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CTV 관련 연구 분석을 통한 통합관제센터 운영 개선 방안

        김지선(Kim Ji s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2

        방범용 CCTV는 범죄예방 차원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고, 범죄 예방과 통제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범죄예방에 널리 활용되는 CCTV는 이제 범죄 해결을 위한 도구로도 사용될 정도로 발달하였다. 특히 지능형CCTV의 등장은 CCTV가 앞으로 범죄 예방뿐만 아니라 수사 증거 자료 확보, 피해자 보호 등 다방면에서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경찰과 지방자치단체는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고, 범죄예방과 단속, 정보제공 등 다목적으로 CCTV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통합방범시스템 구축이나 지능형CCTV활용은 미온적인 상태이다. 그러나 통합관제센터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 연구에서는 향후 CCTV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 운용의 기반이 되는 통합관제센터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경찰청 통계자료를 통해 방범 CCTV와 통합관제센터 현황을 알아보고, 외사자료실의 외국사례에 대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많은 학술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을 통해 통합관제센터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통합관제센터의 문제점으로 첫째, 일원화된 통합관제센터 관리 체계 구축, 둘째,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표준화 대책 마련, 셋째, 모니터요원의 자질 향상 노력과 관리 책임부서 설치, 넷째, 법제도의 정비와 정보보호 대책 마련, 다섯째,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예산의 확보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나타난 통합관제센터 운영의 문제점에 대응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거나 계획 중에 있는 범죄 안전 정책을 반영하여 첫째, 일원화된 관리와 지휘체계 구축, 둘째, 통합관제시스템의 표준화 마련, 셋째, 모니터 요원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과 상주경찰관에 권한 부여, 넷째, 관련 법제도 정비와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시스템을 운용할 예산 확보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Security CCTV is widely used in the prevention of crime and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Also CCTV is developed as a tool for solving crimes. The CCTV can be expected that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ll help you in many areas of the prevention and investigation of crime in the future. In such a flow, Police and community was to build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to operate a CCTV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Crime prevention and enforcement. However, the integrated security system and utilization of intelligent CCTV are lacking. This research is discussed the operational improvement of integrated control center through CCTV research. Research methods is to find out the status of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security CCTV of Police statistics. And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f foreign police practices. Next, find the scholarly literature search i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on integrated control center f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5 years of 2009-2013 previous studies, The problem of integrated control center are unified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control center, standardization of CCTV integrated control system, improve the quality of a monitor agent, the department responsible for the installation, the maintenance of the legal system and ensure budget for sustainable management. In response plan are building management and unified command structure, provide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standardization, periodic monitoring personnel training, authorization of police officer, Legal system maintenance and funding plan.

      • KCI등재

        CCTV 통합관제센터의 운영성과 및 개선 방안– 구미시를 중심으로 -

        장일식,박종철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8 경찰학논총 Vol.13 No.1

        최근 각종 범죄로 인한 사회적 불안이 증가하면서 경찰에서는 대응전략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업으로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하면서 CCTV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검거 효과를 톡톡히 거두고 있다. 이러다 보니 ‘CCTV 분석력이 곧 수사력’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CCTV를 통한 범죄 예방이나 감소 효과에 대해서는 예산 및 유지비용 대비 효율적인 방안의 요청, 사생활 침해 논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자립도에 따른 방범용 CCTV의 설치 및 기능의 차이로 인한 치안 서비스의 불균형이 초래되는 등의 논란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전국에는 아직까지 통합관제센터가 개소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도 있고 각각 개별 운용 중이어서 종합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이 부재되어 있고, 광역화․기동화 되는 범죄에 즉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초기에 설치된 방범용 CCTV는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저화질의 화면으로 녹화되어 초동 수사에 실패하는 등 국민들의 안전 욕구에는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북 구미시에서 운영 중인 CCTV 통합관제센터의 활용성과와 실제 사례 분석 등을 토대로 현재 CCTV 통합관제센터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전국 CCTV 통합관제센터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구미시 CCTV 통합관제센터의 운영성과 및 실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통합관제센터와 112지령실과의 이원화, 분산된 기능의 시스템으로 인한 통합의 필요성, 모니터링 요원의 불안정한 고용과 고령화 추세로 인한 전문성 문제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개선방안으로 실질적인 통합관제센터의 운영, CCTV별 활용도 현출 기능 개발, BIG DATA 적극 활용, 첨단기술 도입을 통한 스마트 시티 구축 추진방안, HOT SPOT을 활용한 과학 치안 제고, 통합관제센터 요원 인센티브 부여와 정기 교육과정 개설 필요, CCTV 통합관제센터 관계자 워크숍 및 최첨단 기술 시연회 개최를 제시하였다. The police see a real effect on apprehension through CCTV footage acquired from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llaboration project with each local government through countermeasure for recently increased social unrest. Some even say that the ability to analyze CCTV data is the investigatory power. However, there are widespread criticisms of CCTV that has caused prevention and reduction of crimes such as the request for efficient measures against budget and maintenance fees for CCTV, invasion of privacy and imbalance of security services due to the different level of self-reliance ratio of local governments which influences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CCTV for surveillance and differences in functionality. In addition, the safety needs from citizens would not be satisfied: there are still some local governments where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has not been opened whereas some operate it through individual management which causes lack of the general control tower role; the police is not likely to conform immediately to the crimes which are getting more broadened and mobilized; and the CCTV for surveillance installed at the introduction stage which have not been replaced due to some reasons such as insufficient budget cause the failure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 date recorded in low resolu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present actual problems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in Gumi-si, Gyeongbuk-do on the basis of their operational performance and case analysis and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future improvemen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through the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in Gumi-si, a number of issues came out: separation of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112 command office, necessity of integration of systems with dispersed functions, and unstable employment for monitoring staff and lack of professionalism due to their age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s future improvement plans, operation of actual integrated control center, development of functions for investigating utilization by CCTV, active use of BIG DATA, promotion of building the 'smart city' through cutting- edge technologies, enhancement of scientific security by using HOT SPOT, necessity of granting incentives for the staff in the centers and ope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opening workshops for interested parties in the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and trial performance for cutting-edge technologies.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 KCI등재후보

        클라우드 기반의 CCTV 통합관제센터 도입 방안 연구

        김태민(Tae min Kim),박구만(Goo Man Park)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2

        CCTV는 셉테드와 도시 방범 분야의 가장 대표적인 기계적 감시 및 통제수단으로써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의 CCTV 통합관제센터를 통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CCTV 통합관제센터는 IT 자원이 집약된 중소규모의 데이터센터로 정의할 수 있으며, CCTV를 포함한 통합관제센터에서 운영되는 대부분 장비와 시설은 IT를 기반으로 한다. 최근 몇 년 전부터 IT 업계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라는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였는데, 소유 중심의 전통적인 IT 자원 소비방식을 필요한 만큼 임대하여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전통적 소비 방식을 빠르게 대체해 나아가고 있다. 이렇게 클라우드가 큰 주목을 받는 이유는 전통적 방식보다 비용, 속도, 확장성, 생산성, 성능, 안정성 등 총 6가지 측면에서 더욱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CCTV 통합관제센터 모델을 개념 설계를 통해 제시하고, 도입효과에 대해 비용적인 측면과 관리·운영적인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연구 진행 절차는 먼저 기계적 감시 및 CCTV 이론, 통합관제센터 현황, 클라우드 이론을 관련 문헌 및 통계 자료를 통해 조사하였고, 연구 본론에서 클라우드 영상 감시 기술(VSaaS)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CCTV 통합관제센터 설계방안(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가적으로 클라우드 통합관제센터 도입의 적합성과 효과성을 기존 통합관제센터 표준모델과 비교를 통해 총 소유비용(TCO) 및 업무 효율성의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CCTV 촬영부, 감시·제어부, 그리고 전송부에 대한 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고 20가지 항목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둘째, 통합관제센터 표준모델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전환으로 예상되는 TCO 절감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 CAPEX 48%, OPEX 46%에 해당하는 TCO의 절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클라우드 도입에 따른 직·간접적 관리 요소의 축소로 인한 업무 부담경감, 신규 시스템 도입 및 용량 확장과 같은 업무 처리 속도 향상, 그리고 여유 공간 활용을 통한 업무 환경 개선 등 통합관제센터 업무의 효율성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CTV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chanical surveillance and control instrument in the field of surveillance and urban crime, and is now actively operated through the public CCTV monitoring center of each municipality. Public CCTV monitoring centers can be defined as small- and medium-sized data centers with integrated IT resources. Most equipment and facilities operated by monitoring centers including CCTV are based on IT.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cloud computing has emerged around the IT industry. It is rapidly replacing traditional consumption methods with a new way to lease and consume IT resource as needed. The reason cloud computing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is because it is more competitive than traditional methods in terms of cost, speed, scalability, productivity, performance and st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public CCTV monitoring center model using public cloud service is presented through conceptual design, and the effect of introduction is tested in terms of cost, management and oper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surveillance by CPTED, CCTV, and cloud computing theory were investiga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In the research, cloud-based public CCTV monitoring center design based on Video Surveillance as a Service (VSaaS) wer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tudy,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loud-based monitoring center was verifi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otal cost of ownership (TCO) and work efficienc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CCTV monitoring center standard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design guideline for the CCTV camera part, the monitoring and control part, and the transmission part was developed, and 20 items were clarified. Second, we calculated the expected TCO savings as a result of cloud conversion with the CCTV monitoring center standard model.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CO savings of 48% for CAPEX and 46% for OPEX. Third, we anticipated business efficiency enhancement of CCTV monitoring center such as reduction of work burden due to reduction of direct and indirect management factor by cloud computing, improvement of work process speed such as introduction of new system and expansion of capacity, 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hrough utilization of free space respectively.

      • KCI등재

        CCTV 통합관제센터의 운영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충식(丁忠植)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5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8 No.3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CCTV 통합관제 구축사업을 진행하여 왔다. 이 연구는 공공부문 CCTV 통합관제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활용을 위하여 시민과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협조를 위한 거버넌스 측면, CCTV 도입에 따른 부작용 최소화 및 예방을 위한 법·제도 측면, 운영상의 효과와 정책의 지속적 추진을 위한 관리·운용 측면 등의 분야에서 정책 방안을 도출하였다. CCTV 통합관제센터의 거버넌스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은 향후 민간부문의 CCTV를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민간 CCTV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CCTV 통합관제와 관련하여 개인영상정보에 관한 법률 체계를 재편할 필요가 있으며, CCTV 통합관제센터 관리와 협력에 관한 규정과 이에 따른 조직화가 요망된다. 마지막으로 광역자치단체의 지역정보통합센터가 산하 기초자치단체들의 통합관제센터와 연계하여 각각의 통합관제센터에서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전송 받아서 종합관리하고, 백업 및 연계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보다 통합된 영상정보 관리 거버넌스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public area CCTV has also begun to become more popular in the Korea. 2011, Korea’s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as recommended that other local governments set up an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in each of their districts. The ministry was planning to make it compulsory for local governments to install an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by 2015. More than 570,000 public cameras are managed by public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Currently, the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is playing a very positive role in fighting crimes in the district particularly through its liaison with the district police. The CCTVs were operated by a several different agencies and departments in the district, resulting in considerable redundancy in public service, inefficiency and delays in response to crimes, and other emergency situations. Therefore, many local government realized the necessity of building a systematic, efficien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nation’s top-ti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ue networking of CCTV and openness of the internet, the necessity to protect privacy video data and information safety, trust, protection, and concealment is in demand. Moreover, there is possibility of leakage of CCTV videos due to several threats, and data security must be provided accordingly. Therefore, Control Center should be operated lawfully and efficiently. CCTV Control Center will be managed by three ways: (1) IT Governance through cooperation with civil areas (2) by regulated with proper laws and (3) managed by proper guideline and personal training.

      • KCI등재

        CCTV 관제시스템 통합이 경찰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경석(Oh, Gyeongseok),김태용(Kim, Taeyong),박현호(Park, Hyeon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2012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48,446대의 공공 가두방범 CCTV가 운영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행정안전부에서 1,100억원을 지원하여 전국 모든 자치단체별로 CCTV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CCTV 관제시스템의 통합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반해 공공기관의 자발적인 효과성 검증에 대한 노력은 극히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CCTV 통합관제시스템을 실제 운영·관리하며 직접 사용자인 모니터요원과 일선 경찰서 수사관들을 대상으로 관제센터의 통합 여부에 따른 경찰활동 효율성의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된 시·군의 모니터요원의 업무편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찰·자치단체·모니터요원간의 협업수준이나 범죄예방 기대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된 시·군에서 근무하는 경찰서 수사관들이 통합되지 않은 시·군에서 근무하는 수사관들보다 범죄수사활동에 CCTV의 도움을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알아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현직 모니터요원 및 수사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도입 가능한 여러 발전방안을 도출해냈다. 본 연구가 많은 한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CTV 통합관제시스템이 경찰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는 데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통합관제시스템의 질적 발전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지속되어 행정효율성과 범죄예방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정책제언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With many South Korean citizens worried about crime, the government is installing more open-street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units as a preventive measure. There are now 48,446 open-street CCTVs all over the country. After the installation, many cities started to take an interest in the "Integration of CCTV" to meet the need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llocated 110 billion won in funds for CCTV integration in all c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whether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might enhance efficiency of policing. Through this research,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grated and non-integrated control centers as follows. We found that for monitoring operator, there were some positive differences in the field of work convenience, level of convenience of the detection of criminal behavior, communication with police officers, tracing of walking or running offenders, control of CCTV cameras, and monitoring of the system. Also, in case of investigator,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riances of level of assistance for investigating murder·robbery·rape·theft·assault·arson cases, and in the number of arrests using CCTVs. Only in the case of theft, there was a difference found in the effectiveness of CCTVs in crime prevention. The mean values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unintegrated system, and interestingly, no difference was found in murder·robbery·rape·assault·arson prevention. Although having many limitation, this study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how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affects policing efficiency.

      • KCI등재

        해양경찰의 CCTV 통합관제센터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차민규 한국해양경찰학회 2021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1 No.2

        Preventing coastal accidents and protecting people's lives is a major duty of maritime police. Since 2016, the number of coastal accidents has decreased, but the number of deaths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o prevent such coastal accidents, maritime police should consider other options. Among them,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i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CCTV. Currently, the land police dispatched police officers to the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to prevent crimes. Maritime police also need to consider how to use the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based on such cases of land pol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use of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The first option was to operate a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under the jurisdiction of maritime police, the second option is to dispatch police officers, the third option is to operate a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under the jurisdiction, and the third option is to use civilian controllers as they are now. 연안사고를 예방하여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은 해양경찰의 주요 임무이다. 2016년 이후 연안사고 발생건수는 감소하였지만 사망자는 크게 줄지 않았다. 이러한 연안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양경찰은 다른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에서 고려되는 것이 CCTV를 활용하는 방법인데 CCTV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해서 CCTV 통합관제센터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육상경찰은 CCTV 통합관제센터에 경찰관을 파견하여 범죄예방에 활용하고 있다. 해양 경찰도 이러한 육상경찰의 사례를 바탕으로 CCTV 통합관제센터의 활용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CCTV 통합관제센터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방안으로는 해양경찰 직할 CCTV 통합관제센터의 운영, 두 번째 방안으로는 경찰관 파견 방식, 세 번째 방안으로는 주요 위험지역은 직할 CCTV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하고 나머지 지역은 경찰관을 파견하는 혼합방식, 네 번째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민간관제요원을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방범용 CCTV의 기술ㆍ운영적 측면의 효율성 및 문제점 분석

        양문승(Yang Mun se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2

        This research provides a variety of room types and use of general-purpose CCTV CCTV CCTV around the business efficiency and availability, current status and technical issues of the CCTV, CCTV's operational status and issues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for the empirical analysis. To this end, the nation's provincial police agency, Police Department in operating room, looked at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universal CCTV, CCTV, and take advantage of the physical management and universal police practitioners,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monitor agent on June 28, 2013 target 200 people from July 28th to conduct a survey. Summary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olice, policing services for universal CCTV is a positive influence, but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ion of the technical issues, of the CCTV control centre with the Castle, because of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issues and give a negative impact on the busines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universal cctv room for analysis, taken on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CCTV building weeks enough to one, to shoot at night--a technical issue. Finally, the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related topics for analysis, integrated control system monitors the agent's needs and this is part of our commitment to be a positive assessment, the install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in the station appeared to be necessary.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CCTV의 유형 및 사용 목적 중 방범용 CCTV를 중심으로 CCTV의 업무 효율성 및 활용성, CCTV의 기술적 현황 및 문제점, CCTV의 운영상 현황 및 문제점(CCTV 통합관제센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방경찰청, 경찰서에서 운영 중인 방범용 CCTV의 운영현황, 실적을 살펴보았으며, 방범용 CCTV를 실제 관리 및 활용하는 경찰실무자, 통합관제센터의 모니터요원 200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28일부터 7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범용 CCTV는 경찰의 치안업무의 효율성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반면에 CCTV의 기술적 문제점, 통합관제센터와의 연계성, 관리상 문제점으로 인하여 업무의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방범용 cctv의 기술적 측면의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관내 CCTV의 기술적 측면은 주간에 촬영하기에는 충분하나, 야간에 촬영하기에는 기술적 측면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CTV 통합관제센터관련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통합관제시스템의 모니터요원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찰서 내 통합관제센터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인식 : 모니터링 요원을 중심으로

        임형진(Lim, Hyungjin),강욱(Kang, Wook) 한국셉테드학회 2021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모니터링 요원의인식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8개구 CCTV 통합관제센터 모니터링 요원 9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니터링 요원은 CCTV 통합관제시스템이 범죄예방효과, 범죄로부터의 안전효과, 범죄중단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해 모니터링 요원은 살인, 강도, 강간, 침입절도, 기타 절도, 폭행, 방화, 청소년범죄, 기타범죄에 모두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청소년비행, 폭행, 기타절도, 강간, 방화, 침입절도에 상대적으로 높고, 강도, 살인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방범용CCTV를 설치하면 범죄전이효과가 발생하나 완전한 전이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시사한다. 첫째, 방범용 CCTV 설치 시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가 범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방범용 CCTV 설치장소 선정에 있어 모니터링 요원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방범용 CCTV 설치시 이웃지역으로의 범죄전이효과 및 이익의 확산효과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erception of monitoring personnel abou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CCTV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90 monitoring personnel at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s in 8 districts in Incheon, and the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nitoring personnel recognized that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had a crime prevention effect, a safety effect from a crime, and a crime stop effect. The monitoring personnel also recognized tha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was effective against murder, robbery, rape, burglary, other theft, assault, arson, juvenile crime, and other crimes. Following the recognition of the monitoring personnel,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were relatively high for juvenile crime, assault, other theft, rape, arson, and burglary, whereas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were relatively low for robbery and murder.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installing a CCTV for crime prevention would cause a crime displacement effect, but not a complete crime displaceme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policy suggestions. First, whe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crim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opinions of monitoring personnel in selecting the installation site for open-street CCTV. Finally, whe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 and diffusion of benefits effect to neighboring areas.

      • KCI등재후보

        청소년 범죄예방을 위한 CCTV활용의 효율화 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 하남시를 중심으로 -

        심재형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9 한국범죄정보연구 Vol.5 No.1

        학교와 그 주변에서 많은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교내에 방범용 CCTV를 설치하는 것은 학교에서 발생하는 청소년의 범죄예방과 보호에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통합관제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하남시의 사례를 들어 청소년범죄 관련 CCTV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CCTV통합관제센터 운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첫째, 예산지원은 지방자치단체가 하며 운영은 관할 경찰서가 시행하여 운영과 관리가 이원화되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하드웨어적인 문제점으로 청소년범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학교폭력의 발생지는 중학교와 고등 학교 주변인데 실제 CCTV가 설치된 곳은 20개 초등학교 중 12곳 뿐이다. 셋째,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점으로 모니터 및 관리 인력의 양성과 전문성의 고도화, 인력의 배치 등 체계적인 일관성이 부족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시스템 운용상의 문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 전체의 CPTED 계획의 기관 간 공조가 부족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은 하남시뿐만 아니라 다른 지자체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한 개선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CCTV 통합관제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유관기관의 원활한 업무체계 구축을 위한 시나리오 수립과 더불어 로드맵(Road Map) 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운영주체와 예산지원체제가 통합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에 설치된 CCTV와 CCTV 통합관제센터의 장비나 기기 등은 전체적으로 호환이 되는 표준 화가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 범죄의 경우 CCTV가 예방효과가 크고 즉시적 대처 효과가 크며, 또한 범죄피해로부터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만큼 최우선적으로 설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CCTV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와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Recently the crime occurred in school or schools around. We can expec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tection and prevention crime occurring in school. The researcher reviewed the issues of recent case of Hanam city, which operates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related to youth crime in this study. The issues of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in Hanam city for are as follows. First, funding and operations are seperated, though local government funding and the police enforcement operations. Second, it was a hardware problem, key point of CCTV at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CTV was installed elementary school 12. Third, there was a lack of training and operations personnel advancement of expertise, it wa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operation problem. Fourth, it was the lack of inter-institutional coordination city full CPTED plan. The above problem is urgent improvement measures occured as well as the other cities. To improv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roadmap scenarios should be created first. Second, we must be united as one entity operating system and budget support. Third, it should be standardized globally integrated control center for such equipment or devices. Fourth, CCTV is installed for juvenile crime prevention effect and the psychological of the crime. This study could provide of the significance for local governments to operate a comprehensive CCTV monitoring center.

      • KCI등재

        방범용 CCTV의 통합형 표준가이드라인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양문승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3

        이 연구에서는 방범용 CCTV의 통합형 표준가이드라인 기준에 대한 적합성 여부검증을 통해 실질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체계를 구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그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AHP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판단표본 추출법(judgement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전문가 집단 총 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계층 요인에서는 운영・정책적 측면이 기술적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2계층 요인에서는 통합관제센터 운영 항목이 0.115, 방범용 CCTV 소속 및운영주체 항목이 0.114, CCTV 카메라 권고사항 항목이 0.111, CCTV 설치 업체 선정 및 기준 항목이 0.102, CCTV 유지 및 보수 항목이 0.098, 시스템 유지 항목이0.093, 통합포털 구축 운영이 0.085로 2계층 요인 중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계층 요인에서는 총 29개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통합관제센터 운영주체, 카메라, 모니터, 모니터링요원의 수, 카메라 해상도, 렌즈, 초점거리, 시야, 적외선 카메라, 모니터링의 편제, 통합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기준 사항의 보안, 통합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기준 사항의 구축 및 운영, 모니터링 요원 선발 기준 및자격, 녹화시스템 해상도, 통합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기준 사항의 계획 및 설계, 모니터링 요원 관리 및 교육과 담당 등의 순서로 높은 중요도를 차지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an integrated standard guidelines of the CCTV prevention suitability for practical operation and management through verification whether a system for integrated CCTV for the purposes of the standard to establish the importance of the guidelines and prioritie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s the AHP analysis methods, and from 1 June 2015, June 22, judgement sampling law (judgement sampling method) using expert group conducted a total of 35 people to target. Summary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 one-tier factors, anything that increases the policy aspects of the technical aspects of a relatively important. Seco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operating a two-tier factors items belonging to the universal CCTV and operating room, principal 0.115 entry 0.114, CCTV installation CCTV camera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item selected and the item is 0.111, 0.102, CCTV, maintenance and repair items 0.098, 0.093, integrated portal operating system maintenance items in this two-tier as factors of 0.085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to. Third, all 29 out of a three-tier factors, factor analysis of priorities for integrated control center monitor agent operating principal, camera, monitor, camera resolution, lens, focal length, sight, IR cameras, monitoring arrangements, based o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curity, integrated control center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base build and operate, and monitoring of personnel selection criteria and eligibility, recording system resolution, integrated control center construction and operation standards of planning and design, monitoring, agent in charge of the management and education accounted for a high order of importance, such 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