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화의 보편적 성격과 신화적 의미 ─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 ─

        정제호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0 No.-

        본고는 한국 신화의 보편적 성격을 점검하고, 세계 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개별 신화의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삼승할망본풀이>와 여러 신화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삼승할망본풀이>가 한국 신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아니 오히려 한국 신화 중에서도 특수성을 갖는 작품이라 하겠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특수성 속에서도 보편적 성격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 비교 연구의 진정한 의미 지향이라 생각한다. <삼승할망본풀이>를 관통하는 주요 지점은 산육신과 질병신의 대립에 있다. 이 대립의 과정과 결과에 의해 <삼승할망본풀이>의 가치 지향이 규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질병신은 산육신과 출산 방식을 놓고 대립하게 되는데, 비정상적인 출산을 시도하면서 자신의 지위를 잃게 된다. 겨드랑이를 통한 출산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신화적 문맥으로 살펴보면 신의 출생으로 볼 수 있다. 알영, 주몽, 젯부기 삼형제, 석가모니, 육종의 여섯 아들, 위미르가 낳은 요툰 등 아주 많은 신적 존재가 겨드랑이를 통해 탄생하기 때문이다. 여러 신화와의 비교 작업을 통해 <삼승할망본풀이>가 신의 출생에서 인간의 출생으로 이행되는 서사이며, 이 과정에서 산육신이 교체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런데 대립에서 패배한 동해용왕따님애기는 자리를 잃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저승할망으로 좌정하면서 자신의 성격을 정반대로 변모시킨다. 구삼승할망이 질병을 내리는 질병신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이러한 급작스런 변화는 새로운 산육신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재앙 옮기기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떠나가는 신격에게 재앙을 모두 옮김으로써 새로 탄생한 산육신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일본 《고지키》에 나타난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의 관계, 그리고 유대신화에서의 릴리트와 아담의 관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신화는 질병과 죽음을 담당하는 신격의 대척점에 산육과 생산을 담당하는 신격을 내세움으로써 그 직능과 성격을 분명하게 가져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동해용왕따님애기가 보이는 급격한 변모의 의미가 여러 신화를 견주어 살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It purposes that the universal character of Korea mythology is checked and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the World myth, to find the meaning of each myth. To do that, we carried out the comparison among <Samseunghalmangbonpuri> handed down from JeJu and several myth. It couldn’t be said that <Samseunghalmangbonpuri> is the major work of Korea. We would say that it is one of the unique character masterpieces. However, in this kind of unique situation, finding out universal character is the true meaning. It has a story that the opposition between bearing and God of birth and God of disease in <Samseunghalmangbonpuri>. It is because <Samseunghalmangbonpuri>’s value orientation is regulated in the result of the process this opposition. Here is, between bearing and God of birth and God of disease, they had a opposition, their position were lost as they tried out abnormal birth. However, these trials could be seen as the birth of God in the context of myth. Because they were borned from their armpit such as Alyeong, Jumong, Jecbugi three brothers, Buddha, Six sons of Ukjong, Jotunn who Ymir gave birth to and so on.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the myths, we could confirm that <Samseunghalmangbonpuri> was from the birth of God to the birth of human and in the process, is consists of the stories that changed God of birth. However, Donghaeyongwang’s daughter who failed to win the comparison, one’s own personality is made in the opposite mode. Pro-samseunghalmang changed God of disease who has some diseases. It is seen that these fast changing, one form which spread disaster to have the high position of new God of birth. As spreading all of disasters to going away God, God of birth who is newly born gain the status. This structure could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of Izanaki and Izanami in 《Kojik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lith and Adam. It consists of content that they show obvioulsy the ability and character as they show the godhead that Birth and Produce were taken care of. That’s why Donghaeyongwang’s daughter is very changeable character. It is shown that the comparison between several myths and mysterious things of <Samseunghalmangbonpuri>.

      • KCI등재

        <문화, 문학> : 한일(韓日) 산육신(産育神) 비교 연구

        김난주 ( Nan Ju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This thesis comparatively looks into folklore faiths, expecially child-birth gods related to child-birth customs and aims to find out both nations’ faith in child-birth gods and their features. It looks into birth gods protecting delivering mothers and babies by appearing at the delivery sites at time of delivery and child-rearing gods intervening in growth of babies after they are born. In both nations, many gods are believed in for selection of babies, safe delivery and their healthy growth but those appearing at delivery sites are only birth goddesses called Samsinhalmony and Obugami. What make this phenomenon appear in both nations’ folklore faiths? Seeing the reason in the fact that common negative concept regarding childbirth exists in both nations’ established faiths, the writer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cases of delivery-related defilement in both nations’ delivery customs. Its result showed that Japan is stronger in delivery-related defilement concept than Korea is. For instance, Japan regard child birth-related defilement more horrible than that related to funeral. Pursuantly, in Japan stricter regulations on childbirth rooms and stricter taboos for babies have been passed down. Besides, in the process of its comparative study on both nations’ divine images and appearances,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unlike Japan’s mountain gods and restroom goddesses appearing at delivery sites, they don’t get involved in childbirth in Korea and discussed Japan’s theory of reincarnation and its mountain goddess’ marginal nature working behind the curtain. I also discussed the phenomenon that both nations’ childbirth gods are passed down as Three gods,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n childbirth gods has to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interacting with the faith in Three gods or the Three-gods theory, accordingly I indicated that it is worth re-consideration to see the Three-God Theory as the core of the faith in Samsinhalmoni. Lastly, though in both nations’ childbirth faith underlies their fear for divine beings,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strongly coupled with death heritages,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which is because Japan’s childbirth gods intervening in birth and growth of a new life also actually involve themselves deeply in the sphere of death as well.

      • KCI등재

        〈삼승할망본풀이〉의 서사 구성과 신화적 의미

        정제호(Jeong, Jeho)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2

        본고는 〈삼승할망본풀이〉의 서사 구성 방식에 대해 살핀 연구이다. 〈삼승할망본풀이〉는 일반적인 서사무가와 달리 대상신인 명진국따님애기보다 그 반대에 서 있는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술이 길게 이어져 있는 특성을 보인다.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사가 더욱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사는 하나의 신격좌정담으로서의 구성을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비중이 상당하다. 때문에 정작 〈삼승할망본풀이〉의 주인공인 명진국따님애기는 그 내력이 간략하게만 제시되고 있다. 이렇게 〈삼승할망본풀이〉에서 동해용궁따님애기가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그녀의 출산 방식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동해용궁따님애기는 명진국따님애기와 달리 겨드랑이로 출산을 시도하다 실패하고 만다. 이 실패 때문에 생불왕이 되지 못하고 저승어멍으로 좌정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출산 방식은 여러 신화에서 등장하는 ‘신의 출생’과 관계가 있다. 같은 지역에서 전승되는 〈초공본풀이〉를 비롯하여, 알영, 석가모니의 출생 등에서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시도처럼 겨드랑이로 탄생하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동해용궁따님애기가 시도한 겨드랑이로의 출산은 일종의 신화적 출산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삼승할망본풀이〉는 인간의 출생을 담당하는 산육신에 대한 서사이다. 그렇다보니 동해용궁따님애기가 아닌 명진국따님애기가 산육신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삼승할망본풀이〉는 인간의 출생을 담당하는 산육신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해, 출생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신의 출생부터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의 출생에서 인간의 출생으로의 이행이 담겨 있는 신화가 바로 〈삼승할망본풀이〉인 것이다. 그래서 〈삼승할망본풀이〉는 일반적인 신화 서술 방식과 달리 대상신이 아닌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사가 초반부에 길게 이어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It is the study which examined about narration formation way of 〈Samseunghalmangbonpuri〉. In 〈Samseunghalmangbonpuri〉,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s narration is more longer than Myeongjinguk’s daughter. We’re able to estimate from her childbirth way that why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deals with more seriously in 〈Samseunghalmangbonpuri〉.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failed that she tried to give birth to a baby from her armpit different from Myeongjinguk’s daughter. However,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s childbirth way is related with “the God’s birth” from some kinds of myths. We’re able to see the feature that gave birth to a baby from her armpit like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from Alyeong, Buddha’s birth including 〈Chogongbonpuri〉 which hands down in the same area. Thus,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showed a strong appearance of “The God’s birth”. However, 〈Samseunghalmangbonpuri〉 is about the Godbody that takes charge of human’s birth. That’s why Myeongjinguk’s daughter was able to take possession of The God of bear and raise. Eventually, it deals with “the God’s birth” that is a origin of birth for giving an explanation about The God of bear and raise’s origin that takes charge of human’s birth. It is 〈Samseunghalmangbonpuri〉 that the myth includes from God’s birth to human’s birth way. So,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s narration take a long possession in the opening part different from usual myth narration way in 〈Samseunghalmangbonpuri〉.

      • KCI등재

        에크하르트의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탄생

        이부현(Lee, Boo Hy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0

        본고는 우에다(上田閑照)의 논문인 “神の子の誕生と神性への突破”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우에다는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가 삼위일체적인 그리스도교 신관과 플로티노스의 일자(一者)로서의 신관 등 두 개의 신관을 모순 없이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에크하르트의 삼위일체적 신관에 신의 아들의 탄생을, 돌파에 일자의 신관을 각각 대입시켜,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의 핵심 경험을 버리고 떠나 있음 ⇒ 신의 아들의 탄생(수동적 과정) ⇒ 돌파(능동적 과정) ⇒ 단순한 하나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고는 에크하르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그의 신비주의의 핵심개념인 ‘버리고 떠나 있음’, ‘돌파’,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아들의 탄생’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영원성이라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사건 또는 다른 관점으로부터 말해지는 동일한 사건 또는 서로 전제하여 생기(生起)하는 상호의존적 사건을 지칭하는 개념이지, 완전성에 이르는 단계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미 다루어진 “우에다의 탄생과 돌파에 대한 기본 개념과 1부의 결론”(이 논문은 2부에 해당함), “영혼의 근저”, “영혼 근저에서 생기하는 신의 탄생 사건: 내재적 삼위일체론” 등을 기본 뼈대로 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본고는 우에다의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기 위해 쓰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적 경험을 해석하기 위한 올바른 지평 확보를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최종 결론은 우에다가 선불교의 공(空)을 염두에 두고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를 해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는 점과 에크하르트는 철저하게 그리스도교적이라는 점이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근본 교의를 영원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그는 플로티노스(Plotinos), 플로클로스, 위-디오니시오(Pseudo-Dionysius)의 전통 위에서 그렇게 하고 있다. This paper is planned to indicate the problems of Ueda’s paper “神の子 の誕生と神性への突破”(The Birth of God’s Son and the Break-through into Godhead). He argued that M. Eckhart has the double perspectives of God, that is, the christian trinitarian view of God and at the same times, the view of God as Plotin’s One in an uncontradictable way. Ueda allot the christian trinitarian view of God to the Birth of God and the view of God as Plotin’s One to Break-through respectively. Therefore he interprets the mystical essential experience of M. Eckart as the process; Detachment⇒ Birth of God’s Son(passive process)⇒ Break-through(active process)⇒ Simple One. In the contrary,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at M. Eckhart’s mystical essential concepts, that is, Detachment, Break-through and Birth of God’s Son in the Ground of the Soul are not concepts to denote the procedural events to perfection, but inseparable concepts to denote the events which happen in the Eternal Region, or the same events describ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r events that work interdependently. Therefore,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① Ueda’s fundamentlal concepts on the Birth & Break-through and the conclusion in my published paper(a collaborator Hiroshi Goto) “‘突破’と ‘神の 子の 誕生’ に關する一考察”(Essay on Break-through and Birth of God’s Son)(1st part of this paper) ② the Ground of the Soul ③ the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This paper is for the purpose of, on the one hand, indicating the problems of Ueda’s insistence, on the other hand, securing the right interpretational horizon of M. Eckhart’s texts. The final conclusion is as follows; ① Ueda is supposed to interpret M. Eckhart’s Texts with Sunya(空) of Zen-Buddhism. ② In spite of this, M. Eckhart is fundamentally Christian. He interprets christian fundamental dogma from the viewpoint of Eternity. He does so with traditions of Plotin, Proclos, Pseudo- Dionysius.

      • KCI등재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와 분석심리학

        김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중세의 신비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교황으로부터 파문을 당하였으나 유럽의 많은 사상가들에게 커다란 영향 을 주었으며 현대 사회에 들어와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왜냐하면 그의 사상은 그가 살던 시대를 뛰어넘어 서 인간 정신의 심층을 꿰뚫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신학사상의 핵심은 단일성, 일의성, 유비이다. 그는 신은 본 질적으로 하나이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하나로 존재하여, 신이 창조한 피조물들에게도 그 하나인 본질이 들어 있어서 신과 피조물 사이에는 일의성이 있는데, 신과 인간은 질적으로 달라서 신적인 것을 인간적인 것으로 설명 할 수밖에 없지만 신과 인간이 똑같은 것은 아니라고 유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신비주의에서 핵심은 인간의 영혼에서의 신의 탄생이다. 그는 인간의 영혼 깊은 곳에는 신적 본질이 있기 때문에 인간이 피조세계에 붙들려 있던 것에서 벗어나 초탈할 때, 그 초탈이 깊어져 어느 날 신적 본질로 돌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인간의 영혼에서 신이 탄생하는 것은 그때이다. 신은 사람들이 의지를 완전히 이 세 상에서 돌이켜 영혼의 근저를 향할 때, 영혼의 깊은 곳에서 타오르는 신적 불꽃을 인식하고 그것과 하나가 된다 고 강조했던 것이다. 물론 인간의 영혼에서의 신의 탄생은 쉽사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계속적인 정화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그리스도가 그렇게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에크하르트의 사상은 분석심리학자 칼 융의 종교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칼 융은 그의 신학사상을 심리학적으로 재해석하였던 것이다. 그것이 신과 신의 이미지, 초탈과 투사의 철회, 신의 탄생과 신성의 의식화 등으로 나타났다. 또 한 가지 에크하르트와 융의 사상에서 주목할 것은 두 사람이 모두 인식과 체험을 통한 깨달 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것이다. 즉 신을 이성으로 보았던 에크하르트는 신적 작용에서 인식이 중심적이라 고 하였고, 융은 분석심리학자로서 무의식의 의식화(체험을 통한 깨달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 두 사람의 사상은 신비주의가 인간의 정신이 신적으로 발달하는데 초점을 맞춰왔다는 현대 종교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Even though he was excommunicated for heresy by Pope John XXII, medieval mystic Meister Eckhart influenced many European philosophers and is now under new evaluation process in modern society. We can explain this by his transcendental thought which penetrates the depth of human mind over the centuries. The core of his theological thought lies on analogy, oneness and univocality. Meister Eckhart insisted that the essence of God is one, so God exists as one everywhere, and that his creatures partake his oneness. But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God and human being as the latter is created even though human being talks about God in an anthropomorphic word. At the core of his mysticism we find the birth of God in the soul of human being: Meister Eckhart thinks that God can be born when human being penetrates the ground of God by the detachment from the sensual world as the human being partakes the oneness of God. The divine depth, abyss, ground is the hidden source from which all things proceed and to which they return. Then human being can celebrate the birth of God. But it is not easy to arrive at this stage because he is still caught up in the world. So Eckhart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the detachment. For him Jesus Christ is the Savior as he accomplished it for the first time. These thoughts gave much influence on analytical psychologist C. G. Jung’s religious thoughts. Jung interpreted many of Eckhart’s thoughts of theology in the language of psychology. So we can find many parallels between them: Godhead and God/God and image of God, detachment/withdrawal of projection, birth of God/making consciousness of God, etc. Also, both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intellect (Eckhart) and awareness by one’s own experience(Jung). For Eckhart, who considered God as the Reason, the intellect played essential role in every field. For C. G. Jung, who treated many patients, tried to help them to make awareness of unconscious factors for individuation. We think that their thoughts will afford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of religion as they thought the way of the mystic as the way of the development of the psyche.

      • KCI등재

        에크하르트 사상을 체계화시킬 수 있을까?

        이부현(Lee, Boo Hy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8

        본고에서는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에크하르트의 근저(grunt)라는 말마디를 중심으로 그의 사상 전체를 재해석 · 재구성하고자 한다. 근저라는 말마디는 에크하르트의 설교와 논고에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말마디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근저라는 말마디로 신과 인간이 하나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근저라는 말마디의 용법은 에크하르트만의 독특한 것이다. 그에게 이 말마디는 자신의 신비주의적 의식을 드러내는 중심이다. 그는 “신의 근저가 나의 근저이고, 나의 근저가 신의 근저이다”(『독일어 설교』 5b)라고 단언한다. 그렇다면 영혼이 본질적 실재인 신에 근거하고 있다든지, 신이 자기 자신만의 본질적 근저에 근거를 두고 있다든지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양자가 동일한 근저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신성과 영혼이 완전히 일치할 경우, 근저라는 말마디는 영혼에 대해서든 신에 대해서든 일의적(一義的)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저의 사상을 바탕으로 할 때만, 신과 인간의 신비적 일치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냥 놓아두고 있음’과 ‘버리고 떠나 있음’인 ‘가난’에 대한 논의, ‘복귀적 돌파’에 대한 논의, 그리고 ‘영혼의 근저에서의 신의 탄생’에 대한 에크하르트의 논의, 그리고 ‘일상의 신비주의’에 대한 그의 논의등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의 신앙이 자리 잡고 있는 근본적 거점이 어디인지도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다섯 가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근저 1: 모든 이름과 정식들로부터 벗어나 있음. 둘째, 근저 2: 영원한 숨겨져 있음의 숨겨진 어두움. 셋째, 가난과 복귀적 돌파. 넷째, 근저로의 돌파와 신의 아들의 탄생. 다섯째, 일상의 신비주의이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인간적인 것을 남김없이 버릴 때, 신도 인간도 있는 그대로 드러난다는 에크하르트의 경험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systematically. The tactics to do it is to re-interpret and re-construct his whole thoughts by the word of the Ground,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ds in his German Sermons and his German Treatises. By the Ground he means the fused unity of God and man. The Usage of the word of Ground like this is his own unique one. To him this word of the Ground is the center which manifest his mystical consciousness. He has no hesitation in saying that God’s Ground is my Ground and my Ground is God’s Ground(German Sermon, 5b). The Soul is neither grounded in God as essential reality, nor God is grounded in himself as his own essential Ground differing from soul’s Ground. On the contrary, it is right to say that both are grounded in the same Ground. On deeper level of fused identity of God and man, there is only one univocal Ground either to God or to soul. Only on the base of his thoughts of the Ground, it will be possible for us not only to understand the mystical union of God and man, but also to comprehend his concepts of ‘Poverty’, ‘Break-through’,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and ‘Every day Mystic’(Mystik des Alltags) systematically. And we can also know evidently where the fundamental base of his own faith is grounded.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① Ground-free of all names and void of all formulations ② Ground2-hidden darkness of eternal hiddenness ③ Poverty and Break-through ④ Break-through into Ground and the Birth of God ⑤ Everyday Mystic. Through this paper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his deeper experience that if we could detach from our own making will, knowledge, possession, then we could see God and man as they are.

      • KCI등재

        중국 주요 시조신화에 보이는 태양숭배와 태양 감응신화의 연구

        서유원(Seo, Yoo-w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8 No.-

        중국의 주요 시조신화에 등장하는 시조신들은 대부분 신비한 자연계의 역량에 감응되어 잉태되는 감생신화를 지니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중국민족의 주요한 시조신인 복희?염제?황제?제준?소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태양숭배와 관련된 감생신화를 지니고 있다. 이는 태양신을 주신으로 숭배하는 중국민족의 태양숭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감생신화는 중국의 동부?북부, 우리나라 등을 포함한 이른바 ‘태평양문화구’에서 가장 많이 보이고 있다. 또한 몽고민족의 시조 칭기즈칸과 그의 선조, 소수민족인 장족의 시조 및 티베트?토번 등지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지역은 고대에 이미 태양숭배가 성행했던 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위의 열거한 중국민족의 시조들은 모두 빛을 의미하는 이름을 지닌 태양신이었다. 이러한 신화는 당시의 태양숭배와 모계사회 및 군혼제의 사회기풍에서 기인한 산물로 보인다. 시조신들이 지닌 이러한 신비한 감생과정은 한 민족 시조의 위대성과 신비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태양신의 인격화와 역사화 과정을 덧입혀져 한 민족의 영웅으로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In Chinese mythology, gods are typically born from the sun or from a light source. There are a few well known gods where this is exemplified, such as Fuxi, Yandi, Dijun, Shaohao, as well as several others. These gods are the most powerful gods in Chinese mythology and are considered “sun gods”. The stories of these “sun gods” are most prevalent in the north and eastern regions of China and can also been found in Korea as well. Just as Genghis Khan was the founder of modern day Mongolia, these “sun gods” are considered the creators of the state of Tibet and Tufan. Due to the influence of these gods, worshiping of the sun was quite common during ancient times in these areas, and can be seen even today. The founders of these countries are considered gods as well and were worshiped during this same time period. These respective “sun gods”all have their own story that personifies them as great and mysterious. They are painted as heroes of their countries.

      • KCI등재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사상의 이중 개념: ‘버리고 떠나 있음’, ‘무’, ‘지성’에 대한 고찰

        박홍기(Park, Hong K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3

        에크하르트 사상에는 이중적 의미가 담긴 개념들이 있다. 신과 인간의 합일의 길을 규명하고자 한 그의 신비주의 철학의 핵심 개념들 중에 ‘버리고 떠나 있음’(Abgeschiedenheit), ‘무’(Nichts) 그리고 ‘지성’(Intellectus, Vernunft)이 신과 인간에게 공통으로 적용되어 이중적 의미를 띠고 있는 것이다. 이 개념들의 이중성은 에크하르트가 ‘신과 인간의 신비적 합일’(unio mystica)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여, 신비적 합일을 이룰 수 있는 그 가능성의 ‘상태’(Zustand)와 그 상태적 측면이 어떤 작용과 활동으로 합일의 사건에 연관되는지 ‘과정’(Prozess)으로서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성은 신과 인간의 아무런 구분이 없는 온전한 하나 됨의 사건, 곧 ‘영혼의 근저(Seelengrund)에서의 신의 탄생’으로 해체된다. 곧 신과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비롯된 상태와 과정 그리고 그 수동성과 능동성이라는 이중적 의미는 신비적 합일의 목적이 성취된 거기(근저)에서 사라지는 것이다. 이는 종말론적 결론이 아니라 영원한 현재에서 생기하는 사건이다.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 철학적 개념들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이기도 한 이러한 ‘이중성’은, 순수성과 절대성 그리고 초월성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신의 본성으로서의 상태적 측면이 어떤 작용과 활동으로 신비적 합일을 이루는 과정에 상호 연관성으로 나타나는지 보여주고 있는 바, 그 변증법적 통일성을 찾아가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신비주의 철학적 개념의 특성에서 비롯된 유비적인 표현이나 한편으로 대립적이며 모순적으로 보이는 언명들이 가리키는 본래의 의미와 그 의미가 지향하는 점에 대해 숙고하다 보면, 에크하르트의 개념들이 가진 이중성에서 벗어나고 떠나게 됨으로써 결국 반성적 작업조차 돌파되어 만나는 장중한 귀결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것은 신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무로서의 피조물인 인간이 온전히 신이 되는 가슴 벅찬 완전성의 실현, 지복직관의 가능성을 에크하르트를 통해 선물로 받게 되는 감격이다.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who had investigated the unity of God and man has several mystic concepts including double meaning. Those are ‘Detachment’(Abgeschiedenheit), ‘Nothing’(Nichts), and ‘Intellect’ (Intellectus) among the key concepts concerning his mysticism which understood double meaning applied to God and man in common. The duplicity in these concepts has been used as Eckhart’s method in order to explain his fundamental theory of ‘Unio Mystica’. This represents as a ‘process’(Prozess) on mutual work and activity concerning that issue which could be united to the ‘state’(Zustand) of possibility for the unity of two subjects. However, this duplicity has been disintegrated to ‘the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that means the complete union between God and man’s boundless relation. The double meaning of God, the human, the state, the process, the passivity and the activity disappears when he discovered the united point that accomplished the Unio Mystica. This is not an apocalyptic conclusion but an incident that happend in the eternal presence. This duplicity which represents the reason why it has been difficult in interpreting Eckart"s mystical philosophical concepts is the nature of God by his existence such as Purity, Absoulteness, Transcendence. These manifest the results of the state from God’s nature how it unfolded the mutual interconnection on the process of Unio Mystica. This is the main purpose of my research in searching for dialectical unity. Once duplicity could be concerned as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goal of that meaning it will reach the grave conclusion, as it departs from the duality of Eckhart’s concepts, then they could encounter each other beyond reflective work. This realization of completeness leads to the possibility of the beatific vision by Eckhart which means unification with God as a human creature who means nothing without God becoming God.

      • KCI등재

        지복직관, 누구의 것인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독일어 강론 52」를 읽는 하나의 관점 -

        이상섭 한국중세철학회 2018 중세철학 Vol.0 No.24

        Most Christian philosophers in the middle age agreed to the Aristotelian insight that human beings have natural desire for happiness as their ultimate end and argued that the happiness lie in the visio beatifica. This theory of happiness, however, entails some serious problems. While,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visio beatifica consists in the perfect vision of Divine essence, the knowledge of Divine essence can be said to be perfect only when it is completed in the way corresponding to the Divine essence. Any being except God, however, is not able to know the essence of God in the way corresponding to God’s essence. In this case, we cannot help arguing that visio beatifica consist in nothing but the Self-Knowledge of God, which, however, is hardly said to be ‘my’ happiness. Faced with this problem, Augustine, and especially Thomas Aquinas distinguished the happiness of human beings from the Happiness of God, setting limits to the visio beatifica attained to by human beings. This way of understanding happiness, in its turn, can be criticized for its incompleteness, for it fails to attain to the happiness in the strictest sense. Dietrich of Freiberg pursued the visio beatifica in the strictest sense, taking it to be the knowledge of God’s essence by the active intellect knowing the principle in the principle in the mode of the principle. Meister Eckhart went further and argued that God and human being, inquantum divinus, are one. This way Eckhart considered the beatific vision seems to remain faithful to its determination as the intuitive vision of God’s essence through God’s essence, but inevitably falls into the paradoxical situation that the beatific vision of human beings comes true, when human beings cease to be human beings. 그리스도교철학자들은 대체로 사람은 누구나 궁극적으로 행복을 추구한다는아리스토텔레스의 통찰을 수용하면서 행복의 실질적 내용을 ‘지복직관’에서 찾는다. 그런데 이러한 행복론은 중대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지복직관은 신의 본질에대한 완전한 인식에서 성립하는 것이다. 그런데 신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신의본질에 상응하는 인식의 방식으로 이루어져야만 완전할 수 있다. 그러나 신을제외한 어떠한 존재자도 신을 그의 본질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인식할 수 없다. 그런데 이 경우 지복직관은 신 자신의 자기 자신의 본질에 대한 인식에서 성립된다고말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복을 인간의 행복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상황에서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특히 토마스는 인간의 행복이 신의본질에 대한 직관에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신의 본질에 대한 인간의 인식에 한계를설정함으로써 인간의 지복을 신의 자기인식으로서의 지복직관과 구별하였다. 한편이러한 지복은 엄밀한 의미의 지복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디트리히는 지복직관을 엄밀한 의미에서 추구하여, 원리의 양태에 따라원리를 인식하면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능동지성을 통한 신의 본질의 인식으로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에크하르트는 지복직관에서 인간과 신은 구분되지 않는 하나라는 주장으로까지 나아갔다. 그러나 이러한 지복직관론은 신의 본질을 통한 신의 본질의 직관이라는 정의에 충실하지만, 인간이 더 이상 인간이 아닐 때 인간의지복이 있다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 KCI등재

        마가렛 말러의 “심리적 탄생”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

        노바울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psychological birth, which is the main idea of Margaret Mahler’s object relations theory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psychological birth from a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Object relations theory stemmed from psychoanalytic theory; however, there ar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purpose and role of the object betwee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nd the psychoanalytic theo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hler’s theory and the psychodynamic theories. Mahler provided specific descriptions and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s in early childhood. While the psychoanalytic theory argues that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almost completed in the Oedipus period, Mahl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early object relationship experiences of an infant. Mahler observed that Infants go through the normal autistic phase, symbiotic phase, practicing phase, rapproachement phase, and object constancy phase in term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considered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psychological birth. As moth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sychological birth, Mahler notes that the optimal mother can promote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 most. The optimal mother meets desires of the infant and plays a role in developing independence and individuation of the infant as well. This study evaluated the optimal mother’s role according to Mahler’s theory, comparing with the psychoanalytic theory and other object relations theories. Also, it investigated the formation process of self-awakening and images and representations of God related to object relationships. Also,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object constancy and the representation of God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and roles for pastoral counselors an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in relation to Mahler’s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마가렛 말러의 대상관계 이론의 핵심인 심리적 탄생에 대한 그 의미를 탐색하며 목회상담적 의미와 적용을 논의하는 것이다. 대상관계 이론은 정신분석이론에서 출발하였지만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대상의 목적과 역할이 다르기에 그 차이점을 살펴보며 말러의 대상관계 이론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말러는 유아기 시기의 심리적 발달 단계에 대한 장기 관찰연구를 통하여 그 단계들에 대한 사실적 묘사와 의미를 제시하였다.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심리적 발달이 오디푸스 시기에 거의 이루어진다고 보았지만 말러는 그 이전의 유아의 초기 대상관계 경험을 통해서 완성되어진다고 보았다. 정상적 자폐 단계, 공생 단계, 연습기, 재접근기, 대상항상성 단계를 거치면서 유아는 심리적 발달을 경험하는데 그 심리적 분리-개별화 과정이 심리적 탄생이라고 묘사 하였다. 심리적 탄생은 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대상과의 관계를 통하여 일어난다. 유아의 심리적 탄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인물은 어머니인데 말러는 유아의 심리적 탄생을 가장 촉진하는 어머니로서 최적의 어머니(optimal mother)를 강조한다. 최적의 어머니는 단순히 유아의 욕구만을 충족시켜주는 대상이 아니라 유아가 대상과의 융합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로 성장하도록 역할을 감당한다. 본 연구는 말러가 강조한 최적의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 정신분석이론 및 이전의 대상관계 이론들과 비교 및 평가를 하였다. 또한 대상관계를 통한 자기 인식과 영적 대상인 하나님에 대한 이미지와 표상 형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으며 신학적 관점으로도 긍정적인 대상항상성 및 하나님 표상과의 연결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말러의 대상관계 이론에 근거한 목회 상담적 치료적 방안과 목회상담가의 역할을 논의 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