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소제거용 dual-cathode MFC에서의 쿨롱효율에 따른 순 C/N비의 변화

        이강유,이상민,임경호 한국도시환경학회 2021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1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ppropriate C/N ratio in a dual-cathode MFC that allowed to remove nitrogen and organics simultaneously with a single external resistance.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removal performances of MFC was analyzed based on the initial dose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While ammonia was consistently removed regardless of the initial COD concentration, the amount of nitrate removal decreased as the C/N ratio decrease. Also, the coulombic efficiency (CE) decreased as the initial COD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N ratios based on the influent substrate concentration was revealed of 1.8~8.5 that had wider range than that of 3.36~7.57 which was calculated from substrate concentration removed during the reaction. The calculated C/N ratio considering the CE was a relatively consistent 3.16. The net C/N ratio was similar to the stoichiometric value of 2.86 g NO3- N/g COD, showing that the electrons transferred to the cathode were mostly used for denitrification. Electrons produced from th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for denitrification in the MFC exhibited greater loss at the anode compared to the cathode. Consequently, the amount of COD required for denitrification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E to the net C/N ratio. 본 연구는 유기물과 질소의 동시 제거가 가능한 하나의 외부저항을 갖는 dual-cathode MFC를 이용하여 초기 유기물과 질소 농도에 따른 제거효율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적정 C/N비를 산정하는 방법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 암모니아는 초기 COD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제거되지만 질산염은 COD농도에 기인한 C/N비가 감소함에 따라 제거량이감소하였다. 그리고 초기 COD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쿨롱효율은 감소하였다. 반응으로 제거된 기질농도를 기준으로 한C/N비는 3.36~7.57로 유입수 농도로 계산된 C/N비 1.8~8.5보다 작은 범위로 나타났으나 제거된 COD의 농도에 쿨롱효율을 고려하여 계산된 순 C/N비는 3.16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났다. 순 C/N비는 화학양론식으로 산정된 2.86 g NO3 - -N/g COD와 비슷한 수준으로 환원전극에 전달된 전자는 대부분이 탈질에 이용됨을 확인하였다. MFC에서 유기물의 산화로 발생하는 전자는 탈질이 일어나는 환원전극보다 산화전극에서 더 큰 손실이 나타나므로 탈질을 위한 COD 요구량은 순 C/N비에 쿨롱효율을 고려해야만 산정할 수 있다.

      • KCI등재

        상수리나무와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원호연 ( Ho Yeon Won ),오경환 ( Kyung Hwan Oh ),표재훈 ( Jae Hoon Pyo ),문형태 ( Hyeong Tae M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상록활엽수인 가시나무와 낙엽활엽수인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 12월 공주의 상수리나무군락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9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46.3±5.4%와 37.8±2.5%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가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0.38과 0.49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6.8, 270.9 이었으나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5와 104.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가시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22.4와 41.7로 나타났고,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16.7와 89.9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8.31, 0.44, 4.18, 9.38, 1.37 mg/g,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19.88, 2.73, 7.06, 8.24, 2.61 mg/g으로 가시나무 낙엽의 질소와 인의 함량이 상수리나무 낙엽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24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100.91, 114.75, 32.99, 50.63, 15.51% 이었고,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43.22, 11.35, 12.98, 82.22, 44.23% 로 조사기간 동안에 상수리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부동화가, 가시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무기화가 진행되었다.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deciduous Quercus acutissima and evergreen Quercus mysinaefolia were studied for 24 months from December 2008 to December 2010 in Gongju, Chungnam Province, Korea. Percent remaining weight of Q. acutissima and Q. mysinaefolia leaf litter after 24 months elapsed was 46.3±5.4% and 37.8±2.5%, respectively. Decomposition of evergreen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deciduous Quercus acutissima leaf litter. Decay constant(k) of Q. acutissima and Q. mysinaefolia leaf litter after 24 months elapsed was 0.38 and 0.49,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Q. acutissima leaf litter.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acutissima leaf litter was 46.8 and 270.9, respectively. After 24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acutissima leaf litter decreased to 22.5 and 104.2,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22.4 and 41.7, respectively. After 24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mysinaefolia leaf litter decreased to 16.7 and 89.7,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P, K, Ca and Mg in leaf litter was 8.31, 0.44, 4.18, 9.38, 1.37 mg/g in Q. acutissima, and 19.88, 2.73, 7.06, 8.24, 2.61 mg/g in Q. mysinaefolia,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and P in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Q. acutissima. After 24 month elapsed, remaining N, P, K, Ca and Mg were 100.91, 114.75, 32.99, 50.63, 15.51% in Q. acutissima, and 43.22, 11.35, 12.98, 82.22, 44.23% in Q. mysinaefolia, respectively. N and P in decomposing leaf litter was immobilized in Q. acutissima, and mineralized in Q. mysinaefolia.

      • KCI등재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장기적 분해 및 영양염류 동태

        원호연 ( Ho Yeon Won ),김덕기 ( Deok Ki Kim ),이규진 ( Kyu Jin Lee ),박상봉 ( Sang Bong Park ),최중석 ( Joong Suk Choi ),문형태 ( Hyeong Tae M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국가장기생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2월 월악산의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6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69개월간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35.4±2.3%와 16.1±1.3%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가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 낙엽과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5.97과 10.50으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3.1, 543.9이었으나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8.7과 141.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소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151.2와 391.4로 나타났고, 분해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9와 136.5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의 함량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9.30, 0.23, 2.36, 3.14, 1.11mg/g,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3.02, 0.09, 1.00, 3.84, 0.62mg/g으로 신갈나무 낙엽에서 질소와 인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73.8, 60.9, 17.2, 20.3, 35.1%,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69.5, 75.3, 12.3, 10.9, 10.8%로 나타났다.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deciduous broad leaf Quercus mongolica and evergreen needle leaf Pinus densiflora were investigated for 69 months from December 2005 to September 2011 in Mt. Worak National Park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Percent remaining weight of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leaf litter after 69 months elapsed was 35.4±2.3 % and 16.1±1.3 %, respectively. Decomposition of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Q. mongolica leaf litter. Decay constant (k) of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leaf litter after 69 months elapsed was 5.97 and 10.50,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ongolica leaf litter was 43.1 and 543.9 respectively. After 69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mongolica leaf litter decreased to 8.7 and 141.2,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151.2 and 391.4, respectively. After 69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P. densiflora leaf litter decreased to 22.9. and 136.5.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P, K, Ca and Mg in leaf litter was 9.30, 0.23, 2.36, 3.14, 1.11 mg/g in Q. mongolica, and 3.02, 0.09, 1.00, 3.84, 0.62 mg/g in P. densiflora,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and P in Q. mongolic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P. densiflora. After 69 months elapsed,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decomposing leaf litter were 73.8, 60.9, 17.2, 20.3, 35.1 % in Q. mongolica, and 69.5, 75.3, 12.3, 10.9, 10.8 % in P. densiflora, respectively.

      • KCI등재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장기적 분해 및 영양염류 동태

        원호연,김덕기,이규진,박상봉,최중석,문형태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국가장기생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2월 월악산의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6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69개월간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35.4±2.3%와 16.1±1.3%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가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 낙엽과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5.97과 10.50으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3.1, 543.9이었으나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8.7과 141.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소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151.2와 391.4로 나타났고, 분해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9와 136.5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의 함량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9.30, 0.23, 2.36, 3.14, 1.11mg/g,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3.02, 0.09, 1.00, 3.84, 0.62mg/g으로 신갈나무 낙엽에서 질소와 인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73.8, 60.9, 17.2, 20.3, 35.1%,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69.5, 75.3, 12.3, 10.9, 10.8%로 나타났다.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deciduous broad leaf Quercus mongolica and evergreen needle leaf Pinus densiflora were investigated for 69 months from December 2005 to September 2011 in Mt. Worak National Park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Percent remaining weight of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leaf litter after 69 months elapsed was 35.4±2.3% and 16.1±1.3%, respectively. Decomposition of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Q. mongolica leaf litter. Decay constant (k) of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leaf litter after 69 months elapsed was 5.97 and 10.50,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ongolica leaf litter was 43.1 and 543.9 respectively. After 69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mongolica leaf litter decreased to 8.7 and 141.2,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151.2 and 391.4, respectively. After 69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P. densiflora leaf litter decreased to 22.9. and 136.5.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P, K, Ca and Mg in leaf litter was 9.30, 0.23, 2.36, 3.14, 1.11 mg/g in Q. mongolica, and 3.02, 0.09, 1.00, 3.84, 0.62 mg/g in P. densiflora,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and P in Q. mongolic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P. densiflora. After 69 months elapsed,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decomposing leaf litter were 73.8, 60.9, 17.2, 20.3, 35.1 % in Q. mongolica, and 69.5, 75.3, 12.3, 10.9, 10.8 % in P. densiflora, respectively.

      • KCI등재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에 관한 기초적 연구

        전병관(Byung-Gwan Jeon),허당(Dang Hur) 유기성자원학회 1996 유기물자원화 Vol.4 No.2

        A fundamental study on composting garbage was performed in a laboratory scale of a high-speed composting reactor. Major parameters were moisture content, temperature and C/N rat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pH of the compost was the highest at moisture 60% and anaerobic condition occurred at 70%. It was, also, found that C/N ratio, caused a nitrogen loss due to an occurrence of plentiful NH3 • Under controlling Temperature, pH was the highest at 60.C and an inverse effect for Composting occurred under excessive Temperature as pH at 70.C was lower than that of soil. The variation of pH and C/N ratio was the lowest when C/N ratio was 25. The results obtained from composting garbage revealed that the best condition of composting occurred under 50 to 60% of moisture content, 60.C of temperature, and 25 of C/N ratio. It is believed that composting may be finished with in 56 hours if an optimal condition is setting up. 본 연구는 실험실규모로 제작된 고속퇴비화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된 지표는 수분, 온도, C/N 바였다. 수분을 조건으로한 실험에서 pH 변화는 60%가 가장 높았으며, 70%는 혐기성반응이 일어남을 볼 수 있었고 C/N비 변화에서는 NH3의 다량발생으로 질소소설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온도를 조건으로 한 실험에서 600C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700C 의 pH는 토양의 pH 보다 낮게 나타나지나친 고온은 퇴비화에 역효과를 나타냄을 볼 수 있었고. C/N비의 실험에서는 C/N비 25가 pH와 C/N 비의 변화가가장작았다.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에서 수분은 50-60%, 온도는 600C, C/N비는 25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으며, 조건을 잘 조절해 준다면 56시간안에 퇴비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하향류 칼럼식반응기에서 하수의 질소제거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홍석주,최동혁,김태동 한국도시환경학회 2019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4

        Biologically advanced treatment proc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utrient removal. In Korea, the relatively low C/ N ratio of influent and the low temperature of winter lower nitrogen removal efficienc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C/N ratio, and temperature on nitrogen removal in Downflow Column Reactor. When the C/N ratios of influent was low, 4~5, nitrogen removal reached to 95%, while that was high, 10~11, it dropped to 44%, This result showed the adjustment of C/N ratio was essential in nitrogen removal. The nitrogen removal dropped to 76% at the low rector temperature of 10°C, corresponding winter season, but it achieved to 90% at 20°C~30°C, corresponding other season. 생물학적 고도처리 공법은 영양물질 제거에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유입수의 C/N비가 낮은 농도로 유입되고 있으며,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로 인해 질소처리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ownflow Column Reactor를 이용하여 유입수 C/N비, 온도에 따른 질소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C/N비 4~5에서는 질소제거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N비 10~11에서 질소제거율이 44%까지 낮아져 적절한 C/N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기내 온도에 따른 질소제거 영향을 검토한 결과 20~30oC에서는 질소제거율 약 90%이상 나타났지만, 10oC에서 질소제거율 76%로 낮은 질소제거율을 보였다.

      • KCI등재

        코코닛 피트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기초실험

        허목(Mock Huh),한지용(Ji-Yong Han) 유기성자원학회 1999 유기물자원화 Vol.7 No.2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회분식 반응기로 음식물쓰레기와 돈분을 퇴비화하였으며,수분,C/N비 및 비중 조절재로써 톱밥과 코코덧 피트를 사용하였다. 첨가재로 톱밥만을 이용하여 생산된 퇴비와 톱밥과 코코덧 피트를 이용하여 생산된 퇴비를 비교하여 볼 때,전자가 후자보다 감량율과 분해율이 약간씩 높게 나타났다. 이는 코코덧 피트가 톱밥보다 보습력이 뛰어났기 때문이며 . 초기 수분량이 낮고‘ 통기성이 좋아 적정의 111중조절이 가능하여 호기성 발효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음식물쓰레기만에 의한 퇴비는 그 비료성분이 부산물 비료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와 돈분을 동일 비율로 흔합하여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었다. CEC값은 평균적으로 63.8me/100g 이었다. 톱밥의 높은 C/N비 때문에 퇴비화 초기의 C!N비는 적절하게 조절되었다. C!N비 ()40)가 높을수록 감소율이 컸으며,퇴비화하는 동안의 C/N비는 점점 향상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about composting in a batch reactor of laboratory scale using garbage waste and swine waste. Sawdust and coconut peat were materials to control optimum moisture. Cη-J ratio and specific gravity in the study. Comparing compost using only sawdust with compost using sawdust and coconut peat. the latter was higher at reduction rate 없ld decomposition rate. Coconut peat was accelerated aerobic fermentation. because it had moisture holding ability, initial moisture was low. ventilation was good and control of optimum specific gravity was possible. Compost by only garbage waste was under standard of manure. but mixtures in same proportion of garbage waste and swine waste producted high quality compost. CEC value was average 63.8me/l00g. The initial C!N ratio of compost was re밍llated effectively because of high C/N ratio of sawdust. As the C이 ratio()40) was higher , reduction rate was higher. During the composting C/N ratio was improved more and more.

      • KCI등재후보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에서의 SRT와 C/N비에 따른 공정 자동제어

        이준명 ( Jun-myeong Lee ),최창규 ( Chang-kyoo Choi ),이광호 ( Kwang-ho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에서의 SRT와 C/N비 변화시에 하나의 cycle내 ORP와 DO곡선의 변화와 NH<sub>4</sub><sup>+</sup>-N과 NO<sub>3</sub><sup>-</sup>-N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의 자동제어를 위한 적정 운영인자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SRT 20day, 30day, 40day의 경우, 호기조건의 질산화 종료시점은 DO보다는 ORP 곡선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산소조건의 탈질 종료시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C/N비 4.5, 7, 10에서의 질산화 종료시점 또한 ORP 굴곡점과 같은 시간에 나타났으며, 탈질 종료시점은 C/N비 10에서만 나타났는데 탈질종료시점과 같은 시점에 ORP의 경우 굴곡점이 나타난 반면 DO 곡선에는 변화가 없어 질산화종료시점과 마찬가지로 탈질종료시점도 ORP 곡선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의 자동제어는 DO 보다는 ORP 곡선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proper factor for the auto control of the process, as it compared ORP and DO curves with the variation of NH<sub>4</sub><sup>+</sup>-N and NO<sub>3</sub><sup>-</sup>-N concentration in a cycle. In the results to be operated in SRT 20day, 30day and 40day, the nitrification ending point coincided with ORP bending point in the aerobic state, however, the denitrification ending point wasn`t revealed in the anaerobic state. In the results to be operated in C/N 4.5, 7 and 10, the nitrification ending point appeared with ORP bending point at the same time. Also, the denitrification ending point presented at C/N ratio 10, then ORP bending point coincided with the ending point, on the other hand, DO curve wasn`t changed. Therefore, the ORP curve was more appropriate factor than DO for the auto control of IAMBR.

      • KCI등재

        공주와 진주지역에서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원호연,오경환,문형태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4

        낙엽활엽수인 상수리나무 낙엽의 지역에 따른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 기 위해 2008년 12월 공주의 상수리나무림과 진주지역의 낙엽-상록침엽수 혼효림 임상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 고 2011년 3월까지 33개월 동안 분해율, 분해상수 (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 비, C/P 비의 변화와 영양 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33개월경과 후 공주와 진주에서 상수리나무 낙엽 잔존률은 각각 41.2 ± 0.4 %와 28.3 ± 0.6 %, 분해상수 (k)는 각각 0.39와 0.61로 진주지역이 공주지역에 비해 분해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진주지역이 공주에 비해 연중 기온과 강수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수리나무 낙엽 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6.8, 270.9 이었으나 33개월경과 후에는 공주지역에서 각각 22.0과 106.8, 진주지역에서는 각각 19.2와 170.2로 낮아졌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각각 8.31, 0.44, 4.18, 9.38, 1.37 mg/g이었으며, 33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공주지역에서 각각 91.0, 85.4, 30.2, 47.9, 11.7 %, 진주지역에서는 각각 67.0, 54.2, 19.9, 30.0, 40.8%로 Mg을 제외하고 진주지 역의 잔존률이 낮았다. 조사기간 동안에 질소와 인은 부동화 후 무기화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지속적인 무기 화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

        염분함량이 음식물쓰레기의 호기성 퇴비화에미치는영향

        김남찬(Nam-Chan Kim),김도희(Do-Hee Kim) 유기성자원학회 2000 유기물자원화 Vol.8 No.2

        본 논문은 퇴비화의 분해속도와 처리효율이 염분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험에 사용된 음식물쓰레기의 시료는 경기도 포천군에서 채취하였으며 이 시료의 수분힘량, pH 및 C/N비를 적정범위로 조정하였다. 염분함량이 1%_ 5% 및 10%인 3종류의 시료를 조제하여 온도조절과 공기공급량이 조절가능한 반응조에 넣고 호기성 퇴비화가 진행되는 동안 반응조내의 온도, pH, C/N비 빛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 응을측정하였다. 최고온도는 반응조 l(염분함량 1%) 에서 59'C 반응조 2(염분함량 5%) 에서 49 및 반응조 3(염분함량 10%) 에 서 45 '0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옹도상승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낮은 염분함량에서 피크값을 나타냈다. 퇴비화가 진행되는 동안 반응조 1, 반응조 2 및 반응조 3의 pH는 8.9, 8.6 및 7.2로 상승하였으며 C/N비는 18.9, 19.1 및 22 .1로 천천히 감소하였다. 반응조 1, 반응조 2 및 반응조 3의 최종함수율은 51.1%, 53.7% 및 55.0%로 나타났다. 퇴비화기간 동안의 염분농도의 증가는 미생물의 분해활동을 지연시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효율적인 퇴비화를 위해 시료중의 염분함량은 5% 미만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egradation rate and process efficiency of the composting according to the salinity concentration. The samples of food waste for rhis srudy were collected in Pocheon-Gun, Kyungki-Do. The collected samples were adjusted to the optìmum range of moisture content, pH and C/N ratio. After that, adding rhe saline, thε samples with 3 이fferent salinity concεmrations(l %, 5% and 10%) were made. Then each sample was fed imo the reactor with temperature controller. During the aerobic composting process, dle change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as temperature, pH, C/N ratio and C02 and 0 2 concemration in 버e reacror were measured. From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the res111t are following. The highest remperatures are 590C at RUN 1 (1 % salinity conc.), 490C at RUN 2(5% saliniry conc.) and 450C at RUN 3(10% saliniry conc.) . The change of CO2 prodl1ction and 0 2 consumption have dl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CO2 production and O2 consumption are peaked at the low salinity concentration‘ During composting, Runl, RUN 2 and RUN 3 are increased pH to 8.9, 8.6 and 7.2 and slowly decreased C/N ratio ro 18.9, 19.1 and 22.l and moisrure content ro 51.1 %, 53.7% and 55.0%, respectively. It is supposed that increasing saliniry concεmration causes the retarding of the microbial degradation acrivities during me composting. And for me efficiem composting, the salinity concemration in the sample has to be maimained below 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