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프리카TV가 낳은 괴물들

        김수진(Kim, Sooji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인터넷방송과 채팅이 벌어지는 아프리카TV에 대한 사회정치적 분석이다. 상대적으로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인터넷 상활동이라는 점에서 아프리카TV는 종종 사회병리적 문제의 온상지로 진단되곤 한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스스로를 “괴물”이라 일컬으며 선정적, 폭력적 언행을 일삼는 BJ, 시청자 관계의 내적 논리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써 “괴물들”의 세계가 지극히 사회적인 원리로 돌아가고 있음을 주장한다. 아프리카TV에서 통용되는 유사화폐 별풍선을 매개로 한 극화된 언행은 선물교환의 원리로 작동하며, 이때 “괴물”의 호칭에는 조롱과 사회적 위신, 인정이 함께 굴절되어 있다. 호혜적 교환과 동시에 나타나는 BJ와 시청자간 끊임없는 말싸움은 사회의 분열이나 관계 종식을 야기하기보다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체계를 재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사이트에서 운영자는 ‘괴물스런’ 행태를 제재하는 대표적인 외부 감시망이다. 그러나 감시망은 기실 현지 내부에 스며있으며 놀이의 증여물이나 말싸움 수단으로 전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는 자본주의와 선물교환, 환대와 적대, 사회적 비난과 위신 등 인터넷방송 활동에 담긴 동시적 이중성을 드러낸다. This research is a socio-political analysis of AfreecaTV: a live streaming-chatting is cyberspace broadcasting service. Given that this cyberspace is relatively free from institutional regulation, AfreecaTV is often criticized as a social pathological phenomena by the press and public institutions. This research explores the inner principle between the Broadcasting Jockey (BJ) and the audience, where they practice raunchy, violent behaviors, calling themselves a “monster.” The research reveals that “monsters” are in fact the very social beings. First, dramatic practices are mediated by ‘Starballoons’; a cyber currency which is given by the viewers to the BJ and is explained using gift theory. Being referred to as a “monster” implies both criticism and prestige about their behavior. Simultaneously with this reciprocal exchange, the ceaseless quarrelling among BJs and the audience is a ritual violence which constitutes and reproduces social equality and freedom. The outside surveillance which tries to restrict this ‘monsterous’ behavior is in fact embedded in AfreecaTV’s society and its members. Participants of AfreecaTV are by themselves revealing and appropriating the surveillance as gifting or battling means. Through these and other aspects of AfreecaTV, this research ultimately examines concurrent dualities of Internet-streaming space: capitalism and gift exchange, hospitality and hostility, dishonor and honor, etc.

      • KCI등재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아프리카TV를 중심으로

        김설예,유은,정재민 한국문화경제학회 2016 문화경제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아프리카 TV(AfreecaTV)를 중심으로,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주관적 규범)이 시청량, 만족도, 그리고 지속이용의사와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TV를 이용하는 20~30대 2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개인방송을 소비하는 이용행태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정보추구 동기가 시청량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다른 이용 동기들은 시청량을 끌어올리지 못했다.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시청량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주관적 규범도 만족도를 높였다. 그러나 사회적 실재감은 시청량과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량은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만족도는 높을수록 지속이용의사와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홍석경(Seok-Kyeong Hong),박소정(Sojeong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1

        먹는 행위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것을 넘어서서 삶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한국은 전통적 건강담론과 엄격한 예절문화를 바탕으로 한 음식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런데 최근 한국에서 이러한 지배적인 음식문화의 가치와 전통적 정체성에서 이탈하는 인터넷 ‘먹방’(‘먹는 방송’의 약자) 문화가 등장하여 주목을 끌고있다. 이것은 기존의 미디어가 다루어온 음식문화에 대한 지배적인 코드를 흥미롭게 변화시키거나 배반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먹방을 한국의 특수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발달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이자 음식문화를 매개하는 독특한 미디어문화의 한 양상으로 정의하고, 먹방의 포맷이 기존 미디어에 도입되면서 어떤 헤게모니적 과정을 거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먹방 문화에 대한 심층적 관찰부터 시작해, 먹방의 사회맥락적 이해와 독특한 가치의 소구방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1인 가구의 증가와 잉여문화라는 배경을 바탕으로 자라난 먹방은 이제 주류 미디어인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에 의해 차용되고 있다. 먹방이 기존의 미디어 가치를 어떤 식으로 반박하는지, 기존 미디어가 이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교섭이 일어나는 지를 탐구하는 것은 새로운 음식 담론과 미디어 헤게모니 과정을 고찰하게 해준다. Eating is closely intertwined with people’s lives and culture. Korea has developed its own food culture based on traditional health discourse and strict table decorum. Recently, however, Mukbang(an abbreviation of food broadcasting in Korean), provided by Afreeca TV, sheds new light on both food culture and media culture, as it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values of food culture mediated by conventional media. Mukbang shows its unique aesthetics as it changes and betrays predominant codes of conventional food culture. This article closely observes Mukbang and defines it as a social communication developed in a specific socio-historical context of Korea and a unique aspect of media culture that mediates food culture. As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and the so-called Suprlusage culture arises, Mukbang emerges as a noticeable subculture. Then with its popularity, it expands into TV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gemonic process where Mukbang contradicts traditional values and challenges legitimate culture, and conventional media negotiates with elements of Mukbang as it appropriates them. This gives attention to new food discourse and media hegemonic proces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인터넷 1인 게임 방송 BJ 속성이 시청자의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플로우(FLOW)경험을 매개변인으로 -

        김종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low experience is effective as a mediator in the effect of BJ attributes on viewer satisfac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98 users who watch one - person game broadcasting on African TV. According to analysis, first, the joy flow experience i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BJ attributes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the Control flow experience did no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BJ attributes and viewing satisfaction. Third, the attention flow experience i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and reliability BJ attributes and viewing satisfaction. Fourth, the Time distortion flow experience i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BJ attributes and viewing satisfaction. Fifth, the Self loss flow experience did no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BJ attributes and viewing satisfaction. The intimacy of the game BJ was found to affect mediocre satisfaction, attention, attention, and time distorted flow experience. 본 연구는 인터넷 1인 게임 방송 BJ 속성이 시청자의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플로우경험이 매개변인으로서 효과를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아프리카TV에서 1인 게임방송을 시청하는 총 198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즐거움 플로우경험은 친밀성 BJ 속성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통제감플로우 경험은 BJ 속성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셋째, 주의집중 플로우경험은 친밀성과 신뢰성 BJ 속성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넷째, 시간왜곡 플로우경험은 친밀성 BJ 속성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자아상실 플로우경험은 BJ 속성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이는 게임 BJ의 친밀성 속성이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즐거움, 주의집중 그리고 시간왜곡 플로우경험은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이모티콘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 : 고 맥락과 저 맥락 이모티콘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찬희(Chan Hee Kim),류시천(Si Cheon You)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1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0 No.4

        소셜미디어상의 이모티콘처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유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맥락 안에서 환유가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유 발현의 대표적인 기저 현상인 <현저성(Salience)>과 이를 통해 재현되는 다양한 <이모티콘>의 표현 원리를 문화 맥락과 짝지어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과학 분야의 대표 담론인 맥락이론을 기반으로 고 맥락의 <아프리카TV> 이모티콘과 저 맥락의 <트위치> 이모티콘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유가 어떤 과정을 거쳐 시각적 결과물로 재현되는지에 관한 환유의 시각적 적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이모티콘 표현방식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맥락이론에 기초하여 고 맥락의 시각적 환유와 저 맥락의 시각적 환유의 특성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제시하였다. 향후, 현지화 전략 구사가 필요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디자인 결과물의 현지 수용성, 현지 적합도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context, such as emoticons on social media,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isual expression of metonymy as a mean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age of visu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etonymy is visualized within a cultural context. Specifically, <Salience>, a typical underlying phenomenon of metonymy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principles of various <emoticons> reproduced through it are identified by pairing them with the cultural context. Based on context theory, which is a representative discours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emoticons from <Africa TV> in high context and emoticons in <Twitch> in low context were selected and compared as case study subjec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a visual application model of metonymy was proposed regar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metonymy is reproduced as a visual result. Second, the types of metonymy and their salience attribute applied to the emoticon expression method was identified in detail. Third, based on the contextual theory, how the characteristics of high-context visual metonymy differ from that of low-context visual metonymy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local acceptability and local suitability of design result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quires the use of localiz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