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Japanese War Crimes Represented in History Textbooks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Kim Bok Young(김복영)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이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저지른 전쟁 범죄를 탈식민성(the postcolonial)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전쟁 중에 일본이 저지른 만행을 남경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생체실험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그리고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 내용 중에서 위의 범주와 관련된 내용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역사 교과서는 세 가지 범주를 모두 골고루 다루고 있는 반면에, 중국의 역사 교과서는 주로 남경 대학살을 주요 쟁점으로 다루고 있었다. 일본의 역사 교과서는 위와 같은 전쟁 중의 만행은 전혀 다루지 않고 단지 한국과 중국인들에게 피해를 주었다는 애매모호한 기술로 일관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는 상호 이해의 차원에서 다루어야 하는 데, 이때 유용한 개념이 바로 탈식민성(the postcolonial)인데, 이는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대항담론(counter discourse)을 형성하는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교과서는 이러한 대항담론이 담겨 있는 의미 있는 교육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각 나라의 교과서마다 자민족중심적인 서술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기는 하다. 이러한 점에서 학교교육과정에서 중요한 학습자료인 역사 교과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역사 교과서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서 상호이해라는 공통분모를 찾는 일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Japanese war crimes during the World War Ⅱ portray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rom the view of the concept of "the postcolonial." The author found three categories of Japanese war atrocities during the war such as the Nanjing massacr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human experiments. While Korean history textbooks treat the three topics of the Nanjing massacr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human experiments, Chinese history textbooks the Nanjing massacre. Japanese history textbooks, however, omitted the major delicate topics mentioned above. Thus, as counter-discourse, the concept of postcolonial discourse, in particular the postcolonial, is a very useful term for mutual understanding of the former colonizer Japan and the colonized Korea and the occupied China.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신학 담론에 대한 ‘트리컨티넨탈리즘’ 의 도전

        방연상(Pang Samuel Y.)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3 신학사상 Vol.0 No.163

        이 글은 기독교 선교의 결과로 비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세계 기독교에 대한 논의 및 이해를 포스트 식민담론(postcolonial discourse)을 통해 모색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갈 기독교 선교의 담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남반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새로운 기독교의 등장은 기독교 신학의 지형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새로운 정체성에 대한 담론을 제시한다. 기독교의 새로운 중심으로 등장하는 포스트 식민주의 주체에 대한 논의와 이를 통하여 기독교의 서구 중심성을 비판하는 한편, 새로운 신학적 지도를 작성하고 위치를 재설정하여, 다름(difference)과 타자들이 함께 공존하는 공간을 형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식민주의 담론을 해석의 도구로 사용하여 새로운 인식체계와 구조를 제안하고, 존재론과 본질론에 내재되는 폭력성을 지적하면서, 포스트 식민주의 담론을 통한 ‘혼종적 혹은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정치’ 를 제안한다. 이는 정체성을 투쟁과 저항의 도구로써, 한편으로는 조합과 대화, 그리고 연대의 도구로 사용하여 이를 윤리적인 주체의 원동력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시대에 대한 저항과 대안의 담론으로 트리컨티넨탈 신학을 제안한다. This is to articulate about the emerging World Christianity in the non-Western world, as a result of modern missionary movement, and to reflect the future Christian missions through Tricontinetal (Africa • Asis • Latin America) postcolonial discourse. And it is to indicate that the emergence of Christianity in non-Western world has brought a radical shift in the theological terrain, suggesting a new discourse on Christian identit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articulate the postcolonial subjects as new subjects, in critically evaluating the euro-centric ideology within Christianity, and to suggest a new map for theological imagination creating a space for 'others and differences.' For this, it attempts to facilitate the postcolonial discourse as a hermeneutical tool to expose the innate structural violence within the essentialism and ontology,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of doing theology. Therefore, in this sense, by articulating 'the politics based on hybrid or diasporaic identity' as the mean of resistance as well as of dialogue and mutual cooperation in solidarity, new tricontinental subject is constructed to resist the dominant ideology of "nee-liberal globalization"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theology today.

      • KCI등재

        `프란츠 파농 담론`의 한국적 수용 양상 연구

        차선일 ( Cha Sun-il ),고인환 ( Ko In-hwa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글은 일차적으로 프란츠 파농의 사상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수용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되돌아봄으로써, `파농 담론`이 수용된 사회적 맥락을 구체화하고 파농을 어떻게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고유한 역사적 국면 속에서 살아있는 파농을 구제하고 현재적 사상가로서의 파농의 가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나아가 한국의 현실이 요구하는 `파농`을 새롭게 창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제3세계의 민족해방운동의 이론적 공급원 중 하나였던 비서구 출신의 실천적인 사상가 파농이 국내 학계와 문화계에 유입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굴곡과 우회를 포함하고 있다. `파농 담론`이 실질적으로 받아들여진 1971년 이후의 수용사를 되돌아보면, 전반적으로 동시대 파농 해석의 국제적 조류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국내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상황과 맞물려 특징적인 양상이 빚어진다. 1970~80년대에 군부독재권력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의 맥락에서 파농의 사상이 민주주의 이론으로 재해석되었던 것이 단적인 예다. 한편1990년대 일시적인 공백기를 지난 이후 2000년대의 `파농 담론`은 제1세계에서 탈정치적으로 해석된 파농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라는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파농의 정치성을 복권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파농의 탈서구화와 정치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는 비판적 담론 이상의 구체적 · 실천적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제1세계로부터 파농을 구출하려는 바로 그 안건에 비판적으로 함축된 서구중심주의를 탈피하지 못했다. `파농 담론`의 수용사에서 반성적으로 되물어봐야 할 것은, 파농이라는 제3세계 출신의 흑인사상가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우리의 시각이 은연중에 서구중심주의와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에 감염되어 있거나 암묵적으로 동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파농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파농의 텍스트를 올바르게 독해하는 것도 파농을 현실적 상황에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만도 아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우리의 역사와 내면에 뿌리내린 서구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해부하고 성찰하는 것에 달려 있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은 학제간의 장벽을 넘어서는 상호적 노력을 통해 성취되며, 한국문학과 외국문학, 나아가 비서구문학과의 소통과 연대를 위한 토대 구축의 논의와 맞물려야 한다. 파농을 읽는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지평 속에서 읽는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cceptance aspect of `Frantz Fanon discourse.` Since `Fanon discourse` first started to be accepted in 1971, it has continued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and a matter of discussion until now, passing through a short hiatus period in the 1990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in the 1970s~1980s can be summarized into the image of `Fanon as a democracy fighter.` As reflection on violence was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among various discussions about Fanon, a viewpoint of Fanon`s idea as the theory of democracy rose as influential discussion. This aspect means that `Fanon discourse` was accepted as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resistance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in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Fanon discourse` met a temporary lull. As post-ideological era has come, a sociocultural interest in politically interpreted Fanon has sharply decreased. However, the name of Fanon was reinstated as postcolonialism theory rose in postmodernism trends. In the 2000s, `Fanon discourse` explosively increased. And in that time,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was to be brought into relief as critical rival horse against occidentalized postcolonialism theory. However, this image as a critic is also following the contemporary discussion in the West in exactly the same way. And this point of view may be also regarded as occident-centric result. The fact that there is no case `Fanon discourse` is used as a theoretical tool of interpreting and intervening in sociocultural situation in Korea is a supporting evidence for that. The reason why `Fanon discourse` has lost a link to be grafted on realities since the 1990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Fanon is a `black thinker.` In particular,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Fanon`s image as a thinker of violent struggle stuck to him, and it was impossible to accept `Fanon discourse` inside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among discussions about Fanon, a discussion about criticism on racism was relatively rough, and so on. Finally, the acceptance of `Fanon discourse` born outside the West from an occident-centric viewpoint is the Korean situation of discourse.

      • KCI등재후보

        탈중심화된 중심으로서의 <디 워>와 심형래 감독

        김선엽 ( Sun Yeop Kim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08 디지털영상학술지 Vol.5 No.2

        Regarding the South Korean movies in 2007, the hottest issue was Shim, Hyung-Rae`s D-War. Not only was it the biggest success in the South Korea`s box office but also it became an open site for a power struggle between professionals and netizens. While most film critics and journalists criticized it severely, the majority of the netizens denounced them harshly, supporting the film. During this rare and intense dispute, chiefly Jin, Joong-Kweon, a famous esthetician, heartlessly disregarded the film and its supporters, arguing the director and his fans should learn more about film and humanities. On the contrary, the film`s supporters spoke up he was just a representative of arrogant traditional intellectuals only based on the old Modernism, which had been a critical discourse oppressing the minority for decades. This kind of collision cleary shows a struggle relating to a hierarchy of discourses around popular culture. Moreover, film text itself seems to imply the counter-discourse as well as the Orientalist`s discourse. Meets its postcolonial hybridity, especially its aspect of standardization/globalization with the locality displayed dominant discourses and resists them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is hybridity itself doesn`t directly result in a political progress but it definitely damages the dominant discourse in any way. In conclusion, judging Shim`s D-War is not that easy and simple as Jin has insisted if seen in the political point of view. Rather, it seems like a sort of film which should be analyzed multilaterally since Shim and his film are the fluid periphery as well as centre according to the changing context.

      • KCI등재

        학교의 국제이해 교육과정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비평

        주재홍 ( Jae Hong Joo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탈식민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국제 이해 교육의 논의를 확장하고 재개념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들은 무엇들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무엇보다 국제이해교육의 핵심적 영역으로 제시되고 있는 ‘문화간 이해’를 위한 새로운 출발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학교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비평적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실제 수업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실행 장면에서 서구와 비서구의 이미지가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합의되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셋째, 탈식민주의 담론은 탈식민 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국제이해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탈식민 의식 고양을 위한 수업방법과 수업의 실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탈식민주의가 우리나라의 국제이해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Postcolonialism which problematizes and reconceptualizes the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challenges the traditional approach 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t asks the educational researchers and curriculum scholars to expand and critically examine the traditional approach to emphasize the advanced understanding for other nations without critical perspectives and epistemologies such as oppression, ideologies, discriminations, and hegemonies among other underrepresented territor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problematize limitations of Korean previous discourse related to EIU, and to open the academic space to expand the present discourse with concepts and ideas related postcolonialism. For this purpose, first, the definition of postcolonialism and its recontextualization in Korean curriculum studies were discussed as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four research themes were discussed as critical reviews which we believe help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open the potential research opportunities They we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postcolonial curriculum; (2)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the critical awareness for postcolonial consciousness; (3) Uses of postcolonial literature; and (4) Critical analysis of school textbooks. Based on four themes,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비서구 저항담론’으로서의 세제르(A. Cesaire)의 탈식민주의 비평, 그 가능성과 한계: 화자(話者), 언어(言語),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최일성 ( Choi Il-s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1 No.-

        20세기 들어 서구중심적 보편주의에 직접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지적 흐름은 이른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e)이다. 지금까지 제시된 탈식민주의 비평의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는 피식민사회의 정치적 해방이 해당 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해방을 담보하지 못하고, 따라서 서구사회의 해방담론- 특히 맑스주의, 민족주의, 여성주의, 해체주의 등이 주창해온 -이 비서구사회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서구사회와 비서구사회는 안타깝게도 서로 다른 미래와 해방을 꿈꾸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사이에 소위 ‘지정학적 대화’가 요구된다는 당위성이 노출되었다. 그러나 탈식민적 해방을 위한 이론가들의 노력은 여러 서구중심적인 전통들과 결별하지 못한 채, 혹은 그것들과 연대하면서, 자신들의 세력권을 구축해온 것도 사실- 그 성과를 폄훼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다. 주지하다시피 탈식민주의 비평의 상당수는, 특히 탈식민주의를 주창하거나 제안하는 ‘화자(話者)’ 혹은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러한 탈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담아내거나 표출하는 ‘언어(言語)’의 측면에서 그리고 식민적 폐해를 고발함과 동시에 탈식민적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동원하였던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어떻게든 서구와의 연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피식민사회의 해방을 제안한 여러 탈식민주의 비평들 가운데 이른바 ‘네그리튀드(Negritude)’운동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메 세제르(Aime Cesaire)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다시 읽기를 추진해볼 것이다. 그것은 세제르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화자’, ‘언어’ 그리고 ‘대항담론’이라는 세 가지 앵글을 통해서 이론적으로 되짚어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세제르와 그의 정치사상을 새롭게 성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ost-colonialism has directly raised questions about western-centered universalism. One of its main achievements is that the political liberation of a colonial society does not guarantee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liberation of a society. Therefore, the discourse of liberation in the Western society, in particular, Marxism, nationalism, feminism and postmodernism,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non-Western society. As a result, Western and non-Western societies are unfortunately dreaming of different futures and liberation; therefore, a‘geopolitical dialogue’ is needed between them. However, the theorists' efforts for postcolonial liberation fail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western-centric traditions. It is also true that they have, in conjunction with these traditions, established their own power. As we know, many of the postcolonial criticisms somehow had relations with the West. This study will re-read the postcolonial thought of Aime Cesaire, the father of the so-called Negritude, as a ‘non-western resistance discourse’.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a chance to reflect on Cesaire and his postcolonial thoughts.

      • KCI등재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작품 《살풀이》를 통해 본 21세기 음악에서의 탈식민주의 담론

        손민경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0 No.-

        This article analyzes Austrian composer Daniel Moser’s Salpuri (2017), composed amid the growing interest of Western composers in Korean music due to the recent K-culture trend, and examines the discourses of postcolonialism. Moser critically considered the musical exoticism that had arisen in the use of East Asian music by Western composers such as John Cage and Lou Harrison. He also tried to recreate the non-linear view of time in the Eas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Salpuri in contemporary music. For this purpose, the disintegration of the sense of rhythm, the subversion of the bars, and the juxtaposition of bi-cultural instruments were composed among the musical parameters in Western music. What is significant is that Moser’s use of Korean music was not a tool for other cultures but a reflection of his intention to discover the unique Korean sound by recognizing its relative value and existence of cultural others. Above all, Moser’s work evokes a unique sense of time listening, and ultimately contain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in-betweenness’ of post-colonial theorist Homi Bhabha. In other words, wh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of Korea and the West meet, the third sound space was created, embodying “a dynamic field of negotiation between differences.” 본 글은 오늘날 K-문화 열풍으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에 대한 진전된 관심 속에서 창작된 오스트리아 작곡가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살풀이》(Salpuri, 2017)를 분석하여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담론을 고찰한 연구다. 모저는 그간 존 케이지와 루 해리슨과 같은 서양 작곡가들의 동양음악 활용에서 자주 제기된 문화 전유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의 전통 무용인 살풀이에 담긴 동양의 비선형적 시간관을 현대음악에서 재생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에서는 서양음악에서의 음악적 매개변수 중 박절 감각의 와해와 마디의 전복, 이중문화 악기의 병치가 이루어졌다. 중요한 것은 모저의 한국음악 활용이 타문화의 도구적 전용이 아닌 문화의 상대적 가치와 존재를 인정하여 고유한 한국의 소리를 발굴하려는 성찰(Reflection) 의식이 반영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저의 작업은 무엇보다 독특한 시간 청취 감각을 환기하며, 궁극적으로 탈식민주의 이론가 호미 바바의 ‘틈새’(in-betweenness)의 미적 함의를 담고 있다. 즉, 한국과 서양의 이질적인 문화가 만났을 때 “차이들이 벌이는 역동적인 교섭의 장(field)”을 구현하면서 제3의 소리 공간을 창출한 것이다.

      • KCI등재

        (Re)Narrating the History through Ambiguous Gender Discourse: A Study of Salman Rushdie`s Shalimar the Clown

        ( Rajni Singh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 영문학 Vol.61 No.3

        Salman Rushdie’s depiction of women is an area of much contention as critics down the ages have observed a strange ambiguous attitude that is central to his portrayal of women characters in his novels which makes Gayatri Spivak to observe that Rushdie’s “anxiety” to construct women in the history is an “honourable failure.” Although he portrays strong female characters, however, they are all peripheral to the plot and their actions have hardly any influence over the principal male characters of his novels. The present paper strives to analyze Rushdie’s attitude to the woman ques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Shalimar the Clown as he revolts against the conventional phallocentric construction of gender as well as the religious fundamentalism that considers woman as the evil incarnate. His creation of unflinching and uncompromising women like Bhoomi/Boonyi Kaul, India/Kashmira, Firdaus Noman who defied the societal constrictions in achieving their own demands is intertwined with his aim of postcolonial historiography in 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the small village of Pachigam. A saga of rivalry and revenge over the sexual possession of a beautiful woman is interwoven with the territorial dispute of Kashmir, Rushdie’s cherished homeland. The loss of geographical paradise (Kashmir) is symbolically blended with women’s loss of autonomy and freedom. The paper aims at interrogating Rushdie’s (proto) feminist stance as on the one hand his sharp ironic tone undermines the prevalent gender discourse and on the other there is a strain of quiet submission to it.

      • KCI등재

        (탈)식민의 역사주의에서 언어적 전회로 2000년대 이후 이태준 연구의 방법과 논리

        최현희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Yi T’aejun studies during the decade from 2004 to 2014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Linguistic Turn. Since the mid-2000s, the mainstrea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field has been under considerable influence of Post-colonialism studies and Cultural Studies. Korean literature scholars in the trends regard Literature not as a given but as a historically constructed discourse. The transition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s what I call the strategical turn from the Literature to the Discourse. Yi T’aejun studies from the last decade substantialize this turn in their analyses with the problematique of Hybridity and Language Consciousness. However, the turn remains incomplete as they see an immediate reflection of the Reality from Yi T’aejun texts’ hybridity and passive resistance against the Reality from the perversity of Yi’s theory of “Munjang” [sentence, language, or words]. They originally intended to describe how modern conception of Literature is contingent on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at the Linguistic Turn. However, they find themselves trapped in, if not unconsciously endorsing, Historicism, which is discursively rendering Literature as a given. Their initial conscious intention to overcome Historicism in literary studies remains unfulfilled as they unconsciously assert their own version of Reality as the only tenable reality on the hermeneutic horizon of the History. Here, student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must learn the following ironic lesson: that literary studies are allowed to achieve historicity when they thoroughly accomplish the task of the Linguistic Turn and confine themselves strictly to the level of Discourse. 이 글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14년 현시점까지의 이태준 연구의 경향을 ‘언어적 전회’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탈식민주의와 문화연구의 흐름에 견인된 2000년대 중반의 한국근대문학 연구는 ‘문학’을 소여(所與)로 보지 않고 역사적으로 구성된 ‘담론’으로 보는 관점을 취한다. ‘문학’으로부터 ‘담론’으로의 전회라는 방법론상의 자각은, ‘혼종성’과 ‘언어의식’을 해석학적 지평으로 삼아 분석한 이태준 연구들로 실체화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궁극적으로, 이태준 텍스트의 혼종적 면모를 당대 ‘현실’의 무매개적 반영으로 보거나, 문장론에서 나타나는 ‘문장’ 개념의 전도성을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보는 한계를 보인다. 이는 ‘문학’ 자체의 역사성을 기술하려고 했던 엄밀한 객관주의 정신이, 자기가 인식한 ‘현실’만이 ‘역사’의 보증을 받는 유일한 버전의 현실임을 강요하는 역사주의로 빠져버렸음을 의미한다. 결국 ‘문학’ 자체의 존재를 담론적으로 정당화하는 역사주의 극복이라는 과제는 아직 완수되지 못한 채로 남는다. 이는 한국근대문학 연구가 ‘역사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더욱 ‘담론’ 차원에의 집중을 철저히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려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