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소비에트 체제의 관리에 관한 논쟁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9 아태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reviews current academic debates about the management of the Soviet system held in 1920-30s. The nature of the debate that took place immediately after Russian socialist revolution went beyond its time and place. By reviewing the thoughts of Vladimir Lenin, Iosif Stalin, Alexander Borganov, Nikolay Buharin and Alexei Gastev, this article will shed some light on the nature of the debate. In terms of analytic method, I investigate two mechanisms, the management mechanism and self-organizing mechanism, as key factors for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Any public body can be considered as a system containing two mechanisms - management and self-organization - together form a single mechanism of its adaptation and development. The core of the debate about the management of Soviet state results in the correlation of self-organization.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Soviet state and the period of war, communism had been exhibited as an extreme imbalance of the system. To stabilize the state of the system, the management mechanism was adapted to the system. The management mechanism has been understood primarily as the homeostasis machinery, the mechanism to reduce the level of disorder of the system. When new economy policy was installed,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subject attempting to extend managing power and the object attempting to extend self-organizational power. After industrialization and collectivization policy had been executed, the term of ‘управление’ was interpreted as ‘scientific control of social system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people’. The meaning of this term was acknowledged as the totalitarian nature, denying the self-organizational power of the system. Meanwhile, the controversy about national management was linked with Lenin's successor and to political, factional issues. Thus, the nature of the dispute included the features political struggle, and went far from the academic and political discourse. 이 논문의 목적은 1920-30년대 소련에서 진행된 국가 관리에 관한 논쟁과 그 성격을 고찰하는 것이다.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혁명 직후 진행된 이 논쟁은 그것이 일어났던 시간과 장소를 훨씬 넘어서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 논쟁의 주요 축이었던 새로운 국가 관리 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레닌, 스탈린, 보그다노프, 부하린, 가스쩨프, 프레오브라젠스키 등의 사상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시스템의 안정과 발전을 둘러싸고 형성된 관리 메커니즘과 자기조직화 메커니즘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이후 소련의 국가성격을 규명하는데 중요하다. 소비에트 국가 관리에 관한 논쟁의 중심은 관리와 자기조직화의 상관관계로 귀결된다. 소비에트 관리의 형성 시기와 전시공산주의시기에 시스템은 극도의 불균형 상태에 놓이게 되고, 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관리 메커니즘이 최대한 작동되었다. 이 관리 메커니즘은 사이버네틱스 논리에서처럼 시스템을 정돈하는 메커니즘으로, 항상성 기계로 주로 이해되었다. 이후 신경제정책 시기에서 관리 주체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와 사회적 객체의 자기조직화 경향이 충돌하면서 관리와 자기조직화 간 경향이 상충되었다. 이어 산업화, 집단화 과정에서는 ‘관리’라는 용어는 ‘사회의 과학적인 관리로 보장되는 인민의 복지 증진’으로 해석되면서 자기조직화를 부정하는 전체주의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하지만 특수한 상황에서 벗어나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는 초기에, 평형상태로 진입하는 진입로에서 스탈린은 오히려 지령적 관리를 구축, 유지하는데 몰두하게 되었다. 선례도 없었던 러시아에서 근대화는 ‘대도약’, ‘사회주의’의 길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명령경제는 명령-정치 체제를 요구하게 되고 그것은 함께 등장했다가 함께 몰락하게 되었다.

      • KCI등재

        환동해 지역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1

        This paper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regionality(reality of a region)" of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simultaneously influenced by the glocalization process - the recursive relations between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territorial boundary of East Sea Rim region includes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western coast of Japa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and the far-eastern region of Russia. East Sea Region has been experienced the dynamic regionality. Researchers an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now face to the necessity of conceptualizing this new feature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y need to conceptualize East Sea Rim region as a multi-layered region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regionalization process, which is recently discussed as a new concept, "regionness"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When a certain region enters into the process of glocalization, the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field in which self-organization process(active and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is continuously operating. Therefore, for fully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East Sea Rim region, it is pre-requisite to recogniz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ed and stratified fea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 certain region, it is necessary to shift our epistemological paradigm to a new one that implies trans-national and relational network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이 논문의 목적은 세방화(glocalization)의 맥락에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환동해지역의 실재(reality), 즉 지역성(regionality)을 새로운 개념인 ‘지역성(regionness)’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환동해지역은 일반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반도 동해안, 일본의 서해안, 중국의 동북 3성, 러시아 극동지역을 포함한 범위다. 오늘날 이 지역은 다양한 지역성을 내포하고 있다. 세방화 맥락에서 이 지역은 영토에서부터 네트워크 개념까지 매우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하다. 본고는 환동해지역의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지역화 과정을 중층적으로 관념화하고, 동시에 그 실재를 ‘지역성’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여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따라서 환동해지역의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이 전제돼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지역의 실재를 국가 중심 단위의 실체적인 영토성뿐만 아니라 탈영토적이고 구성적인 관계성을 함께 지닌 환동해 지역의 중층성을 고찰하기 위한 개념화 작업의 일환이다.

      • KCI등재

        일본의 환동해 구상 및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academic research focusing on “East Sea Studies” and “Japan Seaology” in Japan. There ar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East Sea Rim region as an research agenda: the region of four countries (North and South Korea, Russia, China, and Japan)’s interests conflicting area, historical complicated region reflecting of contradiction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and the Cold War and post Cold War period, furthermore, the space of reality in which each country has implemented its own public policies based on regional situation in terms of political geology and political economy. No matter that there is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four countries and whether scholars focus on studying about regional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or not, this East Sea Rim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significant area being worthy to be studied in the systemic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The high level of public concern about East Sea Region has provoked to the necessity of studying the region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t has been recognized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that, for the sake of searching a new research paradigm for East Sea Regional Studies, reviewing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such as Japanese East-Sea Rim studies and research designs can be considered as a prerequisite for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in this academic field. The main feature of Japanese regional studies relating to East-Sea Rim area, Japanese scholars are tend to focus on more practical policy issues such as the issues of dynamic relations rooted in the problems of modern and post modern society. It is appropriate time to search out new research paradigm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which would help us recognize the nature and reality of East Sea Reg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환동해 구상 및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환동해 지역이란 동해를 둘러싼 한반도·중국·일본·러시아의 이해가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며 근대/탈근대, 냉전/탈냉전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역내 국가들의 지정학적·지경학적 정책이 복잡하게 전개되는 실재로서 장이다. 실질적인 협력이 존재하든 하지 않던, 경제적 차원․정책적 차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던지 간에 환동해 공간은 실재적인 장으로서 학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대상이다. 환동해에 대한 관심이 이제 학문적 차원으로 전환될 시점에 이르렀다. 한국의 환동해 지역연구 모색 과정에서 동 공간에 대해 선행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일본의 환동해 구상 및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필요한 작업이다. 일본의 환동해 연구는 다양한 근대/탈근대 문제를 제기하면서 현재 형성되고 있으며 실천을 지향하고 있는 실학 성격을 띠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고 적응하여 구성되는 세계, 즉 환동해 지역의 실재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러시아에서 한국학의 현황 및 과제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6 아태연구 Vol.1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의 발전과 환경을 평가한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새로운 세계화시대는 시간과 공간이 압축되어있다. 세계화는 우리의 일상에 영향을 끼치며, 사회과학은 새로운 관점에서부터 다양한 현상들에 접근하려 시도한다. 한국학은 언어,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문화에 이르는 한국에 관한 분야들을 공부하고 발전시키는 학문이다. 최근 한국학이란 용어는 이런 이유로 일반화되었다. 한국학이란 한국 문화의 역사적인 관점일 뿐만이 아니라 사회과학, 인간에 관한 다양한 포괄적인 연구를 뜻한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은 외국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한국과 러시아의 지리적 이점 때문에,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은 오래되고 뿌리가 깊다. 이런 점에서, 특히 러시아 극동지방에선 한국학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최근의 한국학 연구의 급격한 증가는 러시아의 재정적인 지원의 부족으로 침체된 것 같다. 한국에서 러시아는 정치, 경제적인 이유로 중요한 관심 지역이다. 러시아에서 한국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선 학문적 협력과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러시아에서의 한국학 진보를 위해서는 한국과 러시아 사이의 새로운 시대와 관계에 상응하는 새로운 한국학의 주체성이 러시아 내에서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환동해 복합관계망의 개념화에 대한 일고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5 아태연구 Vol.22 No.2

        This paper attempts to conceptualize regionality of East Sea Rim based on the notion of a complex relationship and its network. Modern philosophy demands more weight to be put on the notion of a relationship than the notion of substantiveness in such a study. Relational conceptualization is widely accepted in the discussion of region as an entity and perception. There is a multiplex of actors such as the state, market, civil society and locals that interact at global, regional, state and local levels. There is multiple stratification of the process of nationalization, reg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However, the perception on a region’s multi-layered relationship varies from the center of entity to its connectivity. As the notion of region has expanded from territory based idea of nation-state to network-oriented supranational concept, discourse on special aspect of region has also been justifie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uch a new perspective that can explain this development in more comprehensive terms can be found in such theoretical terms as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regionality of East Sea Rim. 이 논문의 목적은 환동해 지역성을 복합관계망으로 개념화하는 작업에 있다. 현대 학문적 사유에서 실재의 ‘실체’보다는 ‘관계’에 중심을 두는 관계론이 힘을 얻고 있다. 지역에 대한 존재론적·인식론적 논의에서 관계적 개념화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환동해에서 국가, 시장, 시민사회, 지방 등 다양한 관계자가 지구-지역-국가-지방 차원에서 상호 관계하면서 국가화-지역화-지방화 수준의 중첩성이 심화되고 있다. 지역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은 주체 중심에서 연결 중심까지 매우 넓게 펼쳐져 있다. 지역성이 영토 중심의 민족국가 관점에서부터 연결망 중심의 탈국가 관점까지 다양하게 환원되면서 특수한 지역담론이 상황에 따라 정당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이 복합관계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