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의 블라인드 종류에 따른 실내 일사유입량 및 온도 분포의 분석

        백승윤(Seung Yun Baek),심지수(Jisoo Shim),송두삼(Doo Sam Song) 대한설비공학회 201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11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lind on indoor transmitted solar radiation and indoor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analyzed by field measurement. Indoor transmitted solar radiation and air temperature between window and blinds in three rooms with different window shading conditions were measured. Also, the solar reflection rate and SHGC of the blind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window and blinds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door transmitted solar radiation of Cell #2 with general venetian blind and Cell #3 with high reflected blind can be decreased by 40% and 86% of the Cell #1 without blind condition. The high reflected blind of Cell #3 can be reduced the indoor transmitted solar radiation by 80% compared to the blind of Case #2 with general blind. (2) The solar reflection of the blind of Cell #3 with high reflected blind showed 40~50% higher value than the Cell #2 with the normal venetian blind. (3) The SHGC of the blind in Cell #2 was 0.7, and 0.14 in Cell #3. (4) The resulted indoor air temperature of Cell #1 at the center of the room showed the highest of 29.8℃, and in case of the Cell #2 was 28.9℃. However, the air temperature of Cell #3 showed the lowest at 26.9℃. Blinds is useful to reduce indoor transmitted solar radiation and decreased indoor temperature in summer. Especially, high reflected blind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e high reflected value(albedo) and the lowest SHGC value and indoor transmitted solarradiation.

      • KCI등재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김형주(Kim, Hy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최근 국내외 블라인드 업체에서는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이슈화되고, 쾌적한 삶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한 소재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 생산 및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신기술 적용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효율적인 친환경 실내 환경 구축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업체의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 동향 및 사례연구로 친환경 블라인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통해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의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블라인드제품 국내외 업체사이트와 브로슈어(Brochure) 그리고 블라인드 취급점과 생산업체를 방문하여 국내외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을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중소기업청 선정 우수기업이자 국내 매출순위 상위 2대 업체이며, 친환경블라인드 생산 개발을 하고 있는 한국윈텍, 윈플러스와 국외 매출순위가 높은 업체 중 친환경블라인드 생산에 주력하는 2대 업체 미국 헌터더글라스(Hunterdouglas), 네델란드 콜리세(Coulisse)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각 업체의 2012년에서 2015년 현재까지 데이터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친환경 블라인드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을 줄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친환경 블라인드의 유형은 소재, 조직, 구조, 시스템으로 나뉘며, 친환경 소재와 메탈릭사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소재의 블라인드, 암막 조직, 콤비 블라인드, 트리플 블라인드, 벌집 형태 셀의 허니콤 블라인드가 있다.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동 모터 시스템 블라인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의 한국윈텍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으로는 소재와 시스템 측면에서 무코팅 원단 롤 블라인드와 전동 모터 블라인드가 있고, 윈플러스는 소재, 조직, 구조 측면에서 닥섬유, 한산모시의 친환경 소재, 원착사, 메탈릭사를 활용한 삼중직 암막블라인드와 에너지 절감형 콤비 블라인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외 미국의 헌터더글라스는 전제품이 그린가드 친환경 인증을 받았으며, 소재와 구조 측면에서 항균처리 및 정전기 방지 원단처리 ‘패브릭 더스트 쉴드(Dust Shield)’가 되어있고, 에너지 효율성이 좋은 허니콤 블라인드가 개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네델란드 콜리세는 소재 측면의 아마, 종이로 블라인드를 제작하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두 업체 모두 시스템 측면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무선 전동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소재, 조직, 구조와 시스템 구축을 통한 친환경 블라인드 개발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고품질의 친환경블라인드제품 개발을 위한 관련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친환경블라인드제품 관련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Recently, the domestic and overseas blind manufacturer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produce and develop eco-friendly blind products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and excellently energy-efficient materials and technologies with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increase of consumers’ demands for a pleasant life. Thus,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 is urgently necessary to reduce energy loss through applying new design technologies and construct efficient, eco-friendly interior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eco-friendly blinds through a study of the trends and cases of eco-friendly blind product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companies and help develop designs. As for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blinds through bibliographic data and materials on the Internet. In addition, by visiting the websit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blind products, looking at their brochures and visiting distributors and manufacturers of blinds, this study looks into and analyzes the domestic and overseas eco-friendly blind product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Wintec Korea and Winplus, the top two domestic companies by the order of the sales, which produce and develop eco-friendly blinds, and Hunter Doug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oulisse of the Netherlands, the top two companies that concentrates on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blinds, of the overseas companies ranking high in sales. In addition, each company’s data from 2012 through 2015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n eco-friendly blind is a design that reduces harmful substances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lows a healthy living space to be provided. The types of eco-friendly blin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 texture, structure and system. They include blinds made with eco-friendly materials and eco-friendly materials using metallic yarn, blackout texture, combo and triple blinds and honeycomb blinds. In addition, there are electrically-powered motor system blinds that have high energy- efficiency and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material and system, the main eco-friendly blind products developed by Wintec Korea of South Korea include not coated fabric roller blinds and electric motor blinds, while in terms of material, texture and structure, Winplus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triple-woven blackout blinds and energy-saving combo blinds using mulberry fabric, eco-friendly material of Hansan ramie, dope-dyed yarn and metallic yarn. Third, in foreign countries, Hunter Douglas of the U.S. obtained green guard eco-friendly certification for all of its products, and in terms of material and structure, the products go through antimicrobial treatment and ‘fabric dust shield’ treatment that prevents static electricity, and it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honeycomb blinds with high energy-efficiency. In addition, in terms of material, Coulisse of the Netherlands manufactures blinds with flax and paper and presents designs, which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eco-friendly. Also,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system, both companies provide eco- friendly blind products for their consumers, developing wireless electrically-powered blinds which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co-friendly blinds through building up materials, textures, structures and system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related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eco-friendly blind products, and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co-friendly blind products will be vitalized in the future.

      • KCI등재

        에너지세이빙 리빙블라인드제품디자인 개발

        엄경희(Eom, Kyoung Hee),김형주(Kim, Hy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형빌딩이 증가함에 따라 창문을 위한 리빙 블라인드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블라인드를 포함한 창문 커버링 제품이 생활공간에서 창문으로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Global Industry Analysts, Inc., 2016 에 따르면 글로벌 리빙 블라인드 시장은 2022 년까지 167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에너지 세이빙 블라인드에 대한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블라인드는 여전히 효율적인 빛 차단 및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디자인 트렌드가 반영된 에너지 세이빙을 위한 리빙 블라인드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다. ㈜윈플러스 코리아와 공동으로 이루어진 KEIT (한국 산업 기술 평가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자료와 인터넷자료를 참조하여 에너지 세이빙 블라인드를 분석하였다. 또한, 글로벌 트렌드에 따라 디자인 콘셉트 설정 후, 각 콘셉트별 서피스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블라인드는 물성 실험을 통해 에너지세이빙 여부를 테스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글로벌 인테리어디자인 및 리빙블라인드 트렌드에서 도출된 두 가지 콘셉트 (Sensuous Amiability, Simmering Liquid)별 총 24 개의 리빙블라인드를 위한 서피스디자인 패턴이 개발되었다. 둘째, Jacquard 기술을 사용하여 삼중직 암막 블라인드 및 메탈릭 블라인드에 개발된 패턴과 색상을 성공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메탈릭 블라인드 직물의 거친 질감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FITI Testing &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 된 블라인드에 대한 물성테스트를 실시하였고, 두 블라인드에 대한 일광 견뢰도 테스트 결과 UVP (UV protection chemical)가 5 % 이상 추가될 경우 우수 (4 레벨 이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탈릭 블라인드는 수지 650H 10 % 이하로 사용될 때, 금속 블라인드에 대한 광 반사율 테스트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UVP((Ultraviolet Photolysis)를 첨가하여 자외선을 차단효과를 증가시키고, 메탈릭 블라인드의 내 외부 반사율을 높여 냉난방 에너지 세이빙 성능을 갖춘 블라인드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는 에너지 세이빙을 위한 리빙 블라인드 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고, 선진국에 비해 우수한 기술 확보, 업종별 시장 확대 및 수출 확대 등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recent years, the worldwide increase in large-scale buildings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global demand for living blinds in market windows. This is because window covering products, including bli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energy loss from the living space to the windows. The global living blinds market is expected to reach US $ 16.7 billion by 2022 (Global Industry Analysts, Inc., 2016) 1). Although man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for energy saving blinds across the world, most blinds in Korea are still in need of development due to the lack of efficient light interception and contro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ving blind product design for energy saving that reflects global design trends. This study is part of a project of the KEIT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with Winplus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to investigate the relevant literature and internet data and analyze the status of the cruise industry in Korea and abroad the concept and status of energy saving living blinds. Moreover, based on global trend research, a design concept was established and develop surface pattern designs suitable to each concep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a total of 24 surface design patterns for living blinds were developed based on two concepts (Sensuous amiability and Simmering liquid) derived from global interior design and living blind trends. Second, we could successfully express the patterns and colors developed in the triple-layered blackout blinds and the metallic blinds by using the Jacquard technique. However, the rough textural of the metallic fabric should be improved. Third, as a result of the developed blinds test at the FITI Testing &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 of colorfastness to light testing for the two blinds was excellent (4 level or higher), with more than 5% UVP (UV protection chemical) added. Furthermore, the result of light reflectance testing for metallic blinds was found to increase when the resin was used at 650H of 10% or less. As a result, UVP (ultraviolet photolysis) was added to increase the UV-blocking capacity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reflectance of metallic blinds; it was possible to develop living blinds for energy saving. This study was able to develop energy saving living blind products that can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and it is expected that positive synergies will be created, such as securing superior technologies when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expanding the market by sector and increasing exports.

      • KCI등재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김만태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0 No.28

        In Korea, the blind have retained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folk beliefs as fortune tellers and sutra chanters for a long time. It was in late Goryeo that blind fortune tellers first appeared in documents. Considering that fortune telling perfectly fitted the blind for its characteristics and that there were blind fortune tellers already in Tang Dynasty, however, it’s highly likely that Korea had its own custom of fortune telling by the blind starting in South-North States Period. In Chosun, fortune telling was most favored as a common occupation among the blind. In addition to sutra chanting, fortune telling allowed the blind to lead a relatively independent life compared to other handicapped people. Since fortune telling was very important in the national level, there is a good chance that blind fortune tellers entered government service as early as in Goryeo. In Chosun, the blind were able to hold an official position through Myeonggwahak even if they were from the lower class as long as they were able. The blind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chambong” or “bongsa,” which names came from Chambong(Jong 9 Grade) and Bongsa(Jong 8 Grade) that were the titles of official positions in Chosun. The number of blind fortune tellers gradually dropped due to the enlightenment and missionary works in late Chosun, the reform of general administrative affairs after the Japanese rule, and the settle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massage as the occupations of the blind since 1913. The number, however, temporarily surged after the Korean War as life grew harsh in the urbanization process. It was around those days that blind fortune tellers gathered together and formed a fortune telling street at the foot of Mountain Nam and the Miari Pass in Seoul, under Bridge Yeongdo in Busan, and in front of Dalseong Park in Daegu. Fortune telling by the blind enjoyed its heyday in the 1960s. In the following 1970s, however, there were fewer and fewer families that held ceremonies to pray for well-being and good luck due to the Saemaeul Project and modernization, which caused an abrupt disappearance of sutra chanting by the blind and reduced the demand for fortune telling by the blind gradually. Despite all those ups and downs, fortune telling along with acupuncture has established its status as one of major occupations of the blind. 우리나라에서 맹인은 오랫동안 占卜者ㆍ讀經者로서 민간신앙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맹인 점복자에 관한 기록이 비록 고려 후기에 처음으로 나타나지만 점복은 그 특성상 맹인의 직종으로 적합하며, 唐代 중국에도 이미 맹인 점복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남북국시대부터 이미 맹인이 점치는 풍속이 자생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점복은 맹인의 보편적인 직업으로 가장 선호되었는데, 독경과 함께 점복을 통해 맹인은 다른 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립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점복이 매우 중요했으므로 적어도 고려시대부터는 맹인 점복자가 관직에 진출했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시대에는 맹인이면서 賤人인 경우에도 유능하면 命課學을 통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맹인을 일반적으로 ‘참봉’ㆍ‘봉사’라고도 하는 것도 조선시대 관직인 참봉(종9품)ㆍ봉사(종8품)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한말 계몽활동과 선교활동, 일제강점 후 庶政개혁, 그리고 1913년 이후 鍼灸ㆍ안마업이 우리나라 맹인의 직업으로 정착하면서 맹인 점복자는 점차 감소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삶이 척박해짐에 따라 생계수단으로 점복에 종사하는 맹인의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때를 즈음하여 도심인 서울의 남산기슭ㆍ미아리고개, 부산 영도다리 밑, 대구 달성공원 앞 등지에 맹인 점복자들이 모이면서 점복거리를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맹인 점복업은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0년대 새마을사업과 근대화과정에서 가정의 안택고사가 사라지면서 맹인 독경이 급속히 사라졌고 이와 함께 맹인 점복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점복업은 침술업과 더불어 맹인의 주요 직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KCI등재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측면에서 본 맹인 점복업

        김난주(Kim, Nanju)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1

        이 글은 전통 민간신앙의 한 분야인 맹인 점복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사회에 있어 맹인 점복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직업재활이라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소멸되어 가는 문화전통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맹인 점복업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먼저 맹인 점술이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 문화 전통의 한 부분임을 논증하기 위해 맹인 점술의 유래에 대해 고찰하였다. 손진태 등에 의해 고려 중엽으로 추정되어 온 맹인 점복가 盲僧의 유래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일본 盲僧이 이미 8세기 이전 규슈 지방에서 讀經과 逐鬼, 점술의 역할을 수행해온 사실을 소개함으로써 한중일 맹인 점복의 전파 경로에 대해 되짚어보고 한반도 맹승의 기원이 고려 이전 고대시대까지 소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국가 차원의 보호 정책에 의해 맹인 점복가가 관상감 등의 관직에 등용되어 활약한 사실과, 조선조 맹인집회소인 明通寺, 盲廳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맹인 점복가들의 활동상을 재조명해 보았다. 또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로 대변되는 근대시기 맹인 점복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또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신문 일간지 등의 매체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단절의 위기에 처해 있는 맹인 점복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재활이라는 차원에서 맹인 점복을 지원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성북구 동선동에 밀집해 있는 시각장애인 점성촌의 사례와 맹인역리학회에서 주관하는 맹인 역학 양성 교육 현장을 탐문 조사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to chronologically examine the history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has functioned as a huge axis of folk religion in traditional societies and to diagnose the phenomena and matters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contemporary society. This perceives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is decaying as the discontinuity of th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the everlasting history. Furthermore, this is based on the conception that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needed to be more deeply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elf-support of the blind. This article firstly examines the origination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order to verify that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a part of our cultural heritage with a long history. Regarding the origination of 'maengseung', the blind fortuneteller, which is presumed up to the mid-Koryo dynasty period by Sohn JinTae and other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fact that Japanese blind fortuneteller had performed text-reading, exorcism, and fortunetelling as early as 8th century so that the spread route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throughout Korea, China, and japan is studied; thus this article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tion of maeseung can be traced back before Koryo dynasty period. Next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clarifies the fact that the blind fortunetellers were hired to the positions in Gwansang-gam and became involved into the state affairs, and the activities and lives of the blind fortunetellers who were centered in 'myeongtongsa' and 'maengcheong' which were the blind's gathering posts during Choseon dynasty period. Also, how the blind's fortunetelling was socially perceived, during the modern period which is represented as gaehwagi and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era, in the process in which our folk religions were considered as superstition is discussed depending on the media such as daily newspapers. Finally, the final chapter suggests that the support for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necessary for the succes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facing the threat of disappearance and additionally for the self-support of the blind people. For this, the case of Jeomseongchon in which the blind live together in Seongbuk-gu Dongseondong and the case that studies the blind's fortunetelling education hosted by the Blind's fortunetelling academy are provided.

      • KCI등재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김만태(Kim Man-t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28 No.-

        우리나라에서 맹인은 오랫동안 占卜者·讀經者로서 민간신앙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맹인 점복자에 관한 기록이 비록 고려 후기에 처음으로 나타나지만 점복은 그 특성상 맹인의 직종으로 적합하며, 唐代 중국에도 이미 맹인 점복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남북국시대부터 이미 맹인이 점치는 풍속이 자생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점복은 맹인의 보편적인 직업으로 가장 선호되었는데, 독경과 함께 점복을 통해 맹인은 다른 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립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점복이 매우 중요했으므로 적어도 고려시대부터는 맹인 점복자가 관직에 진출했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시대에는 맹인이면서 賤人인 경우에도 유능하면 命課學을 통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맹인을 일반적으로 '참봉'·'봉사'라고도 하는 것도 조선시대 관직인 참봉(종9품)·봉사(종8품)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한말 계몽활동과 선교활동, 일제강점 후 庶政개혁, 그리고 1913년 이후 鍼灸·안마업이 우리나라 맹인의 직업으로 정착하면서 맹인 점복자는 점차 감소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삶이 척박해짐에 따라 생계수단으로 점복에 종사하는 맹인의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때를 즈음하여 도심인 서울의 남산기슭·미아리고개, 부산 영도다리 밑, 대구 달성공원 앞 등지에 맹인 점복자들이 모이면서 점복거리를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맹인 점복업은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0년대 새마을사업과 근대화과정에서 가정의 안택고사가 사라지면서 맹인 독경이 급속히 사라졌고 이와 함께 맹인 점복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점복업은 침술업과 더불어 맹인의 주요 직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In Korea, the blind have retained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folk beliefs as fortune tellers and sutra chanters for a long time. It was in late Goryeo that blind fortune tellers first appeared in documents. Considering that fortune telling perfectly fitted the blind for its characteristics and that there were blind fortune tellers already in Tang Dynasty, however, it's highly likely that Korea had its own custom of fortune telling by the blind starting in South-North States Period. In Chosun, fortune telling was most favored as a common occupation among the blind. In addition to sutra chanting, fortune telling allowed the blind to lead a relatively independent life compared to other handicapped people. Since fortune telling was very important in the national level, there is a good chance that blind fortune tellers entered government service as early as in Goryeo. In Chosun, the blind were able to hold an official position through Myeonggwahak even if they were from the lower class as long as they were able. The blind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chambong" or "bongsa," which names came from Chambong(Jong 9 Grade) and Bongsa(Jong 8 Grade) that were the titles of official positions in Chosun. The number of blind fortune tellers gradually dropped due to the enlightenment and missionary works in late Chosun, the reform of general administrative affairs after the Japanese rule, and the settle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massage as the occupations of the blind since 1913. The number, however, temporarily surged after the Korean War as life grew harsh in the urbanization process. It was around those days that blind fortune tellers gathered together and formed a fortune telling street at the foot of Mountain Nam and the Miari Pass in Seoul, under Bridge Yeongdo in Busan, and in front of Dalseong Park in Daegu. Fortune telling by the blind enjoyed its heyday in the 1960s. In the following 1970s, however, there were fewer and fewer families that held ceremonies to pray for well-being and good luck due to the Saemaeul Project and modernization, which caused an abrupt disappearance of sutra chanting by the blind and reduced the demand for fortune telling by the blind gradually. Despite all those ups and downs, fortune telling along with acupuncture has established its status as one of major occupations of the blind.

      • KCI등재

        일본 시청각장애인 현황과 지원 실태 분석

        박경란(Park, Kyung-Ra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일본 시청각장애인 현황 및 지원 실태를 살펴보고 한국 시청각장애인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수행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는 시청각장애에 대한 법적인 정의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관습적으로 ‘맹농(盲聾, 모로)’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보이는 정도와 들리는 정도에 따라 전맹농, 약시농, 전맹난청, 약시난청으로 분류한다. 일본 시청각장애인 인구는 13,952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70대 이상의 연령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시각을 기반으로 한 맹농인 비율이 높다. 둘째, 일본 시청각장애인 자립 및 사회참여를 위한 지원 정책을 살펴본 결과『장애인종합지원법』에 따라 지역생활지원사업 중 ‘의사소통지원’과 자립지원급여 중 ‘동행원호’를 주요 지원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지원을 위한 맹농인 통역·개조원 양성과 파견은 맹농인의 의사소통 및 정보 접근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지원 정책이다. 셋째, 일본 시청각장애인 지원을 위한 공공/민간단체의 지원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국맹농인협회’에서 맹농인 통역 지도자 양성 등 후생노동성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전국적으로 설치된 ‘맹농인친우회’에서 통역·개조원 양성과 파견 업무를 수행하고, 맹농인의 의사소통, 생활, 전자기기활용 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support the deaf-blind in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status of support for the deaf-blind in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gal definition of ‘deaf-blindnes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Japan, but they are conventionally called the ‘deaf-blind(盲聾, Mourou).’ The degree of visibility and hearing classifies them; deaf-blind, low vision-deaf, blind-hard of hearing, and low vision-hard of hearing. The estimated number of deaf-blind in Japan is around 13,952. People in their 70s to 90s account for 71 percent. The ratio of the deaf-blind based on vision is high. Second, according to the support policy for the deaf-blind in Japan, provisions supporting the deaf-blind are not directly specified in the Act. Whereas the ‘communication support’ among community life supporting projects and ‘accompanying assistance’ among independent supporting benefits aid the deaf-blind in『Disabled People Assistance Law』. In particular, the training and dispatch of interpreter-caregivers who help communication of the deaf-blind is a key support policy that guarantees the deaf-blind’s communication and access to information.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status of support for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deaf-blind in Japan reveals that the ‘Japan Deaf-blind Association’ carries out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consigned business including training of interpreters for the deaf-blind under the Act. Besides, the nationwide ‘Self-help Organization of the Deaf-blind’ trains and dispatches interpreters-caregivers. It also provides training for communication, daily lives, and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to accomplish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eaf-blind.

      • KCI등재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에서 맹인 재담극으로의 공연화 과정에 나타난 변화 양상

        송미경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3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s and tendencies of variati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shamanistic theatres based on the blind, a sacred ritual to witty play where the blind appears, a play for entertain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paragraph composition of shamanistic theatres based on the blind and witty plays where the blind appears,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performalization, the paragraphs of "The appearance of the blind" and the “Divination by the blind" have been enlarged and amplified, and the paragraphs of “Open blind man’s eyes", “Praying by the blind" were reduced or deleted. “Complaints about food for the gut by the blind”, “Blind man’s eating poop”, “Reading a Sutra by the blind” are the case where the paragraph has been retained but its meaning or content has completely changed.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shamanistic theatres based on the blind to witty play where the blind appears is described as the transition from proposition to play, from magic to art, from divinity to secular. The tendency of variation in the process can be summarized by the reinforcement of the dramatic property and the degeneration of the religious function. The dramatic property strengthened of the shamanistic theatres based on the blin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expansion of blind imitation and dialogues centered on joyfulness. And the religious function was degenerated through the parody about the scriptures and the disappearance or alteration of the motif of opening the blind man’s eyes. 본 논문에서는 굿의 한 제차로 연행되었던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가 전통공연예술 레퍼토리로서의 맹인 재담극으로 공연화되는 과정에 나타난 변이의 양상과 그 경향성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우선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와 맹인 재담극의 단락별 구성을 비교해본 결과, 레퍼토리화 과정에서 ‘맹인의 등장’, ‘맹인의 점 치기’ 단락이 확장․부연되었으며, ‘맹인 놀리는 노래’, ‘맹인의 신세타령’, ‘맹인 눈 뜨기’, ‘맹인의 축원’ 단락은 축소․삭제되었다. ‘맹인의 굿상 음식 타박’, ‘맹인의 똥 먹기’, ‘맹인의 경 읽기’ 부분의 경우, 단락 자체는 유지되었지만 그 의미나 내용이 완전히 바뀌었다.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가 맹인 재담극으로 공연화되는 과정에 제의에서 놀이로, 주술에서 예술로, 신성에서 세속으로의 변이가 일어나게 된바, 그 과정에 나타난 변이의 경향성은 극적 속성의 강화와 신앙적 기능의 퇴화로 정리해볼 수 있다. 맹인 흉내 내기의 비중이 확대되고, 재담 위주의 대화가 전개되는 변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극적 속성이 강화되었으며, 맹인이 독송하는 경문이 패러디 되고 개안모티프가 실종 혹은 변질되는 변이를 통해 신앙적 기능은 퇴화되었다. 이러한 변이의 요인은 굿 현장으로부터의 분리, 맹인을 형상화하는 목적의 변화, 그리고 극장 및 유성기음반로의 유입과 매체 적응 등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 KCI등재

        중국 시각장애인의 주거 공간과 감지개선 복합 설계 연구 -감지(感知)동선을 중심으로-

        학춘우(Hao, Chun Y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생활공간에서 시작되었다. 목적은 시각장애인들이 실내 공간에서 물체의 위치인지 정확도를 높이고 방해물의 구애를 받지않으며, 자유롭게 생활하여 삶의 질 향상을 높이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조사연구법과 사례분석법을 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실내공간 요소를 고려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이 실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설계 전략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특징과 행위를 조사 연구하여, 기존의 시각장애인 주거 공간 설계 사례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의 실내 공간 감지(感知)동선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 감지(感知) 동선의 개념은 촉감 감지(感知) 동선, 청각 감지(感知) 동선, 후각 감지동선, 광(光)감지(感知)동선 네 가지로 분류한다. 둘째, 초점은 집안의 전체 동선을 개조해 사고 발생을 줄이는 것에 있다. 감지(感知) 과정에서 오차가 생기면 사고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공간에서 활동 할 때 스스로 완전한 감지(感知) 사슬을 형성하기 위해 도와 주어야 한다. 시각장애인이 공간을 쉽게 인지하도록 돕고, 진정으로 자유롭게 생활 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 줄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living space of the bli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objects in the interior space and to remove the obstacles to finding the way so that the blind can live freel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living spac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cases based on the sensor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understands the contents of object position and path exploration in space, and attempts to develop a design strategy that adapts the interior environment of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case analysis. The finding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essa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the blind, Combined with the existing design cases of the blind living space, starting from the blind"s perception world, and putting forward the concept of the perception moving line of the blind indoor space, which includes four perceptual moving lines, Second, This essay focuses on how to reduce the occurrences of accidents by transforming the overall moving line, especially the high-risk activity space nodes, It is concluded that if the perception process has a breakpoint, it will be easier to cause accidents, thus, the blind should form a complete perception chain in spatial perception. Enhancing the blind"s linear space perception is combined with the spatial node perception design, so as to appropriately reflect these factors in the interior space design, helping the blind to recognize the space more easily, it truly forms a space where the blind can live freely, and provides reference for the design and transformation of the blind"s own living space.

      • 자동 베네시안 블라인드의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이현정(Lee Hyun-Jung),구혜연(Ku Hye-Yeon),구소영(Koo So-Young),유영동(You Young-Dong),여명석(Yeo Myoung-Souk),김광우(Kim Kwang-Woo)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계획계)

        In case that application of blind is improper, it causes high demands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as well as additional electrical energy for lighting systems. Generally manual blinds are the major factor of these problems, the automated control blind system is on the raise in these days. Some commercial automated blinds are in other countries but the use of automated blinds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in korea. We developed control algorithm for an automated blind and blind hardware that applies to exterior venetian blind. To evalu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control detail on automatic control blind , we had an experiment at RIST mock-up test cell in sum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