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병에서 인지행동치료의 적용

        이동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2 신경정신의학 Vol.51 No.6

        Objectiv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reatment of schizophrenia was designed as a psychological therapy for treatment of drug resista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is therapy is currently being widely applied from early psychosis to chronic condi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main results of research articles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f schizophrenia and prompt practicing the therapy in Korean mental health services. Methods The important original and review articles were refer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in results of research from published international books, and the English website Pubmed was searched in order to update recent findings. This article reviewed the results of four areas of different phases and type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reatment of schizophrenia: drug resistant chronic patients, acute psychotic state, prodromal phase, and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Result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reatment of drug resista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an attenuate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s more than that for patients who receive supportive psychotherapy or treatment as usual. However, the effect appears to be less than previously expected, small to moderat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tients of acute psychotic state can reduce the time of recovery from acute psychotic symptoms by approximately 25%. The resul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tients of prodromal phase shows that the therapy can reduce the rate of transition to schizophrenia by up to one third. Group behavioral therapy has recently been tested. Group therapists have suggested that the therapy should be applied through the way of groups with relatively homogenous symptoms. However, whether the therapy can reduce the severity of hallucination in the voice hearer group is inconclusive. Conclusion Alongside pharmacotherapy for treatment of schizophreni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a distinct psychological therapy for attenuation of psychotic symptoms.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ppears to last for one year and requires additional therapeutic sessions after one year. The effect is not still clear in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reatment of schizophreni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reatment of schizophrenia should be practiced widely in the Korean mental health system. 조현병의 인지행동치료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정신병적증상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가장 체계적인 심리학적 치료 방법이다. 조현병의 인지행동치료를 통하여 전구기 정신증 환자부터 약물저항성 만성 환자까지 망상과 환청과 같은정신병적 증상에 일정 부분 호전을 가져올 수 있으며 사회적기능 회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는 약1년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후에는 부가적인 치료가필요하다. 집단 인지행동치료의 정신병적 증상에 대한 효과는 명확하지 않지만 비교적 동질적인 증상 집단을 대상으로치료를 시도하였을 때, 사회적 기능 회복에 대한 효과는 있는것으로 보인다. 조현병의 인지행동치료는 국내의 임상과 지역사회에서 활발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경화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 가운데 해당기관 사회복지사의 추천과 학교생활 부적응 검사 척도 50~70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받은 남아 4명이다. 연구는 2009년 9월 첫째 주부터 2009년 12월 마지막 주까지 주1회, 50~90분간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청소년지원센터의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는 도입단계(1~3회기), 실행단계(4~13회기), 종결단계(14~15회기)로 3단계를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부적응 아동들의 사회성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훈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그림 그리기, 돌려 그리기, 공동화 등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과 상호작용을 알고, 규칙을 지키고 결과를 받아들이며, 친구와 이야기하고 발표함, 경청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갈등다루기와 배려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친구를 놀리거나 다투는 등, 친구들과의 교류보다는 혼자 맴돌던 행동이 많이 줄고 공동화, 돌려 그리기 등 서로 협동하는 작업도 잘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이게 된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Yale의 행동평가척도 중 주의력결핍의 7문항의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주의집중력의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통해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아동들은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집중하기, 피드백을 통한 통찰,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통한 수정 및 통제 훈련을 받으며 친구의 말에 끼어든다거나, 방해한다거나, 책상 밑으로 기어 들어가는 등 과제를 중도에 포기하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료시간 동안에 집중하여 과제를 마치고 친구의 이야기를 적극 경청하며 끼어들지 않으며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에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단일사례이며 대상아동 선정에서 성별이 남아에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여아를 포함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후속연구로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ose four children were recommended by social workers of the center and their parents agreed to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showed under school life maladjustment test scale 50~90. The resear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90 minutes each session from first week of September 2009 to the last week of December 2009 at the art therapy room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is art therapy were composed of 15 sessions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1~3 sessions), Practice state(4~13 sessions), Termination stage (14~1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result examining sociality measu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from post-research is improved significantly. It means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ocial skill training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ainting, painting in turn, collaborative painting together. They acquired pleasure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how to interact with friends by abiding rules, accepting the results, talking with friends and making presentation and listening attentively. Thus, with the result showing reduction on the behavior of wondering about by oneself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as well as improvement on conducting co-operative tasks such as collaborative painting and painting in turn,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Secondly,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n the subcategory of 7 questions on inattention of Yale's Child Behavior Checklist between pre-research and post-research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at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During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children received amendment and control training by concentration, insight from feedback,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ols. They showed the reduction of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s which include quitting tasks midway and showwing inattentive behavior such as interrupting friends talking, distracting others, crawling under the desk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finish assignments with concentration during the sessions and also able to listen actively with attentive attitude, not interrupting. This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research being a single cas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iased to male children. Thus,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be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efficient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ich including female children as subjects.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의 인지적 모델에 관한 10문 10답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적 모델 중 하나인 인지적 모델은 근래 인지적 행동치료와 더불어 학계와 현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관심에 비해 문헌에 나타나는 인지적 모델의 관련 용어나 내용에서는 다소 혼란스럽고 모호한 측면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들을 다음과 같은 10개의 연구질문으로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지적 모델에 대한 혼란과 모호성을 줄여 보고자 하였다: 첫째, cognitive model의 가장 적절한 번역어는 무엇인가? 둘째, cognitive behavior therapy의 가장 적절한 번역어는 무엇인가? 셋째,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의 가장 적절한 번역어는 무엇인가? 넷째, cognitive therapy의 가장 적절한 번역어는 무엇인가? 다섯째, cognitive behavior therapy와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의 관계는 어떠한가? 여섯째, cognitive behavior therapy와 cognitive therapy의 관계는 어떠한가? 일곱째, cognitive behavior therapy와 cognitive intervention의 관계는 어떠한가? 여덟째, cognitive behavior therapy와 두 가지 대표적인 행동주의 이론(Pavlov의 반응적 조건형성 이론,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의 관계는 어떠한가? 아홉째, cognitive behavior therapy의 표적행동은 무엇인가? 열째, 인지적 중재에서 사용되는 기법들의 종류와 분류는 어떠한가? 인지적 모델의 연대적 고찰과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10개 질문을 논의한 후 10개 답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cognitive model, one of the conceptual model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long with cognitive behavior therapy. Compared with the considerable attention, however, there are some confusing and ambiguous aspects in related terms and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duce the confusion and ambiguity by transforming those aspects into 10 research questions and examining them systematically. The 10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a)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translated word for cognitive model? b)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translated word for cognitive behavior therapy? c)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translated word for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d)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translated word for cognitive therapy? 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f)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g)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cognitive intervention? h)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two representative behavioral theories(Pavlov`s respondent conditioning theory and Skinner`s operant conditioning theory)? i) What is the target behavior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j) What are the types and classification of techniques used in cognitive intervention? After discussing the 10 questions based on the chronological review and literature review of cognitive model, 10 answers were presented a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도박중독자의 인지왜곡에 대한 기독교인지행동치료

        박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0 No.89

        디지털 시대의 현대인들은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성취해야 할 업무와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으로 많이 힘들어 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중독성 있는 활동이나 중독 물질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중독의 현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특히 도박중독의 증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도박중독의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제도적인 조치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시에 중독과 관련된 학문적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도박중독의 치료를 위해 일반 심리치료적 접근이나 영성치료 및 목회적 돌봄 차원에서의 연구는 진행된 바 있으나, 도박중독의 인지왜곡을 기독교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이에 연구자는 도박중독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자 도박중독자의 인지왜곡을 기독교인지행동치료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들어가는 말에서는 도박중독의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과 선행연구를 살펴본 다음에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펴는 말에서는 첫째, 도박중독의 일반적인 이해 차원에서 도박중독의 원인과 증상을 살펴 보았고, 둘째, 도박중독에 대한 신학적 관점을 다루었으며, 셋째, 도박중독에 대한 치료적 방안에서는 기존의 심리치료적 접근과 영성치료적 접근을 소개하고 기독교인지행동치료적 접근의 필요성을 다루었다. 이어서 일반 인지행동치료의 한계를 설명하고 기독교인지행동치료와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인지행동치료가 내담자의 역기능적인 사고나 신념을 논박하여 기능적인 사고나 신념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면, 연구자는 기독교인지행동치료는 내담자의 역기능적인 사고나 신념을 판단하는 기준을 성경 말씀과 신학적 기반에 근거한다고 보았다. 또한 연구자는 기독교인지행동치료의 목표를 내담자의 인지왜곡을 성경적인 사고와 성경적인 언어 그리고 성경적 행동으로 수정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도박중독자들이 주로 생각하고 있는 7가지 인지왜곡의 유형을 제시했다. 이어서 연구자는 도박중독자의 일곱 가지 유형의 인지왜곡을 직면하고 권면할 수 있는 성경 구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도박중독자가 갖고 있는 인지왜곡을 모두 다루지 못했다는 점이며, 또한 도박중독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도박중독자의 정서적이고 충동적 욕구 등은 논의의 주제에 포함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어 도박중독의 예방과 치료에 많은 진전이 있기를 바란다. In the digital age, modern individuals are under a lot of pressure to achieve tasks and cope with interpersonal stress in order to survive in a competitive society. To relieve their stress, they tend to rely on addictive activities or substances.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of addiction that occur in modern society, the incidence of gambling addiction, in particular,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the problem of gambling addiction,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addiction is being consistently carried out. While research on general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spiritual therapy, and pastoral care for the treatment of gambling addiction has been conducted, there has been no research that has approached gambling addic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refore, the researcher aim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mbling addiction by approaching gambling addicts’ cognitive distortions through Christia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the introduction, the problem of gambling addiction and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and the need for the study was presented. In the opening, first, in terms of a general understanding of gambling addiction, the causes and symptoms of gambling addiction were examined. Second,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gambling addiction was discussed. Third, in terms of treatment approaches for gambling addiction, existing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herapies were introduced, and the need for a Christia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pproach was addressed. The researcher then explained the limitations of general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it and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urthermore,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goal of Christia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s to modify the client's cognitive distortions through biblical thinking, biblical language, and biblical behavior. Finally, the researcher presented seven types of cognitive distortions commonly held by gambling addicts. Following this, the researcher provided biblical verses that can confront and admonish the seven types of cognitive distortions in gambling addic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not being able to address all of the cognitive distortions held by gambling addicts and not including emotional and impulsive needs of gambling addicts, which are significant factors in gambling addiction, in the scope of discuss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additional research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leading to further progres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mbling addiction.

      • KCI등재후보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세빈(Se-Bin Kim),강은지( Eun-Ji Kang),노영선(Young-Seon No),장윤지(Yun-Ji Jang),전혜서(Hye-Seo Jeon),김희(Hee Kim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3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위한 높은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2년부터 2021년 사이에 출판된 논문을 Pubmed, Google Scholar, RISS를 통해 검색하였고 ‘Schizophreni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elf-esteem’을 주요 검색어로 하여 총 3,176편의 연구 중 6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들은 PICO-SD(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의 원리에 의해 정리하였다. 결과 :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는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집단 및 개인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사회 기술훈련(Cognitive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등 여러 중재 방법이 사용되었다. 선정된 모든 연구에서 인지행동치료가 자아존중감 향상에 상당한 개선을 보이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인지행동치료의 유의미한 중재 방법들과 효과를 제시했다. 향후 연구는 중재 프로그램의 범위를 확대하고, 중재의 깊이 있는 연구와 충분한 문헌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 :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high self-esteem for the recovery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on self-esteem of schizophrenic patient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 : Literatur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1 were searched through Pubmed, Google Scholar, and Riss, and six out of a total of 3,176 studies were selected with ‘schizophreni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Self-esteem’ as the keywords. The literatures to be analyzed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ICO-SD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Result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schizophrenic patients used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such as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group and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In all selected studi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self-esteem. Conclusion : In this study, significant intervention methods and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at improved the self-esteem of schizophrenic patients were presented.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of intervention programs, and in-depth research on intervention and securing sufficient literature.

      • KCI등재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하애희,이수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on learning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program is consisted to degrade the main factors of learning stress such as academic factors, human relationship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career factors based on theor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Among the whol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C-city in Gyeongsangnam-do, the authors selected 16 students with the top 16 stress scores for learning stress and classifi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12 sessions of cognitive art therapy program for 50 minutes at twi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s underwent learning stress questionnaire at both pre-therapy and post-therapy a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statistical analysis. Also,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authors underwent PITR (person-in-the-rain) projection picture fo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ummaries of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e of learning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ed of expectation and inside stress among the 3 subfactors (expectation, inside, expression) for learning stress. Second,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likewise, PITR (person-in-the-rain) projection picture. It was verified that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lessens stress recognition and improve the score of stress coping ability by improving the stress coping sources in the end. This is the similar results with the quantitative study which showed that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learning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인지행동치료 이론을 토대로 학업스트레스의 주요 요인인 학사적, 대인관계 및 환경적, 그리고 진로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S중학교 3학년생 전체를 설문조사하여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상위 16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무작위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각 50분간의 회기를 주2회씩 총 12회기의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으며,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을 위하여 PITR 투사그림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은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학업스트레스 하위 척도 가운데 기대스트레스와 내면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은 PITR 투사그림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스트레스 지각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 자원을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스트레스 대처 능력 점수를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잠언에 나타난 기독교 인지행동치료의 원리

        박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7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principles of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shown in “Proverbs” and providing data to effectively help Christian clients. The researcher began the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the words of encouragement and admonition found in “Proverbs” could assist i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the introduction, efforts were made to examine previous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Christian counseling which has been spreading in churches and on previous studies o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the main body of the text, the researcher studied the outline and themes of Proverbs, and the psychopathology shown in Proverbs, and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while comparing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Furthermore,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cognitive distortion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redefined cognitive distortion mentioned in terms of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considered cognitive distortion i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s thoughts contaminated with sin that is hated by God, and selected seven related themes of cognitive distortion. Christian counselors should face or encourage clients using the words in “Proverbs” to refute the cognitive distortion of those clients stained with sin. For this purpose, Christian counselors should have five counseling abilities: they are spiritual wisdom, listening, emphasizing, facing and encouraging.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effect of refutation mentioned i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s changes to thoughts, words and behaviors which please God, and specifically suggested the words of Proverbs related to this. This paper has some limitations. First, the themes of cognitive distortion are limited to those mentioned in Proverbs. Second, it doesn’t deal with how clients’ attitudes towards counseling can change their cognitive distortion. Regarding this, additional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대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은화 ( Eun-hwa Lee ),임지향 ( Ji-hyang Lim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대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만 8세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동으로 2019년 9월부터 2019년 11월에 걸쳐 주 1회 50분씩 총 2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두 가지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KHTP와 KSD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고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매회기 진행에 대한 회기별 관찰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행동 및 변화 과정을 질적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아동의 공격성에 인지행동을 적용한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회기별 관찰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인지행동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상담 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 및 경험적 사례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하지만 본 연구는 ADHD 아동 1인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로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고 ADHD 아동에게 인지행동치료기법을 적용하였으나 앞으로는 다양한 심리치료 이론 기법과 미술치료를 통합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다양한 심리치료 장면에서 융합형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기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aggression of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 8-year-old elementary school 3rd-grade boy living in A city, and i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a total of 20 times from September 2019 to November 2019. Two research areas were set including self-esteem and aggression, which were tested with a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KHTP and KSD tests were also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The observation log of each session was put to qualitative analysis to examine the subject's behavior and changing process in self-esteem and aggres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scale and KHTP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the child with ADHD; secondly, the aggression scale and KSD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art therapy applying cognitive behavior had positive impacts on the aggression of the child; and finally, the observation log of each session confirms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aggression of the child. These findings provide grounds for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aggression of a child with ADHD. The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ie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being us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rovides experiential case study material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as a single case for one ADHD child and appli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to ADHD children, but it suggests that a fusion art therapy program can be activated in various psychotherapy scen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that integrate various psychotherapy theory techniques and art therapy.

      •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지혜,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utiliza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a diagnostic category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urrent alcohol use disorder situation of inpatients in closed wards and provided group art therapie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y reflecting the inpati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nger control and perceived stress. For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ger and stress act as mediums that lead to drinking. Since it is known that a cognitive factor is contributing to this proces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e stud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empower the ability to emit and control the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relax the body and mind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to minimize the degree of distor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recall ability, thereby positively reducing perceived stress affect. Third, i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are used together with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believe they can control alcohol themselves, they can realize that their thoughts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currently seeing through images that can be viewed as objective perspectives. It is not easy to find studies regarding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which help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often show irrational ways of thinking, to reorganize themselves cognitively and to explore themselves with visual language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ased on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e anger ex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also provides the im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알코올 폐쇄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알코올 사용 장애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심리적인 특성 중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관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제시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분노와 스트레스는 음주로 연결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인지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집단미술치료에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접근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 및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분노 표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산하고 조절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에 도움이 된다. 둘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주고, 개인의 회상 능력에 따른 왜곡의 정도를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주어 지각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집단미술치료를 함께 활용하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현재 보여 지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비합리적인 사고를 가진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인지적인 재정립을 시키고 시각적인 언어로 탐색해보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적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장애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대해 살펴보고,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의 효과

        김연주,김정모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인문계 여고생들로 실험집단에 8명, 통제집단에 8명을 각각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에 2회, 한 회기 당 90~10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척도로는 ATQ-N(자동적 사고척도-부정형), 스트레스 지각 검사지, 학교적응척도, KSD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부정적 사고 감소와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n group program on the stress-decreasing and adjusted behavior in schoo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woman’s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ch were each composed of 8 numbers. This program consists of 12 sessions for two months (twice a week, 90-100 minutes per each sessio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TQ-N, Questionnaire of stress experience, adjust behavioral in school test, KSD (Kinetic School Dra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n group program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n group program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n group program was effective for adjus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in school life. In conclusion, the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n group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stress and promoting adjusted behavioral in schoo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