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중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지방정부 간 협력방안

        김명아 중국지역학회 2014 중국지역연구 Vol.1 No.1

        Korea-China bilateral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has grown by leaps and bounds over 20 years since August 1992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and with the actual conclusion of the FTA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economic cooperation is expected to accelerate in accordance. Under this background, as a way to strengthen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can be said to have implications to reflect on the necessity and way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of both nations. In addition, the best way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China FTA should be devised, of which the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demonstration area will be an effective means. If South Korea and China are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in such a way that they select Special Economic Zone(SEZ) as pilot areas, it may be appropriate to consider both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size of the economy of concerned areas, as well as the two governments strong policy commitment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n the areas. Shandong Peninsula Blue Economic Zone where the chinese government tries to make it a base for trilateral economic integration(Korea-China-Japan) on the basis of hegemony of the marine economy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Korea- China-Japan economic cooperation,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so-called ‘Hwang- Hae Rim’ by making District Development Plan of Shandong Peninsula Blue Economic Zone in 2011. Saemangeum area of economic cooperation is the first case of cross-border economic cooperation SEZ being promoted in the Korea. Thus, many Korean companies can take advantage of expanding into the Chinese market by investing Saemangeum area of economic cooperation, and in the case of the Chinese enterprises, they can also take advantage of Saemangeum area of economic cooperation, making this area a base to expand into global market, because Saemangeum area of economic cooperation will be foster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take advantage of these pilot areas as a global economic free zone, a trilateral network(Korea-China-Japan) must be configured for each region’s purpose, and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olicies and legislation of those concerned nations needs to be prioritized. 1992년 8월 한·중 수교 이후 20년 동안 한·중 양국의 경제협력과 교역은 비약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FTA의 실질적 타결에 따라 양국 간의 경제협력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중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양국 지방 정부 간 협력의 필요성과 시범지역의 운용을 바탕으로 한 협력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중 FTA의 효과를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되어야 하며, 그중에서 경제협력 시범지역 조성 및 지방 정부 간의 협력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것이다. 한국과 중국이 경제특구성 시범지역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경제협력을추진하는 경우, 지리적 인접성과 경제 규모 등을 감안하여 시범지역을 정하여야 할 것이며, 양국정부의 해당지역에 대한 경제발전 정책의지가 강한 곳이 대상지로 적절할 것이다. 산동반도 남색경제구는 중국정부에서도 해양경제권을 바탕으로 한중일 경제통합의 거점으로 삼고 있으며, 2011년 중국의 산동반도 남색경제구 발전계획수립을 통하여 한·중·일 지역경제협력 시범 함께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환황해경제권 조성으로 이어져 한·중·일 경제협력의 발판이 될 것이다. 새만금지역의 경협단지는 우리나라에서 추진되는 국가 간 경제협력특구의 첫 사례이며, 양국 중앙정부의 협력에 의하여 한·중 경협단지를 조성하기 때문에 우리측기업들도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에 투자함으로써 중국으로의 진출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할 수 았으며, 중국측 기업들의 경우에도 한국 진출과 나아가 한·중 FTA를 활용하여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거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한·중 경제협력 시범지역을 글로벌 경제자유지역으로 활용하기 위하여서는 각 지역별 조성 목적에 따라 한·중·일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며, 상대국 지방정부의 정책이나 법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우선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반도와 북방지역 연계를 위한 훈춘 일대 접경지역 개발협력 연구

        이현주 한중사회과학학회 2019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7 No.1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drawing up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cooperation of the Cross-border area of Hunchun through the SWOT analysis, which is a border area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The internal capabilities of polic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Initiative of countries and the experience and performance of infrastructure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can be classified as strong points. Meanwhile, the biggest threat to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he elimination of geopolitical instability caused by North Korea’s change and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mong these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o present strategies for promoting development and cooperation in areas close to Hunchun, which can be considered, such as promoting demand-based industrial cooperation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selection of possible projects for each scenario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expansion of internal capabilities of mult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s, and vitalization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cooperation. In seeking to push ahead with this strategy, Korea needs to take a policy and strategic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Hunchun area as a link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rn region. Specifically, Korea should take a leading role in activ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in Hunchun area, joint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and excavation of diverse projects through diversification of cooperation partners.

      • KCI등재

        韓ㆍ中경계지역 문화유산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구축의 교육적 활용

        오일환(Il-Whan Oh)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문화유산은 민족의 삶과 지역성을 함축하고 있는 역사적 상징이다. 한중경계의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에는 다양한 민족의 문화유산이 분포하고 있다. 이에 한중간의 경계에 분포하고 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적 문화의식을 확립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연구과제이다. 그러나 중국이 고구려의 문화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 동북공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고구려와 발해 뿐 아니라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역사문제와 문화유산을 둘러싸고 우리나라와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경계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문헌학적인 연구보다는 박물관에서 시각적인 자료활용과 교육학습의 연계를 위하여 문화사적 인문경관의 전시콘텐츠 구축과 이를 활용한 교육적 학습방안을 찾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근대국가에 대한 영토인식 뿐 아니라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동북공정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웹이나 앱의 구축을 통한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박물관의 전시자료를 활용한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동북지역에 대한 한중간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Cultural heritage is the historic symbol implying the life of people and regionality. Accordingly, the study on cultural heritage along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is a very critical and urgent task for educational purposes as well as to secure historic and cultural awareness and national identity. The border area between Korea and China is classified into the areas along Aprok River and areas along Tumen River where the cultural heritage of various ethnicities is scattered.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pproaches to implement and use the exhibition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as well as visual applications rather than a literary study on cultural heritage in the border area betwee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opportunity to enhance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modern states as well as to learn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territory of a modern state and peopl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orld heritag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resources for historic and cultural tours on the web or applications and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al features of Korea and China in the northeastern region as well as historic awareness in educational programs using exhibition materials in a museum.

      • KCI등재

        북한주민들의 중국에서 "남한 미디어" 이용 실태 연구

        강동완 ( Dong Wan Kang ),박정란 ( Jung Ran Park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5 통일연구 Vol.19 No.1

        폐쇄된 북한 사회에서 북한주민들은 외부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외부세계를 경험한다. 북한당국의 엄격한 통제와 감시에도 불구하고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밀수를 통해 유입되는 남한 영상물은 북한의 내륙지역까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자본주의 날라리풍’으로 규정하고 전담 단속반까지 가동하며 철저히 외부정보를 차단하려는 북한 당국의 통제로 인해 북한주민들이 남한 미디어를 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최근 북한주민들의 합법적인 중국 방문이 늘어나면서 중국 체류 기간 중 남한 미디어를 접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주민들의 중국체류 시 남한 영상물 시청 실태와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중국을 합법적인 방식으로 방문할 수 있는 북한주민의 수는 제한적이다. 중국에서의 생활과 미디어 접촉 등에 의한 의식변화는 개인은 물론 북한으로 다시 복귀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정보전달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행위 양식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 향후 남북한 미디어 통합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people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second-hand through outside information. South Korean videos, which are introduced into North Korea through smuggling in the border area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in spite of the strict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are spreading even into the inland areas. There are, however, limitations with North Korean people’s exposure to the South Korean media since the North Korean regime strives to shut off outside information thoroughly even by running a squad devoted to South Korean videos that have been defined as a “capitalist delinquent style” by the regim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n people would get their hands on South Korean videos and how much they would watch them in China and to analyze the information they would obtain through South Korean videos. Only a limited number of North Korean people can make a legal visit to China.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ir behavioral style since the changes to their consciousness due to their life and media contacts in China can serve as communicators of information to people around them as well as them when they return to North Korea. Those findings are expected to result in implications for media integration pla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백두산 부근 지도의 경계 표시 현황과 기원 탐색

        안종욱 ( Chong Uk Ahn ),김명정 ( Myung-jung Kim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2

        The lining of Baekdusan area`s demarcation has been seemingly remained unsolved for 300 years when the issues were on the table in 1712. There are still slightly different versions of maps on the border. A majority of Geography textbooks helped Korea students realize that the mountain peak of Baekdusan belonged to Korean territory. The two historical events, the Gando Convention (1909) and the Trea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on the Demarcation of the Korean-Chinese National Border (1962), were deeply involved in the demarcation of Baekdusan area. In particular, the latter treaty between `the North Korea` as `an anti-state organization` and China seemed to contribute to the demarcation of the Cheonji`s east area in some map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contemporary maps. It is natural that there should be official guidelines or regulations on the national border.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per demarcation lines on maps and relevant guidelines. Finall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what historical factors had influenced the current demarcation situation.

      • KCI등재

        ‘간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복기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4

        간도(間島)는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선인 토문강의 어느 섬이다. 1860년대 간도로 이주하는 조선 사람이 점점 많아지며 청나라 백성과 마찰이 일어났다. 그러다가 1907년 대한제국 초대 통감 이토우 히로부미가 원래의 간도보다 넓은 지역을 동간도・서간도로 나누며 간도 구역을 획정하였다. 이 위치는 현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 자치주이다. 1909년 후임 통감 소네가 맺은 간도협정으로 간도는 청나라 영토가 된다. 간도는 원래 한국 영토였지만 일본이 청나라에 할양한 것이다. 간도 위치가 혼란에 빠진 가장 큰 원인은, 한국 국경이 두만강이나 압록강을 넘은 적이 없다는 인식이다. 조선이 중국의 영토를 침략하였다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다음은 ‘백산정계비’와 ‘백두산정계비’의 혼동이다. 백산정계비는 조선 숙종 때 국경인 백산에 세운 비석이고, 백두산정계비는 1900년대 초 일본이 대한제국의 동의 없이 대한제국과 청나라의 국경선으로 세운 비석이다. 그런데 일본은 백두산정계비에 백산정계비의 내용을 넣었고, 훗날 세워진 백두산정계비가 백산정계비로 둔갑했다. 다른 하나는 『대동여지도』이다. 이 지도는 매우 강렬하게 백두산정계비를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1860년대 기록의 국경선은 『대동여지도』의 국경선과 전혀 다르며, 1800년대 중반기에 쓰인 『대동지지』에서 압록강 이북의 지명들이 『대동여지도』에서 모두 압록강 남쪽에 새겨져 있다. 간도 지역은 늦어도 통일신라 이후부터 한국사의 영토가 확실하다. 그러나 누군가에 의해 조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므로 우리 사료를 기반으로 다시 풀어나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