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퇴계전서]에 나타난 독서병통의 치료법

        신태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1 퇴계학논집 Vol.8 No.-

        The therapeutic method for Byeongtong in reading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the reading theories of Toegye. As he recognized that, if Byeongtong was not cured, the appropriate reading life can not be enjoyed. And then, it is thought that he perhaps discussed about the therapeutic method deeply and widely. The types of the therapeutic method have two strands: 'the general therapeutic method for the Byeongtong in reading', 'the comprehensive method for the Byeongtong in reading'. One aims at awakening the cosmological duty for the patients, the other aims at curing Almyojojang, Saryeobunnyo, Mugakbulcheol, Banseopsaui, Gollyuntanjo. It is found out that the two types have a noteworthy point. He mentioned that the Byeongtongs in reading were various and the therapeutic methods for that were also various. However, he emphasized that they were of same origin or root after all. If we accept his opinion that they derives from one root,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he certainly originated the therapeutic method integratively. If we assume that the therapeutic methods are based on treatments by func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integrative therapeutic methods are composed of layers with three steps. Jujungjijung is located in the layer of the first step, and the therapeutic method for the affected area and the comprehensive therapeutic method are located in the layer of the second step. Finally, in the layer of the third step, Hahaksangdal is located. These layers of the three steps have a duality. That is to say, the layers of the three steps contain the duality--both ideological aspect and actual aspect of method of cultivation--at the same time, in that Haugeup or Jungingeup are led up into Sangjigeup. 퇴계 독서이론에서 독서병통 치료법은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독서병통을 고치지 않으면 독서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독서병통의 치료법을 비중 있게 거론했으리라 생각된다. 치료법의 유형은 두 가닥이다. ‘독서병통 일반의 치료법’과 ‘독서병통 큰 줄기의 치료법’이 그것이다. ‘독서병통 일반의 치료법’은 환자에게 우주론적 사명감을 일깨우는 데 주안점을 두고, ‘독서병통 큰 줄기의 치료법’은 알묘조장, 사려분요, 무각불철, 반섭사의, 골륜탄조를 치료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두 유형을 보건대, 특이할 만한 사항이 발견된다. 독서병통도 가지가지이고 그 치료법도 가지가지라고 하면서도 뿌리는 결국 하나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독서병통과 그 치료법이 하나의 뿌리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면, 퇴계가 틀림없이 치료법을 통합적으로 창안했을 가능성이 높다. 기능별 독서병통 치료법에 입각하면, 통합적 치료법은 3단계의 층위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1단계의 층위에서는 주정지경이 놓이고, 2단계의 층위에서는 환부 치료법과 광역 치료법이 놓이고, 3단계의 층위에서는 하학상달이 놓인다. 이와 같은 3단계의 층위는 양면성을 지닌다. 종래에는 下愚級이나 中人級이던 위상이 上智級의 위상으로 발돋움한다는 점에서, 3단계의 층위는 수양방법의 관념적이고 현실적인 이중성을 동시에 담아낸다는 언급이 가능하다

      • KCI등재후보

        주자의 언어관과 중도의 독서론

        김기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Zhu Xi gave some metaphors for "language" in the "How To Read" part in Zhu Xi's Remarks. The exact number of his metaphors for language is 11 including the onion in layers, fabric weaved in blue and red yarn, food, flower, tree, paper box in layers, house, medicine, alcohol, and box. This study took interest in the fact that Zhu Xi talked about language directly sometimes and used metaphors for it other times. Why did he use these metaphors while saying language? What common features are there among these metaphors?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these questions and found that Zhu Xi used metaphors for language in order to secure a time and space gap of language. Securing a time and space gap of language means securing an epistemological time and space gap. In this space, possibilities in all meanings are allowed; certain privilege is denied which recognizes one and only meaning; there is the modesty of hesitation about a conclusion in certain meaning; and patience is allowed to wait for the new meanings of upcoming future. When such a time and space gap of language is secured, an epistemological chance rises. This chance allows for choosing the best meaning while giving permission to limitless possibilities. Epistemological roles are allowed through such a time and space gap of language, which is why Zhu Xi's reading was called reading of Jungdo(中道). 주자는 『주자어류』<독서법>에서 ‘언어’를 대신하는 비유를 보여주었다. 그는 언어에 대한 비유로 11가지를 말하였다. 겹겹이 쌓인 양파, 청실홍실로 짠 천, 음식, 꽃, 나무, 겹겹이 쌓인 종이 상자, 집, 약, 술, 상자 등이다. 본고는 주자가 언어를 직접 말하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비유를 사용했다는 점에 흥미를 두었다. 주자는 왜 언어를 언어라고 하는 동시에 이러한 비유를 사용한 것일까? 이 비유들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결국 주자가 언어에 대한 비유를 사용한 것은 언어의 시공간적 사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언어의 시공간적 사이를 확보한다는 것은 인식론적 사유의 시공간의 사이를 확보한다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공간 속에서 모든 의미의 가능성이 허용되며, 유일한 하나의 의미를 인정하고자 하는 어떤 특권에 대한 거부가 이루어지며, 특정한 의미로 단정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주저함의 겸손이 있으며, 도래하는 미래의 새로운 의미를 기다리는 현재의 인내 등이 허용된다. 이러한 언어의 시공간적 사이의 확보는 인식론적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기회는 다름 아니라 무수한 가능성을 허용하는 중에 최선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이다. 이러한 언어의 인식론적 역할이 허용되기 때문에 주자의 독서는 중도의 독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Applicability of the Duty to Read Rule to Non-English Speakers - With a Focus on the Discussions in the U.S. -

        공영호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6 No.-

        Under the duty to read rule, a person who signs a contract without reading it is responsible to the contractual term even though he did not read the term. The issue is whether this duty should be applied to non-English speakers who, due to their linguistic deficiency, could not read the contract which is written in English. A more specific issue arises when they enter into consumer contracts with various kinds of businesses and industries. These consumer contracts usually contain boilerplate terms in the forms of standardized or adhesion contracts which often contain unfavorable terms to the consumers. The boilerplate terms are difficult to comprehend and are neither given proper notice nor fully explained to the consumers. Thus, the consumers do not have a meaningful and voluntary choice in the bargaining process which can be equated with the lack of actual consent. However, since the consistent and predictable interpretation of contract terms is necessary to achieve the contractual purposes, the boilerplate terms should be recognized as valid and enforced as such, which is in accord with the freedom of contract doctrine. Boilerplate contracts play the important roles in the market system of mas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contractual bargaining processes are facilitated and streamlined because of the standardized form and boilerplate contracts which will lead to the reduction of transaction costs and merchandise prices for consumers subsequently. If the boilerplate terms must be overhauled as a whole, that could mean enormous in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national market thereby causing huge adverse effects to the national economy. The duty to read rule comes with several benefits such as the enhanced value of written contracts, the preservation of fairness to the seller, the protection of sellers' reliance interest, the enhanced predictability and enforceability of contracts and the incentive to read contracts. However, this duty is inapplicable if the consumer can prove the existence of fraud or unconscionability. It can be argued that the duty to read rule should not apply to non-English speakers. First, non-English speakers should be entitled to the same level of legal protection that minors and mentally incompetent people have. Even if they sign a contract, the other party cannot consider their manifestation as assent under the objective doctrine if the other party knew or had a reason to know that they are too young or mentally incompetent to contract. Second, non-English speaking parties should be excused from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duty to read rule because there is a high degree of difficulties and obstacles for the non-English speaking parties in proving the affirmative defense of fraud. On the other hand, the strict application of this duty is supported by Rest. § 19(3): “the conduct of a party may manifest assent even though he does not in fact assent,” and the contractual rule that the meaning of a term is to be interpreted under the more reasonable party's understanding. Non-English speakers should be bound by its terms as long as the seller did not know or had no reason to know that the non-English speaker would not have signed a contract if he had known that the contract contained a specific term. Also, when a non-English speaker signs a contract without seeking its translation,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other party to presume that the non-English speaker assents to the terms. It seems to be unfair and unjust to apply the duty to read to non-English speakers strictly due to their language barriers. So it is proposed that the duty to read rule be supplemented with the duty to provide translation by the contract drafters. Providing translation will be much more efficient for the sellers who have greater resources and are in a better position to articulate the contract terms than the non-English speakers who need to take time and efforts individually in translating or findi...

      • KCI등재

        Applicability of the Duty to Read Rule to Non-English Speakers

        Kong, Young Ho(공영호)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6 No.-

        미국 계약법상의 계약서를 읽을 의무에 의하면 계약서를 읽지 않고 서명한 당사자는 계약서 조항사항을 지켜야할 의무가 있다. 그런데 이 의무가 영어로 읽거나 말하지 못하는 비영어 사용자에게도 적용되어야하는 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이 쟁점은 영어 소통능력이 없는 소비자들이 기업이나 상인들과 체결하는 소비자 계약관계에서 더 부각된다. 소비자 계약서들은 주로 내용상으로 소비자에게 불리한 Boilerplate terms (표준계약조항)를 포함한다. 표준계약조항은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문구로 명기되어 있고, 소비자에게 충분히 공지가 안 된다는 문제점 때문에 상인과의 거래에서 소비자에게 자발적이고 의미 있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으며 계약 성립에 대한 사실적인 동의가 없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반면에 계약은 일관된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표준계약조항은 명기된 대로 지켜져야 하며, 이것이 계약의 자유 원칙에도 일치한다. 또한 표준계약조항은 대량생산과 유통구조에 의존하는 현대의 시장제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준화 계약과 부종계약을 활용함으로써 계약의 성립이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상인은 유통비용을 절감하게 되었고, 소비자는 더 저렴하게 상품을 구입하게 되어서, 양 측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또한 만일 표준계약조항을 무효화 했을 때 생기는 파급효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자유 시장 경제와 시장 효율성에 많은 악 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계약서를 읽을 의무는 서면 계약서의 가치를 높이고, 상인들에게 공정성을 보장하며, 표준계약조항에 정당하게 의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또한 이 의무는 계약서의 예측성과 실행성을 강화한다. 그리고 당사자가 계약서에 서명하기 전에 먼저 계약서를 읽도록 하는 인센티브를 준다. 반면에 이 의무는 소비자가 비양심성의 법리나 사기 같은 항변사유를 증명할 수 있으면 적용되지 않는다. 계약서를 읽을 의무를 비영어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것에 대한 찬, 반의 주장이 대립되는데, 먼저 미성년자나 심신미약자들이 계약서에 서명을 했을 지라도 상인이 상대방이 미성년자나 심신미약자라는 것을 주관적으로 인지 했다면 이 의무를 적용하지 않는다. 비영어 사용자도 이와 상당한 법적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또한 사기나 비양심성의 법리를 이용한 항변사유를 입증하는 것의 어려움 때문에 이 의무를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할 수 있다. 반면에 계약서를 읽을 의무를 비영어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것에 대한 찬성의 논의로서는 계약법상 계약 당사자의 실질적 동의보다 그의 외부적 행위가 계약 동의의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양당사자의 계약에 관한 이해는 더 합리적인 측의 이해에 따른다는 점이다. 만일 상인이 비영어 사용자가 어떤 특정한 계약 조항이 있다면 그 이유로 서명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인지하지 않았다면 비영어 사용자는 그 계약에 구속되어야 한다. 또한 비영어 사용자가 번역을 요구하지 않고 계약서에 서명한 경우에는 그가 계약내용에 동의한다고 추정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영어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의 부재 때문에 계약서를 읽을 의무를 비영어 사용자에게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고 본다. 그래서 이 의무는 상인의 번역 의무와 같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상인들은 표준계약조항을 포함한 표준화된 계약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정형화된 번역본을 준비하는 것이 비영어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계약서를 번역하거나 번역해줄 사람을 구하는 것 보다 사회적 비용 면에서도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의 북한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고찰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의 균열적 독해-

        오태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We have grasped the flexible aspect of North Korean society appeared in North Korean short stories of Kim Jung Eun era. In the "Eternal bosom", he shows two key agendas: 'patriotism of Kim Jong Il' and improvement of people's livelihood. The "Property" shows emphasis on the ‘speed’ but shows that the North Korean society is being compelled by ‘speed superpowers’. In the "My eternal lesson", we were able to critically read the reality of cultivating talented students who have a proficient teacher in literary,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as well as my major computer. In "Boseup Mountain", we were able to confirm the reality of North Korean society hoping for the fu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linking the launch of satellite and the love of youth. “The duty of the generation"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pursuit of public value of the parents' generation is a priority over the pursuit of the liberal living of the son generation. "The Trumpet Sound of the Temple" showed the ideals and reality of North Korean society that emphasized the ‘logic of love and peace’ as a philosophy to oppose war. The idea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 2018 is currently underway in the ongoing review of the denuclearization agenda. However, North Korean literature still reveals that the Cold War confrontation structure still exists,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anti - American slogans are revealed. However, the short story of North Korean society provides a room for reading the reality behind the scenes even under the censorship system of the party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real conditions that are diverging from the ideal of North Korean society are being revealed in various places. If we read this passage as a cracking gap reading, it can be said that we can encourage the literary interest to read the true fun of North Korean literature by looking at the result of human desire different from the social prospect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this method of subordinate reading will narrow the gap betwee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South Korean readers, which will be a way to extend the point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and contribute to the inter - Korean integration literature. 2018년 9월말 현재 김정은 시대의 북한문학은 변화의 기로에 놓여 있다. 2018년 1월 이후 전개되는 한반도 주변의 정세는 비핵화 의제를 둘러싸고 평화 체제 구축 분위기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남북 정상회담이나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된 분위기가 반영된 북한 문예물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2018년에도 여전히 부르주아 반동문화를 배격하며 주체 사실주의를 강조하는 가운데 ‘5대 교양’을 강조하며 사상 전선의 기수가 문화예술인임을 ‘김일성-김정일 시대’처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글에서 살펴본 문학 작품들은 북한 사회의 속살을 보여주면서 북한 사회의 유연한 면모를 가늠하게 해준다. 먼저 ‘김정은 시대의 이상과 현실’을 보여주는 두 작품 중 김하늘의 <영원한 품>에서는 ‘김정일 애국주의’와 인민 생활 향상이라는 두 가지 핵심적 의제가 김정은 시대의 주체문학의 방향이 될 것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리동구의 <성전의 나팔소리>에서는 북미 간 대결로 치닫던 2017년까지의 전쟁 고조 분위기를 확인하면서 전쟁을 반대하기 위한 철학으로서의 ‘사랑과 평화의 논리’를 강조하는 북한 지도자의 이상과 현실의 역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사회문화적 과잉과 결핍’을 보여주는 두 작품 중 전충일의 <재부>에서는 ‘희천속도’를 강조하는 북한 사회가 ‘속도 지상주의’에 강박되어 노동자들에게 노동 과잉을 강요하는 사회주의적 현실의 억압적 이면을 보여주고 있음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서청송의 <영원할 나의 수업>은 전공인 컴퓨터뿐만 아니라 문학, 체육, 음악에도 조예 깊은 교사가 훌륭한 인재임을 강제하는 인재 양성 현실의 모순적 이면을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셋째로 ‘공적 담론과 사적 욕망의 균열’을 다룬 두 작품 중 오광철의 <보습산>에서는 인공위성 발사와 청년의 사랑을 연동하면서 과학 기술의 미래를 희망하는 북한 사회의 욕망과 균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홍남수의 <세대의 임무>는 부모 세대의 공익적 가치 추구가 아들 세대의 자유주의적 생활 추구보다 우선하는 의제임을 통해 신념과 도덕 교양을 강제하는 북한 사회의 세대론적 책무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18년 한반도 평화 체제의 구상은 비핵화 의제의 지속적인 검토 속에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아직 북한 문학 작품 속에 반미 구호가 반영되어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 냉전적 대결 구조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하지만 북한 사회의 단편소설을 꼼꼼히 분석하면 당문학의 검열 체제 아래에서도 이면적 현실을 독해할 수 있다. 즉 북한 사회의 이상과 괴리된 현실적 조건들이 곳곳에서 암시적으로라도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목을 균열적 틈새 읽기로 읽어낸다면 북한 체제의 사회적 전망과 다르게 드러나는 인간적 욕망의 미세한 표정을 들여다보면서, 북한 문학의 진정한 재미를 확인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면적 독해의 방식이 북한 문학과 남한 독자의 간극을 좁혀 남북한 문학의 점이지대를 확장하는 방법이 되어 남북한 통합문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퇴계전서에 나타난 독서병통의 치료법

        신태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1 퇴계학논집 Vol.8 No.-

        퇴계 독서이론에서 독서병통 치료법은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독서병통을 고치지 않으면 독서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고 인식했기 때 문에, 독서병통의 치료법을 비중 있게 거론했으리라 생각된다. 치료법의 유형은 두 가닥이다. ‘독서병통 일반의 치료법’과 ‘독서병통 큰 줄기의 치료법’이 그것이다. ‘독서병통 일반의 치료법’은 환자에게 우주론적 사명감을 일깨우는 데 주안점을 두고, ‘독서병통 큰 줄기의 치료법’은 알묘조장, 사려분요, 무각불철, 반섭사의, 골륜탄조를 치료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두 유형을 보건대, 특이할 만한 사항이 발견된다. 독서병통도 가지가지이고 그 치 료법도 가지가지라고 하면서도 뿌리는 결국 하나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독서병통과 그 치료법이 하나의 뿌리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면, 퇴계가 틀림없이 치료법을 통합적으로 창안했을 가능성이 높다. 기능별 독서병통 치료법에 입각하면, 통합적 치료법은 3단계의 층위 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1단계의 층위에서는 주정지경이 놓이고, 2단계의 층위에서는 환부 치료법과 광역 치료법이 놓이고, 3단계의 층 위에서는 하학상달이 놓인다. 이와 같은 3단계의 층위는 양면성을 지닌 다. 종래에는 下愚級이나 中人級이던 위상이 上智級의 위상으로 발돋움 한다는 점에서, 3단계의 층위는 수양방법의 관념적이고 현실적인 이중 성을 동시에 담아낸다는 언급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