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예술극장으로서의 페테르부르크 웁살라 서커스(Упсала-Цирк) - 훌리건 프로젝트와 파키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주연 한국연극교육학회 2023 연극교육연구 Vol.45 No.-

        Circus in Russia is also a major genre of performance that has developed over 100 years, culturally regarded as an art form equivalent to ballet, theater, and opera. Russia's circus tradition has also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clowns and pantomimes by closely interacting with adjacent fields such as theater and ballet. In particular, the circ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ing arts of Petersburg, the city where the history of the Russian circus first began. Russia's first permanent circus theater still continues to perform here, and active exchanges with plays, puppet shows, ballet artists, and theater companies continue. Petersburg's major circus theaters include the Pontanka Circus Theater, Russia's first permanent circus theater, and Uppsala Circus, a circus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ater targeting social risk groups. The Uppsala Circus is an organization that has a completely different vision and characteristics from other circus theaters in Russia, because it is not a general circus venue, but a public art theater and education center that educates, produces, and operates circus for social risk groups and the underprivileged. Uppsala Circus is an organization that is opening a new paradigm of circus performance and education by taking children from the darkest shade of society to create a simple and healthy circus stage. It is a performing arts theater and a public arts education center in that it uses circus education methods to help teenagers and children on the streets adapt to society and continues the disappearing tradition of Russian circus. As part of a long-term research project that looks at the topographic map of the Petersburg Theater, this paper focuses on the Petersburg Uppsala Circus Theater, which is an art theater representing Petersburg's circus performances and an exemplary example of the social utility of art.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Hooligan Project" and the "Pakitan Project," which are the main educational programs of the Uppsala Circus Center,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Uppsala Circus as a public art theater distinct from other performance theaters and circus theaters. 러시아의 공연예술 하면 연극, 발레, 오페라, 클래식, 인형극 등을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러시아의 서커스 또한 100년 넘게 문화적으로 발레나 연극, 오페라와 동등한 예술 형태로 여겨지면서 발전해온 주요 공연 장르이다. 러시아의 서커스 전통은 연극과 발레 등 인접 분야와도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면서 광대극과 판토마임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바 있다. 특히 러시아 서커스의 역사가 처음 시작된 도시인 페테르부르크 공연예술에 서커스가 끼친 영향력은 상당하다. 이곳에는 러시아 최초의 상설 서커스 극장이 아직도 공연을 지속하고 있으며, 연극, 인형극, 발레 예술가 및 극단과도 활발한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페테르부르크를 대표하는 광대극단인 리체데이나 <스노우쇼>로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진 슬라바 폴루닌, 신체극으로 유명한 극단 데레보(Derevo) 등의 작업은 러시아 서커스의 전통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들이라 평가받는다. 페테르부르크의 주요 서커스 극장으로는 러시아 최초의 상설 서커스 극장인 ‘폰탄카 서커스 극장’과 사회적 위험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서커스 교육기관이자 극장인 ‘웁살라 서커스’를 들 수 있다. 웁살라 서커스는 러시아의 다른 서커스 극장과는 전혀 다른 비전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 단체라 할 수 있는데, 이곳은 일반적인 서커스 공연장이 아니라 사회적 위험 그룹과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서커스를 교육하고 공연을 제작, 운영하는 공공예술극장이자 교육센터이기 때문이다. 웁살라 서커스는 사회의 가장 어두운 그늘에 속했던 아이들을 데리고 소박하고 건강한 서커스 무대를 만들어내면서 서커스 공연과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고 있는 단체이다. 서커스의 교육 메소드를 사용해 거리의 청소년 및 어린이들의 사회적 적응을 돕고, 사라져가는 러시아 서커스의 전통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공연예술극장이면서도 동시에 공공예술 교육센터으로서의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페테르부르크 극장의 지형도를 조망하는 장기 연구 프로젝트의 한 부분으로서, 페테르부르크의 서커스 공연을 대표하는 예술극장이자 예술의 사회적 효용에 대한 하나의 모범사례로 자리 잡은 페테르부르크 웁살라 서커스 극장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웁살라 서커스가 다른 공연극장, 서커스 극장과 구별되는 공공예술극장으로서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바, 웁살라 서커스 센터의 메인 교육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는 ‘훌리건 프로젝트’와 ‘파키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현대 곡예/서커스의 시대적 변화 양상 -1960년대~2000년대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허정주 ( Jeong Jo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우리나라 현대 서커스사는 근대(개화기~해방이전)과 현대(해방후~현재)의 두 시기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 좁은 의미의 현대 서커스는 후자를 말한다. 이 협의의 현대 서커스사는 다시 북한 현대 서커스사와 남한 현대 서커스사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남한 현대 서커스사는 다시 초기(해방후∼1960년대)·중기(1970년대∼1990년대)·후기(2000년대∼2011년 현재)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가 있다. 남한 현대 서커스사에 나타나는 우리 현대 서커스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들을 파악해낼 수 있다. 첫째, 초기(1945년대 후반~1960년대)의 우리 현대 서커스 레퍼토리 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전통 서커스 레퍼토리 구성방법의 전반적인 틀인 ‘마술·몸재주·연극·쇼’라는 4대 분야의 틀을 토대로, 기존의 레퍼토리들을 일부 계승하여 우리 서커스의 전통적 정체성 유지하면서, 전통 레퍼토리들의 현대적 변이와 재창조를 기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커스 레퍼토리의 새로운 현대적 변화와 혁신을 이룩하였다. 둘째, 중기(1970년대∼1990년대)에는 현대적인 여러 변화 요인들에 따라 서커스 레퍼토리 상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먼저 1970년대에는 기존 레퍼토리의 유지와 변이의 전환기 현상을 보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연극’ 분야가 소멸하고, 이어서 ‘쇼’ 분야도 소멸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 분야가 일시적으로 ‘동물묘기’로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다가, ‘몸재주’ 중심으로 전환되는 변화도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또한 기존의 서독서커스단을 비롯하여 서구의 서커스단 보다는 주로 중국, 러시아 등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온 서커스단의 공연이 주를 이룬다. 셋째, 후기(2000년대∼ )에 들어와서는 전반적으로 궁지에 몰린 현대 서커스가 새로운 레퍼토리들을 개발하기 위해 다른 주변 공연 분야들과의 ‘퓨전화’ 방향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방향은 ①서커스와 문학의 퓨전화, ②서커스와 악극/뮤지컬의 퓨전화, ③서커스와 국악의 퓨전화, ④서커스와 서양 클래식음악과의 퓨전화, 그리고 ⑤서커스와 교육의 퓨전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전통 서커스와 ‘아트서커스’의 공존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레퍼토리 개발 및 시도는 현재 침체기에 몰려 있는 우리 현대 서커스가 지난한 난국에 처해 있는 중에서도 그 나름대로의 창의적인 레퍼토리 개발 노력을 경주하는 고무적인 새로운 현상으로 이해된다. Korean modern circus is bifurcated between pre-liberation period and post liberation period. In a narrow sense, modern circus refers to the post liberation period. The modern circus within Korea is further divided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circus. South Korean circu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 character of its repertoire - early period(1945-1960s), transition period(1970s to 1990s) and recent period(2000s~ ). First, early period repertoire consists of components such as magic shows, body tricks, stage acts and stage shows such as singing and dancing. During this period, it inherited traditional Korean circus from pre-liberation period and started to show transformation by way of modernization and re-creation. During this period, South Korean circus achieve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repertoire. Secon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South Korean circus reflected technical transformation of its time. Introduction of television as a new venue to Korean circus caused rapid transition of Korean circus repertoire. During the 1980s, stage acts disappeared from the circus repertoire and it was replaced by animal acts although it was temporary. The transformation continued and caused stage shows to disappear also from the circus repertoire. During this period, circus from socialist states became popular and Korean circus played important role in cultural diplomacy with such states. Third, in the recent period, Koran circus has lost its conventional forum and forced to seek alternative repertoire by integrating other art forms (fusion process). It has lost its traditional forum and became part of special performances as part of other cultural events.

      • KCI등재

        태양서커스(Cirque du soleil)의 성공 요인과 동춘서커스의 미래 전략에 관한 연구 : 동춘서커스의 공연 구성을 중심으로

        김영아 ( Young A Ki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6 No.-

        서커스는 아크로바틱, 광대극, 마술, 동물조련 등 기교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는 오락이다. 현대의 서커스는 동물묘기로 대표되던 전통적인 방식 대신 연극적 요소를 강조하는 추세이며 최첨단의 기술과 결합하여 총체적인 예술로 나아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캐나다의 태양서커스(Cirque du Soleil)로 예술적 측면과 함께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최초의 서커스단으로 유일하게 현존하고 있는 동춘서커스의 경우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으로 인해 대중들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학문적인 접근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동춘서커스는 일제 강점기를 거쳐 21세기에 이르기까지 거의 9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오랜 동안 한국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서커스 단체로 한국 서커스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동춘서커스의 초창기 공연의 양상인 마술과 신파극, 묘기, 쇼 등은 가무백희, 산악백희 등에서 행해졌던 연희의 모습을 엿볼 수 있어, 한국 전통연희사의 연구에도 필요하다. 아울러 동춘서커스에서 활동했던 여러 인물들이 이후 영화배우와 가수, 코미디언 등으로 진출한 것을 보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대중연예사의 하나로 또 다른 연구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태양서커스의 성공 요인과 함께 우리나라 서커스의 진행 과정 그리고 국내유일의 서커스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동춘서커스의 세부 공연 구성을 다루면서 국내 서커스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Circus is a form of entertainment that provides artful attractions such as acrobatics, clown shows, magic shows, and animal shows. Modern circus now focuses on theatrical elements, instead of the traditional ways focused on animal acrobatics, and by combining advanced technology, circus is now becoming a form of general art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would be the Cirque du Soleil of Canada, which is gathering much attention on its artistic and economical aspect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Dong Chun Circus, which is Korea`s first circus and still existing today, receives very low attention from the public and no scholarly approach has been taken. However, Dong Chun circus lived through Japanese colonial rule and has a long history of 90 years, and is the only surviving circus group in Korea, taking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circus. Also, the magic shows, ``Sin-Pa`` play(新派劇), acrobatics, and shows that composed early period performances of the circus group reflected the theatrical elements of Sanakbaekheui(散樂百戱), Gamubaekheui(歌舞百戱), hence is necessary in the research of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Additionally, by looking at how many members from Dong Chun circus moved on to become movie actors, singers, or comedians, it can be assumed that the circus is a valuable resource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pop culture of Korea. This research will seek to find a development plan of Korean circus by dealing with the success factors of Cirque du Soleil, progress of Korean circus, and detailed performance organization of Dong Chun circus.

      • KCI등재

        논문 : 서커스 의상의 다면성 연구

        장혜숙 ( Hye Seok Chang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2 연극교육연구 Vol.20 No.-

        A Study on the Aspects of Circus Costume Chang, Hye-sook The circus is a performance which began from the ancient religious ceremonies long time ago and it has existed as a means of major entertainment forms showing fighting, anger, hope, fear, challenge, survival and other major affairs of all cultures, e circus has followed it` history through Greece, Rome and Commedia del Arte of Medieval and was spread all over the world since France cavalry, Philippe Ashley introduced the sense of modern circus in 18C, Until then, the costumes were built by hand and attached with some of decorations on that period`s outfits by circus families without a concrete concept of a circus costume. Around 19C, a french trapeze artist, Jules Leotards had developed flexible leotard fitted on the body. The circus business was increasingly thrived and popular and costumes were changed into flashingly splendid costumes, decorated with sequins, spangle and feathers. It was necessary that spectacular elements were required from a sense of urgency in the waves of change into large performances or movies. However, the costumes had to sta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raditional circus costumes due to the lack of budget, the heterogeneity of traditions and custo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s which consists of a variety of acts. The professional costume designer, therefore, emerged very late by comparing with other performances. In 1950s and 1960s, the circus eventually was on the decline due to the impact of visual media such as movies and TV and averted from the public. During the flow of new art in the 1980s, the resurrection of the movement was called through the street artists and new forms were created between the genres.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new circus and art circus led to big changes in the artistic and commercial aspects, ``Cirque du Soleil``, which has introduced creativity and unique beauty, is a representative company. Recently, the study on circus was activated owing to the revitalization of entertainment industry and ``Cirque du Soleil``. The interest and investment has been growing as part of a activation policy for the culture & art industry in Korea. Accordingly, a depth study as well as an accurate understanding for the circus costume became a very urgent need. The circus costumes should take precedence on the movement and safety without interrupting the acts. Durable costume would be suitable for long-term performance. Therefo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essential in costume design, color,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Costume, as a symbol, provides limitless imagination to the audience and could lead to the fantasy world of circus in which everything could happen with an open mind. Today`s audience is a generation that has been raised in front of television, computer and video game. Their lives are surrounded by strong spectacles and lots of entertainments. It should be provided with a high level of performance by the beautiful and artistic costumes to evoke continuous interests of the circus. Another feature of the circus costume is an amusement. Ridiculous props, makeup and colorful and exaggerated costumes with bold colors impart dream, hope and joy to all ages. Unusual and mismatched discrepancy in costume evokes even familiarity and interest to the audience rather than the heaviness, f a depth study and creative development of using materials through the different functions and aspects were reflecte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continuous blue ocean as well as high-level of circus performance in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will go in the future.

      • KCI등재

        韓国サーカスに映しだされる「日本」 -固定化した「支配-被支配」観からの脱却を目指して-

        林史樹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7 No.-

        한국에 있어서 서커스는 고도경제성장기까지는 대중오락의 중심에 있었다. 그 당시 서커스단은 사람들에게 비일상적인 시간을 줄 스타적인 존재였지만, 한국의 경제력이 올라가, 오락이 다양화해지고 증가한 상황은 서커스를 크게 쇠퇴시켰고, 사람들의 관심이 멀어져버렸다. 그러나 다시 근년에 들어서 서커스에 관심이 늘어나는 기운이 보이게 되었다.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어 한국에 뿌리내린 서커스이지만, 서양에서 발전한 흥행 형태가 일본을 통해서 들어왔기 때문에 일본과의 관련도 많이 보인다. 그러기 때문에 “국산”으로 안 보이는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가치를 보는 “서양”이라는 이미지조차 없고, 단지 나쁜 일본의 잔재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 사회에 있어서 가치를 두어지는 존재가 될 수 없고, 전통예능으로서 보호될 일도 없었다. 또, 이 것은 식민지기의 이미지로서 현대에 있어서 언급되는 “지배-피지배”라는 구도로 사로잡을 수 있기 쉬운 것과 관계되어 있다. 특히, 지금까지 언론 수준으로 언급되어 온 한일관계가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일본의 “지배” 아래로 두어진 한국 서커스는, 당연히 “전통”으로부터 격리되어, 한국인들의 관심이 멀어지게 된 것이다. 식민지기에는, 부조리한 “지배-피지배”관계가 기층에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여겨지고 있는 만큼, 흔들리기 어려운, 확고한 관계가 아니지 않았나. 한국 서커스의 각 사례에 초점을 맞춰 보았을 때, 사실 단원들은 “일본”을 자신형편에 맞게 이용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항상 “피지배”측에 머물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때로는 “지배”측에 설 일도 있었고, 요즘에는 그러한 관계과 무연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한국 서커스와 일본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거기서 보여진 관계성이 반드시 “지배-피지배”라는 일방적이고 단락적인 관계가 아닌 것을 지적했다. 또, 한국 서커스는 일본의 잔재나 앞잡이가 아닌 것은 물론, 가치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식민지기를 보았을 때, 확실히 한일간에서 일본을 우위로 삼은 “지배-피지배”관계가 큰 테두리에서 존재했고, 그 것에 따라 “일본인”이 더 쉽게 지배적인 입장에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모든 국면에서 일본이 한국/조선보다 우위했던 것은 아니다. 일반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꼼꼼히 주워가는 것으로 “지배-피지배”관계는 상호 교차하여 복잡하게 얽히고 있어, 반드시 “일본”을 우위로 할 수는 없다. 강하게 우위를 유지한 한국/조선인들은 많이 있었고, “지배-피지배”관계는 결코 “국적”에 매이는 것도 아니었다. 모둔 상황을 “국적”을 가지고 이항대립(二項對立)식으로 보는 것은, 일본과 관계된 것은 다 없애야 할 일본의 잔재라고 해서 묻어버리는 결과를 만들게 마련이고, 거기서 볼 수 있었던 사람들의 강함까지 주울 수 없을 것을 지적했다. In Korea, circus troupes were in the center of the public amusement until a High economic growth period. At that time, circus troupes were the existence like a star which gives extraordinary time to people. But when Korea had affluence, entertainments in Korea diversified and increased. And so circus troupes were declined very much, and the interest of the people has been estranged. But, recently people have begun to have the interest in a circus again. Korean circuses become established through much difficulty, and have many common points with Japan, because circus system developed at Western countries and came in Korea through Japan. Therefore Korean circus troupes were regarded as hateful vestiges of Japan. These weren't regarded as "Korean" images, and "Occidental" images which have special appreciation. Korean circus troupes didn't get a value and weren't protected a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Korean society. This is easily related with the way of thinking as ‘domination = subordination' about which today will be also told about as an image in a colonial period. The Japan and Korea relations told by the mass communication up to now are reflected onto this way of thinking just as it is. Korean circuses under the Japanese ‘rule’ were separated from ‘tradition’, and of course Korean people lost the interest about Korean circuses. Certainly, there was an absurd ‘domination = subordination' relation in a colonial period, but it wouldn't be a firm relation for which it's difficult to sway so that that is generally considered. When seeing each case of a Korean circus, we notice circus people are conveniently using 'Japan'. They didn't be demand that they're always on the subordination side. They were sometimes on the domination side, and on today they are irrelevant to such relation.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relation of Korean circuses and Japan, and pointed out that relation always aren't a one-sided relation such as ‘domination = subordination' and aren't a simple relation. Korean circuses weren't vestiges or tools of Japan, and of course those weren't worthless. In a colonial period, There was a ‘domination = subordination' relation which ‘Japanese' have advantages between Japan and Korea certainly, and Japanese have arrived at the dominant position easily for it. But Japan didn't have advantages over Korea to all. By a detailed survey to people's life, we find out that the human relations are complicatedly, and 'Japan' always isn't on domination side. Korean peoples who were shrewdly and strongly domination side aren't rare, and a ‘domination = subordination' relation wasn't specified by the 'nationality'. If we judge everything by a dichotomy caused by the 'nationality', we would easily decide that something related to Japan are always hateful vestiges of Japan. And so we may not understand consideration, feeling or wish of people who live in there.

      • KCI등재

        가치혁신으로 본 태양서커스(Cirque du Soleil)와 우리나라 서커스의 향후 과제

        김영아 ( Young A Kim )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55 No.-

        Performing arts, which have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have progressed along with changes of human beings. In modern era, with its multi-media characteristics, dissolution of genres, and popularity gained from the people, its genre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in particular, performing art works stressing visual factors based on non-verbal performance have been preferred. Among all these non-verbal performances circus, which has existed from a long time ago, is a genre that has been somewhat neglected due to little perception of people and lack of academic approach. However, Cirque du Soleil, which has loomed large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product of Canada,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performing art that has both artistic value and popularity as it has been successful by providing visual entertainment. Also, as it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case of Blue Oceans of the performing arts, Cirque du Soleil has become equivalent with ``the Blue Ocean case``, gain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cultural industry, art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However, in Korea, circus is still considered a low profile performance. Dong Chun Circus, which was created in 1925, has barely survived, though it has faced close-down several times due to lack of people`s attention and systematic support of the government, workforce shortage, and marketing difficul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risks of Korean circus and come up with solutions by taking into account of Cirque du Soleil`s success, which has been achieved through value innovation, the core of Blue Ocean strategy. Still, there are limits in studying Korean circus based on the studies on Cirque du Soleil. First, since there are not sufficient studies on circus, references quotated in this article are mainly newspaper articles, rather than academic materia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Cirque du Solei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areas, but studies on Dong Chun Circus are hardly found. Second, another limitation is that Cirque du Soleil and Dong Chun Circus cannot be compared on the same ground with the same standards. That is because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apply the success factors of Cirque du Soleil to Dong Chun Circus directly. This article, however, will seek its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n academic approach to circus which has received little recognition of society and marginalize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arena and searches for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ircus.

      • KCI등재

        가치혁신으로 본 태양서커스(Cirque du Soleil)와 우리나라 서커스의 향후 과제

        김영아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0 No.55

        Performing arts, which have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have progressed along with changes of human beings. In modern era, with its multi-media characteristics, dissolution of genres, and popularity gained from the people,its genre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in particular, performing art works stressing visual factors based on non-verbal performance have been preferred. Among all these non-verbal performances circus, which has existed from a long time ago, is a genre that has been somewhat neglected due to little perception of people and lack of academic approach. However, Cirque du Soleil, which has loomed large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product of Canada,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performing art that has both artistic value and popularity as it has been successful by providing visual entertainment. Also, as it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case of Blue Oceans of the performing arts, Cirque du Soleil has become equivalent with ‘the Blue Ocean case’, gain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cultural industry, art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However, in Korea, circus is still considered a low profile performance. Dong Chun Circus, which was created in 1925, has barely survived, though it has faced close-down several times due to lack of people’s attention and systematic support of the government, workforce shortage, and marketing difficul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risks of Korean circus and come up with solutions by taking into account of Cirque du Soleil’s success,which has been achieved through value innovation, the core of Blue Ocean strategy.Still, there are limits in studying Korean circus based on the studies on Cirque du Soleil. First, since there are not sufficient studies on circus,references quotated in this article are mainly newspaper articles, rather than academic materia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Cirque du Solei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areas, but studies on Dong Chun Circus are hardly found. Second, another limitation is that Cirque du Soleil and Dong Chun Circus cannot be compared on the same ground with the same standards. That is because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apply the success factors of Cirque du Soleil to Dong Chun Circus directly. This article, however, will seek its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n academic approach to circus which has received little recognition of society and marginalize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arena and searches for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ircus. ☞

      • KCI등재

        한국 곡예/서커스 공연에서 사용된 ‘삽입가요’로서 대중가요의 역할과 의미-1970~80년대 곡예/서커스 공연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정주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4 No.-

        We can see many kinds of new variations in contacting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with Korean modern pop songs. There are various variations in inserting songs of Korean modern circus. Participants of Korean modern circus changed inserting songs of modern circus from traditional folk songs to modern pop songs. Korean modern circus has been developed in close relationships with modern pop songs. Pop songs and accompaniments of those are used for main elements of performing of circus in 1970~80’s. There are some important functions of korean popular songs and accompaniments of those in korean modern circus of 1970~80’s. The functions are as follows; firstly, function of constructing of total breathing․rhythm․flow in performing of circus, secondly, function of mirroring of comtemporary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thirdly, function of making of main moods․emotions․main ideas of performing of circus, fourthly, function of filling up of the other parts that can not be filled with performing actions of circus performers, fifthly, function of concentrating of attention of audiences on circus performing itself. Socio-cultural meanings of using of popular songs in Korean modern circus are as follows: firstly, converting comtemporary circus into a part of comtemporary popular culture, secondly, giving recognitions of self-identity to contemporary performers of circus, thirdly, playing the role of contemporary social mirror, fourthly, reflecting contemporary socio-political emtion of doctrinal optimism into circus, fifthly, tuning of main flow of Korean circus into modern ‘flow’. <국문초록> 한국 민요는 갑오경장 이후 그 중심이 ‘근대의식’이 분명해진 민요, 즉 반봉건․반외세의 민중-시민 주체의 ‘근대민요’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민요가 갑오경장 이후 새로 등장하게 되는 근대민요․신민요 등으로의 변화를 거치고 ‘대중가요’를 만나면서 더욱 심화․확장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농어촌 현장 전승 민요에서도 일어났지만, 그러한 현장 민요 주변 곧 그 주변의 다른 민속예능 분야에서도 일어났다. 그런 하나의 사례로 곡예/서커스 분야에서 민요의 변화 양상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즉, 갑오경장 이전 시기의 우리 전통 곡예에서 탈놀이 등과 유사하게 전통 민요들이 사용되었으나, 우리 곡예가 근대 곡예 곧 근대 서커스로 전환되면서 거기에 사용되는 노래들 또한 전통 민요에서 근현대 대중가요로 점차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삽입가요’의 변화는 전통 민요의 근현대 민요로의 변화라고 하는 좀 더 거시적인 지평에서 논의할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1970~80년대 곡예/서커스의 대중 공연예술에 직접 삽입된 대중가요를 삽입가요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곡예/서커스에서의 노래는 몇 가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첫째, 공연구조 상으로 곡예/서커스 공연의 전체적인 호흡․리듬․흐름을 구축해 주는 기능, 둘째, 정치적으로 당대 사회를 반영하는 기능, 셋째, 분위기․정서․주제를 형성하는 기능, 넷째, 곡예사들의 곡예/서커스 행위로 메울 수 없는 부분들을 보충하는 기능, 다섯째, 곡예/서커스 청관중의 주의를 곡예/서커스 공연에 집중시켜주는 기능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시대-사회의 중심 노래가 된 대중가요는 당시대의 곡예/서커스에서 다음과 같은 삽입가요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첫째, 당대의 곡예/서커스를 당대의 대중문화의 일부로 전환되도록 한 점, 둘째, 당시대의 곡예/서커스 공연 주체들로 하여금 그들의 자기-정체성과 자아를 인식하도록 한 점, 셋째, 당대의 사회를 ‘반영’하는 일종의 ‘사회적 거울’로서의 역할을 한 점, 넷째, 당대 사회의 정치가 내세우던 ‘교조적 낙관성’이라는 정서를 반영하고 보여준 점, 다섯째, 곡예/서커스의 ‘흐름’을 근현대적 흐름으로 조율하게 된 점 등이 그것이다. 근현대 시기에 이르러 우리 민중사회의 노래 중심이 민요에서 대중가요에로 전환되면서 민요 주변의 다른 공연문화 영역에서도 민요가 하던 역할을 대중가요가 하게 되고, 민요는 그만큼 ‘대중가요’와의 관계를 더욱 더 긴밀하게 강화해 나아가야 했다.

      • KCI등재

        韓国サーカスに映しだされる「日本」 -固定化した「支配-被支配」観からの脱却を目指して-

        하야시 후미키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7 No.-

        In Korea, circus troupes were in the center of the public amusement until a High economic growth period. At that time, circus troupes were the existence like a star which gives extraordinary time to people. But when Korea had affluence, entertainments in Korea diversified and increased. And so circus troupes were declined very much, and the interest of the people has been estranged. But, recently people have begun to have the interest in a circus again. Korean circuses become established through much difficulty, and have many common points with Japan, because circus system developed at Western countries and came in Korea through Japan. Therefore Korean circus troupes were regarded as hateful vestiges of Japan. These weren't regarded as "Korean" images, and "Occidental" images which have special appreciation. Korean circus troupes didn't get a value and weren't protected a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Korean society. This is easily related with the way of thinking as ‘domination = subordination' about which today will be also told about as an image in a colonial period. The Japan and Korea relations told by the mass communication up to now are reflected onto this way of thinking just as it is. Korean circuses under the Japanese ‘rule’ were separated from ‘tradition’, and of course Korean people lost the interest about Korean circuses. Certainly, there was an absurd ‘domination = subordination' relation in a colonial period, but it wouldn't be a firm relation for which it's difficult to sway so that that is generally considered. When seeing each case of a Korean circus, we notice circus people are conveniently using 'Japan'. They didn't be demand that they're always on the subordination side. They were sometimes on the domination side, and on today they are irrelevant to such relation.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relation of Korean circuses and Japan, and pointed out that relation always aren't a one-sided relation such as ‘domination = subordination' and aren't a simple relation. Korean circuses weren't vestiges or tools of Japan, and of course those weren't worthless. In a colonial period, There was a ‘domination = subordination' relation which ‘Japanese' have advantages between Japan and Korea certainly, and Japanese have arrived at the dominant position easily for it. But Japan didn't have advantages over Korea to all. By a detailed survey to people's life, we find out that the human relations are complicatedly, and 'Japan' always isn't on domination side. Korean peoples who were shrewdly and strongly domination side aren't rare, and a ‘domination = subordination' relation wasn't specified by the 'nationality'. If we judge everything by a dichotomy caused by the 'nationality', we would easily decide that something related to Japan are always hateful vestiges of Japan. And so we may not understand consideration, feeling or wish of people who live in there. 한국에 있어서 서커스는 고도경제성장기까지는 대중오락의 중심에 있었다. 그 당시 서커스단은 사람들에게 비일상적인 시간을 줄 스타적인 존재였지만, 한국의 경제력이 올라가, 오락이 다양화해지고 증가한 상황은 서커스를 크게 쇠퇴시켰고, 사람들의 관심이 멀어져버렸다. 그러나 다시 근년에 들어서 서커스에 관심이 늘어나는 기운이 보이게 되었다.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어 한국에 뿌리내린 서커스이지만, 서양에서 발전한 흥행 형태가 일본을 통해서 들어왔기 때문에 일본과의 관련도 많이 보인다. 그러기 때문에 “국산”으로 안 보이는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가치를 보는 “서양”이라는 이미지조차 없고, 단지 나쁜 일본의 잔재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 사회에 있어서 가치를 두어지는 존재가 될 수 없고, 전통예능으로서 보호될 일도 없었다. 또, 이 것은 식민지기의 이미지로서 현대에 있어서 언급되는 “지배-피지배”라는 구도로 사로잡을 수 있기 쉬운 것과 관계되어 있다. 특히, 지금까지 언론 수준으로 언급되어 온 한일관계가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일본의 “지배” 아래로 두어진 한국 서커스는, 당연히 “전통”으로부터 격리되어, 한국인들의 관심이 멀어지게 된 것이다. 식민지기에는, 부조리한 “지배-피지배”관계가 기층에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여겨지고 있는 만큼, 흔들리기 어려운, 확고한 관계가 아니지 않았나. 한국 서커스의 각 사례에 초점을 맞춰 보았을 때, 사실 단원들은 “일본”을 자신형편에 맞게 이용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항상 “피지배”측에 머물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때로는 “지배”측에 설 일도 있었고, 요즘에는 그러한 관계과 무연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한국 서커스와 일본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거기서 보여진 관계성이 반드시 “지배-피지배”라는 일방적이고 단락적인 관계가 아닌 것을 지적했다. 또, 한국 서커스는 일본의 잔재나 앞잡이가 아닌 것은 물론, 가치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식민지기를 보았을 때, 확실히 한일간에서 일본을 우위로 삼은 “지배-피지배”관계가 큰 테두리에서 존재했고, 그 것에 따라 “일본인”이 더 쉽게 지배적인 입장에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모든 국면에서 일본이 한국/조선보다 우위했던 것은 아니다. 일반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꼼꼼히 주워가는 것으로 “지배-피지배”관계는 상호 교차하여 복잡하게 얽히고 있어, 반드시 “일본”을 우위로 할 수는 없다. 강하게 우위를 유지한 한국/조선인들은 많이 있었고, “지배-피지배”관계는 결코 “국적”에 매이는 것도 아니었다. 모둔 상황을 “국적”을 가지고 이항대립(二項對立)식으로 보는 것은, 일본과 관계된 것은 다 없애야 할 일본의 잔재라고 해서 묻어버리는 결과를 만들게 마련이고, 거기서 볼 수 있었던 사람들의 강함까지 주울 수 없을 것을 지적했다.

      • KCI등재

        1920~1930년대 아동문학 속 일상의 위기 - 방정환 · 이동규 · 김내성 작품 속 곡마단을 중심으로 -

        금보현 ( Kum Bo-hy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3

        이 글은 1920~1930년대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곡마단이 작품 속 위기를 조성하는 소재로서 다루어진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의 위기는 아동의 일상에 균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개인의 영역에서 국가의 영역으로 확장된다. 곡마단은 아동의 일상 속에 틈입할 수 있는 이방인의 집단이자 유랑집단이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곡마단이 인신매매와 아동학대 등의 범죄와 연루됨에 따라 곡마단은 화려한 스펙터클과 아동을 착취하는 범죄조직의 이미지를 동시에 갖게 되었다. 방정환의 <칠칠단의 비밀>과 이동규의 <곡마단>은 곡마단 내부의 비극을 현실속에서 벌어지는 실제 사건들과 엮어 그것이 특수한 것이 아닌 아동의 일상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경고한다. 김내성의 <백가면> 속 곡마단은 적국의 스파이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이들은 아동만이 아닌 제국의 위기를 초래한다. 곡마단이라는 위장 신분은 아동으로 하여금 일상속에서 마주할 수 있는 적의 가면을 상상하게 하고 일상에 대한 경계심을 심는다. 방정환, 이동규, 김내성의 작품 속 아동은 자신을 대상화하고 억압하는 적들과 싸워야만 한다. 아동으로서 존재할 수 있었던 일상에 생긴 균열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아동은 부단히 투쟁할 수밖에 없으며, 균열에 대한 자각은 곡마단이라는 친숙한 집단에서 시작된다. 즉, 아동문학에서의 곡마단은 아동으로 하여금 개인과 국가의 위기를 자신의 삶과 엮어 쉽게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소재이자 수단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 depiction of the circus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s Children Literature. When authors use the image of the circus, they illustrate children as acrobats or audiences.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the circus was a group of strangers who were on tour around different places. Therefore, the circus was not integrated in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because of crimes occurred by the circus, such as kidnapping and human trafficking, the image of the circus had been tarnished. Bang Jung-Hwan’s “The Secret of the ChilChil-dan Gangster” and Lee Dong-Gyu’s “Circus” depict children protagonists as acrobats. Based on actual crimes, they use the child abuse by the circus as the motif for their books. These books emphasize a contrast between the spectacles on the stage and the despair behind the stage. With this method, authors break illusion of the circus and remind the real-life problems to children readers. In the case of Kim Nae-Sung’s “White Mask”, the children protagonists remain as audience members. They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he danger behind the stage. However, at the same time, Kim Nae-Sung did not use the circus as an method to escape from the reality. The circus members in his book were, in fact, the spies from foreign countries. Kim Nae-Sung let spies infiltrate Korea vis-à-vis methods of disguise. At this moment, children’s enemies were not just an individual spy. Their enemies were the countries behind the spies. In this way, the danger, depicted in “White Mask”, is 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real life. In short, the authors of children literature use the motif of the circus to draw not only the danger of itself but also the danger of children’s lives. To overcome these dangers, authors of children literature encourage the children to fight against the enemy who wore a mask of the circ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