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 센서 및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EMC 유효 경화 수축 측정

        백정현,박동운,김학성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22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9 No.4

        최근 반도체 패키지 두께가 점점 얇아짐에 따라 휨(warpage)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휨(warpage)은 패키지 구성요소들 간의 물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휨(warpage)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된 구성요소인 EMC(Epoxy molding compound)의 정확한 물성 파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EMC는 경화 공정 중 경화 수축을 보이는데, 겔점이후에 발생하는 유효 경화 수축은 휨(warpage) 발생의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소실계수로부터 실제 반도체 패키지 경화 공정 동안 발생하는 EMC의 겔점이 정의되었다. 유전 센서로부터 얻은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험과 rheometer 시험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유전 측정법이 EMC 경화상태 모니터링에 효과적인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유전 측정과 동시에 광섬유 센서를 이용해 EMC의 경화 공정 중 변형률 변화 추이가 함께 측정되었다. 위 결과들로부터 경화 공정 중 발생하는 EMC의 유효 경화 수축이 측정되었다. Recently, as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thinner, warpage has become a major issue. Since the warpage is caused by differences in material properties between package components, it is essential to precisely evaluate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EMC(Epoxy molding compound), one of the main components, to predict the warpage accurately. Especially, the cure shrinkage of the EMC is generated during the curing process, and among them, the effective cure shrinkage that occurs after the gelation point is a key factor in warpage. In this study, the gelation point of the EMC was defined from the dissipation factor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sensor during the curing process similar with actual semiconductor package. In addition,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est and rheometer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electrometry measurement. As a result, the dielectrometry was verified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monitoring the curing status of the EMC. Simultaneously, the strain transition of the EMC during the curing process was measured using the FBG (Fiber Bragg grating) sensor. From these results, the effective cure shrinkage of the EMC during the curing process was measured.

      • KCI등재

        초박형 반도체 패키지의 EMC encapsulation을 위한 경화 공정 개발

        박성연 ( Seong Yeon Park ),온승윤 ( Seung Yoon On ),김성수 ( Seong Su Kim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1 Composites research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면상 발열체인 CNT Heater를 이용한 EMC 패키지 경화 공정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Hot Press 공정과 CNT Heater 공정 시스템을 통해 제작한 EMC/Cu Bi-layer 패키지의 성능을 비교하여 CNT Heater 공정 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NT Heater 공정의 경화 사이클을 도출하기 위해 Rheometer를 이용해 EMC의 점성을 측정하였다. 앞서 언급한 두 공정에 의해 성형된 EMC/Cu Bi-layer 패키지에서 EMC 내부의 Void를 광학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C-Scanning Acoustic Microscope와 3D-Digital Image Correlation를 통해 EMC/Cu Bilayer 패키지의 계면 Void와 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EMC 내부 및 EMC/Cu Bi-layer의 계면에서 Void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상온에서의 휨 크기, Zero 휨 온도와 휨 크기 변화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Curing process for Epoxy Molding Compound (EMC) Package was develop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EMC/Cu Bi-layer package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Hot Press process system and Carbon Nanotubes (CNT) Heater process system of the surface heating system. The viscosity of EMC was measured by using a rheometer for the curing cycle of the CNT Heater. In the EMC/Cu Bi-layer Package manufactured through the two process methods by mentioned above, the voids inside the EMC was analyz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In addition, the interfacial void and warpage of the EMC/Cu Bi-layer Package were analyzed through C-Scanning Acoustic Microscope and 3D-Digital Imag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either void in the EMC interior nor difference in the warpage at room temperature, the zero-warpage temperature and the change in warpage.

      • KCI등재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교통지역 비점오염원 EMCs 산정 연구

        권헌각,임태효,이재운,정현기,이춘식,천세억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중 교통지역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된 비점오염원 부하유출 결과를 검·보정 자료로 적용하여 SWMM 모형을 지점별로 구축하였다. SWMM을 통해 모의된 EMCs값의 변동범위는 BOD, CODMn, SS, T-N, T-P 농도가 각각 5.7∼14.4 mg/L, 12.9∼59.6 mg/L, 13.74∼46.20 mg/L, 2.03∼5.21 mg/L, 그리고 0.117∼0.415 mg/L이었다. 또 이 결과를 현장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실측치에 대한 모의치 오차(%)가 각각 4.2%, 4.8%, 2.3%, 5.7%, 14.4%으로 총인의 14.4%를 제외하고 오차범위가 10% 이하이었다. 문헌조사 결과와의 비교에서도, BOD, T-P의 경우는 문헌조사 농도변화 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CODMn, SS의 경우 범위보다 낮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T-N의 경우 범위보다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기존 문헌이 조사된 시기와 토지이용형태 가 달라진 최근의 비점오염원 유출 농도를 장기 모니터링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 모의 된 EMCs의 경우 실측값을 잘 대변하였다. 따라서 문헌 결과와의 일부 차이는 조사 시기별 토지이용 형태에 의한 차이로 보이며, 향후 좀 더 다양한 강우사상 및 지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대푯값으로 적용할 수 있는 EMCs를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long term monitering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runoff is conducted at the area of transportation related and EMCs(Event Mean Concentrations) in terms of water quality items, such as BOD, CODMn, SS, T-N and T-P are determined for each not only runoff event and but also observation site. On the other hands,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model is constr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in the transportation areas selected.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SWMM is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simulated EMCs was compared with observed EMCs by monitoring and prior studies. SWMM applicability estimation was Using the compared result.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ed that BOD 5.787 ∼ 14.475 mg/L, CODMn 12.946 ∼ 59.611 mg/L, SS 13.742 ∼ 46.208 mg/L, T-N 2.037 ∼ 5.213 mg/L, T-P 0.117 ∼ 0.415 mg/L. And a differential between simulated EMCs and observed EMCs is too low so comparing result show high fit(BOD 4.27 %, CODMn 4.87%, SS 2.31%, T-N 5.78%, T-P 14.45%). A results of compared with the prior studies, BOD and T-P are included range of prior studies, CODMn and SS are lower than range of prior studies, T-N is higher than range of prior studies. Differential between simulated EMCs and prior studies EMCs was showing for survey seasonal and changing land-use, so from now on, EMCs of using the internal representatives value will be calculated by more monitoring toward various precipitation events.

      • KCI등재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농업비점오염원 강우유출수 내 유량가중평균농도의 통계학적 분석 및 고찰

        고현우(Hyeon Woo Go),주진철(Jin Chul Joo),이동휘(Dong Hwi Lee),안채민(Chae Min Ahn),최선화(Sun Hwa Choi),강의태(Eue Tae Kang)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험조건 및 토지이용형태에서 조사된 농업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강우유출수를 논, 밭, 고랭지 밭, 비닐하우스로 구분한 후, 각 수질항목에 대한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값을 통계학적으로 비교 · 분석하여 정량 · 정성적 특징을 규명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하천 수질의 기여도 산정 시 보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원단위(unit loads)는 환경부 오염총량기술지침(2019)원단위와 비교하여 산정된 원단위 범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방법: 다양한 연구에서 조사된 EMCs 및 원단위를 토지이용형태에 따라 논, 밭, 고랭지 밭, 비닐하우스로 분류하였다. 이후 토지이용형태별로 분류된 EMCs와 원단위 데이터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 분석하였다. EMCs 값의 경우, ‘수질인자들의 토지이용형태별 EMCs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다르지 않다’인 귀무가설을 수립하고 통계학적 분석 결과 이분산으로(p< 0.05)으로 조사되어 Welch-test 검정법을 활용하였으며, Games-Howell 방법을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원단위는 환경부 오염총량기술지침(2019)원단위와 비교 · 검토하였다. 결과 및 토의 : 논, 밭, 고랭지 밭, 비닐하우스의 토지이용형태별 모든 수질항목에서 토지이용형태에 따라 다양한 EMCs 값을 나타냈으며, 대부분의 수질항목에서 고랭지 밭 > 밭 > 비닐하우스 > 논 순으로 EMCs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모든 수질항목의 변동계수(CV) 값은 0.5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농업비점오염의 경우 여러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따른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EMCs 값이 매우 다양하고 편차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사후분석 결과, 모든 수질항목에서 각기 다른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토지이용형태 뿐만 아니라 계절, 강우량, 선행무강우일수, 강우 유출률 등의 자연적요인과 경작주의 조작형태, 배출경로, 작물의 종류, 퇴비의 양 등의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고랭지 밭의 경우 경사도라는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모든 수질항목에서 다른 토지이용형태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도출되었다(p< 0.05) 결론: 논, 밭, 비닐하우스 대비 오염도가 매우 높은 고랭지 밭에 대한 대책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토지이용형태 뿐만 아니라 계절, 강우량, 선행무강우일수, 강우 유출률 등의 자연적 요인과 경작주의 조작형태, 배출경로, 작물의 종류, 퇴비의 양 등의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확보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from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vestigated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evaluated among different land use types (e.g., paddy, field, field (alpine), and vinyl house), and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for each water quality parameter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calculating the contribution of stormwater runoff to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y by perform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unit loads calculated were compared with Ministry of Environment TMDL (2019)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ed unit loads. Methods : EMCs and unit loads investigated in various studie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paddy, field, field (alpine), and vinyl house. Among various land use types, EMCs and unit load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EMCs, a null hypothesis is that ‘EMC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mong different land use types are not differen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α=0.05)’.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heteroscedasticity (p<0.05) and Welch-test method were consequently applied, and post hoc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Games-Howell method. Finally, unit loads was compared and reviewed against the TMDL (2019) unit load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sults and Discussion : Various EMCs in all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found among different land use types (i.e., paddy, field, field (alpine) and vinyl house). For most water quality parameters, EMCs tended to decrease in the order of field (alpine) > field > vinyl house > paddy. The coefficient of variance (CV) values of all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0.5 or greater. Based on these results, EMCs in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re very diverse and deviated due to the combin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Post hoc test results indicated different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all water quality parameters. In addition to the land use types, both natural factors (i.e., season, rainfall, antecedent rainfall day, and, rainfall runoff rate) and artificial factors (i.e., cultivator manipulation, emission route, type of crop, and amount of compost)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eld (alpine) with prominent topographical feature of slope, and EMCs were statistically greater than those from other land use types in all water quality categories (p<0.05). Conclusions : Countermeasures for field (alpine)with greater EMCs than paddy, field and vinyl house, should be performed priority. EMCs were affected by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natural factors (i.e., season, rainfall, antecedent rainfall day, and, rainfall runoff rate) and artificial factors (i.e., cultivator manipulation, emission route, type of crop, and amount of compost), and additional data and research are required for further study to elucidate these complex interactions.

      • KCI등재

        축사 주변지역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황정석(Jeong Suk Hwang),박영기(Young Ki Park),원찬희(Chan Hee Won)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8

        본 연구는 초기 강우시 축사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강우 유출수와 함께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강우량에 따른 유출특성 중 수리·수문-농도곡선 분석결과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첨두 유량이 발생한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축사주변지역에서의 유량평균가중농도(EMCs)는 TSS EMC 146.80∼424.95mg/L, COD EMC 11.64∼55.66mg/L, BOD EMC 6.66∼49.88mg/L, T-N EMC 7.650∼43.825mg/L, T-P EMC 0.711∼3.855mg/L였다. 또한 TSS와 BOD, COD, T-N 그리고 T-P의 오염물질별 상관계수를 분석해보면 0.53∼0.95를 나타내었으며, 정량화 된 EMCs와 강우 유출량(㎥) 등 다른 요소들간의 회귀분석을 통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3차 다항식으로 설명되었으며, 물질별 결정계수는 TSS 0.767∼0.835, T-N은 0.773∼0.901로 비교적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두 항목간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강우유출량이 많을수록 EMC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추후 강우유출량을 모니터링하면 유출량에 따른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research,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that occur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livestock area. The analysis on the hydro- and polluto-graph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ollution gradually increased as the flow rate increased and, after reaching the peak flow rate, the flow rate dropped drastically. For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in the lower reaches of livestock area, TSS EMC was 146.80∼424.95mg/L, COD EMC 11.64∼55.66mg/L, BOD EMC 6.66∼49.88mg/L, T-N EMC 7.650∼43.825mg/L and T-P EMC 0.711∼3.855mg/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ollutants, TSS and BOD, COD, T-N and T-P had correlations at a 0.53∼0.95 confidence leve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EMC (mg/L) and storm runoff (㎥), the correlation was well explained by a Cubic regression. In addition, among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TSS and T-N were relatively high, at 0.767∼0.835 and 0.773∼0.901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EMC goes up as the storm runoff increa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EMC can be foreca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unoff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a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that occur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livestock area.

      • KCI등재후보

        교통관련 토지이용에서의 강우계급별 EMC 산정

        이소영,Marla C. Maniquiz,최지연,김이형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2

        비점오염원에 의한 4대강의 오염부하율은 2004년 기준으로 22~37 %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60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지속적인 점오염원 관리와 더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하천의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환경부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하여 수생태계의 입장에서 수질개선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비점오염원 관리에 관심을 쏟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발생되어 유역의 특성 및 다양한 강우인자들의 영향을 받아 불확실성이 매우 크기에 오염물질별 EMC 및 부하량 산정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니터링 지점으로 국도와 주차장을 선정하여 최근 3년 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오염물질별 EMC산정과 함께 모니터링 지점에 대한 강우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산정된 EMC를 강우계급별로 나누어 EMC를 재 산정하였다. 그 결과, TSS의 평균 EMC는 강우계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 10 mm 이하의 강우에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강우특성이 반영된 EMC를 산정하여 제시함으로써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효율적 규모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tribution of pollutant loadings from non-point source (NPS) to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exceeded 22~37 % of the total loadings in 2004 and is expected to reach 60 % in 2020. Most of NPS loadings are coming from urban areas, especially from paved area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rate, many types of NPS pollutant are accumulating on the surface during dry periods. The accumulated pollutants are wash-off during a storm and highly degrading the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ies. For this reason,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MOE) developed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program to protect the water quality by managing the point source and NPS loadings. NPS has high uncertainties during a storm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watershed areas.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can affect on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mass loadings, flow rate, et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EMCs for rainfall ranges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such as road and parking lot. Two sites were monitored over 45 storm events during the 2006/06 through 2008/10 storm seasons. Mean TSS EMCs decrease as rainfall ranges increase and highest at less than 10mm rainf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scale of BMP facility considering specific rainfall range.

      • KCI등재

        국방 EMP 방호능력의 효율적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

        정승훈,안재춘,황영규,정현주,신용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Current military command information system uses electronic equipment a lot on which semiconductor chip is attached. It seems its' importance will increase more with lates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ing. Electronic equipment which uses electricity contains regular tolerance to high output electric signal. And EMC specification is the standardized of this electronic equipment's tolerance. On the other hand, the Institute of Atomic Energy Research has ever declared that high output electromagnetic pulse(EMP) will be broken out within the radius of 170Km when 10kt nuclear explosion occurs at an altitude of 40Km above Seoul. Then, the region suffer from the damage of most electronic equipments. Therefore, the norm to protect the influences in that case is defined by EMP protection specification. Most common electronic equipments meet the EMC norm, but there is no way to check whether they meet the EMP norm or not. That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y meet EMP protection norm and is on the matter of cost. Except inevitable cases, there is no review of checking whether they meet the norm or not. Considering the above, in this research, we speculate about the measures to improve military EMP protection ability by analyzing the EMC-EMP correlation and checking the EMP protection ability of general electronic equipment through the analysis. 현재 군 지휘정보체계는 반도체칩이 장착된 전자기기의 활용도가 높으며, 최신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그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경우 고출력 전기신호에 대한 일정한 내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내성을 기준화 한 것이 EMC 규격이다. 한편 원자력 연구원에서는 서울 상공 100km지점에서 10kt급의 핵폭발이 발생할 경우 반경 170km 지역까지 고출력전자기파가 발생하여 해당지역 대부분 전자장비에 피해가 예상된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발생하는 영향을 방호하기 위한 기준은 EMP 방호 규격으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상용 전자기기의 경우 EMC 기준은 충족하지만 EMP 기준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없다. EMP 방호기준 충족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와 절차가 쉽지 않고 비용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EMP 방호기준 충족여부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EMC-EMP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일반 전자기기의 EMP 방호능력에 대해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EMP 방호능력 향상방안을 확인하였다.

      • 단일토지피복지역 EMC 복합토지유역 적용성 평가

        박현규 ( Hyun Kyu Park ),윤광식 ( Kwang Sik Yoon ),범진아 ( Jina Beom ),김영석 ( Young Suk Kim ),정재운 ( Jae Woon Jung ),최동호 ( Dong Ho Choi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국립환경과학원(NIER)은 2007~2014년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17개 지목에 대한 비점오염원 EMC값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EMC값의 복합지목 유역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은 영산강 수계의 풍영정천으로 유역의 면적은 68.93 km2이고 유로길이는 14 km이며, 토지이용은 도시 25.7%, 농업 46.9%, 산림 15.9%, 초지 6.0%, 기타 5.6%로 도시지역과 농업지역의 분포가 많은 유역이다. 풍영정천을 총 5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중 농촌 소유역(WJ), 도시소유역(JS), 복합소유역(PYJ)를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각각의 소유역별 토지이용비율은 월정교(WJ)에서 62%가 농경지, 도시 6.2%로 나타났고 장수천(JS)의 경우 농경지 28.7%, 도시 36.0%를 차지하고 있었다. 복합소유역(PYJ)은 도시 25.7%, 농경지 46.9%를 차지하고 있었다. 모니터링방법은 강우유출수 조사방법에 의해 수행하였으며, 연속적인 유량측정을 위해 자기수위계를 사용하였다. 초기 1시간은 등간격으로 채수를 실시하였고, 유출지속시간이 2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6시간, 4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임의조정하여 실시하였다. EMC적용성 검토를 위해 풍영정천 농업 소유역(WJ), 도시소유역(JS), 복합지역(PYJ)를 대상으로 2014~2016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 분석하였고, WAPLE 모델을 이용하여 부하량과 강우사상 직접유출 농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NIER EMC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면적가중 EMC와 비교하였다. 총 16개 강우사상 EMC값을 조사하였으며, BOD의 경우 실측 자료기반 EMC의 평균값은 농촌소유역(WJ), 도시소유역(JS), 복합소유역(PYJ)에서 4.23mg/L, 7.47mg/L, 6.53 mg/L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에 제시된 면적가중 BOD EMC는 WJ, JS, PYJ는 4.11mg/L, 5.27mg/L, 5.07mg/L로 나타났다. T-P의 경우 관측된 농촌소유역(WJ), 도시소유역(JS), 복합소유역(PYJ)에서 평균 EMC는 0.21mg/L, 0.22mg/L, 0.23 mg/L 나타났고 국립환경과학원의 면적가중 T-P EMC는 WJ, JS, PYJ에서 각각 0.77mg/L, 0.58mg/L, 0.71mg/L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A Low- Viscousity, Highly Thermally Conductive Epoxy Molding Compound (EMC)

        Bae, Jong-Woo,Kim, Won-Ho,Hwang, Seung-Chul,Choe, Young-Sun,Lee, Sang-Hyun The Polymer Society of Korea 2004 Macromolecular Research Vol.12 No.1

        Advanced epoxy molding compounds (EMCs) should be considered to alleviate the thermal stress problems caused by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elastic modulus of an EMC and by the mismatch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between an EMC and the Si-wafer. Though A1N has some advantages, such as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 A1N-filled EMC could not be applied to commercial products because of its low fluidity and high modules. To solve this problem, we used 2-$\mu\textrm{m}$ fused silica, which has low porosity and spherical shape, as a small size filler in the binary mixture of fillers.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ilica in the binary filler system reached 0.3, the fluidity of EMC was improved more than twofol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was improved 1.5 times, relative to the 23-$\mu\textrm{m}$ A1N-filled EMC. In addition, the values of the elastic modules and the dielectric constant were reduced to 90%, although the thermal conductivity of EMC was reduced from 4.3 to 2.5 W/m-K, when compared with the 23-$\mu\textrm{m}$ A1N-filled EMC. Thus, the A1N/silica (7/3)-filled EMC effectively meets the requirements of an advanced electronic packaging material for commercial products, such as high thermal conductivity (more than 2 W/m-K), high fluidity, low elastic modules, low dielectric constant, and low CTE.

      • 석문담수호 유역의 강우시 오염물질 발생특성

        김형중 ( Hyung Joong Kim ),함종화 ( Jong Hwa Haam ),홍대벽 ( Dae 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석문담수호 수질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석문담수호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간척농지배수와 주유입하천인 역천을 대상으로 강우시 수질을 조사하였다. 강우조사는 2009년 8월 20일 실시하였는데, 10:00시 1.0㎜의 강우를 시작으로 조사기간 동안 총 42.5mm의 비가 내렸다. 석문담수호 유역의 오염원을 살펴보면 인구는 총 59,979명인데, 분류식 및 오수처리 인구는 20.34%에 지나지 않아 생활하수가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고 있다. 토지이용은 유역면적 총 231.36 ㎢ 중 임야가 51.14%, 답이 21.21%, 전이 10.57%, 대지가 3.32%, 목장이 0.59%, 기타가 13.17%로서 임야와 농경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총 484.92㎥/day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축산의 경우 한우는 6,194두, 젖소 1,885두, 돼지 62,199두, 가금 352,530수가 사육되고 있는데, 규제미만은 한우가 44.58%, 젖소는 14.01%, 돼지는 2.73%, 가금은 0.29%로서 한우를 각 농가에서 소규모로 사육하는 경향이 많았다. 강우시 수질조사결과 농지배수의 경우 BOD는 16.8~28.5㎎/L를 보였으며, EMC농도는 19.99㎎/L를 나타냈다. COD는 18.6~25.1㎎/L(EMC 22.78mg/L)를, SS는 12.6~28.4㎎/L(EMC 22.94㎎/L)를, T-N 및 T-P의 경우는 각각 2.36~3.27㎎/L(EMC 2.99㎎/L), 0.18~0.48㎎/L(EMC 0.32㎎/L)로 조사되었다. 역천의 경우 BOD6.8~10.2㎎/L(EMC 8.72㎎/L), COD 10.2~13.8㎎/L(EMC 12.20㎎/L), SS 18.6~30.4㎎/L(EMC 24.65㎎/L), T-N 4.12~7.64㎎/L(EMC 6.91㎎/L), T-P 0.24~0.52㎎/L(EMC 0.40㎎/L)를 나타냈다. 또한 조사기간의 총 부하량은 농지배수의 경우 BOD 2,661.0kg, COD 3,031.6kg, SS 3,053.4kg, T-N 398.6kg, T-P 42.4kg, 역천의 경우는 각각 2,910.9kg, 4,069.8kg, 8,225.0kg, 2,303.9kg, 134.8kg으로서 농지배수보다는 주 유입하천인 역천이 석문담수호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과 수질의 변화경향을 보면 농지배수의 경우 SS와 T-P는 초기 강우 이후 유량의 증가와 함께 농도도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나머지 항목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역천의 경우도 SS와 T-P가 유량의 증가에 따라 농도도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유량과 오염부하율의 시계열 변화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즉, 모든 항목의 오염부하율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첨두 유량이 통과할 때 오염부하율도 최고값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았다. 각 수질항목별 비점오염 기여율은 농지배수의 경우 BOD는 52%, COD는 66%, SS는 83%를, T-N은 63%, T-P는 80%를 나타냈다. 역천의 경우는 BOD의 전체부하량중 비점오염원의 부하기여율은 86%, COD는 61%, SS는 75%, T-N은 72%, T-P는 50%를 나타내 농지배수와 역천 모두 비점오염물질의 기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석문담수호 수질관리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석문담수호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농지배수보다 주 유입하천인 역천이고, 역천의 경우 점오염원보다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석문담수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역천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