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윤병해,고재홍 한국여성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1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ambivalent sexism, rape myth, and blame of victim. Three hundred and sixty-one high school students(195 male and 166 female) in Changwon read two kinds of rape case scenarios and evaluated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and blame which they thought should be assigned to female victim, then responded to questions on an ambivalent sexism scale and a rape myth scale, respectively.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scales measuring sexism than females did. The averages for benevolent sexism in which a student considers women as an object of affection and protectio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degree to which male students reported feelings of hostility as a result of their perceptions of a female student's invasion of their authority. Furthermore, males scored higher for hostile sexism than females did.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scores in terms of hostile sexism was much higher than in the case of benevolent sexism. Additionally, male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accept rape myth than females did. After reading each case of rape, males tended to blame the victim more harshly, attributed more responsibility to her, and also tended to favor less severe punishment for the perpetrator than females did. Second, we studied role of rape myth between adolescents' sexism and blame of victim. Researchers found that the rape myth plays a role as a mediator. That is, adolescents scoring higher for sexism tended to accept the rape myth, and then to blame the victim more readily. Above all, it was concluded that the rape myth plays a role as a mediator only between hostile sexism and the tendency to blame the victim in female as well as mal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성 의식과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연구 -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

        신현주 ( Shin Hyun-joo ),김미선 ( Kim Mi-seon ) 한국소년정책학회 2021 少年保護硏究 Vol.34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ambivalent sexism and perception of digital sexual crime among 300 adolescents(150 females, 150 males). This study finds that sexual consciousness and ambivalent sexism had an effect on the adolescent’s perception of digital-sexual crime. This study finds that respondents tend to be ambivalent sexism and that functions as sexism. While hostile sexism(HS) seems to punish women whose jobs do not uphold traditional female roles, benevolent sexism(BS) tend to reward women whose jobs embrace female stereotypes. The most impressive thing is that although benevolent sexism(BS) differs between men and women, the difference in views in not much. To accept benevolent sexism(BS) is to regard crime as an individual's responsibility rather than a society. And this makes it difficult to actively deal with crime prevention. However,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can be changed through education or systems. Above all, this study suggests that youths should be taught “why benevolent sexism is sexism” as well as negative points of hostile sexism in order that they can overcome ambivalent sexism.

      • KCI등재

        성차별주의(Sexism) 중심의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분석

        구본상,최준영,김준석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2 동서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2021년 4월에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대상으로 성차별적 인식 수준이 성추행 논란을 통해 보궐선거 원인을 제공한 전임 서울시장의 시정운영 평가 및 보궐선거 후보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만드는지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적 성차별주의(MS), 적대적 성차별주의(HS), 그리고 온정적 성차별주의(BS) 수준을 측정한 변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보궐선거라는 특수한 맥락까지 고려하였음에도 성차별주의가 유권자의 후보 선택은 물론 단체장의 시정운영 평가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우선 현대적 성차별주의 시각은 보수 야당을 더 성차별적이라고 보는 기존 정당 인식과 연계되어 있고, 적대적 성차별주의 수준이 높은 유권자는 여성 후보 선택에는 부정적이며, 여당 소속 여성 후보에 대한 지지는 세 개의 성차별주의 가운데 온정적 성차별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또한, 현대적 성차별주의는 진보층이 박원순 시장의 시정을 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에 약하게나마 일조하며, 박원순 전 시장의 시정운영을 평가할 때 성차별주의는 이념 성향과 연계되어 나타나는데, 그 연결 강도는 적대적 성차별주의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성차별주의는 이념 성향(정책 태도)과 연계될 때 시정운영 평가에 뚜렷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음이 드러났고, 이는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 한국의 정치 현실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sexist perception and vote choices in the Seoul mayoral by-election of 2021 caused by the mayor’s sexual harassment. Employing the survey data with variables measuring the levels of modern,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 First, modern sexism is associated with recognizing that the conservative opposition party is considered more sexist. Second, voters with a high level of hostile sexism are negative in choosing female candidates, while benevolent sexism enhances support for the female ruling party candidate. Third, modern sexism contributes to a less negative evaluation of the liberal mayor’s performance. Lastly, the effect of sexism is moderated by ideology when voters evaluate the mayoral performance, and the association is the strongest in hostile sexism. These findings confirm that sexism i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can explain vote choices and the mayoral approval ratings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associated with voting behavior and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polarized Korean politics.

      • KCI등재

        한국인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성차별의식 및 군복무에 대한 태도

        심미혜,ENDO YUMI 한국여성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8 No.3

        The present study surveyed 615 adult males and females to find out differences by gender and generation in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in terms of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sexism against women and to discuss any relevance with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background for sexism. First, asked to choose three items from each of 20 questions about masculinity and feminity,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selected responsibility, goals in life, determination and sincerity as common aspects of masculinity. In terms of feminity, male respondents chose warmth, generosity and charm as well as beautiful appearance, devotion and docility, whereas female respondents selected goals in life. Consideration for others was found common to feminity and masculinity. Second, in view of sexism by gender, male respondents proved more discriminative in terms of both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in benevolent sexism. By contrast, only those who were in their 20s had lower hostile sexism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r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used to measure any influence of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did not differ by gender and generation. Fourth, benevolent sexism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ll age groups and increased in proportion to 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istinct gender-based perspectives still exist about masculinity and feminity in our society, that hostile sexism against women gradually disappears in younger generations and that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is deeply associated with sexism across gender and generation.

      • KCI우수등재

        체육행정조직 내 성차별 양상 분석

        남상우(NamSangwoo)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2

        본 연구는 체육행정조직에서 행해지는 성차별의 양상을 드러내 그 모습을 개념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체육행정조직에 근무하는 총 여덟 명의 여성 직원들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면담을 하면서 조직 내 만연된 다층적인 인식 및 실천이 어떻게 성차별로 연결될 수 있는지, 그 양상은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육행정조직 내 성차별의 양상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는, 조직 내 구조적으로 남성에게 유리하게 위계화 된 문화가 형성되어 여성에게는 차별로 작용하는 ‘구조적 성차별(structural sexism)’이었다. 이는 조직에 내재된 오인구조로 인한 상징적 위계-남성이 여성보다 조직 발전에 더 기여한다는 암묵적 동의 - 때문에 여성의 조직 진입 및 내부 활동에 차별이 가해지는 상황을 의미하였다. 두 번째는 여성다움에 대한 이중구속이 가해지며 차별로 기능하는 ‘모순적 성차별(contradictory sexism)’로서, 앞뒤가 맞지 않는 요구를 여성들에게 제시하는 일종의 ‘이중구속’ 상황으로 그들의 성장에 한계를 짓는 성차별이었다. 마지막은 선의의 배려가 (비)의도적인 성차별로 이어지는 ‘호의적 성차별(benevolent sexism)’이었는데, 남성 입장에선 배려한다고 한 행위나 말이 여성에겐 궁극적으로 차별로 작용하는 경우로서, 표면적으로는 여성을 배려하고 뭔가 선의를 베푸는 듯 보이나, 그 이면에는 궁극적으로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는 일종의 ‘칭찬을 가장한 모욕’으로 기능하는 차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the aspects of gender discrimination at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o this end, the author met 8 female employees working at the national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8, and analyzed how the multiple perceptions and practices prevalent in the organization could be linked by gender and how they could be conceptualized.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irst, it was ‘structural sexism’ that there was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men took an advantage structurally and acted differently on women. The second was conceptualized as ‘contradictory sexism’ in that women experienced a kind of limits on their growth because of the “double-bind” that suggests conflicting demands to women. The last was the “benevolent sexism” that followed the deliberate sex discrimination, in which the act or words of men ultimately served a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hich in turn seemed to be caring for women and doing something good, but in turn, the logic of exclusion worked as “the offense masqueraded appraisal.”

      • KCI등재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제로섬 신념의 관계에서성차별적 인식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주리,성윤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7 No.4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xism on the relation based on the Instrumental Model of Group Conflict (Esses et al., 1998).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sexism,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through sexism. Participants were 310 first-year college students (234 males and 76 females) in the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y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sexism, and zero-sum belief.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Proces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was fully mediated by sexism.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sexism was moderated by gender. Specifically,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significantly predicted sexism for men, but not for women. Moreover, only for men, sexism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Therefore,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could cause sexism which could promote zero-sum beliefs for men. 본 연구는 집단 갈등에 관한 도구 모델(the Instrumental Model of Group Conflict: Esses, Jackson, & Armstrong, 1998)에 기초하여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제로섬 신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제로섬 신념의 관계에서 성차별적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도 알아보고, 가부장적 가정환경이 성차별적 인식을 매개로 제로섬 신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이공계 대학생 310명(남자 234명, 여자 76명)으로 이들은 가부장적 가정환경, 성차별적 인식, 제로섬 신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SPSS Macro Proc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제로섬 신념 간의 관계는 성차별적 인식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성차별적 인식의 관계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남성에게서는 가부장적 가정환경이 성차별적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에게서는 이러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남성에게서만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제로섬 신념의 관계에서 성차별적 인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부장적 가정환경은 남성의 성차별적 인식을 유발하고, 이러한 성차별적 인식은 제로섬 신념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남성에게서는 가부장적 가정환경이 성차별적 인식을 통해 제로섬 신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수도권 고교생들의 양가적 성차별주의 실태조사

        이미나 ( Mi Na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4

        이 연구는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양가적 성차별주의, 특히 온정적 성차별주의의 실태와 그 본질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 전체는 평균적으로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갖고 있었고, 그것이 실제로 그들 사이에서 성차별주의로 작동하고 있었다.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전통적 성역할을 따르지 않는 여성에게 부정적 강화를 하는 반면,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전통적 성역할을 수행하는 여성에게 긍정적 강화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응답자들은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성차별주의가 아니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 나아가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우호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평균적으로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배척하면서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지지하는 애매한 평등주의자들이었다. 전체 응답자들을 성별로 나누어보면, 남녀별로 차이가 나는 대목이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남학생들은 외현적 태도에서는 애매한 평등주의자들의 모습을 보이나, 내재적 태도에서는 적대적 성차별주의자일 가능성이 높았다. 여학생들은 외현적 태도에서는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극복한 평등주의자들이나, 내재적 태도에서는 온정적 성차별주의로 판단될만한 징후가 보였다. 발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이미 가르치고 있는) 적대적 성차별주의 극복 이외에 온정적 성차별주의의 실체도 함께 가르쳐서 학생들이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극복하도록 도와줄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benevolent sexism(BS) among 578 highschool students. This study finds that respondents tend to be benevolent sexists and that BS functions as sexism. While hostile sexism(HS) seems to punish women whose jobs do not uphold traditional female roles, BS tend to reward women whose jobs embrace female stereotypes. In spite of theses facts, participants are likely to feel that BS is not sexism. They may feel BS even friendly. Overall, they disapprove of HS while approving of BS. It means that respondents tend to be equivocal egalitarians. If I divide samples according to gender and analyze their responses, I can find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ambivalent sexism. The most impressive findings are many of male students are explicitly equivocal egalitarians but look to be implicitly hostile sexists. On the other hand, female participants seem to be explicitly egalitarians but implicitly benevolent sexists on the average.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why BS is sexism" as well as negative points of HS in order that they can conquer ambivalent sexism.

      • KCI등재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범죄 사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윤정 ( Ji Sun Park ),박지선 ( Yun Jeong Seo ) 대한범죄학회 2013 한국범죄학 Vol.7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people``s perception, especially ambivalent sexism, influence their attitudes toward rape offender and victim. First, a total of 195 college students read descriptions of various sexual offense incidents and evaluated the degree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victim for the offense, the pain that victim experienced after the offense, and the punishment of offender for the offense. Second, all subjects responded to the scales of K-MSI, Korean Multiple Sexism Inventory to investigate if people``s attitudes toward rape offender and victim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 As a result,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people (both men and women) who are high in ambivalent and hostile sexism tend to evaluate that the victim is more responsible for the offense, less likely to experience pain after the offense, and that the offender deserves less severe punishment. However, the result were quite different in terms of benevolent sexism. The level of benevolent sexism of men was not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rape offender and victim. However, women with higher benevolent sexism tend to evaluate that the victim is more responsible for the offense, less likely to experience pain after the offense, and that the offender deserves less severe punishment.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학업 스트레스가 성 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김경미(Kim Kyo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학업스트레스, 성 차별주의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성 차별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Y군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남자대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자가 보고 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대학생은 학과의 성비 균형과 불균형과 관계없이 대학생활적응이 낮을수록 학업스트레스와 성 차별주의가 높고,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성 차별 주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와 온정적 성 차별주의는 남자대학생의 적대적 성 차별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모형의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과의 남녀 성비에 따른 성 차별주의는 상관관계가 없으며, 대학생활 적응을 잘 할수록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도 감소하고 성 차별주의도 감소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남자대학생들이 군 제대 후 복학하는 경우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맞춤식 적응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여자 대학생을 단순한 경쟁의 대상이 아닌 동료로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줘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선 및 비교과활동을 개발하여 남자대학생의 적극 참여를 권장해야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xism by ide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ademic stress, and sexism. Method: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195 male students of four-year-course colleges located in Y County from March to June 2018.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t appear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 academic stress and sexism whe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lower regardless of the gender balance and imbalance of their department, and sexism turned out to be high when academic stress was higher. Academic stress and compassionate sexism were variables influencing the hostile sexism of male students,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was 42%. Therefore, sexism according to the ratio of men and women of the department had no correla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better the student adapts to college life, the lower the stress on academics and sexism. Conclusion: in case of male college students returning to school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a customized adaptation program that enables them to adapt to college life is needed. Furthermore, an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for the male student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female students as their colleagues rather than their competitors. For this purpose, active participation of mal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by improving various curriculums and developing non-subject activitie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자기애가 데이트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 양가적 성차별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나은,박지선 한국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를 성적 폭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여기에 양가적 성차별의식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자기애의 하위 요인별로 데이트 성폭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양가적 성차별의식의 효과를 남녀를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미혼 성인 남녀 총 200명(여성 100명, 남성 100명)을 대상으로 자기애가 데이트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양가적 성차별의식이 매개하는지를 남녀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남성의 경우 자기애가 데이트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대적 성차별의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반면, 여성의 경우 온정적 성차별의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애 하위 요인과 데이트 성폭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즉, 남성의 경우 과시적이고 특권의식이 높을수록 적대적 성차별의식이 강했고, 적대적 성차별의식이 강할수록 데이트 성폭력 가해 경험의 빈도가 높았다. 반면, 여성의 경우 과시적이며 특권의식이 높고 자기충분성이 높을수록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강했고,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강할수록 데이트 성폭력 가해 경험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가 데이트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양가적 성차별의식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것과 함께, 자기애의 하위 요인별로 성차별의식과의 관계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and how ambivalent sexism affects the rel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exists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 between factors of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t sexism. Based on 200 participants(100 males and 100 females), the mediation effect of ambivalent sexism o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was examined. For male participants, the mediation effect of hostile sexism o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was significant, whereas for female participants the mediation effect of benevolent sexism o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was significant. Different patterns were evident regarding the associations between factors of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For males, the more with exhibitionism and entitlement, the more with hostile sexism, and the more with sexual dating violence. For females, the more with exhibitionism, entitlement, and self-sufficiency, the more with benevolent sexism, and the more with sexual dating violenc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ambivalent sexism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dating violence differed by gender and by factors of narcissism. Finally, preventions measures for sexual dating violen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