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정법철학의 가능성과 방법: 민법학을 예로 하여

        양천수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叢 Vol.29 No.1

        Recently, voices are heard everywhere that basic law is in crisis. In particular, it is convincingly argued that basic law may be in crisis because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n basic law will not grow properly. A great crisis can be found across all academic disciplines and across the university. The following aspects also contributed to the crisis of law. Side effects appear as the law school system is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goal in South Korea. The most striking reality among these is that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is subordinated to the bar exam. As the bar exam is strongly oriented toward practical ability, the negative effects of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are emerging. As a result, basic law, including the philosophy of law, was excluded from the bar exam subjects, and the philosophy of law is rapidly losing power in the law school system. In this crisis situation, how to restore the academic status of the philosophy of law is urgently discussed. Several approaches can be considered for this. This article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 philosophy of law as one of them. Unlike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law, which approaches law based on philosophy, the new approach seeks a philosophy of law that is more friendly to positive law or precedent. As an example, this article refers to the ‘positive law philosophy’. Here,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 sub-division of legal philosophy that explores the philosophy of law with positive law as the starting point.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understood as a field of legal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basic concepts, systems, and principles that positive law studies are based on. This article explores how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made possible by taking the discussion made in civil law as an example.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positive law philosophy is explored by analyzing the basic principles of civil law developed by civil law scholar professor Kwon, Youngjoon. Among them, this article examines what kind of argument the positive law philosophy uses throug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 to claim for injunction can be recognized in torts. Through this, one way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the philosophy of law is explored. 최근 법철학을 포함하는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특히 학문후속세대가 제대로 성장하기 못해 기초법학이 고사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주장된다. 그 때문에 위기에 처한 법철학을, 기초법학을 구해내고자 하는 노력과 시도가 진행된다. 법철학과 같은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하게 된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언급할 수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도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원래 추구했던 목표와는 달리 운용되면서 여러 부작용이 등장하는 것이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현실로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법학교육이 변호사시험에 심하게 종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법철학을 포함한 기초법학이 변호사시험 과목에서 배제되면서 법철학은 법학전문대학원 체제에서 급속하게 힘을 잃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법철학의 학문적 위상을 복원할 수 있는지가 절박하게 논의된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글은 그중 한 가지로 법철학에 대한 접근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는 것을 제안한다. 철학에 기반을 두어 법학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법철학과는 달리 실정법이나 판례에 더욱 친화적인 법철학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 이 글은 ‘실정법철학’을 언급한다. 여기서 실정법철학이란 실정법 또는 실정법학을 출발점으로 하여 실정법의 철학을 탐구하는 법철학의 하부 분과로 규정할 수 있다. 실정법철학은 실정법학이 기초로 삼는 기본 개념이나 체계, 원리 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법철학의 분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법철학과 같은 기초법학이 아닌 실정법학 내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법철학을 모색하여 형성된 것이 실정법철학이다. 이 글은 민법학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예로 하여 실정법철학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특히 민법학자 권영준 교수가 전개한 민법학의 기본원리를 분석함으로써 실정법철학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중에서도 불법행위에서 금지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를 통해 실정법철학이 어떤 논증을 구사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현재 법철학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을 탐색한다.

      • KCI등재

        2부 일반논문 : "긍정철학"(positive Philosophie)의 원리와 그 가능성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2

        셸링은 실존의 이유는 결코 이성에 의해 해명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실존의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성이 아니라 모든 사유에 선행하는 존재를 원리로 하는 학문이 있어야 한다. 셸링은 이 학문을 ``긍정철학``(positive Philosophie)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긍정철학의 원리가 사유와 무관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유에 선행하는 것이라면, 다음과 같은 물음이 발생한다. 즉 그러한 ``사유 이전의 존재``로부터 어떻게 사유와 함께 시작되는 철학이 가능할 수 있는가? 이러한 물음은 긍정철학 자체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철학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고찰하며, 그 특성은 무엇인지를 서술한다. According to Schelling it can`t be elucidated by reason why anything exists. Then there has to be a science which takes ``the Being preceding all the thinking``(``the unvordenkliche Sein``) to the principle for explaining why there is not nothing but anything. He calls the science ``positive Philosophy``. But if the principle of ``positive Philosophy`` has noting to do with thinking and precedes all the thinking, then the following question is raised, because philosophy always starts with thinking, how is it possible that the philosophy begins with ``the unvordenkliches Sein``? This question suggests the problem on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Philosophy``. This paper tries to show how the ``positive Philosophy`` is possible, and what i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the Philosophy.

      • KCI등재

        노년 철학에 관한 베단따의 전망

        박효엽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for old age’ when humanity begins to reflect on old age in earnest as our country shifts to the aged society.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reframe Vedāntic philosophy, i.e. a beacon of Hindu philosophy as a model of philosophy for old age, on the assumption that liberation-oriented Hindu philosophies in India can be the most suitable model to frame and apply philosophy for old age mainly at the individual level. First of all, this article identifies that liberation-oriented Hindu philosophies are nothing but a philosophy for the later part of one’s life, that is, a philosophy for old age, showing that their common thoughts are very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old age. Then, it proves that three points of Vedāntic philosophy, i.e. spirit supremacy, the world as an illusion, and freedom from all relations, are fully compatible with philosophy for old age. Finally, it argues that the tradition of Hindu saṃnyāsin (wonderer) embodied to the extreme in Vedāntic philosophy is to establish ‘old age for philosophy’ beyond ‘philosophy for old age.’ Because Vedāntic philosophy establishes saṃnyāsin of old age, which is optimized to strive for the truth as the confident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so much that it exists more ‘by old age’ than ‘for old age.’ After all, according to Vedāntic philosophy, as ontological and practical positivity is maximized in old age, so old age itself can be the best position to overcome not ‘negativity of old age’, but ‘negativity of human condition’ or ‘negativity of life.’ 이 글은 고령시대에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노년에 관한 인문학적인 성찰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노년 철학’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해탈을 목표로 삼는 인도의 힌두철학이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노년 철학을 구성하거나 적용하는 경우에 최적의 모형일 수 있다고 가정한 채 힌두철학의 대표주자인 베단따 철학을 노년 철학의 한 모형으로 재구성해 보려고 한다. 우선 해탈 중심적인 힌두철학의 공통적 사유가 노년의 특성과 매우 흡사하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그 철학이 인생의 후반기를 위한 철학 즉 ‘노년을 위한 철학’이라는 것을 규명한다. 그러고 나서 베단따 철학의 정신 우월주의, 세계 환영설, 무관계의 해탈론이 노년 철학에 잘 부합할 수 있는 특성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베단따 철학에서 가장 잘 구현되어 온 힌두교의 산냐신(진리유랑자) 전통이 ‘노년을 위한 철학’을 넘어 ‘철학을 위한 노년’을 정립한다고 역설한다. 베단따 철학은 ‘노년을 위해’ 존재한다기보다 ‘노년에 의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진리 탐구에 최적화된 존재인 노년의 산냐신을 철학적 탐구의 당당한 주체로 확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베단따 철학에 따르면, 존재론적으로 또 수행론적으로 긍정성이 극대화되는 시기인 노년 그 자체는 노년의 부정성이 아니라 인간 조건의 부정성 또는 삶의 부정성을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이다.

      • KCI등재

        스포츠철학의 학문적 위상과 과제

        오현택(HyunTaekOh)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철학이 현재와 같이 낮은 학문적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이고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스포츠철학은 체육사와의 통합 문제, 스포츠윤리학의 신설에 따른 학문적 위상 약화 등 난처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은 첫째, 스포츠철학 내부의 문제로 지식체계 정립에 대한 학회의 노력 부족, 주도적인 학회활동과 전문성 신장 노력이 부족한 학자들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둘째, 스포츠철학 외부의 문제로는 무분별한 융복합 및 통섭의 희생양이 되고 있고 취업 중심의 대학교육과정에서 비실용적 학문이라는 이유로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철학이 이러한 문제 상황을 극복해 내기 위해서는첫째, 지식체계의 정립과 연구방법의 통일성 및 유사성 유지, 주도적 학회활동, 전문성 신장 등의 반성과 노력이 필요하며, 둘째,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융복합 및 통섭을 위한 학문적 전문성 제고와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찾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auses of low position of sport philosophy in sport science and to propose tasksof overcoming this desperate situation. Sport philosophy was in the difficult situation because the advent of new subject likea sport history/philosophy and the loss of academical prestige with the separation of sport ethics from sport philosophy. Thecauses of this situation as follows: First, internal problems were a shortage of labor of an academy for establishing the bodyof knowledge and an insufficiency of scholars for furious activity in an academy and for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Second, external problems were that sport philosophy became a victim of indiscreet convergence/integration and consilienceand was neglected as an impractical subject in an university education for employment. It would be necessary for overcomingthis problematic situation that sport philosophy would have to establish the body of knowledge, maintain the unity andaffinity of research method, be in full play in an academy, enhance the academical professionalism of our field for rational andproductive convergence/integration and consilience, and discover a new role for raising professionalism of the students whospecialize in sport at the university.

      • KCI등재

        A교사의 교육철학에 기반한 국어 수업 비평 사례 연구

        심영택,윤어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This study has made the teaching philosophy of A-teacher as the starting point of class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teacher’s belief system, values, and viewpoint of education are practiced in classroom space and Korean language lessons. We read books and researches together which were contained A-teacher’s philosophy of education. Her philosophy of education is introduced in Sato Manabu’s “learning community” and “class positive discipline” based on Adler’s psychology. We extracted some characteristics from books and researches. And we used them as a tools for A-teacher’s class criticism. A-teacher’s Korean language class largely consists of three activities: reading text, finding a plant that suits oneself, and replacing it with poetry. In the process, active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mong students were relatively active, but reflective learning was not actively occurring. Students were expected to respect and listen to each other’s opinions in accordance with the class rules set out in the class guidelines. Students recognized each other’s subordination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rules, and practiced interdependent and cooperative learning. In other words, we can see that the passive activity combined with the activeness of learning and the passivity of response is working well. A-teacher had the kindness and determination to follow the PDC philosophy. Through placement of classroom space, A-teacher was narrow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eacher-student, student? student. A-teacher was building writing environments in where out of ordered 본 연구는 한 교사의 교육철학을 수업 비평의 출발점으로 삼아 그 교사의 신념 체계와 가치, 교육관이 교실 공간과 국어 수업 시간에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본 연구 이다. 두 연구자는 먼저 A교사가 자신의 교육철학이라고 기술한 사토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아들러 심리학에 터한 <학급긍정훈육법>과 관련된 저서와 연구물들을 함께 읽고 A교사의 교육철학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A교사의 국어 수업을 다음과 같이 비평하였다. A교사의 국어 수업은 크게 세 가지 활동, 즉 텍스트 읽기, 자신에게 어울리는 식물 찾기, 그리고 나에 대한 시로 바꾸어 쓰기로 이루어져 있다.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 사이에 활동적 배움과 협력적 배움은 비교적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었으나, 반성적 배움은 그다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지 않았다. 학생들은 학급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수업 규칙에 따라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는 자세를 지니고 있었으며, 그 규칙에 따라 서로가 배움의 종속을 인정하고, 상호 의존하며 협력적 배움을 실천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배움의 능동성과 대응의 수동성이 결합된 수동적 능동성이 잘 작동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PDC의 철학에 따른 친절함과 단호함을 갖춘 A교사는 ㄷ자형 교실 공간 배치를 통해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좁혀 가며, 엇갈리는 소통과 차단되는 소통도 허용하는 그러한 글쓰기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 KCI등재

        독일 고전철학의 자연법(Naturrecht) 개념

        남기호(KiHo Nah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8 사회이론 Vol.- No.54

        국가 이론의 기초로서 기능했던 자연법 이론은 서양 사상사의 지속적인 연구 대상이었다. 이 글은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로 대표되는 독일 고전철학에서의 자연법 개념을 그 문자적 어원과 함께 철학적 함의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자연법(Naturrecht) 개념은 푸펜도르프의 구분 이전까지는 자연법칙(Naturgesetz) 개념과 자주 혼용되었다. 자연법칙이 자연에 정립된 필연적 본성이라 한다면, 자연법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정립된 필연적 본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자연법에 따라 인간 자신이 정립한 공동체의 현행 규범들은 실정법 내지 법률이라 불린다. 따라서 자연법 개념은 실정법 제정의 기초로서 비판 또는 정당화 기능을 지닌다. 자연법은 인간에게 본성적으로 속하는 것을 마땅히 보장하는 법(Recht)이자 이러한 보장을 받는 자의 당연한 권리(Recht)이기 때문이다. 칸트, 피히테 그리고 헤겔은 인간적 본성의 법으로서 자연법 이론을 전개한 반면, 셸링은 인간적 본성의 실천 철학적 실현과정으로서 자연권 이론을 연역했으나 새로운 학문으로 구체화하진 못했다. 칸트를 제외한다면 줄곧 적극적인 비판 기능을 수행했던 자연법 이론은 그러나 그 이론적 편차와 시의적 부적실성으로 인해 독일 고전철학 후기에 몰락의 길에 접어들게 된다. The Theory of Natural Law(Naturrecht) as foundation of state theory was one of continued themes of research in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This article tries to consider the concept of Naturrecht in classical German philosophy with its literal etymology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Until the division of Pufendorf, the concept of Naturrecht was often used mingled with the concept of Naturgesetz(Law of Nature). If Naturgesetz is the necessary nature set in natural things, Naturrecht can be defined as the necessary nature set in human beings as rational. The current norms of community established by human beings themselves according to this Naturrecht are called positive laws(positive Rechte oder Gesetze). Therefore, the concept of Naturrecht has critical or justifying function as the basis of enactment of positive laws. Because Naturrecht is the law(Recht) which ensures deservedly what belongs naturally to human beings, as well as the just right(Recht) of the insured. Kant, Fichte and Hegel developed the theory of Naturrecht as Recht of human nature, whereas Schelling deduced the theory of Naturrecht as practical-philosophical process of realizing human nature, but could not shape it into a new science(neue Wissenschaft). But the theory of Naturrecht which played constantly the active critical role except for Kant, headed for a downfall, because of theoretical deviation and timely inaccuracy in the late classical German philosophy.

      • KCI등재

        헤겔 법철학의기본 개념

        김상진(Kim, Sang-Jin) 한국법학회 2011 법학연구 Vol.43 No.-

        ?;?;헤겔은 칸트와 더불어 근대 독일 관념 철학을 대표한다. 헤겔은 자기보다 앞선 칸트의 철학을 이어받았지만 칸트와는 다른 모습으로 이성을 통한 현실의 조화 내지 개척을 그려냈다.<br/> ?;?;이는 특히 법철학에서 칸트가 순수한 내적 도덕 감정이 법 논리 보다 앞선다는 견해를 가지고 그것이 법의 근원이 된다고 본 것과는 달리 헤겔은 현실의 인간과 사회공동체 속에서 움직이는 이성이 자체 발전을 이루어 실정화 됨으로써 법적인 존재 형식을 가지고 효력을 발휘한다고 본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br/> ?;?;헤겔은 청년 시절 일찍이 신학생이 되어 종교에 대한 논문을 쓴 바 있다. 그의 사후에 발견된 이 논문집이 이른바 “청년신학논집”이다. 여기서 그는 종교가 살아 있는 실천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교리와 교회 조직의 경직성에 막혀 죽어 버린 듯한 모습을 가졌다고 비판한다. 이때 사용한 개념이 곧 실정성이다. 종교에 있어서는 기성성으로도 번역할 수 있는 이것은 이미 성립되어 변화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br/> ?;?;그런데 헤겔의 법철학에 있어서 왜 이 종교의 기성성이 문제가 되는가? 그것은 이 개념이 법철학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헤겔의 법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 즉 국가의 법은 여러 면에서 종교와 닮은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예컨대 성경과 법률, 교회와 국가 그리고 관리와 성직자 그리고 인간의 자유를 제한하고 억압할 수 있는 종교와 국가라는 면에서 서로 교환될 수 있는 형태라고 본 것이다. 그래서 헤겔은 일찍이 종교의 비판을 통하여 법률로 지배되는 국가의 본질을 들여다 본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하겠다.<br/> ?;?;이러한 이유에서 헤겔이 만년에 쓴 그의 법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종교에서 언급된 이 실정성에 대한 개념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그에게 있어서 법에서는 종교와는 달리 실정성을 긍정적으로 쓰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법이란 결국 인간 사회에서 불가피한 것이고 또한 자연법에서 비롯된 자연권이 실정화 됨으로써 비로소 인간이 사회에서 자유와 권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있다. 물론 그는 법은 권리에서 도덕으로 그리고 사회윤리의 과정으로 발전된다고 본다. 그리고 이 사회 윤리는 국가로써 완성된다.<br/> ?;?;헤겔에 있어서는 이 국가야 말로 인간 이성이 절대화된 상태이고 절대정신이 획득된 상태이다. 결국 이성은 국가를 통하여 현실과 화해하고 조화되어 보편화되고 절대 정신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요컨대 헤겔의 법철학은 추상법(자연법)이 실정화를 통하여 비로소 법률화되는 철학적 사유이다. 아울러 이러한 사유의 배경에는 당시 독일 국가의 건설에 필요한 법제정의 시급함을 갖고 있던 계기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Hegel’s philosophy of law is the book which the law of nature is trasformed the positive law by the dialectic theory. On this book it is to know how to develop from the right, morality and social ethics to the state. Hegel thought that the religion is compared to the law. In his younger ages he tried to evaluate the law by criticizing the religion. In this respect we find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ositivity((Positiviaat) in order to comprehend the his philosophy of law. but it is different to indicate between the religion and the law. In younger ages the positivity means negatively for the religion, whereas positive for the law in older ages. Hegel wrote in preamble of his philosophy of law that “all the law is positive.” Which means, the state of the law is not the nature law but the positive. Especially he emphasized that the power of the church could be changed for the power of the state. And that he was willing to establish the new german nation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law. Therefore, concept of the positivity((Positivitat) is th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hanging the law.

      • KCI등재

        헤겔에 있어서의 법의 정신과 그의 운명으로서의 실정성

        김상진(Kim, Sang-Jin)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8 No.-

        헤겔은 예수를 구세주로 믿는 그리스도교가 점점 제도화되고 그 제도 속에서 예수가 가르쳐 준 사랑이라는 새로운 계명 대신에 제도(법)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현실을 바라보게 된다. 즉 그리스도교에서 신이 되는 예수의 정신이 현실 세계에서 제도로써 실정화 되는 운명적 상황을 우려하였다. 적어도 헤겔은 그렇게 표현하고 있다. 그런점에서 실정화는 달리 말하면 종교가 기성화 되어 인간의 자유를 제한하고 억압까지 할 수 있는 부정적인 의미로 헤겔은 묘사하고 있다. 그는 그리스도의 정신이 실정화(제도화)될 현실의 운명 속에서 다시 화해하기 위해서는 본래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사랑이란 그리스도교의 생명성과도 같은 것이면서 모든 것이다. 이 사랑을 통하여 그리스도교의 본래의 정신은 그것이 제도화 된 형태로서의 운명의 현실성을 변증법적으로 지양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것이 청년 헤겔의 종교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종교론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고 헤겔 만년의 법철학이라는 저서의 기본적인 개념 내지 내용이 되면서 종교론에서의 이 실정성은 후의 법철학의 맹아적인 출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헤겔의 법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초기 헤겔 종교론에서의 실정성(Positivitat)은 이해의 폭을 넓혀 주는 개념이 된다. 다만 법철학에서는 실정성이 부정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법에 있어서는 종교에 있어서 와는 달리 사회와 국가를 통일시키고 존재시키며 인간의 자연 상태와 무질서를 실정법으로 해소시키고 결국 사회의 안정과 인간의 자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인간이 사회 속에서 이성과 현실이 화해를 이루고 조화를 찾은 것이 곧 국가라고 본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국가는 결국 법이 실정화 됨으로써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헤겔의 종교론에서 그리스도교의 정신과 그의 운명이 사랑으로 화해한다는 것은 그대로 법철학에서 이성과 현실이 국가라는 실정화된 제도를 통하여 화해한다는 의미로 변화되어 옮겨져 온 점이다. 이것은 헤겔 법철학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 요컨대 종교적 율법이란 곧 법률이다. 그 제정과 운용을 교단이 하는가 국가가 하는 것인가의 차이가 있을 뿐 거기에 결코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교단은 국가와 유사하고, 국가는 또한 종교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율법의 Positivitat는 법률의 Positivitat인 것이다. 그러므로 헤겔 초기신학논집을 읽는 것은 곧 그것을 확인하는 일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그것은 헤겔 후기의 “법 철학”의 이해를 위한 예비적인 작업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Jesus said, “Don’t suppose that I came to do away the law and the Prophets. I did not come to do away with them, but to give them their full meaning.(Matthew 5 : 17) and Treat others as you want them to treat you. That is what the law and the Prophets’ are all about.”(Matthew 7 : 12). Hegel thought that the religious law is the positive nature. which means, the religious law deprives peoples of truly divine teachings and Hegel wrote in his theological works, Kant’s morality is to Jesus to say the love but eventually Kant’s morality includes the positivity(Positivitat). Hegel said, Jesus’s love is only not to be positive. The fate of the law is to be positive. and that it makes divine teaching useless. Therefore the fate of law is to be harmonized by Jesus’s love. That is to say, the law has the fate to be positive. This compare to happened to in the religion. As a result, the religious law compares to the law. It is only different from the organ of the church between the law of the state. But difference is not in nature. Because the organ of church is alike the organization of the nation, the nation is alike the religion. The positivity of the law is thus that of the law. It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Hegel’s theological articles in his younger ages is what to read his philosophy of the law published in his latest lifes.

      • KCI등재

        헤겔 실천철학에서 사랑의 역할과 위상

        김남준 ( Kim Nam-jo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4 No.1

        본 논문은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사랑의 역할과 위상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랑이 실천철학의 원리로 정초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년 헤겔은 종교와 도덕의 실정성에 의해 초래된 이성과 감성, 주관과 객관, 특수성과 보편성 등의 분리와 대립을 극복하고 총제적인 인간의 삶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철학의 원리로서 `사랑`을 제시한다. 그런데 헤겔은 프랑크푸르트 시기의 후반부를 지나 예나 시기에 이르면서 사랑이 갖는 주관성의 한계를 성찰함으로써 실천철학의 원리로서 사랑을 포기한다. 헤겔은 사랑을 대신할 수 있는 실천철학의 원리로서 인정을 제시하면서 사랑을 인륜성이라는 상호인정의 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로 축소시킨다. 이와 같이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사랑이 더 이상 원리적 차원에서 고찰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곧 사랑의 의미와 가치마저 상실된 것으로 해석될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사랑은 더 구체적인 삶의 관계 속에서 인륜적 사랑으로 심화되고 완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랑이 도덕성에서 인륜성으로 이동하는 첫 단계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사랑의 역할과 가치를 평가 절하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년 헤겔이 사랑의 원리적 내용으로 파악했던 사랑의 자기지양과 자기희생이 정신의 자기지양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면, 청년 헤겔이 사랑을 통해 지향한 원리적 내용은 헤겔 실천철학의 전체 구조에 면면히 흐르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egel`s view of the role and status of love. Based on this examination, it aims to discuss whether love can be the principle of practical philosophy. Young Hegel saw love as the principle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could overcome the divisions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namely positivity of religion and morality. Furthermore, he considered love as the principle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could recover the totality of human life. Since the end of the Frankfurt period, especially since the Jena period, Hegel gave up love as the principle of practical philosophy because he reflected on the limits of subjectivity of love. He regarded recognition as the principle of practical philosophy instead of love. Here, lov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way to form the system of ethical life, namely Sittlichkeit. Although love couldn`t be the principle of Hegel`s practical philosophy, it doesn`t mean that love doesn`t matter in Hegel`s practical philosophy. Love becomes love in the system of ethical life. We should not devalue the role and value of love, because love enables the first step in the movement of ethical life(Sittlichkeit, Family) from morality. If the principle of love(Aufheben der Liebe) and the principle of spirit(Aufheben des Geistes)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we could conclude that the principle of love flows into the whole structure of Hegel`s practical philosophy.

      • KCI등재

        종교의 종말 이후 - 헤겔의 종교비판과 대안종교의 전망을 중심으로 -

        정진우 ( Jin-woo Jeo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4

        “종교의 종말 이후, 종교는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 이 논문은 헤겔의 종교비판과 대안종교의 전망을 중심으로 현대 무신론의 풍토를 넘어설 새롭고 진정한 종교의 형태를 모색한다. 사상사적으로 볼 때, 헤겔의 사변철학은 칸트의 비판철학이 초래한 무신론의 풍토에 대한 비판적 관심에서 출발한다. 그의 초기저술인 「그리스도교의 실정성」과 「믿음과 지식」에서 수행된 실정종교, 주관종교, 세속주의에 대한 비판이 대안종교 마련을 위한 예비작업이라면, 후기저작인 『종교철학』, 『법철학』, 『역사철학』은 종교의 종말 이후의 새로운 종교적 전망들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이로부터 두 가지 대안종교의 형태를 추론한다. 첫째는 실정종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종교철학이다. 이는 신을 종교적 표상으로부터 해방시켜 삶의 원리로 확장하는 작업, 달리 말해, 종교 언어를 일상 언어로 번역하는 탈-신화화의 작업이다. 둘째는 주관종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민종교다. 이는 앞서 시도된 탈-교리적인 그리스도교를 인간 자유를 위한 정치원리로 확장하는 작업, 달리 말해, 종교와 현실을 화해시키는 비-종교화의 작업이다. 이는 진리와 실존이 화해하는 진정한 종교적 이념을 현대적 지평 위에 정초하려는 철학적 시도라 할 수 있다. “After the end of religion, where should religion go?” This article seeks a new and true form of religion that will overcome the climate of modern atheism, with a focus on Hegel’s critique of religion and the prospect of alternative relig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Hegel’s speculative philosophy starts from a critical interest in the climate of atheism based on Kant’s critical philosophy. The critique of positive religion, subjective religion, and Secularism presented in his early writings, “Positivität der christlichen Religion” and “Glauben und Wissen,” is a preliminary work to prepare an alternative religion. Alternatively, his later works,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Religion,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and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present new religious prospects after the end of religion. Accordingly, in this paper, Iinfer two forms of alternative religions. The first is a philosophy of relig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ue religion. This belief is the work of liberating God from a religious representation and extending it to the principle of life, that is, the work of demythologizing or translating religious language into everyday language. The second is civil relig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bjective religion. This religion is the work of expanding the previously attempted post-doctrinal Christianity as a political principle for human freedom, that is, the work of dereligionization that reconciles religion and reality. This approach is a philosophical attempt to establish a true religious idea in which truth and existence are reconciled on a modern horiz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