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대기질 개선 정책의 온실가스 동시 저감 및 그에 따른 공편익 효과 분석

        김동영,최민애 한국대기환경학회 2017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33 No.6

        In recent year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ir quality management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has been significantly strengthened. The measures in the two policies may be in a relationship of trade-off or synergy to each other. Greenhouse gases and air pollutants are mostly emitted from the same sources of using considerable amounts of fossil fuels. Co-benefits, in which either meas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may be maximized by reducing the social costs and by consolidating the objectives of the various policies. In this study, the co-benefits were examine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social cost, and cost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policies. Of the total 80 projects, the next 12 projects generated co-benefits. They are 1) extend restriction area of solid fuel use, 2) expand subsidy of low-NOx burner, 3) supply hybrid-vehicles, 4) supply electric-vehicles, 5) supply hydrogen fuel cell vehicles, 6) engine retrofit, 7) scrappage of old car, 8) low emission zone, 9)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10) supply land-based electric of ship, 11) switching anthracite to clean fuel in private sector, 12) expand regional combinedenergy supply. The benefits of air pollutants and greenhouse gas-related measures were an annual average of KRW 2,705.4 billion. The social benefits of the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were the highest at an annual average of KRW 890.7 billion, and followed by scrappage of old cars and expand regional combined-energy supply. When the social benefits and the annual investment budgets are compared, the cost effectiveness ratio is estimated to be about 3.8. Overall, the reduction of air pollutants caused by the air quality management policy of Gyeonggi-do resulted in an annual average of KRW 4,790.2 billion. In the point sources management sector, the added value of CO2 reduction increased by 4.8% to KRW 1,062.8 billion, while the mobile sources management sector increased by 3.6% to KRW 3,414.1 billion. If social benefits from CO2 reduction are added, the annual average will increase by 7.2% to KRW 5,135.4 billion. The urban and energy management sectors have shown that social benefits increase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benefits of CO2 reduc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more intensive promotion of these measures are need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co-benefits generated between the similar policies in the air quality management and the climate change policy which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in Gyeonggi-do.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thod of analyzing the policy effect among the main policies in the climate atmospheric policy is established and the effectiveness and priority of the major policies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policy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co-benefits.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be a basis for evaluation the efficiency of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air quality management policies implemented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독일의 이사회 차원에서의 공동결정제도와 수용가능성 검토

        정응기(Jung, Eung Ki)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과기업연구 Vol.10 No.2

        지난 2016년 이래 서울시 산하 공기업에 근로자들이 선임한 이사가 임명되기 시작하였고, 소액주주 및 우리사주조합(또는 근로자대표)이 사외이사후보를 각각 1인씩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상법개정안들이 발의된 바 있다. 이를 둘러싸고 찬반 논쟁이 활발하게 벌어지면서 공동결정제도를 실현하고 있는 독일의 제도가 다시 주목을 받은바 있다. 이 글은 독일의 공동결정제도 중 감독이사회 차원에서 근로자가 참여하는 제도를 소개하고, 이를 우리 회사법에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근로자의 경영참여에 대하여 헌법에 위반된다거나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해친다는 점을 들며 반대하는 견해도 있지만, 근로자의 참여는 우리 헌법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도입이 가능하고, 효율성 문제는 어느 쪽이 우세하다고 보기 어려우며, 근로자의 참여를 인정하는 쪽이 더 민주주의 원리에 부합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독일의 제도에서 얻은 시사점으로는, 감독기능을 수행하는 사외이사나 감사위원회 위원을 선임하는 데에 근로자가 참여하는 방법이 근로자의 경영참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Since 2016, workers began to appoint some directors in public corporations affiliate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amendments to the Commercial Law have been proposed to allow minority shareholders and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s(or workers’ representatives) to recommend one independent director candidate each. As there was many disputes surrounding it, German system, which is realizing a co-determination system, has attracted attention once again. This article aims to gain implications by introducing the German co-determination system, where workers participate in the supervisory board, and examine whether it can be accommodated in our company law. Some disagree this with the grounds that work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violates the Constitution or impairs the efficiency of corporate management. However,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workers’ participation can be introduced without violating our constitution, the issue of efficiency is hard to say which one is superior, and acknowledging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is mor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democracy. The implication from the German system is that the way workers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or audit committee members, both performing supervisory functions, can be a starting point for workers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관광커먼즈 관리모델에 관한 연구: 생태관광을 중심으로

        장혜원,최상훈,서광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024 관광연구저널 Vol.38 No.1

        요약: 보호구역에서 추진되는 생태관광은 관광커먼즈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관광커먼즈는 자원의 이질성과 관련 주체들의 다양성으로 특징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해 관광커먼즈의 관리는 이해관계자들이 학습과 협업을 통해 불확실한 생태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을 통해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람사르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제주 선흘리 동백동산을 사례로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을 적용하여 관광커먼즈 관리모델을 개발하였다. 3년간의 참여관찰과 다수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론연구와 현장연구를 유기적으로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이 관광커먼즈 관리에 적용가능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었다. 둘째, 관광관리시스템에 사회생태계이론을 적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관광커먼즈 관리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관광시스템이론에 사회생태계 모델을 적용시킨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적응형 공동관리 프로세스가 관광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많은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고, 사회적 학습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제약이 있음을 들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관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