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Democracy in history education has not been emphasized although it is the important task of constitution, basic educational law and social studies to raise students as democratic citizens. The criterion of contents selection often is discussed in terms of scholarship, society and learner in history education. In the respect of scholarship, the knowledge related with history research is the criterion of important contents. There is national history in the center of it. Democracy is not the topic of contents. In the respect of society, history education does not deal with contents having concern with much aspect of value including democracy, not departing from national history. In case of learners, they are needed to be regarded to be positive citizen in pursuit of democracy, not to be mere knowledge-receiver of classroomAs the criterion of contents selection, I explained three things for constructing not national history but the history of democracy in worldhistory. Firstly, It is demanded to overcome the recognition of Euro-centrism that democracy is a unique product of modern Europe, characteristic of ideal type. So, democracy is on the process of becoming in both Europe and non-Europe. Many people over the world have been striving for democracy on many different conditions. Secondly, we often think that the democracy of non-Europe woke up from the long sleep with the help of the democracy of Europe. But it is not the case. Democracy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text, that is tradition of each society. Thirdly, democracy is not natural product as time goes on, but product derived from conflict and compromise.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s widening horizon of people’s sovereignty, the original meaning of democracy. The contents of Chinese history could be re-organized in accordance is the birth of nation, forming of emperor system of Qin-Han period, creation of country space by gentry in Song to Qing period, people’s political growth in the course of Xinhai Revolution and 5.4 M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New Democracy. 헌법, 교육기본법 상의 교육이념 그리고 사회과의 교육 목표가 민주시민 양성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역사교육에서 민주주의를 중심에 놓고 논의가 전개되고 못하고 있다. 보통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 기준을 학문적사회적학습자 측면에 논의되곤 한다. 학문적 측면에서는 역사학에서 중시하는 지식 체계가 중요도의 기준이고 그 내용의 중심에는 국가사가 자리하고 있다. 민주주의가 논의의 중심으로 설정되고 있지 않고 있다. 사회적 측면은 역사교육이 국가사나 민족사로부터 벗어나 민주주의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차원으로 논의가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학습자 측면은 학습자를 교실이란 공간의 지식 수용자라는 소극적인 존재가 아니라, 민주주의 사회에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구성원으로서 학습자의 존재를 보다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내용 선정 기준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국가사를 넘어서 세계사적 차원의 민주주의의 역사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민주주의가 근대 서양이 이룩한 ‘독특한’ 산물이라는 인식과 함께 서양의 민주주의를 이상화하는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유럽과 비유럽 모두 민주주의는 현재 진행형이며 각기 다른 조건 속에서 새로운 민주주의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녀와 야수의 설정처럼 비유럽 세계의 민주주의를 근대 유럽의 민주주의라는 미녀에 의해 오랜 잠에서 깨인 야수로 보는 것은 곤란하다는 점이다. 각각의 사회가 갖는 전통적인 맥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주주의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 아니라 갈등과 타협 속에서 이루어진 민주화의 역사이며, 그 중심에는 민주주의라는 말의 본 뜻인 ‘인민 주권’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상의 인식을 바탕으로 시론적인 형태이지만 중국사의 경우 국가의 탄생에서부터 진한대 황제를 지배의 정점으로 하는 지배 체제의 형성, 사대부와 신사 차원의 향리 공간의 창출, 태평천국운동과 신해혁명 그리고 54운동을 거치면서 민의 정치적 성장과 진출, 신민주주의의 전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 KCI등재

        한국인에게 민주주의는 무엇인가? : 한국 유권자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박영득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1

        The institutional consolidation of Korean democracy is widely agreed upon. However, the Korean voters’ understanding of democracy are known little, as is cultural foundations of Korean democracy.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conception of democr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orld Values Survey data, Korean voters ranked procedural democracy 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democracy, followed by substantial democracy and authoritarian features. Additio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cerns about national secur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uthoritarian conception of democracy, while concerns about unemployment have a sizable impact on the conception of substantial democracy. 한국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공고화되었다고 평가하는데는 폭넓은 합의가 존재한다. 그러나 한국 민주주의의 정치문화적 기반이 민주주의의 제도적 공고화 만큼이나 견고한지는 불명확하며, 한국인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도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어떤 차원으로 구성되어있는지, 민주주의에 대한 여러 이해가 존재한다면 그것이 왜 다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가치관조사에서 수행한 한국인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 유권자들은 민주주의 구성개념으로 절차적 민주주의, 실질적 민주주의, 권위주의적 요소 순서대로 민주주의에서 중요한 가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는 권위주의적 요소에, 실직우려는 실질적 민주주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민주주의라는 삶의 양식과 그 인간적 이상 : 한국 민주주의의 민주화라는 과제와 관련하여

        장은주(Eun-Joo Cha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그 동안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 치유의 방향을 모색해왔던 많은 접근법들은 민주주의를 일차적으로 특정한 지배의 형식이나 좁은 정치적 제도로서만 이해하려는 경향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 글은 민주주의를 단지 지배의 형식으로서만이 아니라 또한 하나의 삶의 양식으로도 이해하는 전체론적 접근법을 통해 우리 민주주의의 위기와 혼란을 좀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이해해 보고 우리 ‘민주주의의 민주화’를 위한 기획이 나아가야 할 좀 더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려는 한 시도다. 여기서 민주주의는 단순히 정치적이거나 경제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개인들의 정체성이나 인성, 사람들 사이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 방식이나 교통 형식, 심지어 사람들의 삶을 이끄는 문화적-도덕적 가치의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무엇보다도 민주주의는 모든 성원이 인간적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그 존엄의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는 ‘인간적 이상’에 비추어 이해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지금 우리 민주주의가 처한 위기는 바로 그와 같은 이상의 사회적 실현의 실패가 낳은 귀결이며, 그 극복을 위한 기획 역시 단순히 좀 더 완전한 정부의 형식이나 더 나은 대의민주주의 체제의 확립 같은 것만을 겨냥해서는 안 된다. 그 위기는 좁은 의미의 정치적-제도적 차원의 개혁을 넘어 전체로서의 삶의 양식 그 자체를 ‘인간화’할 수 있을 때에만 제대로 극복될 수 있다. 이 글은 우선 우리 민주주의 위기의 배경에 우리 사회의 근대화 과정을 이끌었던 유교적-근대적 도덕적 지평의 왜곡된 작용이 놓여 있음을 밝힌 뒤, 그 바탕 위에서 민주주의를 하나의 삶의 양식으로 이해한다는 것이 우리의 논의 맥락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왜 우리 민주주의의 민주화는 우리 시민사회의 일상적인 삶과 문화의 인간화라는 과제의 완수를 통해서만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차례로 살펴본다. Most studies having explored problems of korean democracy and their solutions have shown tendencies to regard democracy in its first place as a special form of government or the political institution in a narrow sens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provide an holistic approach which understand democracy not only as a form of government but also as a form of life, so that we can understand crisis and disorder of korean democracy in a more fundamental level and cope with the task of ‘democratization of democracy’ Korea"s more aptly. In this approach, democracy is seen, not merely in political and economical dimensions, but as linked with problems of personal identity or character, even of forms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of cultural-moral value horizon which lead people’s life. Democracy is understood in the first place under the light of ‘the human ideal’, according to which its all members have the guarantee for the equality of their dign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ir human capabilities without exception. So we can conclude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 crisis of Korean democracy is the result of the failure to realize this ideal in the korean society, and that the project to overcome that crisis must not just direct to getting a more perfect form of government or establishing a more better system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risis of Korean democracy can be overcome only through the ‘humanization’ of the whole form of life. After exploring that there is the pervert effect of the moral horizon of the confucian modernity Korea’s in the background of the crisis of democracy, this article examines what democracy as a form of life means in this context and argues that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democracy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humanization of ordinary life and culture of civil society.

      • KCI등재

        자유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조한상(Cho Han Sa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2

        Liberal-Democracy is one of the basic ideals which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dopts. Liberal-Democracy is very important, but controversy over it is not decreased. Above all, it is worring that skepticism about liberal-democracy is increasing on all sides. This paper attempted reinterpretation of liberal-democracy, and wanted to contribute to the loyalty of nation towards liberal-democracy. Liberalism is the ideology that is used for guarantee individual freedom. For possession of freedom,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interference or coercion of others. So individualism inheres in Liberalism. The ideology of liberalism says rationality and justification will be unfulfilled with conversation and discussion between rational citizens. It is the tendency to rationalism. However, there is a limit to liberalism to neglect participations of political groups, and non-political nature inheres in liberalism. Democracy is still uncertain idea, although its value is generally approved. With comparison with so called guardianship idea, it is a self-evident truth that democracy is most profitable political order for people. However, it is also a classical criticism that democracy may be vulnerable to guaranteeing freedom of people, and has tendency to totalitarian democracy. Both liberalism and democracy has its own value, but its own limitation. This paper want to maintain the paradoxical combination of liberalism and democracy. This combination means that liberalism and democracy coexist in conflicting context, and One should not make the other impotent. It is so-called antagonism state. With this combination and state, pluralistic competition around liberal-democracy as constitutional basic idea is possible.

      • KCI등재

        서양의 민주주의

        최갑수(Choi, Kab-soo) 한국역사연구회 2013 역사와 현실 Vol.- No.87

        Democracy was born in ancient Greece. Only recently several studies were announced that such order already appeared in Mesopotamia. But it is undeniable that the case of Athens was the most primary and fundamental example that should be examined in the history of democracy. Yet today, the democracy we have and enjoy and also operate nowadays, is a very different version compared to the democracy of ancient Greece. The two versions are even conflictive. It is clear that we have two ideological visions of democracy. One is "ancient democracy," and one is "modern democracy." The former refers to ‘the people"s direct control of themselves," while the latter refers to "democracy operated by representatives." These two vision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Why did this happen? This representative system is a totally different system from democracy, and hails back to the Feudalist days. At the times of the American and French revolut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time of birth for modern democracy, a representative system was mainly an opposite concept of democracy, and was rather a huddle for the people to reach the state of democracy. I do not believe that this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was embraced because modern states have larger territories and larger populations. The new leadership born with the revolutions were facing a different social situation, and were in need of seizing a new kind of Hegemony. So, democracy and the representative system was merged with each other in a very odd way, and that became the root of the so-called "crisis of democracy" we are witnessing today. The two democratic revolutions mentioned above were the birth of ‘modern democracy’ and the efforts to overcome it. The lessons learned back then shall prove useful in our efforts of resolving our own "crisis of democracy."

      • KCI등재후보

        민주주의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고찰: 대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심의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장희 헌법재판소 2018 헌법논총 Vol.29 No.-

        대의제는 민주주의의 불가피한 원칙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시에 대의제만이 유일무이한 민주주의의 실현 방법일 수도 없다. 민주주의의 본질이 ‘국민의 자기 지배’의 이상에 있는 이상 민주주의의 실현 방법은 끊임없이 이러한 본질에 다가가려는 노력으로써만 정당화될 수 있다. 대의민주주의가 단지 엘리트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그친다면 그것은 민주주의의 타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민주적 ‘참여’와 ‘심의’는 원칙적으로 의사결정의 민주적 정당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그것은 대의제의 보완제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국민의 민주적 참여를 민주성의 ‘양적 보완’으로, 국민에 의한 ‘심의’를 민주성의 ‘질적 보완’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다만 국민의 ‘참여’에 있어서는 참여자의 대표성이 문제 될 수 있으며, 또 국민에 의한 심의에서도 그 심의 결과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지가 문제로 남는다. 그래서 대의제 하에서 참여와 심의는 한편으로는 의사결정의 민주성을 강화하기 위한 불가결한 요소로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 그것은 결국 대의제 하에서 대표에 의한 구속적 결정을 통제하고 민주성을 보완하는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This essay has dealt with the meaning and essence of democracy in the constitu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relation among representative democracy, participatory democracy and deliberative democracy. As we know, a representative system is an inevitable principle of democracy.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not be the only way to realize democracy. The essence of democracy is ‘people's self-dominance,’ so how democracy is realized can only be justified through the continuous efforts to get close to it. If representative democracy only means elitism, it will inevitably lead to the fall of democracy. Thus,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can, in principle, be an alternative to enhance democratic legitimacy of decision-making, which can have meaning as a supplement to representative system in the constitution. However, we can understand the democratic participations of the people as a “quantitative supplement” of democracy and deliberations by the people as a “qualitative complement” of democracy. But some questions remain such as to whether the participant can be granted the qualifications as a representative or whether the outcome of deliberations is legally binding. Thus, on one hand, participations and deliberations by people under a representative system may be understood as indispensable components to strengthen the democratic nature of decision-making. At the same time, it will inevitably have the meaning of controlling binding decisions by representatives and supplementing democracy under a representative system.

      • KCI등재

        민주주의 비판으로서 ‘계급적 민주주의론’

        채장수 한국동북아학회 2013 한국동북아논총 Vol.18 No.3

        Cleary, marxist democracy has tendency to overset ‘common senses of democracy’ and provides ‘the limited but fundamental’ critic viewpoints on realistic problems caused by capitalism. Defining marxist democracy as ‘class democracy’, this study examined its radical arguments over the contemporary democracy. First, this study critically evaluated ‘the present democracy’ focused on neoliberalism and social polarization. And it tried to find theoretical weaknesses and partial validities of class democracy. Second,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rete meaning of class and basic points to be realized ‘class’ democracy in the class society. And it examined the claim on ‘proletariat as a universal emancipator.’Third, this study reviewed the assertion of class democracy on impossibility of ‘democracy for everyone’ through reviewing theories of ‘state type and state form.’ In the view of class democracy, state is only defined the political means of economic ruling class that support their class interests. And ‘democracy as state form’ restrained by ‘dictatorship as state type’ is unavoidably classified. 이 글은 마르크스주의 민주주의론을 ‘계급적 민주주의론’이라고 규정하면서, 민주주의 현재에 대한 비판으로서 이것의 급진적 논리를 살펴보았다. 민주주의의 ‘상식’을 전도하는 계급적 민주주의론은 ‘자본주의적 민주주의’가 야기하는 현실적 문제에 대한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냉정한 비판의 논리를 제공한다. 첫째, 신자유주의와 양극화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의 현재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계급적 민주주의론의 이론적 한계와 부분적 적실성을 모색하였다. 둘째, ‘계급(투쟁)’의 구체적 의미를 중심으로, 계급사회에서 민주주의가 ‘계급적’ 민주주의로 현실화되는 논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프롤레타리아트=노동자계급’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중심으로, ‘보편적 해방자’로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체성에 대한 주장을 살펴보았다. 셋째, ‘국가 도구론’과 ‘국가 유형론-국가 형태론’을 중심으로, ‘모두를 위한 민주주의’의 실현 불가능성을 부각시키는 계급적 민주주의론의 주요한 논리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국가는 경제적 지배계급의 이해를 정치적으로 실현시키는 지배도구로 규정되며, ‘독재’(국가 유형)의 규정을 받는 ‘민주주의’(국가 형태)는 필연적으로 ‘계급화’된다.

      • KCI등재

        헌정원칙으로서 민주주의: 공화주의적 이해 - ‘신공화주의’ 관점에서의 고찰 -

        강일신 한국법철학회 2015 법철학연구 Vol.18 No.2

        Korean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has gone through struggle with the severe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and political alienation of the citizen. New theories are emerging to deal with these problematic phenomenon from both sides, i.e.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which are based on a constitutional notion of ‘republicanism’. This paper aims to give new understanding on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by critically examining a theory of neo-republican democracy (hereinafter, the theory) and identifying its constitutional implication. The main idea of the theory is a contestatory influence to a constitutional order. It pursues ideal democracy not based on the consent of the people, but based on the people’s contestation on the government activity. This concept of democracy provides alternatives to theories such as interest group pluralism and communitarian participatory democracy. The principle of neo-republican democracy (hereinafter, the principle) recognizes that a key of democracy lies on ‘self-government people’, but it adds special value to ‘government for the people’ by mediating common good. The principle has a theoretical basis which could contribute materialization of a theory of sovereignty and democracy and surpass formal understanding of democracy by constructing a ‘deliberative’ participation system for realization of contestatory democracy and by requiring democratization in private sectors. Under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e principle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s to understand financial democracy as an operation principle ‘for the people’, surpassing ‘by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and helps broadening understanding educational democracy and economic democracy by making a request for democratization in social territory. Moreover,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justification to citizens’ exercise of the contestatory influence against the state action such as the jury system. Through this article,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complementary insights to lim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cluding alienation of citiz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egligence of private domination. 민주화 이후 과도한 사익추구와 정치과정으로부터 시민의 소외는 한국 민주주의를 괴롭혀 온 문제이다. 이에, 보수, 진보를 막론하고 ‘공화’라는 헌법적 개념에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견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글은 이른바 신공화주의 민주주의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헌법해석론적 함의를 확인함으로써, 헌정원칙으로서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갱신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신공화주의적 민주주의이론은 헌정질서에 대한 견제력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인민의 동의에 기반한 민주주의가 아니라 정부활동에 대한 인민의 견제에 기반한 민주주의의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민주주의 개념은 이익집단 다원주의, 공동체주의적 참여민주주의 이론에 대한 대안지점을 제공해 준다. 신공화주의적 민주주의원리는 민주주의의 핵심이 ‘인민의 자기지배’에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공공선을 매개로 하여 ‘인민을 위한 지배’에 핵심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신공화주의적 민주주의원리는 견제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심의적’ 참여제도 구축 그리고 사적 영역에서 민주화를 요청함으로써, 형식적 민주주의 이해를 넘어 주권론과 민주주의의 실질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헌법해석론상으로도 재정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방식을 ‘국민의 대표자에 의한’ 것을 초월하여 ‘국민을 위한’ 운용원리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사회영역에 있어서 민주화를 요청함으로써, 교육민주주의, 경제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갱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나아가, 배심제도 등을 통한 국가작용에 대한 시민들의 견제력 행사에 이론적 정당성근거를 제공해 준다. 이 글이 비판적으로 검토한 신공화주의적 민주주의이론은 자유주의적 대의민주의가 갖는 한계인 시민참여의 배제와 사적 지배의 방치라는 문제점에 대해 보완적 시각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교육

        강화정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troversy of the Kyohaksa history textbook in 2013 with the keyword of democracy and democracy education. First, I have taken a close look at the process of how the term ‘democracy’changed into ‘liberal democracy’ in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due to the suggestions from the The Association for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ppertaining to authors of Korean history textbook. The concept of liberal democracy’ is basically unclear. Furthermore, the terminology is rarely used in other social studies education course, In addtion, this one faces manifold problems that the changing progressesof terminology are undemocratic. According to Kyohaksa history textbook, liberal democracy means ‘liberal democracy system based on anticommunism’. Following onthe Kyohaksa history textbooks contemporary history description, liberal democracy was emphasized through 5·10 general elections and founding of liberal democracy thorough founding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aspect to protect the system after the Korean War. While other history textbooks described contemporary history after 1960 under the fact of oppression and resistance between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pro-democracy movement, Kyohaksa textbook, onthe other hand, minimizes the description of pro-democracy movement and describes that the reason why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had to damage the value of democracy was an inevitable choice due to communism. After announcing government approved textbooks, the countless factual fallacy in Kyohaksa textbooks were a big issue. After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a statement of recommended modification. After analyzing the content of recommended modification of 7 other textbook except Kyohaksa, they all resembled the historical view of New right. Through the recommended modifi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ced other Korean history textbooks with New right’s history by aggravating regression in the awareness1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본고는 2013년 많은 논란을 일으킨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민주주의와 민주주의 교육이라는 키워드로 살펴보려 한다. 먼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집필자들이 속한 한국현대사학회의 건의로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민주주의’가 ‘자유민주주의’로 변경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자유민주주의는 그 개념이 불명확하고, 다른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였다. 또, 용어 변경과정이 비민주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교학사 교과서에서 자유민주주의는 ‘반공에 기초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의미했다. 교학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에서 자유민주주의는 5.10총선거와 대한민국 수립을 통한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수립, 6.25전쟁과 체제 수호의 측면에서 강조되었다. 다른 한국사 교과서들이 권위주의 정부와 민주화운동 간의 억압-저항 구도 속에서 1960년 이후 현대사를 서술한 반면, 교학사 교과서는 민주화운동 서술을 최소화하고, 권위주의 정부가 민주적 가치를 훼손한 것을 공산주의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았다. 한국사 교과서 검정 발표 이후 교학사 교과서의 무수한 사실 오류가 문제가 되었다. 그러자 교육부는 8종 한국사 교과서에 수정 권고를 발표했다. 교학사를 제외한 7종 한국사 교과서의 수정권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는 뉴라이트의 역사관과 꼭 닮아있었다. 교육부는 수정 권고를 통해 한국현대사 인식의 퇴행을 조장하며 뉴라이트의 역사인식을 다른 한국사 교과서에 강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