 위한 원대한 기간시설의 레일을 부설하는 사업이어야만 되는 그런 것이었다. 이러한 의도는 조선사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국사인 일본사 편찬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었던 것이다. 즉, 천황 중심의 사료 편찬에 편찬의 방향이 설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한․일 양국 사학계에서의 구로이타의 영향력은 과거의 어느 한 시기에만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도 미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일이다. 다시 말하자면, 식민지 시대의 식민사학자들 중에서도 구로이타는 가장 기초적이고 본질적인 면에서 한․ ...

      • KCI등재

        ‘육국사(六國史)’의 편찬과 ‘일본율령국가’의 수사(修史)사업 - <속일본기>와 <일본삼대실록>을 중심으로 -

        송완범 일본사학회 2016 일본역사연구 Vol.43 No.-

        The late 7th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Japanese ancient statutory nation(日本律令國家) started to be settled. After the period, the basic history books of the Japanese ancient statutory nation, ‘The Records of Ancient Matters’ and ‘The Chronicles of Japan’ were publish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tatutory nation include: i) ‘enactment of the statute’, which is the basic law of a nation, ii) ‘publication of the government-compiled history books’, which are the official historical records of a nation governed by the statute, and iii) ‘establishment of palace (宮) and capital (京), also known as royal palace (宮都) and capital city (都城), where the statutory ideologies were realized. The ‘national history’ of the statutory nation is generally called, The Six History Records of Japan (六國史)”. However, The Six History Records of Japan (六國史) can be categorized into ‘The Chronicles of Japan’ and the ‘five history records’, from the perspective of a record compiled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utory nation. With regards to the compilation of The Six History Records of Japan, resulted from the historiographic works of the Japanese ancient statutory nation, ‘A Historical Diary of Japan Zoku Nihon ki’ is important as an outcome of the practical historiographic works of the statutory n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focus on ‘The Annals of Three Reigns of Japan’, which was the last part of The Six History Records of Japan and the last historical compilation of the statutory n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historiographic works as a large-scale official historic compilation of the statutory nation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ble to differentiate the views on The Six History Records of Japan including ‘The Chronicles of Japan’ as a record before and after The Six History Records of Japan and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utory nation. Second, it was able to have more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points of views on the existing six history records. Lastly, the reference to the historiographic works helped develop more diverse and delicate perspectives on the Japanese ancient statutory nation.

      • KCI등재

        일본율령국가의 ‘天災異変’과 정책의 전환

        송완범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3 일본사상 Vol.0 No.25

        ‘March 11 East Japan Great Earthquake’ is being summarized as an unheard-of ‘Mega-complex Chain Disasters‘ combined with mega-tsunami caused by a mega -quake and its resultant Fukushima nuclear accident. Particularly,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s understood as taking on the character of a man-made disaster other than a natural disaster.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of Korea University has accumulated lots of products by ‘Post 311 and Human Disaster (Calamity) and Safety & East Asia Research Team.’ It’s thought that the background of such products might be attributable to the establishment of common awareness that ‘Disaster’ and ‘Safety’ are not limited to a problem of a certain country only now. ‘The ‘Disaster’-caused extraordinary damage besides contingencies shakes the foundation of a nation, and the victim country comes to struggle for relieving the shock beyond the times, and also comes to devote itself to minimizing the damage. Such a series of efforts might not be limited to modern times. Based on the above short view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the ‘Natural Disaster and Unexpected Change’, which occurred intensively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Ritsuryo Court after the 7th century, worked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Ritsuryo Court.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Deikan Earthquake’ whose size is said to be almost the same as ‘311 East Japan Great Earthquake’ also had an immense influence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Ritsuryo Court after the mid-9th century. In short, Japan after the mid-9th century came to give up the 4 major values, such as ‘Improvement of Ritsuryo Court’, ‘Compilation of National History’, ‘Construction of Capital sites’, and ‘External Views aiming at little Empires of Dongie (tribes of China’s northeastern region).’ It might be hard to deny that fact that there existed ‘Natural Disaster & Unexpected Change’ occurring frequently after the mid-9th century in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and swift of the national policy.

      • KCI등재

        8~10세기 동아시아세계와 「자립하는 『武』」의 등장

        송완범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2

        본고의 구상은 일본 교토에 있는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의 2020~23년도 공동연구인 [귀족과 무사]에 참여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참여 당시 본인이 제출한 연구 주제는 「고려의 『무신정권』과 일본의 『무가정권』과의 비교로부터 보이는 것」이었다. 이후 공동연구회에서 발표한 주제는 「9세기의 신라에 있어 『김헌창의 난』과 지방의 『사병』」이었다. 더하여 이번에 제출하는 최종 연구 주제는 「8∼10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자립하는 『무(武)』」의 대두와 그 행방」에 대해서이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자립하는 『무(武)』」는 기존의 중앙정권을 대신하는 새로운 정권의 수립 혹은 새로운 국가의 건설을 지향하는 반란을 이른다. 그중에서도 8~10세기 동아시아의 「자립하는 『무(武)』」의 시작은 당의 「안사의 난」(756~63년)·신라의 「김헌창의 난」(822~25년)·일본의 「다이라노 마사카도(平将門)의 난」(939~40년)을 들 수 있다. 이들 반란의 특징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통일·중앙·법의 세계」로부터 「분열·지방·무법(無法)의 세계」로의 이동을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from “Nobles and Warriors,” a joint research project I participated in with the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Japanese Studies in Kyoto, Japan from 2020 to 2023. I submitted the research topic, “What Can be Determined from a Comparison between the ‘Military Regimes’ of Goryeo and the ‘Military Government (shogunates or bakufu)’ of Japan,” and presented “Kim Heon-chang (김헌창; 金憲昌)’s Rebellion and Local Private Soldiers in Silla in the 9th century” at the joint seminar afterwards. Additionally, I submitted my final research topic, “The Rise and Path of Self-Reliant Warriors in East Asia in the 8th–10th Centuries.” The “Self-Reliant Warriors” discussed in the research led rebellions to establish a new regime or build a new nation in place of the existing central government. The beginning of the “Self-Reliant Warriors (Stratocracy)” in East Asia in the 8th–10th centuries was marked by An Lushan’s Rebellion (安史之乱) during the Tang dynasty (756–763), Kim Heon-chang’s Rebellion in Silla (822–825), and Taira-no-Masakado’s Rebellion (平将門の乱) in Japan (939–940). These rebellions can be briefly characterized as a movement from a world of “unity, centralism, and law” to one of “division, regionalism, and lawlessness.”

      • KCI등재

        ‘白村江싸움’과 倭 -東아시아세계의 재편과 관련하여-

        송완범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5

        660년 백제멸망과 663년 백촌강싸움을 전후로 한 시기는 동아시아세계의 원형 형성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구체적으로 들어가자면, 야마토왕권의 대외정책이 친신라정책에서 친백제정책으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백촌강에서의 백제부흥군과 왜의 구원군의 패전은 많은 백제유민을 낳았다. 이 유민들은 왜에 거주하게 되는데 야마토왕권은 이들과 함께 언제 들이닥칠지 모르는 당과 신라연합군의 공격에 대비하는 태세를 갖추게 된다. 또 백촌강 이후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지배체제의 재편을 맞이한다. 당, 신라, 일본의 3국체제는 지금의 한, 중, 일의 원형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백촌강싸움은 백촌강 이전보다 오히려 자신의 입장을 강화시켜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이것이 신생 일본의 ‘대한반도우위관’으로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의도를 상징적으로 표상해 주는 것이 다름 아닌 ‘백제왕씨’의 존재였던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