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과 사회자본이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

        나동석(Ra, Dong-Seo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의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참여활동만족과 사회자본이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참여자가 활동에 대한 만족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에 대한 효과가 높을 것이며 특히, 사회공헌을 활동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사회자본이매개할 수 있다고 예측해 보았다. 그래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여활동만족과 참여효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는 사회공헌활동 참여자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과 참여효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에 있어서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이 참여효과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자본을 형성하면 참여활동만족과 함께 참여효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것이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사업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지속과 유지를 위한 개선을 마련하기 위하여 사회공헌활동의 참여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참여자가 활동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사회자본도 얻도록 하는 방법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y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on the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Chungcheongbuk-do. It was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n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social capital obtained in the proces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could mediat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capital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ctivity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effectiveness. The data were surveyed on 241 participants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refore, whe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has a greater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the social contribution project and further improve the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 metho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a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o obtain social capital has been proposed.

      • KCI등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BSC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호,홍정화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rporate BSC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hich relates t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BSC performance, and also performed empirical research. we produced questionnaire which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corporate BSC performance to experts who are specialized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31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xperts of social contribution and collected 220 questionnaires. With these collected questionnaires,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ignificant analysis, and also t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Furthermore, this paper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to corporate BSC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influence factors for constituent characteristic, BSC performance elevates as CEO’s will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employees’ concern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get stronger. Second, as influence factors for corporate characteristic,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which coincides with the corporate identity such as firm’s core value and imag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such as stockholding ratio of major shareholder and investment ratio of foreign investors do not present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The result that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effect both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also noticeable. Third, as influence factors for characteristic of local society, stages of concerns about local society has effect on BSC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a noticeable result which shows opposite result with that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concentrating on local society concerned area does not effect corporate reputation. And this paper found that when the corporate perfor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partnership establishment with local society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Fourth, as influence factors for social regulation characteristic, the media’s evaluation abou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has effect both on corporate reputation and BSC performance, and rating agency’s fair announcement abou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lso has effect both on corporate reputation and BSC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방향과 전략을 도출할 목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기업구성원특성, 기업특성, 지역사회특성, 사회제도특성이 기업의 BSC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사회공헌활동 및 BSC성과 관련 문헌조사와 함께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각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영향 요인과 BSC 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사회공헌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313부를 배부하여 22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대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분석,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어서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업구성원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최고경영자의 사회공헌활동 의지가 강할수록, 기업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 관심도가 높을수록 BSC 성과는 높아진다. 단, 유의성 측면에서 볼 때, 최고경영자의 의지보다는 기업 임직원의 관심도가 더 유의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기업이 추구하는 핵심가치, 이미지 등 정체성과 부합되는 사회공헌활동은 BSC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업의 대주주지분율이나 외국인투자지분율 등 지배구조는 BSC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사회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는 BSC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할 때,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 확립 등은 BSC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사회제도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언론기관 등의 평가는 기업평판과 BSC 성과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관의 평가는 기업평판 뿐만 아니라 BSC 성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과 홍보 미디어 경로 연구

        김기선(Kim, Ki Seon),김종무(Kim, Jong Mo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본 연구는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보 미디어 경로를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수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2014년 3월15일~3월30일까지 수집된 총 268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지역주민의 기업호감도 결정요인은 ‘기업의 도덕성’과 ‘사회공헌’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삼성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이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기업 이미지 활동’,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이 높은 비중을 보였다. 셋째, 지역 주민이 느끼는 삼성과 지역사회와의 상호 이해와 협력정도는 3.41점, 협의 기구의 필요성은 3.79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지역주민의 참여의도는 3.62점의 결과를 보였고, 지역사회에서 삼성과 협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행정의 기업지원(68.7%)’이 다른 항목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홍보 관련 분석결과 첫째, 지역주민의 76.5%가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둘째, 지역주민은 삼성이 진행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해 낮은 인지를 보였다. 셋째, 지역주민들이 일반적으로 정보를 얻는 미디어 경로와 삼성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경로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 되어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홍보 미디어 경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and to present publicity media channel based on such investigation. To this end, 268 copies collected from residents in Suwon from March 15 to 30, 2014 were analyzed. First, analyzing the residents"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the decisive factor of residents" preference of business shows high numerical value in "morality of business" and "social contribution". Second, the residents"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shows high portion in ‘business image activity’, ‘fulfill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by business’. Third,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Samsung and community felt by residents are 3.41 points, the necessity of council is 3.79 points, the resi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is 3.62 points. To cooperate with Samsung in the community, supporting business by administration (68.7%) shows far higher ratio than other item. Analyzing the publicity related to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first, 76.5% of residents answered that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is necessary. Second, residents showed low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media channel by which residents generally acquired information and the other media channel by which Samsung acquired information on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Thus, it is necessary to revise publicity media channel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 KCI등재

        유럽연합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거버넌스가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갖는 의미 탐색

        이혜정 ( Hyei Jung Lee ),김민 ( Min Kim ),송병국 ( Byung Kook S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가능성을 유럽연합(EU)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하 CSR)을 위한 거버넌스 사례를 통해 탐색하였다. 개별 기업과 시민사회가 사회적요구에 조응하는 학습이론과 CSR에 대한 정부개입이론을 기초로 해 유럽연합에서 CSR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했던 과정을 검토하고 이러한 유럽연합의 사례가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CSR에 대한 Zadek의 사회적 학습이론과 Moon의 정부개입이론에 근거해 유럽연합에서 CSR을 위한 거버넌스를 분석했다. Zadek의 사회적 학습이론과 Moon의 정부개입이론을 통해 CSR은 기업활동이 파생시킨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성숙되는 과정에서 시민사회조직 및 기업과 정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학습과정인 동시에 사회문제의 해결방법임을 알 수 있다. 정부는, 삼자가 고유한 역할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CSR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네 번째 행위자인 거버넌스를 주도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론들에 기반해 CSR을 둘러 싼 기업과 정부 및 시민사회조직의 협력에 입각하여 유럽연합에서 CSR을 다루는 3자의 입장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현재 유럽연합은 CSR과 관련해 ‘내실화’를 거쳐 ‘제도화’의 단계, CSR 정책학습은 ‘관리’를 지나 ‘전략’의 단계로 나가고 있고, 국제이슈 등은 글로벌 사회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CSR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촉진하려고 한다는 점에서는 ‘시민사회적 단계’에 도달해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비록 정부와 시민사회조직의 의견이 완전히 일치한다고 볼 수 없고 CSR에 대한 자발적 참여에 대한 입장에서도 차이가 있지만, CSR을 활용해 고용과 사회적 통합에 대한 기업의 책임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유럽연합위원회와 시민사회조직이 상호간 입장을 조율할 수 있는 기본적인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위원회는 CSR의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기업활동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을 하나의 테이블로불러 모으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유럽식 노사관계의 전통 속에서도 UN Global Impact나 ILO가 다국적 기업들에게 요구하는 규제적 규칙들을 법제화시키려는 노력을 통해 유럽연합위원회와 시민사회조직은 시장에 대한 강제력 행사의 부담을 적절히 분담하고 있다. 즉 유럽연합위원회는 CSR과 관련된 정부내 총괄조직 및 다자간 대화를 지속하고, 시민사회조직 역시 CSR을 기업의 자발적 책임의 영역에 남겨두기 보다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법률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기업이 국제규준을 수용하도록하는 압박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볼 때 CSR을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기업 역시 정부주도의 CSR 관련 체계에 참여하고 기업이 주축이 된 CSR 관련단체를 설립함으로써 CSR을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과 정부와 시민사회조직의 학습수준은 브랜드경영 관리단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공헌활동을 기업의 중장기 경영계획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여전히 강제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공헌활동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란 이슈는 이미 사회공헌활동의 가치와 통합됨으로써 내실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내에 사회공헌활동과 관련된 부처 간 합동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는것은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자원이 기업의 이해가 아니라 공공성에 입각해 분배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영역에서 기업이 역할을 분담함으로써 공공성의 사유화나 공공영역의 시장화와 같은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요구된다. 시민사회조직은 기업 정부와의 파트너십 구축과 자기 조직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가 쉽지 않고 사회공헌활동참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조직은 CSR 및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의 책임있는 실천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야 하며 기업-정부와의 협력방안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한국의 기업들에게 유럽기업과 같은 제도화된 CSR을 요구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도 새로운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CSR 표준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들 역시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거버넌스를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적극 수행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때이다. 중요한 것은 이들 주체들의 합의와 이 합의에 터해 구축된 새로운 주체의 기능과 역할이다. 연구에서도 논의한 바와 같이, 정부-기업-시민사회조직 간의 거버넌스는 네 번째의 행위자로써 향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CSR을 한 차원 제고시킬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building the governance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companies in Korea through the precedent in EU‘s governance for CSR. Based on the Social Learing theory and Goverment interplay for CSR, the process of building governance for CSR in EU is examined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EU case to 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companies in Korea is suggested. Through the theory by Zadek and government intervention theory for CSR by Moon, CSR was the learning process and solution for social problem which was the result of company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mong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civic organizations on the process which social economical and enviromental problems changed to Social issues. Government has to initiate the governance, the forth agent for performing the new purpose like settlement through CSR while civic organization, company and government itself keeping their own original roles. And based on these theories,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 of three agents which deal with CSR grounded corporation was explained. In case of EU, Issues about environment and labor which caused by activities of companies has been consolidated and some issues related to global management was institutionalized. EU Commission manage CSR issue through the overall system for CSR ‘the European Alliance for CSR’ and ‘European Multistakeholder Forum on CSR’. Even though civil organizations urge that Responsibility of Company has to be CSR has to be regulated but they weigh on companies to accept global standard for CSR. It means that EU Commission and civil organization regard CSR as strategy for solving social problems. While companies participate in the system for CSR initiated by EU Commission and established NGO for CSR. It shows that companies accept CSR as the strategy for sustainability. In Korea social learning level of government, companies and civil organizations related t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s managerial stage. Even though they include the plan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heir business mid-term plan but regar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s something compulsory. Issue of Social welfare which is targeted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lready consolidated. And governace initiated by government and civil organization’s changing attitude for participating in governace are suggested. Building the governance through cooporation among the departments relate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eeds for distributing resource by the public benefit not company’s. And it need for preventing privatization and marketablization of public area. Civic organizations experience the difficulties for finding balance between partnership with companies and government and keeping autonomy. Despite of it, civil organizations have to request companies to perform responsibility to the society through CSR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seek the collaboration with government and companies. It is not easy of companies in Korea to follow the institutionalized CSR like companies in EU. But companies have to perform the internaional CSR Standard for approaching the global market. Therefore it is the time that companies have to think about perform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governance The important thing is about role and function of new agent, governance. As it was explained in this study this forth agent has to perform the role and function for development of CSR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KCI등재

        사회공헌 지식관리와 융합법제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배유진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6 法學論集 Vol.21 No.2

        융합환경하에서의 기업의 사회공헌이 추구해야 하는 가치와 사회공헌의 지식관리, 지역 복지의 연계 및 확대, 융합법제에 대한 고찰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진단하고, 평가와 한계를 짚어보면서 융합환경 하에서 지식기반의 사회공헌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지식관리의 중요성 및 이를 뒷받침할 융합법제의 필요성에 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통해 한계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사회공헌의 분야가 아직은 취약계층에 머물러 있고, 여전히 분야가 한정적이라는 점이다. 둘째, 사회공헌 지식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과 지식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셋째, 지식관리의 구축에 관한 관심도 없고, 구축방법에 대해서도 모른다는 점이다. 넷째, 사회공헌 관련 법률이 부재한 상황이다. 다섯째, 융합환경하에서 달라져가는 지식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한 숙고 부족이다. 이런 한계를 토대로 한 지식관리에 의한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또 하나의 복지로 연결될 수 있는 지식관리의 필요성과 관리방향의 모습을 사례관리 서식화와 웹서식화의 예시로 담았다. 또한 사회공헌의 활동분야의 다양화 및 지역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사회공헌의 법제에 관해서는 복지산업을 뒷받침하는 입법, 수요자 중심 내지 및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융복합콘텐츠와 연동서비스가 가능한 융합법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review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knowledge management of social contribution along with the linkage and expansion of local welfare as well as convergence legi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tatu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while looking at their evaluation and limitations, the value of knowledge-based social contribu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with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law to support this under the convergence environment will also b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mitations were analyzed through the present statu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irst, the field of social contribution is still remained in the vulnerable class, and the field is yet limited. Second,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the awareness of social contribution knowledge and knowledge management are insufficient. Third, there is no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nd no knowledge of how to construct it. Fourth, there are hardly any social contribution-related laws in the field. Fifth,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knowledge service that changes under the convergence environment. Based on these limitation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welfare by convenient and diverse services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direction of management direction are exemplified as case management formatting and web formatting.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regional linkage are mentioned. With regard to the legal system of social contribution,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a legislation supporting the welfare industry as well as a software-centered convergence contents, which consider both the consumer-centered and the supplier-and-consumer sides, and a convergence law enabling interoperability services.

      • KCI등재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 분석 연구

        이덕수(Deok-So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사회공헌에 대한 기존 연구자료를 통해사회공헌의 중요성과 그동안의 진전과정을 살펴보고 강원원주혁신 도시내에 입주해 있는 공공기관들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총 14개의 공공기관 중에서 9개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근의 경향은 단순 기부나 후원 형태의 사회공헌보다는 공익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 협력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둘째, 일회성 단발성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사회와 파트너쉽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여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일방적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시민사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경제를 창출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data on social contribution and the progres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s in Wonju Innovation City.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nine organizations out of 14 public institutions were analyzed in detail and suggested the right direction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is analysis. First, recent trends are being developed to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ies through public interest activities rather than simple donations or sponsored forms of social contribution. Second, the synergy effect was maximized by systematically approaching local communities rather than a one-time, one-off social contribution. Third, it shoul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in the mid- and long-term by creating a social economy in cooperation with local civil society rather than a one-sided social contribution.

      • KCI등재

        ESG 사회평가와 사회공헌활동비와의 관계

        임종옥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의 측정수단으로서 기업의 사회공헌비용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정보(사회평가)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ESG 평가결과를 공개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1,627개 기업-연도별 사회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674개 연구표본을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비가 ESG 사회평가에 양(+)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비가 증가(감소)하면 ESG 사회평가 점수가 증가(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부금, 복리후생비 및 교육훈련비가 ESG 사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회귀분석의 결과, 기부금, 복리후생비 및 교육훈련비는 기대한 바와 같이 ESG 사회평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오늘날 기업경영의 개념인 지속가능경영에서 ESG 사회평가와 사회공헌활동비의 상호 관련성을 시도하는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장 특성이 다른 결과를 구분하지 않았다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costs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social evaluation) of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s a measure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674 research samples were selected from 1,627 corporate-year social rating scores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hat released the ESG evaluation results for five years from 2013 to 201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corpor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SG social assessment as assum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decreas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the corporation means that the ESG social score increases (decrease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whether donations, welfare, and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SG social assessment, they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ESG social assessment as expect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research that tries to correlate ESG social evalu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cost in sustainability management which is emerging as a concept of corporate management which is important today. However, this study limits the study that the market characteristics do not distinguish the different results by analyzing th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as a whole.

      • 유한킴벌리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 활동

        金聖壽 한국기업윤리학회 2003 企業倫理硏究 Vol.7 No.-

        This study aimed at theoretical establishment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gard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Yuhan-Kimberly. Doctor Il Han Yu, who was founder of Yuhan, said "Profit gained from enterprise should be converted to the society which grew its enterprise". Such enterpriser spirit of Doctor Il Han Yu was selected at Yuhan-Kimberly, an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also aims at verification whether it is achieved with practical enterprise action. Theoretical frame of this study was the application of affirmative concentrative theory scholars of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Walton(C.C), Berle(A.A), Regan (M.D), Clark(J.M) ets. As the result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EO of Yuhan Kimberly completed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s the following. Result such as social reform responsibilities like social service, social conscious-nessetc such as ⑴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and growth of enterprise, ⑵ Responsibility of welfare improvement of employees, ⑶ Interest adjustment responsibility of interest-related persons group, ⑷ Responsibility of environment pollution prevention, ⑸ Tree planting green rivers & mountains movement etc was shown. Particularly, as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Yuhan Kimberly contributes greatly toward social activities for protection of forest and environment being respected from neighborhood, and result shows that Yuhan expands culture, social welfare, voluntary service activity, scholarship business, research support business, industrial-academic business etc actively. But problems also are occurring. Successor cultivation problem, self appropriation problem of social cost, namely, environment pollution prevention cost, waste disposal cost, environment pollution compensation cost, environmental laws, social cost burden of environment system relation etc are being faced with difficultes. But regarding social appraisal of enterprise, ⑴ as public interest enterprise which keeps life and forest, ⑵ as environment leading enterprise, ⑶ as ethics, transparent enterprise, ⑷ as management reform enterprise, ⑸ market share ratio 1st rank in all fields, as customer satisfaction enterprise, and it is reputed as ultra humankind enterprise in productivity, quality and safety degree.

      • 유한킴벌리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사례 연구

        김성수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2005 기업경영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유한킴벌리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유한킴벌리는 유한양행의 창업자, 유일한 박사의창업정선, 즉 “기업에서 얻는 이익은 그 기업을 키워준 사회에 환원 한다”라는 경영이넘을 바탕으로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한킴벌리(대표이사: 문국현)는 종이기저귀, 생리대, 화장실용 화장지, 미용티슈, 부직포 등을 생산, 공급하는 국내 대표적 생활용품업체로 1970년 3월 20일에 설립되었다. 사업구성은 산업위생용품 47%, 생활위생용품 61%로 되어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유아용품 68%, 여성용품 56%, 미용지 40%, 화장지 40%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업원 수는 1,650여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7,036억원(2003년말), 부채비율 36%인 초우량기업체이다. 유한킴벌리의 사회적 책임을 분석해 보면 유한킴벌리는 경영활동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에 책임과 의무를 다하고 있는 모범적 경영행동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종업원의 인간적 만족을 위한 복지향상책임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업원의 기본적 욕구는 물론 종업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4조 2교대, 4조 3교대 등 예비조 경영혁신방식을 도입하여 평생재충전, 학습활동으로 종업원의 경제활동 수명·은퇴시기를 연장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유한킴벌리는 이해관계자집단의 이해관계조정의 책임을 다하고 있으며, 주주, 근로자, 노동조합(임금·노동조건), 소비자, 거래처, 금융기관, 지역사회, 정부 등에게 이익을 주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유한킴벌리는 환경오염방지의 책임을 다하고 있다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프로그램을 통하여 숲과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린캠프, 일반인 환경체험 교육, 숲가꾸기 기금조성 등과 환경오염방지, 공해 방지 등의 실천적 사례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같이 유한킴벌리 사회공헌 활동은 숲과 환경 보호 활동에 집중함으로써 생명과 숲을 지키는 공익기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유한컴별리는 생활혁신에 기여하고, 환경경영과 투명경영, 인간 존중경영 등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으로, 평생 재충전 예비조 도입을 통한 고용창출, 인적자본육성 및 경영혁신 사례가 성공될 때 까지 경제, 사회적 측면에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자리 만들기(4조 2교대) 효과는 (1) 대규모 일자리 창출 가능(10년내 5백만 명±) (2) 고기술, 고품질, 고부가가치 제품·서비스 창출로 국제경쟁력 혁신 (3) 평생 재충전, 학습으로 경제 활동 수명·은퇴시기 연장 가능 (4) 심각한 노인 복지 과제 및 연기금 부족 과제 완화 (5) 고용불안 및 과잉실업해소 등으로 나타나도록 실천하고 있다.. 장단기 경영혁신 계획을 통한 낭비, 결함, 비리, 정경유착 등을 제거하는, 설진국의 환경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환경오염처리비, 폐기물 처리비, 환경오염 방지비, 환경오염 부과금, 사회적 비용 등에 선도적 기업으로 비상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0년 환경·에너지 비전” 설정을 통해서 21세기 환경 및 에너지 선도기업이 된다는 환경목표와지속가능한 경영 개선을 위한 계획(2005∼2010년)등을 통해 청정기술 도입 개발 및 적용, 환경친화적 제품개발 등과 보건, 안전,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운동을 통한 사회적 공헌활동 등으로 “사회적 책임의 장단기 계획”까지 수립하고 있는 훌륭한 기업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aimed at theoretical establishment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gard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Yuhan-Kimberly. Doctor Il Han Yu, who was founder of Yuhan, said "Profit gained from enterprise should' be converted to the society which grew its enterprise Such eyterpriser spirit of Doctor II Han Yo was selected at Yuhan-Kimberly, an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also aims at verification whether it is achieved with practical enterprise action. Theoretical frame of this study was the application of affirmative coyceytrative theory scholars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Waltoy(C. C), Berle(A. A), Regan(M. D), Clark(J. M) etc. As the result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EO of Yuhay Kimberly completed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s the following. Result such as social reform responsibilities like social service, social consciousness etc. such as (1)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and growth of enterprise (2) Responsibility of welfare improvement of employees (3) Interest adjustment responsibility of interest-related persons group (4) Responsibility of environment pollution prevention (5) Tree planting preen rivers & mountains movement etc was shown. Particularly, as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Yuhay Kimberly contributes greatly toward social activities for protection of forest and environment being respected from neighborhood, and result shows that Yuhan expands culture, social welfare, voluntary service activity, scholarship business, research support business, industrial-academic business etc actively. But problems also are occurring. Successor cultivation problem, self appropriation problem of social cost, namely, environment : pollution prevention cost, waste disposal cost, environment pollution compensation cost, environmental laws, social cost burden of environment system relation etc are being faced with difficulties. But regarding social appraisal of enterprise, (1) as public interest enterprise which keeps life and forest, (2) as environment leading enterprise, (3) as ethics, transparent enterprise, (4) as management reform enterprise, (5) market share ratio 1st rank in all fields, as customer satisfaction enterprise, and it is reputed as ultra humankind enterprise in productivity, quality and safety degre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진화

        김민석(Minseok Kim),조영복(Youngbohk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최근 정부와기업, 학계에서 4차산업혁명에 대한 학습과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있다. 로봇과 인공지능,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아젠다를 활용한 기업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나고, 지금까지의 기업환경, 교육환경,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국제개발협력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가장 가까이 직면하고 있는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회공헌 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즉 기업사회공헌의 정의와 활동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는 현시대에서 각 기업이 갖고 있는 본연의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사파리콤의 ‘엠페사’, LG전자의 ‘AT Educom’, LG유플러스의 ‘사물인터넷 활용 사회공헌’ 그리고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 그리고 IoT를 활용한 Intel의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기술개발에 따라 앞으로의 기업사회공헌 활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더욱 의미 있는 임팩트를 만드는 기업사회공헌 활동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제시하였다. 가장 먼저는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성과측정이 용이해질 것과, 플랫폼을 활용한 사회공헌 활동이 증가하고, ICT 업계에서 기술을 통한 사회기여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마지막으로는 기업간, 섹터간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회공헌 활동이 늘어나게 되어, 기업이 영리만을 추구하는 집단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사회를 위해 존재하는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Recently, studie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areas of government, business, and academia. Corporate business models that utilize the major agenda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robot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IoT), and block chains have been created, and various changes have occurred in not only business, education, and living environments but also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is study, we looked at changes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pany facing impa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activitie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nd how we can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corporate activities. "AT Educom", LG Uplus "Social Contribution through IoT", KT"s anti-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platform and cases of Intel using IoT. In addition, we have presented what we need to do in the future to promot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will make more meaningful impacts on how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change according to technology development. The first,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eeds a standardized methodology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platform business and ICT should be actively pursued. Lastly,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etween companies and sectors will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