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빅데이터와 관련된 개념, 처리 기술 및 기법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제로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을 검토한 후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으로서 2가지 즉 첫째, 교육빅데이터 인프라구축과 교육관리분석 시스템 구축, 둘째, 학습분석시스템을 통한 거꾸로 교실 수업 모델 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활용방안으로서 3가지 첫째, 사회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 내용선정, 둘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구성의 적합성 검토, 셋째, 웹기반 및 웹GIS기반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래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빅데이터 교육자 양성을 위한 강좌 신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in social studies. To do this, first check the concept of big data, analytical skills. Next, present how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two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First, build the educational big data infrastructur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in education. Second, present the flipped classroom model through the learning analysis system. And there are three ways to utilize big data. First, to develop and select systematic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content by building big data Infrastructure in social studies. Second, to reconstruct classes by examining the Conformit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onstruction through analysing big data. Third, to present elaboration of PCK by actively combining pedagogical content and method knowledge while utilizing web-based and web-GIS-base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training course to create big data educators who will utilize this technology in future social studies classes.

      • KCI등재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과 과제 : 빅데이터 추진 현황과 정책적 적용 쟁점을 중심으로

        김성우,정건섭 한국비교정부학회 2014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8 No.3

        The study is concerned with policy implementation and alternative policy options of big data which has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velocity, and variability. Nowadays, what is so called, the issue of big data is ubiquitous in recent years, such as openness public data, solving alternatives of social problems using big data, etc. Especially, the role and issue of government will be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big data. It is evident that scientific policy implementation and citizens’ administrative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by way of using big data technology in government. Unfortunately, there is no rule out that the gathering and analysis of unreliable big data will cause the error or noise of the policy.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r noise of the big data related polic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expert or specialized person of big data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 is no doubt that the number of experts of big data are equal to the regional competitive power in the near future. Notwithstanding, the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nferior to the national capital regions; accordingly, the regional governments have to dependent on the central government in terms of the structure in system establishment, analysis, application of big data. This kind of disparity will cause the regional inequality in the era of big data. Therefore, the regional government should foster and support the IT or big data experts with the relation of the regional universitie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의 탐색

        황홍섭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1

        제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핵심으로 지능정보사회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의 삶과 교육 전반에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목표는 모형을 탐색하기에 앞서 현재 및 미래 사회의 모습인 복잡계 및 초복잡계를 검토하여 빅데이터 활용교육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둘째 목표는 빅데이터 활용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을 빅데이터, 교수·학습 및 미래교육에 대한 단어 검색 결과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탐색한다. 셋째 목표는 빅데이터 활용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사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빅데이터 검색어는 빅데이터, 사회과 교수·학습, 미래교육으로 하였고, 분석 대상은 3개의 포털 사이트(네이버, 다음, 구글)와 SNS(트위터, 페이스북), 그리고 RISS의 국내학술지논문 및 학위논문으로 하였다. 분석 기법으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비롯한 워드클라우드 분석(wordcloud analysis)과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는 복잡계 및 초복잡계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빅데이터는 이러한 복잡계 및 초복잡계 현상을 잘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시대에 맞는 정보원, 자료, 도구, 수단, 멘토, 조력자, 협력자등 다양하게 표현되며, 이것을 사회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은 빅데이터가 복잡계 및 초복잡계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및 미래사회의 문제 해결을 통해 학습자의 가치를 창출하여 최적화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문제해결학습 모형이 적절하다.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은 복잡한 문제를 전수조사에 가까운 데이터를 마이닝(mining)하면서 문제를 단순화해가면서 해결해가는 귀납적 절차에 의한 자기 주도의 연역적 학습이 가능하다. 셋째, 빅데이터 를 활용한 사회과 교수·학습 활용 사례는 현장에서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수업을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은 복잡계(complex system) 및 초복잡계(supercomplex system) 현상으로 나타나는 현재 및 미래사회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모형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사회과 핵심역량을 구현하기에 유용하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은 협력과 개인화(personalization) 전략을 통해 학습자 맞춤형 수업을 지원하여 창의 융복합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iming at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result, we are demanding a paradigm shif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using big dat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first goal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big data utilization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mplexity and the supercomplexity which is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before exploring the model. The second goal is to explore the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big data utilization based on the word search results and the research on big data, teaching and learning, and future education. The third goal is to develop a case study using the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big data utilization. The search words for this study were “big data”,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and “future educa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ree portal sites(Naver, Daum, Google), SNS(Twitter, Facebook),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ety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the complexity and supercomplexity phenomenon, and big data is well - suited to this complexity and supercomplexity phenomenon. These big data ar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information sources, materials, tools, means,analysis and evaluation tools, mentors, helpers, and cooperator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m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big data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system and the complexity of the big data. Therefore, it can create the value of the learners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Th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is appropriate. In particula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using big data can lead to self-directed deductive learning through inductive procedures that solve complex problems by mining data close to the whole survey while simplifying the problems. Third,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using big data will give directions on how to use big data in the field.In conclusion, the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big data is an appropriate model for solving creative problems in present and future societies that appear as complex system and supercomplex system phenomenon. It is useful for implementing competenc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big data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by supporting learner customized class through cooperation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 KCI등재

        미국 대통령선거와 정치빅데이터 유용성 분석

        동성혜 미국헌법학회 2019 美國憲法硏究 Vol.30 No.2

        본 논문은 정치빅데이터의 유용성을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가운데 선거전략과 여론형성 및 분석이라는 정치과정 차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중심으로 2012년 미국 대통령선거 당시 오바마 캠프가 정치빅데이터를 활용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기술인 빅데이터는 사회변화와 기술혁신의 연결고리로 인간과 사회, 자연과 사물에 기술을 접목시켜 만들어낸 ‘초연결성 네트워크’의 모든 정보들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는 존재 자체가 갖는 의미보다는 수집과 분석, 공유를 통하여 무엇을 분석하고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대한 ‘통찰’이 전제되어야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정치 영역에서의 빅데이터도 마찬가지다. IT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정당, 정치인, 유권자 모두의 정치적 인식과 행위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치과정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정치 영역에서의 빅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인간에 대한 정보’와 ‘상호작용’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바라보았고, 정치빅데이터 활용을 정치권력의 획득과 유지를 위한 정치활동으로 여론형성과 선거 등 정치과정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인터넷 상에서 참여・공유・개방의 웹 2.0을 기반으로 정보를 생산하는 소셜미디어의 등장은 쌍방향 소통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정치적 여론과 이슈의 생성, 정치세력의 조직화까지 정치적 영향력에서 그 효과를 극대화, 일상화, 활성화시키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빅데이터의 개념을 정치적 목적, 혹은 정치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저장하고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찾아내어 새로운 형태의 정치적 가치를 추출해내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정치빅데이터의 특징은 두 가지다. 사회현실을 파악하고 사회변화의 방향을 예측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정책 혹은 정치적 방향을 세우는 것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개개인의 정치적 욕구를 표현하는 정치참여의 통로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치빅데이터의 활용 성공 사례로 평가를 받고 있는 2012년 미국 대통령선거 당시 오바마 캠프의 선거전략과 여론조사 활용을 통한 정치빅데이터의 정치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구조는 유권자 데이터 집적 과정,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선거전략 사례 분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치빅데이터가 선거전략으로써 또한 여론분석으로써 유용하며, 유권자 데이터 집적 과정 자체가 또 다른 선거캠페인의 전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집적과 분석을 통해 세대별, 연령별, 지역별 마이크로 타기팅 전략 수립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정책공약을 확정짓는데도 유용하였지만 전략적 방향성을 바꾸는 데도 상당히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오프라인에서는 각 지역단위까지의 조직선거에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인터넷 상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선거캠페인에 다양한 방식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향후 정치빅데이터의 적극 활용을 위해서는 유권자의 데이터 확보와 동시에 개인정보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 지속적인 경험의 축적과 이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의 확보, 선거캠페인에서 소셜미디어 활용 여부를 놓고 정치빅데이터의 전부인양 생각하는 차원에서 넘어 정치빅데이터가 선거전략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키고 있다는 인식의 변화 등이 요구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usefulness of political big data in the political process of election strategy and opinion formation and analysis among the essence of political communi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Obama Camp's political big data at the time of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Big Data, a key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link between social chan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t is a collection of all the information in the hyper-connectivity networks, created by combining technology with humans, society, nature and things. The vast volume of such big data must be based on insights into what to analyze and how to interpret, through collection, analysis and sharing before predicting the future. The same is true of big data in the political field.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IT technologies is changing the paradigm of political processes by influencing the polit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political parties, politicians and voters alike. Access to big data in the political field is viewed as political communication in terms of ‘information about man’ and ‘interaction’. This study approached in the political process that is election and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s a political activity to acquire and sustain political power. In particular, the advent of social media, which produce information based on web 2.0 of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over the Internet, consists of two-way communication.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to maximize, generalize, and activate the effects of political influence that can generalize political opinions and organize political power.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political big data as a process that is gathering and storing information for political purposes or for political activities and extracting new forms of political value by finding politically meaningful “insights”. There are two features of this political big data. First, determine appropriate policies or political direction by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society and anticipating the direction of social change. Second, participate in politics by expressing individual political desires via social media. Obama Camp's election strategy at the time of the 2012 US presidential election, which has been evaluat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political big data, and the political usefulness of political big data through the use of public opinion polls. Structural analysis is a customized campaign strategy based on the aggregation of voter's data and expert of big data. And it is an analysis by comparing polls and political big data by platform. It was confirmed that political big data was useful as electoral strategy and public opinion analysis, and that the process of gathering voter data was the predecessor of another election campaign. Also, it was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micro-targeting strategies by age, generation, region through aggregation and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it possible to identify the public's opinion to develop an election strategy through analysis by comparing polls and political big data by platform. This was useful in confirming the policy promises but also used to change the strategic direction. Not only did offline influence organizational elections at each local level, but online they were also used in a variety of ways to be useful in election campaigns utilizing social media. In conclusion, we need to secure voter data and prepare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violated to make active use of political big data. Also, we need to have ongoing experience and gain expertise to analyze accurately. Finally, a shift in the perception that political big data is creating a paradigm shift in election strategies is needed.

      • KCI등재

        빅데이터와 경쟁정책: 국내 온라인 비즈니스 분야 시장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황태희,김민기,조혜신,윤성훈 정보통신정책학회 201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6 No.3

        현대사회에서 정보는 다량으로 수집, 분석되고 규모, 다양성, 속도, 정확성을 중심으로 하여 빅데이터로 가공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빅데이터 시장에 대하여 외국의 경쟁당국 등에서는 빅데이터와 관련한 시장 및 경쟁제한 행위의 판단기준, 개인정보 보호의 관련성 등에 대하여 적절한 해석과 정책적인 해법을 위한 시장조사 또는 연구결과 보고서를 이미 발간하였고, 일부 국가는 이에 근거하여 이미 적극적인 법 집행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빅데이터와 관련한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어떠한 경쟁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진은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외국 집행기관의 집행사례들을 토대로 빅데이터 관련 경쟁법상 쟁점을 파악하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 빅데이터 시장에서 기업 간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이에 빅데이터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가들을 대상으로 2차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빅데이터를 자유롭게 수집/거래할 수 있는 법률적, 경제적 여건이 미흡하여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고, 그로 인하여 경쟁실태를 논할 만한 환경 자체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설문결과가 나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럼에도 빅데이터와 그에 기반을 둔 새로운 기술들은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빅데이터의 활용도는 점점 더 커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들의 후생과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관련 국내 시장을 선행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고, 그 시장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쟁제한 내지 불공정한 행위에 관한 적절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In the digital era, firms have been increasingly collecting, processing and utilizing so-called big data, which have become firms’ strategic assets in market competition. Competition authorities of foreign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exerted efforts to find new legislative or interpretative approaches and institutional solutions to firms’ competition-limiting behaviors related to big data and privacy concerns. In Korea, however, less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to define big-data markets and assess the relevance of big data for competition law enforcement. Since defining the big-data market is challenging and has not been done in existing literature, we conduct explorative research of firms via an online survey with questions based on foreign competition policy and potential anti-competitive issues related to big data. Surprisingly, few firms raise concerns about unfair competition regarding big data 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i.e., buying, selling and sharing data) for their own business. We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se percep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rms’ working-level experts in charge of big data. We find that the survey results may be driven by immaturity in the Korean market, and that it may be still too early to discuss big-data related competition issues. Korean enterprises cannot freely collect or exchange big data with their counterparts due to restrictive and ambiguously-written privacy rules. Facing regulatory risks, Korean firms are reluctant to engage in new business opportunities utilizing or exchanging big data. Given that foreign market- dominant companies doing business in Korea are more aggressive in utilizing big data under their countries’ own rul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providing more specific and articulate guidelines regarding firms’ big-data use and the links to personal data protection. These efforts may alleviate the privacy concerns and regulatory risks in firms’ pursuit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using big data.

      • Handling Endogeneity Challenge in Big Astronomical Data

        Sumedha Arora,PankajDeep Kaur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Image Vol.8 No.7

        Using Big Data in statistically valid ways is posing a great challenge. The main misconception that lies in using Big Data is the belief that volume of data can compensate for any other deficiency in data. There is a need to use some standards and transparency when using Big Data in survey research. Certain surveys that are based on the Big Data tend to generate more complications and complexities in data such as some important variables tend to correlate with some errournious data. This correlation of data with residual noise causes the endogeneity problem. It is to be solved as a fact the main aim of research work is answering question which could only be done when data is fully analyzed. Through this we can utilize all available information. This paper throws light on addressing endogeneity particularly to the astronomical data set and also provides solutions and techniques for handling endogeneity in the respective data set. Finally it couples big data i.e. whole data of sky with the time domain.

      • KCI등재

        빅데이터의 효과적인 처리 및 활용을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설계

        박대서(Dae Seo Park),김화종(Hwa Jong Kim)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6 지능정보연구 Vol.22 No.4

        Recently, big data analysis has developed into a field of interest to individuals and non-experts as well as companies and professionals. Accordingly, it is utilized for marketing and social problem solving by analyzing the data currently opened or collected directly. In Korea, various companies and individuals are challenging big data analysis, but it is difficult from the initial stage of analysis due to limitation of big data disclosure and collection difficulties. Nowadays, the system improvement for big data activation and big data disclosure services are variously carried out in Korea and abroad, and services for opening public data such as domestic government 3.0 (data.go.kr) are main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fforts made by the government, services that share data held by corporations or individuals are running, but it is difficult to find useful data because of the lack of shared data. In addition, big data traffic problems can occur because it is necessary to download and examine the entire data in order to grasp the attributes and simple information about the shared data. Therefore, We need for a new system for big data processing and utilization. First, big data pre-analysis technology is needed as a way to solve big data sharing problem. Pre-analysis is a concept propo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haring big data, and it means to provide users with the results generated by pre-analyzing the data in advance. Through preliminary analys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big data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grasp the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big data when the data user searches for big data. In addition, by sharing the summary data or sample data generated through the pre-analys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ecurity problem that may occur when the original data is disclosed, thereby enabling the big data sharing between the data provider and the data user. Second, it is necessary to quickly generate appropriate preproces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or network status of raw data and to provide the results to users through big data distribution processing using spark. Thir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big traffic, the system monitors the traffic of the network in real time. When preprocessing the data requested by the user, preprocessing to a size available in the current network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is required so that no big traffic occurs. In this paper, we present various data siz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through pre - analysis. This method is expected to show a low traffic volume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sharing only raw data in a large number of systems. In this paper, we describe how to solve problems that occur when big data is released and used, and to help facilitate sharing and analysis. The client-server model uses SPARK for fast analysis and processing of user requests. Server Agent and a Client Agent, each of which is deployed on the Server and Client side. The Server Agent is a necessary agent for the data provider and performs preliminary analysis of big data to generate Data Descriptor with information of Sample Data, Summary Data, and Raw Data. In addition, it performs fast and efficient big data preprocessing through big data distribution processing and continuously monitors network traffic. The Client Agent is an agent placed on the data user side. It can search the big data through the Data Descriptor which is the result of the pre-analysis and can quickly search the data. The desired data can be requested from the server to download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It separates the Server Agent and the client agent when the data provider publishes the data for data to be used by the user.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Big Data Sharing, Distributed Big Data Processing, Big Traffic problem, and construct the detailed module of

      • KCI등재

        빅데이터와 빅퀘스천-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과 질문 -

        유강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important topics in modern society. So far, big data has produced useful results in modern society. The prospect that big data can predict the future leads to active utilization of big data.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using big data. Big data has been actively utilized mainly in profit-making or profit maximization. In this process, the basic philosophy for 'human being' is collapsing. Humaniti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provide moral sensitivity. It seems that humanities reflection and questions are needed to solve the following three problems. (1)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invasion (2) misreading and rigging of data (3) human life and dignity. Problems arising from the use of big data should be treated seriously in terms of issues of human, life, human individuality, and dignity. People believe that big data will lead humans to the perfect future, but big data only tells the past and present. Although big data can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but But it is not synonymous with human-being’s bright future. If big data is used for human-being, life and future, humanistic questions should be asked. Before expecting the value created by big data, we have to ask humanistic questions about why big data exists.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은 현대 사회의 중요한 화두이다. 이 가운데서도 빅데이터는 지금까지 공공의 영역과 기업의 이윤 추구에 생산적인 결과를 도출해 왔다.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빅데이터에 대한 전망은 빅데이터의 적극적 활용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빅데이터 사용에도 우려할 만한 지점이 존재한다. 빅데이터는 인간과 삶, 사회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는 믿음에서 만들어졌지만, 지금까지 빅데이터는 주로 기업의 이윤 창출과 효용성의 극대화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인간’이라는 기본적인 철학이 붕괴되고 있는 듯이 보인다. 빅데이터 활용이 가속화되는 이 시점에, 인문학은 도덕적, 윤리적 감수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진지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세 영역에서 인문학적 성찰과 질문이 필요해 보인다. (1) 개인정보 유출과 프라이버시의 침해 문제, (2) 오독과 조작의 문제, (3)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에 관한 문제가 그것이다. 빅데이터가 야기하는 문제는 인간, 삶, 개별성, 존엄성이라는 근원적인 문제라는 점에서 소홀히 다룰 수 없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빅데이터가 인류를 더 나은 미래로 이끌어 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빅데이터를 통해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과거와 현재일 뿐, 그것이 곧 미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빅데이터가 분명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인류의 건강한 미래로 직결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빅데이터가 인간과 삶, 인류의 미래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면, 다수(big)의 흐름에 앞서 ‘인간 삶’이라는 기본 전제 위에서 의심하고 비판하며, 건강한 방향성을 설정하려는 인문학적 비판이 필요하다. 빅데이터가 창출한 가치에 대한 환호에 앞서, 그것이 과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에 대해 인문학이 던지는 근원적이고 큰 질문, 즉 빅퀘스천이 필요하다.

      • KCI등재

        빅테이터(Big Data) 융합예술의 세계적 양상과 전망분석

        태혜신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1

        Big Data is the first emerging cor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World Economic Forum among the top 10 technologies. Internet of Things (loT), Robotics, 3D pri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new materials, 5G mobile communication, big data analysis, gene editing,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are the results of big data. These big data results are very useful in the field of society as a whole and art. However, there are not many cases of studying big data convergence art as creative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big data convergence art and predict the future through research on the global development of big data convergence art.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Internet data such as degree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newspaper articles, websites, and blo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ternet of Things Art (IoT Art) area was hardly found in Korea as a starting stage. However, some Internet of Things artwork based on disruptive technology was being produced. On the other hand, AI creative art based on big data algorithms for each art area was developing innovatively and rapidly at home and abroad. Currently, AI works in the field of visual art and music are not distinguished from human works, and they surpass humans in that many works are created in an instant. In terms of big data, the visual field needs to build labeled image big data that can further develop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AI creation, and the music field is very important to set optimal parameter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I is expanding its scope from phrase and sentence generation to scenarios, poems, and novels. They are creating their own new literary works by using existing literary works as big data.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I is engaged in independent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visual and music, but the era has already come when it takes on some of the roles of production and writer of completed works. In terms of big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more interesting works will be created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data. The dance field has developed from the dancing robot stage to the choreography AI stage. The robot's dance movements are more natural, delicate, and dynamically similar to humans than in the early stages. AI choreography is in its early stages and currently shows various motion samples, but AI auxiliary choreography activities are predicted through performance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terms of big data, the most urgent thing at present is the work of big dataizing dancer movements. 빅데이터는 세계경제포럼에서 10대 기술 중 첫 번째로 서술한 떠오르는 핵심기술이다. 사물인터넷(loT), 로봇공학(Robotics), 3D 프린팅, 인공지능(AI), 신소재, 5세대 이동통신(5G), 빅데이터 분석, 유전자 편집,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은 빅데이터의 결과물들이다. 이러한 빅데이터 결과물들은 사회 전반과 예술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창작예술로서 빅데이터 융합예술을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적인 빅데이터 융합예술 전개 양상 분석를 통해 빅데이터 융합예술의 기초자료 제공하고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2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3년간 저서, 학위논문, 학술지 및 신문기사, 홈페이지, 블로그 등의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 예술(IoT Art)영역은 시작 단계로 국내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다만, 와해성 기술기반의 IoT Art작품은 일부 제작되고 있었다. 반면에 각 예술영역별 빅데이터 알고리즘 기반의 AI 창작예술은 국내외에서 혁신적,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현재 시각예술과 음악 분야의 AI 작품은 인간 작품과 구분되지 않으며, 일순간에 많은 작품들을 생성한다는 점에서는 인간을 능가한다. 빅데이터 측면에서 시각 분야는 AI 창작의 질적 성능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라벨링 된 이미지 빅데이터 구축 및 음악 분야는 최적의 매개변수 설정과 다양한 새로운 AI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다. 문학 분야 AI는 문구, 문장 생성에서 나아가 시나리오, 시, 소설로 영역을 확장하며 기존 문학 작품들을 빅데이터로 활용해 새로운 문학 작품을 생성하고 있다. 시각예술과 음악 분야처럼 주체적 창작 활동을 한다고 보기 어렵지만, AI가 완성된 작품 생산 및 작가 역할을 일부 맡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 빅데이터 측면에서는 자료 크기 확장과 AI 알고리즘을 세밀하게 다듬어야 한다. 무용 분야는 댄싱로봇 단계에서 안무 AI 단계로 발전했다. 로봇의 댄스움직임도 초기 단계보다 자연스럽고 섬세하며 역동적으로 인간과 비슷하다. AI 안무는 시작 단계로 현재는 다양한 움직임 샘플링을 보여주는 수준이지만 앞으로 성능 발전을 통한 AI 보조안무가 활동이 예측된다. 빅데이터 측면에서 현재 가장 시급한 점은 바로 무용수 움직임 빅데이터화 작업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