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美國의 新社會科 敎育課程의 登場과 地理敎育의 變化

        芮庚熙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4 淸大學術論集 Vol.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suggestions that will provide to help the curriculum and teaching improvemen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is aim, the contents of study are below: 1) The outline of social studies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 The outlines of new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rovements: (1) Greater Cleveland Social Science Program.. (2) California Statewide Social Science Study Committee: proposed K-12 Social Science Education Framework. (3) Contents of University of Minnesota: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gram. (4) Rhode Island Providence Social Studies Curriculum Project. 3) The characteristics of new social geography curriculum. 4) The methods of geographers and investigation-oriented teaching strategies. The suggestions that will provide to help the curriculum and teaching improvemen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are as below: 1) As new social studies influenced world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formed new curr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e need to introduce achievements and methods of social science in geography teaching of social studies. 2) As it is to ignore geography curriculum in new social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geography educ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needs to strengthe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e need to refer Greater Cleveland Social Science Program rather than k-12 Social Science Education Framework that California Statewide Social Science Study Committee propo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gram of Minnesota University, Rhode Island Providence Social Studies Curriculum Project in terms of geography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n Korea. 3)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curriculums that previously studied and the possible new directions of school geography as Fig. 5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new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se indications are seeme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n Korea. 4) As the children need to learn methods that geographers study, the teacher is to investigation-oriented in order to discover the geographic relationships. The teaching type of investigation-oriented is important and is based on thinking model to develop the inquiry strategies. Therefore, we need to emphasize inquiry learning and yiel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beyond ideas and generalization.

      • KCI등재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실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s of instructional practice, raise the issues associated with social studies class construction, and present an alternative. For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of the teachers in this stud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a strong mechanism to build instructional contents, and the group of learners is a strong mechanism to build instructional methods for social studies. The analysis of the classes and interview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erentiated between social studies class contents and methods. They believed that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s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textbooks and that how to teach the textbooks well was the core of instruction construction. However, social studies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social phenomena and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can never be constructed with separation of its contents and methods. Teachers’ perspectives of social phenomena and value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building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refore, teachers and researchers need to build and discuss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with attention paid to the following: First,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which aims to cultivate citizenship, needs to be constructed to learn inter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such as capacity of a good citizen and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s and other cultures. Second, a social studies class needs to be constructed to recognize variability and flexibility of knowledge due to social changes. Third, a social studies class needs to be constructed to use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social science to understand various social phenomena around the classroom. Fourth, teachers need to construct a class by acknowledging them members of society and inducing their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 구성을 둘러싼 기존 연구를 비판하고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과 수업 구성과 관련한 쟁점을 밝히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 교사의 사회과 수업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은 수업 내용을 구성하는 가장 강력한 기제로 작동되며, 학습자는 사회과 수업 방법을 구성하는 가장 강력한 기제가 되고 있다. 또한 사례교사의 수업 사태와 인터뷰 등을 분석한 결과 초등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의 내용을 교과서의 내용으로 한정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회과 수업의 방법은 교과서의 서술방식과 활동 전개 방식에 기초하여 구성하고자 한다. 수업 구성이란 교사가 준비된 교재와 자료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목적한 수업으로 만드는 일이자, 수업과 관련한 요소들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만들어지는 과정 그 자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회과 수업 구성에 있어서 수업의 내용과 방법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 수업을 연구하는 교사와 연구자는 사회과 수업 구성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사회과는 시민성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이기 때문에 올바른 시민으로서의 능력, 타인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 등 개인과 사회의 상호 관계를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 수업은 사회 변화에 따른 지식의 가변성과 유연성을 인정하는 수업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과 수업은 사회과학적 개념과 원리를 가르치는 수업이기보다 그 개념과 원리를 활용하여 실제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넷째, 사회과 수업에서의 학습자는 교실 사회에서 사회적 존재로 위치한다. 교사는 학습자가 현 사회의 구성원임을 인정하고 그들의 변화와 참여를 유도하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사회과 수업이 사회과 교육의 본질을 투영하는 수업으로 구성될 때, 사회과 수업 이론의 발전 또한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와 사회 수업 평가: 서울 지역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초 조사 연구

        이정우 ( Jung Woo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1

        This study is a survey about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and their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struction. 603 students who are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are somewhat positive. They think social studies as interesting, important, easy to study and they like social studies. But the degree of agreement is not so strong. 2) Among the geography, history and citizenship(social sciences), most students like history and least students like citizenship: They answered law-related unit is the least like unit and economic-related unit is the most difficult unit to study. 3) They evaluate their social studies teachers` instruction positively, but the degree of agreement is not strong. 4) The more students evaluate positively about their social studies teachers` instruction, the more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are positive. The more students get high score in social studies exam, the more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are positive. And the more they get older, the more they like social studies.

      • KCI등재후보

        市民形成社会科への展望: 私の社会科授業の研究と実践を振り返って

        藤原 孝章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1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paper. Generally, Social Studies is the subject of “citizenship development through social recognition.” The first question is concerned with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cognition and citizenship formation. It is a question of the “big story”, that is the normative and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that prioritizes the former (social recognition) are called “narrow Social Studies”, and Social Studies that prioritizes the latter (citizenship formation) are called “broader Social Studies.” In this paper,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fostering of a sustainable society in the current Japanese course of study, I insist on the importance of “broader Social Studies” from the standpoint that “Social Studies as Citizenship Formation” is necessary. The second question is concerned with the “small story”, that is a practical question for Social Studies. It is a question about how to make lessons in daily Social Studies classes as a teacher or a practitioner. As a high school teacher, I designed and taught many lessons of Social Studies. As a practitioner, through the process of trial and error, I have been making and implementing lessons of Soci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with the aim of international and global education, and I came to be engaged with “broader Social Studies.” Both as a researcher and a practitioner, “Social Studies as Citizenship Formation” is the center of my social studies design. 本稿の問題意識は二つある。一つ目は、「社会認識を通して市民的資質を育てる」とされる社会科のあり方について、社会認識と市民的資質の関係をどう考えるかの問いである。それは、「社会科とは何か」という「大きな物語」(規範的・原理的研究)への問いである。前者を優先する社会科の規範は「狭い社会科」であり、後者を優先する社会科の規範は、「広い社会科」とされる。本稿では、シティズンシップ教育や昨今の日本の学習指導要領における持続可能な社会の創り手育成などの観点から、後者の立場に立って「広い社会科」すなわち「市民形成社会科」を主張するものである。二つ目は、授業者、実践者として日々の社会科の授業をどう作ればよいか、社会科授業デザインという「小さな物語」への実践的な問いである。筆者は、高等学校教員として社会科授業の実践をデザインし、また実際に行ってきた。実践者としては手探りであったが、国際理解教育やグローバル教育の目指すグローバルシティズンシップ育成の視点から社会科授業づくりと実践に取り組んだことで、「広い社会科」に出会うことになった。研究者としても実践者としても「市民形成社会科」が私の社会科授業デザインの中心となっている。

      • KCI등재후보

        생태적 사회과 교육의 방향 탐색

        문현진,남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direction of the ecological Social Studies education: applying ecological principles to Social Studies. The ecosyste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cludes: social phenomenon which constitutes the main subject, learners,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home and social atmosphere which affects both learners and teachers, and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educational policies. Every constituents interact in the class, that is to say that the system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the mentioned factors. The lack of flow in this ecological network,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recently. Applying the ecological principles which contains species diversity, organic emergence and co-evolution to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n alternative effort for them. The latest tren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ighlights the high level thinking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t is also reached to an agreement that both are necessary for the Social Studies class: the constructiv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effective method which helps both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Contextualism, integration, diversity, and spontaneity are not only the principles of ecology but also the components which form Social Studies education. Mentioned features of Social Studies can be applied to recover the substantiality of studying community,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process which guarantee the organic emergence, and the evaluation methods for co-evol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의 원리를 사회과교육에 접목해 생태적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사회과 학습생태계는 사회과의 주요 주제인 사회현상과 학습자, 교사, 그 재료인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각종자료, 가정과 사회 분위기, 정책 등 사회과 수업을 둘러싼 요소들이 만드는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사이의 관계망이 원활하지 못함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 시도로 종 다양성의 보장과 창발성의 발현, 공진화 등의 원리를 내포한 생태학을 사회과교육과 접합해 사회과 학습 생태계 회복의 길을 찾아보고자 한다. 최근의 사회과교육은 고급사고력의 함양과 자기주도적 학습관을 강조한다. 구성주의적 지식관과 학습자 개인과 집단의 능력을 동시에 발현하기 위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은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루었다. 이러한 경향을 통해 알 수 있는 사회과교육의 맥락성, 통합성, 다양성, 자발성 추구는 생태학의 원리인 동시에 사회과교육의 성격을 이루는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생태학 원리들은 사회과 학습공동체의 지속가능성 회복, 창발성이 발현되는 내용선정과 조직, 공진화를 위한 방법과 평가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과 수업의 성찰과 소통

        류현종,김은석,정광중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1

        The study addresses a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through which Teachers College faculty in Jeju Universit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have inquir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in a practium collaboratively. The community members have performed, interpreted, reflected, and discuss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o reveal various meanings in the instructions. They are suggested under subjects of ‘Desire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eating plotline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eachers’ feeling sympathy with students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real-life problems’, and ‘Learning social studies and time.’ Implications and tasks which they provid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each of researcher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y of reflecting o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But total process of instruction study-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 communication, correction, re-implementation-should be discussed. Also, for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a instruction in class situation, coteaching in which community members teach together deserves considerations. Second, a range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hould be extended to a relational domain of instruction. The focus of reflection should be on lifes of teacher and students, a culture of instru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structure etc out of emphasizing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instruction. Third, a practicum system, in which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an select a mentor teacher and live in the mentor’s classroom to teach social studies, should be set. Social studies course should be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life of classroom.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재직하고 있는 J대학교 교육대학과 학교 현장이 ‘교육실습’을 매개로 수업을 같이 탐구했던 수업 공동체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수업 공동체 구성원인 교수(연구자들), 학부생, 현장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을 실행, 해석, 성찰, 논의하면서 사회과 수업의 다양한 의미들이 드러났는데, 이를 ‘사회과 수업에 대한 소망’, ‘사회과 수업의 줄거리 짜기’,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공감’, ‘사회과 수업과 ‘현실’ 문제’, ‘사회과 학습과 시간’이란 주제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사회과 수업의 의미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이해와 관련한 시사점과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연구자들, 예비 교사, 현장 교사들의 각 입장에서 사회과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계획, 실행, 성찰, 소통, 수정, 재실행 등의 수업 연구 전 과정에 걸친 논의를 통해 보다 총체적으로 수업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수업 상황에서 성찰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수업에 참여하는 코티칭의 활용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둘째, 사회과 수업 논의가 수업 전문성 기준에 초점을 둔 논의에서 수업의 관계적 차원을 드러낼 수 있는 논의로 확대되어야 한다.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업에서 구현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넘어서 사회과 수업이 수업자와 학생 삶, 수업 문화, 교육 환경, 사회 구조에 주는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실습과 사회과교육 강좌의 전향적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수업이 학생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고 볼 때, 멘토 교사를 정하여 오랜 시간 동안 멘토 교사의 교실에 살면서 생활지도와 학습지도를 경험할 수 있는 실습 체제가 필요하다. 사회과교육 강좌도 이런 교실 삶과 연계되어 운영되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 교수들이 팀티칭을 이루어 강의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위기와 대처 방안

        이재권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3

        This paper starts from a premise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a cri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a crisis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 solutions. At start,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were analyzed by separating them into five types. First, can be cited would be the reason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ociety. The disorderly ideological mood of the modern society is manifested as apathy towar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advancements in the media have enabled easy access to the knowledge and news about the society, a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disadvantaged in terms of utilizing videos, is not able to attract the interest of students. Seco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the studies of diverse backgrounds. In practice, however, it is not able to achieve substantial integration either theoretically or realistically. Third, today’s students who lack vocabulary skills are losing interest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difficult social science terminology. Fourth,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due to the misstep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the over issuance of certification for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the curriculum autonomy of the principal’s authority, the reduction of social study research subjects in the student aptitude test, the intensive completion system,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etc. Fifth, the overly abstract curriculum general studies and the ambiguous course titles have contributed to the erosion of course identity. The fact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entered too much around the Western theories is also acting as a reason for being neglected by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solution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solutions are already included in the root cause analysis for the crisis. Additionally suggested in the proposed solution are, firs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the learning of knowledge only, but also needs to strengthen humanistic approach such as character education. Second, in devising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a writing test based on social science classics should be employed. This way, a foundation for the creative education that is being societally required today can be established. 이 논문은 현재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는 현대사회의 일반적 성격과 관련된 이유를 꼽을 수 있다. 현대사회의 탈 이념적 분위기가 (일반)사회교육에 대한 무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체의 발달로 사회에 대한 지식과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동영상 활용이 불리한 (일반)사회교육이 학생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일반)사회교육은 다양한 배경의 학문들을 통합한 통합교과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실질적인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어휘력이 부족한 오늘날 학생들은 어려운 사회과학 용어 때문에 교과에 대한 흥미를 잃고 있다. 넷째, 일반사회 교사자격증 남발, 학교장 권한의 교육과정 자율화, 수능에서 사탐과목의 축소, 집중이수제, 임용고사의 문제 등 교육행정의 잘못으로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 다섯째, 지나치게 추상적인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목) 명칭의 애매함이 교과의 정체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내용이 지나치게 서구의 이론 중심으로 짜여 있는 것도 학생들에게 외면당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의 해결 방안은 위기의 원인 분석에 들어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논자 나름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이 사회과학 지식의 학습에만 치중하지 말고 인성교육과 같은 인문학적 접근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임용고사 문제 출제에서 사회과학 고전에 바탕을 둔 논술 시험을 실시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오늘날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창의적 교육의 바탕이 마련될 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 백워드 설계를 중심으로

        박원진,이바름,백선영,설규주,정문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ckward-based social studies instructional design for teachers to be active practitioners of the curriculum and to correspond to the changes and aim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ovid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o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bject competencies of social stud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mpetencies of social stud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backward design was explored as a class design method to implement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the step-by-step program design process for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backward design method,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backward design is a design method that allows learning activities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achievement standards so that learning activities can be reached achievement standards without ending in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ation of social studies skill as a method of how to compose the performance task in which subject competencies are expressed while reaching achievement standards in social studies. This can ensure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subject competencies-performance tasks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by selecting social studies skills in which the subject competencies of social studies can be revealed and composing performance tasks in which these social studies skills can be exercised. Third, in order to the backward design for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future, they are needed the systemization of social studies skills which are constitu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relationship specification between the curriculum competences and social studies skills, and the research on various process assessments which can be found in the course of performance whether achievement standards are reached.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교육과정의 적극적인 실행자로서, 그리고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와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 백워드를 기반으로 한 사회과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사회과 교과 역량의 관계, 사회과 교과 역량과 성취기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과 성취기준을 구현할 수 있는 수업 설계 방법으로 백워드 설계 방식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 방식에 따라 사회과 성취기준 구현을 위한 단계별 프로그램 설계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과에서 백워드 설계는 학습 활동이 성취기준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학습 활동이 활동에서 끝나지 않고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사회과에서 성취기준을 도달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교과 역량이 발현되는 수행과제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에 대한 방법으로 사회과 기능의 구체화를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과 교과 역량이 드러날 수 있는 사회과 기능을 선정하고, 이러한 사회과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수행과제를 구성함으로써 성취기준-교과 역량-수행과제가 유기적인 관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차후 사회과 성취기준 구현을 위한 백워드 설계를 위해서는 성취기준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과 기능에 대한 계열화, 교과 역량과 사회과 기능과의 관계 구체화, 사회과 성취기준 도달 여부를 수행의 과정 속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정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ased on main issues that have been discussed and expressed as conflict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desirabl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in social studies. Although development is not possible without effects of the general side,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social studies should be maintained during the development. Second,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o foster quality of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 or citizenship, it is needed to establish a conception of citizenship responding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n based on it, to present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hird, it is needed to present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more detail than the existing one and one document of curriculum into which a nation-level curriculum document and curriculum manual are integrated. Four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uld present measures of practical methods of integration in order to recover the essenc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Fifth, it is needed to establish purposes and to construct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with which the merits of grade cluster and subject cluster, characteristic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an be promoted and practiced effectively. Finally, it is needed to organize a conference of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desirable a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s well as to establish research institutions to conduct the development. 본 논문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나타난 그 동안 논의되고 갈등으로 표출된 주요 쟁점들을 중심으로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지금보다 더 좋은 사회과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첫째, 총론과 각론(사회과)의 바람직한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 즉, 총론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할 수는 없지만, 사회과의 기본적인 성격과 목표는 변함없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자질, 즉 시민성의 육성이므로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시민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것을 토대로 사회과 교육 내용과 교육방법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을 현행 교육과정보다 상세하게 제시하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과정 해설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 문서로 제시하여야 한다. 넷째,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교육의 본질이 회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통합 방안(개념 중심, 사회문제 중심, 스트랜드 중심 등)을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과 교육내용은 최소필수 학습내용과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학년군과 교과군의 장점을 살리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사회과 목표 설정과 내용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바람직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협의회 구성, 더 나아가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구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사회과교육을 받은 인간: 사회과교육의 관점에 관한 재고찰

        노경주 ( Kyung Joo R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 that teaching and learning do not occur in social studies classrooms, revisits the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xplores ‘the educated person in social studies’ which each perspective expects through teaching social studies. Based on this review,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as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social scientific inquiry, individual development, reflective inquiry, and social transformation. And this study identifies conformist functional person, social scientific inquirer, social self-actualizer, reflective decision maker, and transformative vanguardist as‘the educated person in social studie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social studies education of which goal is to foster transformative vanguardist and method is reflective inquiry. And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