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항저우 하계아시아경기대회 메달 획득 현황 및 비교에 관한 고찰

        안병오(Byung-O Ahn),김흥태(Heung-Ta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하계 아시아경기대회 관련 남북한 메달 획득 현황 및 비교 관련 자료 구축은 남북한 체육교류협력에 관한 계통적 연구의 연속성 확립을 위한 노력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22 항저우 하계아시아경기대회의 남북한 메달획득 현황 및 비교를 통한 관련 자료 축적에 있다. 둘째, 이를 통한 남북한 체육교류협력에 관한 계통적 연구의 연속성 구축에 있다. 2022 항저우 하계아시아경기대회 남북한의 메달획득 현황과 비교 등의 고찰을 통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은 2022 항저우대회에서 총 190개의 메달획득 현황에 기초한 메달획득 기여도 1순위는 총 29개로 약 15.2%를 획득한 수영이다. 2순위는 총 메달 14개로 기여도 약 7.4%의 사격이다. 3순위는 총 12개의 메달로 기여도 약 6.3%의 펜싱이다. 둘째, 북한은 2022 항저우대회에서 총 39개의 메달 획득 현황에 기초한 메달 획득 기여도 1순위는 총 13개로 약 33%를 획득한 역도이다. 2순위로는 레슬링 으로 총 7개의 메달로 기여도 약 18%를 보이고 있다. 3순위로는 메달 수 6개의 기여도 약 15%를 보이는 체조이다. 셋째, 남한은 2022 항저우대회에서 금메달을 20개 종목에서 42개를 기록한 반면, 북한은 5개 종목에서 11개를 기록하며, 남한 대비 북한의 금메달 획득률은 약 26%를 보이고 있다. 남한은 은메달을 27개 종목에서 59개를 기록한 반면, 북한은 9개 종목에서 18개를 기록하며 남한 대비 북한의 은메달 획득률은 약 31%를 보이고 있다. 남한은 동메달을 33개 종목에서 89개를 기록한 반면, 북한은 6개 종목에서 10개를 기록하며 남한 대비 북한의 동메달 획득률은 약 11%를 보이고 있다. 남한은 39개 종목에서 총 190개의 종합메달 현황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북한은 9개 종목에서 총 39개로 종합메달 현황에 따른 획득률은 약 21%로 나타난다. 넷째, 남한 전체 42개의 금메달 대비 획득률에서 수영(6개)과 펜싱(6개)이 14.2%로 1순위이며, 2순위로는 12%(5개)의 태권도, 3순위로는 9.5%(4개)의 양궁, 그리고 4순위로는 4.8%(2개)인 사격(2개), 롤러스포츠(2개), 배드민턴(2개), 근대5종(2개), e스포츠(2개) 등이 기록하고 있다. 북한의 전체 11개의 금메달 대비 획득률에서 1순위는 역도(6)로 54.5% 획득률을 보이고 있다. 2순위는 2개로 18.1%의 획득률을 보이는 체조 종목이며, 공동 3순위로는 9.1% 획득률을 기록한 복싱(1), 사격(1), 레슬링(1) 등이다. 다섯째, 남한은 하계아시아경기대회와 관련하여 1954년 제2회 마닐라대회부터 18개 대회 연속 출전을 통해 금메달 787개, 은메달 723개, 동메달 915개 등 총 2,425개의 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 반면에 북한은 1972년 제7회 테헤란대회부터 참가를 시작하여 최근 2022 항저우대회까지 11회 참가와 2회 불참을 기록하며, 금메달 121개, 은메달 162개, 동메달 189개 등 총 472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이와 같은 종합메달 획득 현황을 남한에 대비한 북한의 획득률로 나타내면 약 19.5%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남한은 2002년 대회 이후 6개 대회에 참가하여 총 1,280개의 메달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은 2002년 이후 6개 대회에 참가하여 212개의 메달을 기록하고 있다. 이를 남한에 대비한 북한의 획득률로 나타내면 약 16.6%로 나타나고 있다. 2022년 대회 이후 남한은 최근까지 6개 대회에 참가하여 금메달 400개, 은메달 385개, 동메달 495개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은 2002년 이후 최근까지 6개 대회에 참가하여 금메달 55개, 은메달 71개, 동메달 86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남한에 대비한 북한의 획득률로 나타내면 금메달은 약 13.8%, 은메달은 약 18.4%, 동메달은 약 14.3%를 보이고 있다. 일곱째, 남한은 2002년 대회 이후 최근까지 6개 대회에 참가하며, 매 대회 평균 약 213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금메달은 평균 약 67개, 은메달은 평균 약 64개, 동메달은 평균 약 83개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2002년 대회 이후 최근까지 북한은 6개 대회에 참가하며, 매 대회 평균 약 35개의 메달을 획득하는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연하면 금메달은 평균 약 9개, 은메달은 평균 약 12개, 동메달은 평균 약 14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2002년 이후 최근까지 남한은 6개 대회에 참가하며, 매 대회 종합순위는 평균 약 2.3위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에 2002년 이후 최근까지 북한은 6개 대회에 참가하며, 매 대회 종합순위는 평균 약 10.6위를 기록하고 있다. The main research result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comparison of medals won by South and North Korea at the 2022 Hangzhou Asian Games a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 recorded a total of 190 medals at the 2022 Asian Games. First ranking went to swimming, which won a total of 29 medals(15.2%). Second ranking went to 14 shooting medals(7.4%). Third ranking went to fencing, which won a total of 12 medals(6.3%). Second, North Korea won a total of 39 medals at the 2022 Asian Games. First ranking is a total of 14 weightlifting events(33%). Second ranking is a total of seven wrestling events(18%). Third ranking is a total of six gymnastics events(15%). Third, South Korea recorded 42 gold medals at the 2022 Asian Games, and North Korea recorded 11. North Koreas gold medal winning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is 26%. South Korea recorded 59 silver medals and North Korea 18. North Koreas silver medal winning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is 31%. South Korea recorded 89 bronze medals and North Korea 10. North Koreas bronze medal winning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is 11%. South Korea recorded a total of 190 medals, and North Korea recorded a total of 39. North Koreas overall medal winning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is 21%. Fourth, swimming(6) and fencing(6) ranked first with 14.2% in South Koreas total win rate against 42 gold medals. Taekwondo ranks second with 12%(5 gold), and archery ranks third with 9.5%(4 gold). Weightlifting(6) ranks first in North Koreas total win rate against 11 gold medals, which is 54.5% Gymnastics(2) with 18.1% came in second, and boxing(1), shooting(1), and wrestling(1) came in third with 9.1%. Fifth, South Korea has won a total of 2,425 medals, including 787 gold medals, 723 silver medals, and 915 bronze medals, through its participation in 18 consecutive events from the 2nd Asian Games in 1954 to the 19th Asian Gain in 2022. Starting with the 7th Asian Games in 1972, North Korea participated 11 times and was absent twice until the recent Asian Games in 2022, winning a total of 472 medals, including 121 gold medals, 162 silver medals, and 189 bronze medals. In terms of North Koreas acquisition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it is 19.5%. Sixth, South Korea has participated in six competitions since the 2002 Asian Games and has a total of 1,280 medals. North Korea has participated in six competitions since the 2002 Asian Games and has a total of 212 medals. In terms of North Koreas acquisition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it is 16.6%. Since the 2022 Asian Games, South Korea has participated in six competitions so far, recording 400 gold medals, 385 silver medals, and 495 bronze medals. Since 2002, North Korea has participated in six competitions until recently, recording 55 gold medals, 71 silver medals, and 86 bronze medals. In terms of North Koreas acquisition rate compared to South Korea, the gold medal was 13.8%, the silver medal was 18.4%, and the bronze medal was 14.3%. Seventh, South Korea has averaged about 213 medals since the 2002 Asian Games. It averages 67 gold medals, 64 silver, and 83 bronze. North Korea has averaged about 35 medals since the 2002 Asian Games. It averages 9 gold medals, 12 silver medals, and 14 bronze medals. Also, until recently since the 2002 Asian Games, South Korea has averaged 2.3 places in overall rankings, while North Korea has averaged about 10.6 places.

      • KCI등재

        한국의 동계아시안게임 참가사: 빙상종목을 중심으로

        전명규 ( Myung Kyu Jun ),최종열 ( Jong Yeul Choi ),여준형 ( Jun Hyung Yeo ) 한국체육사학회 2015 체육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한국의 동계아시안게임 참가사에 관한 것으로 동계아시안게임의 창설 과정과 제 1회 동계아시안게임부터 제 7회 동계아시안게임까지 시기를 나누어 빙상 종목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은 도출하였다. 첫째, 동계아시안게임이 창설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국가는 일본이다. 일본은 아시아 국가들의 친선 및 우의를 다지고, 화합을 이루고자 동계아시안게임을 창설했고, 제 1회 대회를 자국에서 열었다.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종합 3위를 기록하면서 동계스포츠의 희망을 보여주었고, 특히 쇼트트랙 종목이 두각을 나타냈다. 둘째, 초창기 대회들은 개최지의 혼란 속에서 다소 대회 준비가 미흡했으나 아시아 국가들은 이를 포기하지 않고, 서로 화합하면서 대회를 무사히 치러냈다. 우리나라는 빙상 종목을 주 종목으로 내세워 7회까지 종합순위 3위 이내의 상위권을 유지하면서 동계스포츠 강국으로 발돋움 하였다. 상대적으로 하계 종목보다는 국제대회 역사가 짧은 동계 종목들이지만, 아시아 국가들의 큰 축제인 동계아시안게임은 동계올림픽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y of our country``s ice sports in the Winter Asian Games.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foundation of the Winter Asian Gam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all the Winter Asian Games from the 1st to the 7th one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ce sports in the Games. First, The 1st Winter Asian Games were held in Sapporo, Japan. Our country could keep its pride owing to new short-track events. Second, the 2nd and 3rd Games weren``t prepared well due to the chaos of the venues, but Asian countries didn``t give up and held the two Games in collaboration against all odds. Our country continued to be in the top three overall till the 7th Games by putting its energy into ice sports, emerging as a winter sports powerhouse. The history of winter sports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summer sport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but the Winter Asian Games, which is one of great festivals among Asian countries, have enabled these countries to make a new leap forward in the Winter Olympic Games.

      • KCI등재

        아시안게임 엠블럼의 민족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Luting Yang,한석원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아시안게임은 아시아 최대의 종합 스포츠 대회로서 각국의 스포츠 선수들에게 경기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아시아 내에서의 경제력과 전통문화를 선보이는 플랫폼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시안게임의 엠블럼은 대회의 상징이자 해당 대회를 개최하는 국가의 상징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그 이미지를 활용한 국가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1978년부터 2022년까지의 12개 아시안게임 엠블럼을 선정하여 디자인적 의미와 상징적 의미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민족문화상징' 목록을 기반으로 분류체계를 정하여, 그래픽, 색채, 문자, 조판, 상징과 같은 시각화된 요소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아시안게임 엠블럼의 그래픽 요소는 주로 개최국 또는 개최 도시의 특성과 아시안게임의 스포츠 경기와 관련된 요소를 디자인 영감으로 정교하게 결합하여 개최지의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고, 아시아 지역의 단합과 아시안게임의 핵심 이념을 부각해 준다. 아시안게임 엠블럼의 색채 요소는 일반적으로 개최국 또는 개최 도시의 독특한 역사적 · 문화적 ·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며, 동일 색채에서도 그 상징성을 판단할 때 국가와 민족의 문화적 맥락을 기초로 해야 한다. 종합하면, 아시안게임 엠블럼 디자인은 다양한 그래픽, 색채 및 상징성을 통해 개최지의 독특한 매력과 문화적 배경을 성공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시각 기호가 아니라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과 단결 정신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The Asian Games are Asia's largest multi-sport competition, providing athletes with opportunities to play, and acting as a platform to showcase economic power and traditional culture in Asia. The emblem of the Asian Games is a symbol of the competi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a symbolic image of the country hosting the competition and promoting the country using that image. This study selected twelve Asian Games emblems from 1978 to 2022 and analyzed design and symbolic meaning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To this end, a classification system was determine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national cultural symbols”, and visualized elements such as graphics, colors, letters, typography, and symbol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The graphic elements of the Asian Games emblem primarily draw inspiration from the host nation or city's features and the sports-related aspects of the competition to showcase the venue's distinct character, the unification of the Asian region,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Asian Games. The color elements of the Asian Games emblem generally reflect the unique historical, cultur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st country or host city and should be based o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untry and the nation when judging its symbolism in the same color. Taken together, the Asian Games emblem design is intended to successfully convey the unique charm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venue through various graphics, colors, and symbolism. This is an express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and unification of the Asian region on the international sports scene, not merely a visual sign.

      • 아시안게임의 유산과 미디어의 반응

        박경호 ( Kyoungho Park ) 제주대학교 해양스포츠센터 2023 해양스포츠연구 Vol.13 No.0

        본 연구는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중심으로 그 속에 드러난 개최 효과와 이에 대한 보도 성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아시안게임, 메가 스포츠이벤트,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대한 신문 보도 및 각종 기록물에 대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중국은 민족적 정체성과 이미지를 쇄신하여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세계에 보여주게 되었으며, 개발도상국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세계화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광저우 아시안게임은 베이징 올림픽의 ‘Green Olympics’이후 다시 한 번 친환경 아시안게임의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자국의 환경보호 건설의 모델로서 그 토대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광저우 아시안게임은 또한 중국 국민의 민족적 자긍심을 한 층 끌어올린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민족적 응집력은 자국의 엘리트스포츠에 대한 인식 전환에만 국한되지 않고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자원봉사활동으로 성공적인 모델이 지속되고 있음에서 성공적인 유산을 남겼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저우 아시안게임 개최는 중국으로 하여금 스포츠외교 분야에서도 강력한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밑거름이 된 것으로 인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osting effects and reporting propensity revealed in the media reports on the 2010 Guangzhou Asian Games. Newspaper reports and various records on the Asian Games, mega sports events, and Guangzhou Asian Games were reviewed in literatur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with the Guangzhou Asian Games as an opportunity, China demonstrated its status as a powerful country in East Asia by renewing its national identity and image, and it is analyzed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globalizat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image of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he Guangzhou Asian Games not only made a successful example of the eco-friendly Asian Games once again after the ‘Green Olympics’ of the Beijing Olympics, but also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as a model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onstruction in its own country. The Guangzhou Asian Games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national pride of the Chinese people to the next level, and this national cohesion is not limited to the shift in perception of elite sports in the country, but it can be seen that it has left a successful legacy due to the continued successful model of volunteer activities for mega sports events. In addition, hosting the Guangzhou Asian Games is recognized as the foundation for China to strengthen its stro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sports diplomacy.

      • KCI등재

        한국에서 개최된 세 번의 아시아경기대회: 1986년 서울에서 2014년 인천까지

        양승혁 ( Seung Hyeok Yang ) 한국체육사학회 2016 체육사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 이후 2002년 부산, 2014년 인천까지 세차례 대회 결과지표를 역사적 측면에서 조명하여 한국에서 개최된 세번의 아시아경기대회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우선, 1986년 서울대회가 유치경쟁 수준, 적절한 종목수, 자원봉사자 규모, 효율적인 성화봉송 등 네가지 부문에서 다른 두 번의 대회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된 대회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2002년 부산 및 2014년 인천대회는 1986년 서울대회에 비해, 참가국 수와 메달획득 국가수가 많았던 대회였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2014년 인천대회는 다른 두번의 대회보다 세부 종목수, 참가선수단, 성화봉송 규모 등 외형적인 규모가 가장 컸던 대회였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세번의 아시아경기대회를 살펴볼 때 향후 한국의 성공적인 네번째 아시아경기대회 개최를 위해서는 세부 종목수와 대회 참가인원에 대한 조절, 자원봉사자에 대한 치밀한 역할 설계, 종목별 취재수요를 고려한 미디어서비스 도입, 그리고 보다 효율적인 성화봉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both difference and similarity of the three Asian Games hosted in Korea which are 1986 Seoul, 2002 Busan and 2014 Incheon Asian Games by comparing performance results. The analysis discovered that 1986 Seoul Games was more well rounded than 2002 Busan and 2014 Incheon Games with host cities, sports programme, and volunteers, and torch relay event. There were more diversity among participated countries for 2002 Busan and 2014 Incheon compare than 1986 Seoul Games. 2014 Incheon was the largest in volume such as sport programme, participation and torch relay than Busan and Seoul Games. Finally, after reviewing three Asian games in Korea, the study suggests remanagement on the number of the sports programme and a accreditation, redefinition on volunteers, and reprogram the media service and torch relay event to prepare for successful and effective future Asian Games in Korea.

      • KCI등재

        한․중의 아시안게임과 문화정체성: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과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을 중심으로

        곽영만,옥광 한국체육사학회 2020 체육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과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의 개최를 통해 표출된 문화정체성을 비교ㆍ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은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을 통해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드러난 중화중심주의의 민족적 정체성의 이미지를확고히 하여 동아시아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세계에 드러났으며, 개발도상국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문화적으로 세계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중국 국민의 민족적 자긍심을 한 층 끌어올린 민족적 응집력은 자국의 엘리트스포츠에 대한 인식 전환에만국한 하지 않은 성공적인 유산을 남겼음을 알 수 있었으며 스포츠외교 분야에서도 강력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밑거름이된 것으로 인식된 결과는 스포츠계와 외교적인 측면에서 매우 성공적인 사례로 인식될 수 있는 문화정체성을 형성한 것으로볼 수 있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을 통해 확보한 전 아시아의 상생을 위한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했으며 대한민국에서세 번째로 개최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은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 지정학적 가치, 과학기술 등 미래사회를 위한 청사진제공 등 아시아의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재각인 시켰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문화정체성을 표출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identity expressed through the hosting of the 2010 Guangzhou and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It can be analysed that the 2010 Guangzhou Asian Games solidified the national identity and image of China's centralism, which was also revealed in the 2008 Beijing Olympics, showing the world its status as a major power in East Asia after escaping from its global image as the developing nation. In addition, the national cohesion that raised the national pride of the Chinese people left a successful legacy that was not limited to changing the perception of elite sports internally. The perceived results formed the cultural identity that can be recognized as a very successful case in sports and diplomacy. The status as a central country for win-win growth for all Asian countries secured through the Incheon Asian Games in 2014 also implies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to another astronomical effect in Korea's future. It can be told that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which were held for the third time, expressed meaningful cultural identity in that they re-introduced national status as a central country in Asia, including providing a blueprint for the future society, including Korea's history, culture, geopolitical valu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1981년 서울은 어떻게 아시안게임 유치에 성공했는가?: 평양과 바그다드와의 유치경쟁을 중심으로

        양준석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0 문화와 정치 Vol.7 No.3

        이 연구는 1981년 아시안게임 유치과정에서 평양, 바그다드, 그리고 서울이 대결하는 가운데, 서울의 유치가 가능했던 한국의 전략과 조건 그리고 국제정치 적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첫째, 1980년 아시안게임 유치신청 단계에서 한국정 부는 평양과 바그다드의 지각 신청에 대한 AGF의 허용, 그리고 개최지 결정의 지연이라는 불리한 국제적 조건에 처해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예 산확대와 재외공관 활용을 통해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한 적극적 외교전략을 시 도했다. 둘째, 유치활동 전개시기 신냉전체제의 도래, 불안한 국내정세와 북한 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서울올림픽 유치에 따른 새로운 한국의 위상과 1970년 대부터 지속한 중동외교는 아시안게임 유치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서울의 아시안게임 유치는 한국과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공산진영에 친화적인 제3세계 국가들의 공감적 지지를 확보하게 했으며, 냉전체제에 균열 을 가한 측면이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rategies and conditions employed by the Republic of Korea(ROK) in 1981 in the process of competing with Baghdad and Pyongyang to win its bid to host the 1986 Asian Games in Seoul and the international political implications thereof. First, in the application stage of bidding for the 1986 Asian Games in 1980, the ROK was faced with unfavorable international conditions as the AGF permitted late applications of Pyongyang and Baghdad delaying the decision on the host country. In such a situation, the ROK implemented an aggressive diplomatic strategy to attract the Asian Games by expanding its budget and using diplomatic establishment abroad. Second, notwithstanding the coming of a new Cold War, unstable domestic situation, and the North Korean offensive during the promotion period to attract the event, the new status of the ROK following the Seoul Olympics bid and the diplomatic activities in the Middle East that continued from the 1970s had an impact on the process of attracting the Asian Games. Third, Seoul’s successful bid to host the 1986 Asian Games re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ecured sympathetic support from the third-world countries that are friendly with the Communist camp, and made a crack in the Cold War system.

      • KCI등재

        태권도 경기 품새의 사회현상 규명을 위한 질적연구

        박인준,김현민,마효예,조성균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1

        This research has purpose to seek the ways to develop the Taekwondo Poomsae through knowing the perceptions on the current Taekwondo Poomsae games of public and people who participated organizing the Taekwondo Poomsae games by big dat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method.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n order to know the perceptions of publics regarding Taekwondo Poomsae games in 2018 Jakarta-Palembang Asian Games, the researchers extracted keywords from media reports by big data analysis. In the second part, for complementing the lack of results from part one, the researchers asked the experiences, comments and suggestions of people who actually joined Taekwondo Poomsae games and people who organized the games in 2018 Jakarta-Palembang Asian Games. In the results of part one, compared to the word ‘Taekwondo’ has appeared for 1615 times in media report during 2018 Jakarta-Palembang Asian Games, the following words appeared for few times: ‘Bigak’ 31 times, ‘Nareusya’ 18 times, ‘Saebyeol’ 14 times, ‘Himchari’ 13 times, ‘new Poomsae’ 7 times, and ‘free style Poomsae’ 5 times. The researchers able to know that the media and public is not interested in Taekwondo Poomsae games. In second part, the most of people who joined the Taekwondo Poomsae games in 2018 Jakarta-Palembang Asian Games mentioned that developing new Poomsae and adopting free style Poomsae were good try but alternatives for injuries and other weaknesses are essential. Therefore, for popularizing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s, it must be continuously exposed in media and also the competition must held frequently. In addition, game organizers must fix the game rules and game management to prevent athletes’ injuries.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태권도 경기에 대한 언론보도를 분석하고, 경기를 참여하고 바라본 사람들의 인식을 통해 태권도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태권도 품새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1차적으로 언론보도의 데이터 수집 사이트인 카인즈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 하였으며,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사 분석으로 파악되지 못한 현장을 알기 위해 태권도 경기 참여자 2명과 현장 참여자 3명에게 품새 경기를 본 인식을 인터뷰를 통한 2차 연구를 진행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태권도는 1615건의 단어가 표출된 것에 반해, 비각은 31건, 나르샤는 18건, 새별 14건, 힘차리 13건, 심지어 새 품새는 7건, 자유품새는 5건 밖에 보도되지 않았고 이는 아직 새로 도입된 품새 자체에 대한 언론 및 대중의 관심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이며 2차 연구 결과 새 품새나 자유품새의 개발과 도입은 좋지만 이로 인한 부상의 노출 등의 단점의 대처방안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결국 지속적인 대회 개최 및 미디어 노출을 통해 품새경기를 대중화 시키고 선수들이 다치지 않을 수 있게 체계적인 경기 규정과 경기 운영 방법을 수정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Study on the Net Economic Impact of Mega Sport Events: Perspective of Visitors’ Expenditure (Case Study of the 2010 Guangzhou Asian Games)

        Qiuju Luo,Xiangyu Lu 한국관광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14 No.2

        This study assesses the economic impact of the Guangzhou Asian Games from the perspective of that expenditure. It examines how much economic impact sporadic sports mega-events have, and the extent to which their results can be measured by economic data. Expenditu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input-output (I-O)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Games’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We focus on classifying and quantifying Asian Games visitors, which remove part of the squeezing effect and thus accurately define the net economic impact. Among the several categories of participants investigated, the data show that “event visitors” were the primary source of economic impact from visitors’ expenditure. Although only 32.56% of all visitors were event visitors, their economic contribution made up 61.39%of the total expenditure. Overall, the 722,074 Asian Games visitors produced an economic return of 2,709,247,693 yuan. The average expenditure was 1,688 yuan and the multiplier of output was 2.22. Compared to the Chinese government’s large capital investment in preparation for the Asian Games, the economic impact of visitors’ expenditure was not outstanding. When we include the factor of economic impact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sporadic mega-events, it becomes clear that the main benefits lie in non-monetary returns such as the reconstruc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s, the effect on the city’s image, changes in local politics and culture, or improvements to the environment.

      • KCI등재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 대한 체육전공자들의 기대감, 조직신뢰 및 협력의사의 관계

        강명구(Kang, Myung-Goo),전종원(Jeon, Jonrg-Won),문용관(Moon Yong-Kwan),서동환(Seo, Dong-Hwan)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6

        The propos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organizational trust and intentions to cooperate of PE majors for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For this purpose, the total of 242 persons were used for data using convenience sampling after population selected for PE majors.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of SPSSWIN 18.0. Such a same proced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PE majors expectations for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affects organizational trust. Second, the PE majors expectations for the 2014 lncheon Asian Games affects intentions to cooperate. Third, the organizational trust of PE majors for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affects partially intentions to coope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