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 흰가루병의 친환경 방제 효과

        소재우,한경숙,이성찬,이중섭,박종한 한국식물병리학회 2014 식물병연구 Vol.20 No.2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xed espil and copper hydroxide for powdery mildew prevention on cucumber, tomato and pepper. On prevention effect for powdery mildew on cucumber, results revealed that mixed espil and copper hydroxide with a ratio of 4 : 1, disease incidence rate was 18.9% and prevention effect was 69.9%. Another treatment with a ratio of 8 : 1 showed an disease incidence rate of 18.1% and prevention effect of 71.1%, thus, showed great effectiveness. For powdery mildew on tomato, espil and copper hydroxide were mixed using the ratio 4 : 1, results showed an disease incidence rate of 12.4% and prevention effect of 85.3%. Treatment using the ratio of 8 : 1, results showed an disease incidence rate of 14.3% and prevention effect of 83.0%, thus, showed great effectiveness. For powdery mildew on redpepper, espil and copper hydroxide were mixed using the ratio of 4 : 1 with results showed disease incidence rate of 17.7% and prevention effect of 83.0%. From the results, this treatment is the most effective with the lowest attack rate and highest prevention effect. Deducing from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using mixed espil and copper hydroxide using the ratios 4 : 1 or 8 : 1 are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powdery mildew prevention. Mixed ratio of 4 : 1 or 8 : 1 was most effective for preventing powdery mildew on cucumber and tomato, while the espil and copper hydroxide ratio of 4 : 1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powdery mildew prevention on peppe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xed espil and copper hydroxide for powderymildew prevention on cucumber, tomato and pepper. On prevention effect for powdery mildew on cucumber,results revealed that mixed espil and copper hydroxide with a ratio of 4 : 1, disease incidence rate was18.9% and prevention effect was 69.9%. Another treatment with a ratio of 8 : 1 showed an disease incidencerate of 18.1% and prevention effect of 71.1%, thus, showed great effectiveness. For powdery mildew on tomato,espil and copper hydroxide were mixed using the ratio 4 : 1, results showed an disease incidence rate of12.4% and prevention effect of 85.3%. Treatment using the ratio of 8 : 1, results showed an disease incidencerate of 14.3% and prevention effect of 83.0%, thus, showed great effectiveness. For powdery mildew on redpepper,espil and copper hydroxide were mixed using the ratio of 4 : 1 with results showed disease incidencerate of 17.7% and prevention effect of 83.0%. From the results, this treatment is the most effective with thelowest attack rate and highest prevention effect. Deducing from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using mixedespil and copper hydroxide using the ratios 4 : 1 or 8 : 1 are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powdery mildewprevention. Mixed ratio of 4 : 1 or 8 : 1 was most effective for preventing powdery mildew on cucumber andtomato, while the espil and copper hydroxide ratio of 4 : 1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powdery mildewprevention on pepper.

      • KCI등재

        방범용 CCTV의 성폭력범죄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10개 구ᆞ군을 중심으로

        김동록 ( Kim DongRok ),최응렬 ( Choi EungRyul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주요 사업전략인 방범용 CCTV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실질적인 범죄예방효과의 검증을 통해 향후 방범용 CCTV의 효과적인 운영전략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국내ㆍ외 CCTV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대상지역 성폭력범죄 발생자료와 연구대상지역에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추가로 설치된 방범용 CCTV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자료분석은 방범용 CCTV 운용기간별(7년)로 추가 설치된 전ㆍ후 발생 건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방범용 CCTV 대수가 1대 늘어날 때마다 성폭력범죄율은 .0008이 줄어든다. 남녀성비를 통제하였을 때, 그 값은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는 성폭력범죄에 대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더불어 본래 CCTV가 예방하고자 하는 범죄가 합리적 이성에 근거한 기회성 범죄라는 이론적 배경을 고려한다면, 이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결론: 이 연구는 방범용 CCTV 누적 설치 대수와 성폭력범죄율인 두 변수 간 인과성을 밝히고자 했다. 인천광역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범용 CCTV의 설치 및 운영이 성폭력범죄에 대한 범죄예방효과를 검증한 연구 중 하나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인천광역시에서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이전에 연구되었던 Lim & Chun(2014)의 연구에서 언급한 성폭력범죄에 대한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의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는 점에 학술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성폭력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 방범용 CCTV를 설치하면 범죄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operation strategy of crime prevention CCTV in the future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CCTV, a major business strategy of crime prevention (CPTED),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Methods: Using collected data on sexual assault in target areas from 2013 to 2019 and additional CCTV installed in target areas from 2013 to 2019. Resul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xual assault rate decreases by .0008 every time the number of CCTV for crime prevention increases by one. When controlled, the valu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5 level. Conclusion: This study is one of studies that verified the crime prevention effectiveness of sexual assault by installing and operating crime prevention CCTV using data from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understand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crime prevention CCTV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that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n places where sexual assault occur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학교 급별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분석

        오희정(Huijeong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등의 운영이 학교폭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폭력을 근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학교 급별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여 학교 급별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에 최근 2년간의 EDSS 교육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여러 개의 독립변수들이 각각 종속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한 모형이 무엇인지 등을 밝히는 통계적 방법인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학교폭력 예방교육 유형들이 학교폭력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급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여러 유형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은 학교폭력 발생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설명력이 전체 1.3%~1.7% 정도로 매우 작았다. 학교 급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중학교에서 영향력이 가장 작고, 초등학교에서도 1%대로 작았으며, 고등학교에서는 3.9%~8.7%로 다른 학교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고등학교급에서만 다양한 유형의 학교폭력 예방교육 중 학생 정규교과 수업 및 그 외 이루어진 학교폭력 예방교육만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일부 또래 관계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오히려 학교폭력 발생률을 높이는 부작용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따라서, 현행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가 모색되어야 하며, 보다 실효성 있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by identifying how effectively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s are preventing school violence. Also, b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effects by school grade, I tried to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each school grade. Methods Accordingl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edudata of EDSS for the past two yea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that reveals how each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and which model is most suitable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uggested how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affect the occurrence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is, those differences by school grade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conducted at school fiel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s for school violence. However, the explanations were very small, about 1.3% to 1.7%.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school grade, the influence was the lowest in middle school, the influence was small in 1% i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3.9%~8.7% in high school, showing a relatively high influence compared to other school grade. In addition, only in high school, among the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only regular and irregular subject classe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were effective. Moreover, som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using peer relationships showed side effects that increased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Conclusion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innovative changes to curr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sought, and that more effective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인식 : 모니터링 요원을 중심으로

        임형진(Lim, Hyungjin),강욱(Kang, Wook) 한국셉테드학회 2021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모니터링 요원의인식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8개구 CCTV 통합관제센터 모니터링 요원 9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니터링 요원은 CCTV 통합관제시스템이 범죄예방효과, 범죄로부터의 안전효과, 범죄중단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해 모니터링 요원은 살인, 강도, 강간, 침입절도, 기타 절도, 폭행, 방화, 청소년범죄, 기타범죄에 모두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청소년비행, 폭행, 기타절도, 강간, 방화, 침입절도에 상대적으로 높고, 강도, 살인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방범용CCTV를 설치하면 범죄전이효과가 발생하나 완전한 전이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시사한다. 첫째, 방범용 CCTV 설치 시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가 범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방범용 CCTV 설치장소 선정에 있어 모니터링 요원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방범용 CCTV 설치시 이웃지역으로의 범죄전이효과 및 이익의 확산효과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erception of monitoring personnel abou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CCTV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90 monitoring personnel at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s in 8 districts in Incheon, and the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nitoring personnel recognized that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had a crime prevention effect, a safety effect from a crime, and a crime stop effect. The monitoring personnel also recognized tha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was effective against murder, robbery, rape, burglary, other theft, assault, arson, juvenile crime, and other crimes. Following the recognition of the monitoring personnel,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were relatively high for juvenile crime, assault, other theft, rape, arson, and burglary, whereas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were relatively low for robbery and murder.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installing a CCTV for crime prevention would cause a crime displacement effect, but not a complete crime displaceme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policy suggestions. First, whe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crim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opinions of monitoring personnel in selecting the installation site for open-street CCTV. Finally, whe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 and diffusion of benefits effect to neighboring areas.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유재두(You, Jae Doo) 한국범죄심리학회 201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9 No.1

        매해 증가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태 파악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학교폭력 개념과 원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 법령·제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학생들에게 실태 파악을 하였으며, 조사 내용은 학교폭력 개념 인지도, 통합신고망 117제도 인지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인 상담, 행사, 교육, 신고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강당에서 외부 전문가의 강연·동영상이 대부분이었다. 학교폭력 개념과 통합신고망 117제도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신고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으며 그 이유는 보복이 두렵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로 CCTV 설치가 가장 필요하다고 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 행사, 교육, 신고로 구분하여 실시 인지도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설문지와 가정통신문, 경찰과 전문 상담사의 교육에 대해서 인지도가 높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경찰의 예방 교육과 순찰, CCTV 설치라고 대답을 했으나,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조사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으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과 학교폭력 관련 기관의 효과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School Violence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new types have appeared, perpetrators are younger. In order to prevent violence in schools is a social problem, various systems and related laws and program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at there is doubt about the effectiveness, violence in school is because they are rather serious. In this study, is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system of program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study was centered on the awareness of studen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oretical background was to investigate the laws and institutions and programs that are implemented to cause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It has the actual situation to students for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awareness of violence concept in schools, awareness of the 117 system is an integrated reporting system, The contents of the survey, necessary measures most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 I have configured consult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the event content, education, etc. of notification.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mostly lectures and video experts outside the hall. For the 117 system is an integrated reporting system with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was better awareness is high, but is reluctant to deliver, answered that scary retaliation was the most reasons. As a measur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 have the need to install most of CCTV. Counseling program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 had a question about the awareness and carried out by classifying events, education, to deliver.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 family correspondence surveys and school violence, and police were high. As necessary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was the answer to install and patrol prevention and education, the CCTV of police, on the other item, you answered you have no effect. As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a management plan effective school violence agencies and measures to ensure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 KCI등재

        기부자의 무드 변화량과 조절초점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효과

        김지윤(Kim, Ji Yoon),주경희(Chu, Kyou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기부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무드 변화량(사전 무드-기부 광고 노출 후 무드)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기부자들이 예방초점 기부자들에 비해 무드 변화량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현상의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부정적 무드의 감소를 제안하여, 기부의도에 대한 무드변화량과 기부자의 조절초점의 상호작용은 부정적 무드 감소(부정적 무드의 세탁효과)에 의매 매개됨을 검증하였다. 다시 말해, 기부 광고가 유발하는 부정적 무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즉 세탁효과(laundering effect)로 인해 기부행동이 증가하는 것인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무드 변화량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향상초점 기부자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남이 검증되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메커니즘으로 제안한 기부 광고로 수반된 일시적인 부정적 무드를 줄이기 위한 세탁효과의 매개가 검증이 되어 가설 2 역시 지지되었다. 기존 기부 관련 연구들이 무드 극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무드 변화량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본 연구는 무드 변화량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도 깊게 살펴보았고, 세탁효과가 기존에는 개인의 선택상황과 연속적 소비에피소드에서 주로 연구가 되어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광고 맥락에서 기부광고 노출 후 수반되는 부정적 감정에 대한 세탁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비영리단체의 실무자에게 기부광고 기획시 소비자의 무드 변화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광고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기부행동의 심리적 메커니즘(세탁효과)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소비자의 기부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임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onator"smood variation and regulatory focus on the donation inten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rength of the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od variation and donators" donation intention is higher for the promotion-focused donators than for the prevention-focused ones. Alsowe verified the reduction of negativemood (i.e., negativemood’s laundering effect) incidental to sad donation a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other words, the study verified the interactive effect of mood variation (pre-mood - mood incidental to sad donation ad) and donator"s regulatory focus on donation intention,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duction of negative mood incidental to sad donation ad. Through this finding, we can interpret that potential donators who are promotion-focused are more reliant onmood variationwhen judging the donation intention than the prevention-focused donators.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built the foundation to promote the diversity of donation-relevant research by verifying the effect of mood variation on donation intention, and it identified the laundering effect in the ad context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Also, it is practically useful in that this study suggests toNGOadvertisers that they need to design the donation adwhich can directly influence the potential donators’mood change. 본 연구에서는 기부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무드 변화량(사전 무드-기부 광고 노출 후 무드)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기부자들이 예방초점 기부자들에 비해 무드 변화량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현상의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부정적 무드의 감소를 제안하여, 기부의도에 대한 무드변화량과 기부자의 조절초점의 상호작용은 부정적 무드 감소(부정적 무드의 세탁효과)에 의매 매개됨을 검증하였다. 다시 말해, 기부 광고가 유발하는 부정적 무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즉 세탁효과(laundering effect)로 인해 기부행동이 증가하는 것인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무드 변화량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향상초점 기부자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남이 검증되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메커니즘으로 제안한 기부 광고로 수반된 일시적인 부정적 무드를 줄이기 위한 세탁효과의 매개가 검증이 되어 가설 2 역시 지지되었다. 기존 기부 관련 연구들이 무드 극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무드 변화량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본 연구는 무드 변화량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도 깊게 살펴보았고, 세탁효과가 기존에는 개인의 선택상황과 연속적 소비에피소드에서 주로 연구가 되어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광고 맥락에서 기부광고 노출 후 수반되는 부정적 감정에 대한 세탁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비영리단체의 실무자에게 기부광고 기획시 소비자의 무드 변화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광고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기부행동의 심리적 메커니즘(세탁효과)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소비자의 기부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임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onator"smood variation and regulatory focus on the donation inten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rength of the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od variation and donators" donation intention is higher for the promotion-focused donators than for the prevention-focused ones. Alsowe verified the reduction of negativemood (i.e., negativemood’s laundering effect) incidental to sad donation a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other words, the study verified the interactive effect of mood variation (pre-mood - mood incidental to sad donation ad) and donator"s regulatory focus on donation intention,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duction of negative mood incidental to sad donation ad. Through this finding, we can interpret that potential donators who are promotion-focused are more reliant onmood variationwhen judging the donation intention than the prevention-focused donators.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built the foundation to promote the diversity of donation-relevant research by verifying the effect of mood variation on donation intention, and it identified the laundering effect in the ad context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Also, it is practically useful in that this study suggests toNGOadvertisers that they need to design the donation adwhich can directly influence the potential donators’mood change.

      • KCI등재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 효과분석 - 범죄의 전이효과와 범죄통제 이익의 확산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김연수(Kim Yeon Soo) 한국민간경비학회 2008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

          이 연구는 방범용 CCTV의 효과를 분석하는 하나의 기법인 “범죄전이 값(WDQ)"이라는 도구를 소개하고 실제로 강남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WDQ의 개념은 범죄통제전략 실시를 전후로 나타난 범죄율의 변화를 지리적 기준에 의하여 범죄의 전이효과와 범죄통제 이익의 확산효과를 분석하는 일종의 공식이다.<BR>  WDQ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강남구를 중심으로 설치된 방범용 CCTV는 범죄의 전이효과보다는 범죄통제 이익의 확산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CCTV를 설치하였다는 점, 방범용 CCTV의 효과는 장기적이지 못하다는 점, 기타 여러 변수들을 통재하지는 못한 점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일정부분 연구의 한계가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범죄의 전이효과와 확산효과를 분석 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여 단순한 범죄율의 변화가 아닌 과학적 분석 기법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기존에 전국 각지에 설치된 방범용 CCTV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분석기법을 정교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troduced WDQ(weighted displacement quotient), one of the technique to analysis effects of crime preventive CCTVs, and analyzed the case of Kang-nam Gu. The WDQ is a kind of formular which analysis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s and diffusion effects of crime control benefits. It is based on variation of crime rate by spatial standards.<BR>  Through the use of WDQ formular, crime preventive CCTVs in Kang-nam Gu had more diffusion effects of crime control benefits than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s. First, crime preventive CCTVs in Kang-nam Gu were installed at first time in Korea, so it is possible that has some announcement effects. Second, the crime preventive CCTVs has not long effects. Last, this study couldn"t control the other variations.<BR>  In spite of these limits, this study introduced new technique which can analysis the effects of crime displacement and diffusion effects of crime control benefits, and attempted to apply the scientific research method. It also, suggests succeeding studies which WDQ applied to other area"s crime preventive CCTVs. And these process will elaborate the analysis technique.

      • KCI등재후보

        論循証犯罪預防的新動向

        侯佳(Hou Jia)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5 법률실무연구 Vol.3 No.2

        근거중심의 범죄예방론은 범죄예방분야의 하나의 과학혁명이며,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근거중심 범죄예방론은 근거에 기초한 연구방법으로 과학적인 증거를 찾으며 아울러 범죄예방 프로그램의 어느 것이 효과적이고 어느 것이 효과가 없으며, 어느 것이 희망적이고 어느 것이 모호한 지를 확증하기 위하여 각각의 범죄예방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근거중심 범죄예방론은 주로 메릴랜드식 과학적 방법 척도, 메타분석방법 내지는 비용편익분석방법 등의 과학적인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정책입안자와 학자들 그리고 실무자들 간에 가장 간편한 하나의 새로운 방식의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범죄자의 교정교화 측면에서, 근거중심 범죄예방론은 과학적 평가를 기초로 징벌적인 형벌을 줄이고 감금형과 형벌을 대체하는 조치나 보조적인 처우조치를 서로 결합하여 범죄예방분야의 과학적 연구와 사법실무간에 간극을 축소할 것을 주장한다. 나아가 근거중심 범죄예방 이론을 중국의 규범적인 범죄예방활동에 도입하면 범죄예방의 효율성을 높이고, 범죄예방에 있어서의 평등 이념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과학적인 범죄예방 평가체계의 수립 및 범죄예방 자원의 합리적 배분을 촉진하는 등 여러 방면에 매우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중국의 범죄예방체계를 개선할 수 있고, 중국의 수형자 교육 및 사회복귀 정책이 과학적인 단계로 이행되어질 수 있다. The evidence-based crime prevention, which is a new paradigm, is a scientific revolution in the field of crime prevention. The evidence-based crime prevention searches for scientific evidence depending on evidence-based research methods and assesses a various of crime prevention programs in order to identify what works, what does not work, what is promising and what is unknown in crime prevention programs. The evidence-based crime prevention applies the Maryland Scientific Methods Scale, Meta-Analysis Method, Cost-Benefit Analysis and other scientific assessment methods and provides the simplest communicating way among the policymakers, scholars and practitioners. At the aspect of corrections and rehabilitation of offenders, the evidence-based crime prevention asserts that we should reduce the punitive punishment and integrate the imprisonment with punitive alternatives and adjunctive interventions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scientific research and judicial practices on the basis of scientific assessment. In addition, it is extremely significant and valuable that introducing the evidence-based crime prevention to China could normalize the activities of crime prevention, increase efficiency of crime prevention, fulfill the equal concept of crime prevention, establish scientific crime prevention assessment system and promote the rational disposition of crime prevention resources. It could improve the crime prevention system of China and introduce th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in China to the scientific track.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이승태(Lee, SeungTae),장유진(Jang, Yo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 관계를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년제 대학의 재학생 및 휴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1일에서 1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활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PSS PROCESS Macro 3.5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향상초점, 학습몰입과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예방초점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향상초점은 예방초점과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예방초점도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조절초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불일치가 향상초점을 경유하면 억제된 향상초점으로 인해 학습몰입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의 매개효과는 억제효과를 발생시켰으나 영향이 유의미하여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불일치가 예방초점을 경유하면 예방초점의 활성화로 학습몰입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조절초점을 경유하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자기불일치를 낮추고 향상초점을 높이는 개입이 동시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learning flow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including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Methods Three hundre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or on a leave of absence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 focus and learning flow, whi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prevention focus. Promotion foc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vention focus and learning flow, and prevention focu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learning flow, promotion focus had a greater effect on learning flow than prevention focus. Second, the higher the self-discrepa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learning flow. Third, promo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omotion focus, however, learning flow rather decreased due to the suppressed promotion focu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prevention focus created a suppression effect. However, the effect was significant and thus partially mediated.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evention focus, learning flow rather in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nce the direction of the effect on learning flow changes when self-discrepancy passes through regulatory focus, it is necessary to lower self-discrepancy and increase promotion focu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flow.

      • 방범용 CCTV 정책의 평가와 한계

        송봉규(Bonggyu Song) 한국셉테드학회 201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 No.2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주거지역의 유괴 및 납치, 강ㆍ절도와 같은 강력범죄로 인해, CCTV 설치에 대한 계획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급격한 범죄증가로 인한 그 대책 강구가 어려운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방범용 CCTV는 이러한 각종 최신 범죄 예방 및 통제 기법 가운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방범용 CCTV의 전 세계적 확산경향은 이를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있어서는 국내외적으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방범용 CCTV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방범용 CCTV의 선행연구에서는 이익의 확산보다는 범죄전이 현상이 나타나거나 단기적인 효과, 통계적 타당성 등 연구 방법론적 결함, 범죄두려움에 대한 오해 등으로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이미 설치된 방범용 CCTV도 노후화로 증거확보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지만 경찰은 결정적 증거확보에 있어 지나친 신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결국 방범용 CCTV의 설치 확대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오히려 반응적 예방활동을 중요시하는 전통적인 경찰활동으로 복귀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방범용 CCTV 정책에 있어서 대대적인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 Due to current increase of violent crimes such as kidnapping, robbery and burglary in residential areas, the demand and planning o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have been increasing. Finding ways to prevent crimes becomes difficult because of a dramatic increase of crime. It is true that CCTV for crime prevention has been popular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tools to prevent and control current crimes, which brings in a new trend of global CCTV uses for crime prevention.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CTV for crime prevention is controversial at home and abroa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CCTV for crime prevention based on precedent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on CCTV for crime preven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the precedent studies on CCTV for crime prevention show a phenomenon of criminal expansion rather than the spread of advantage, methodological defects of short-term effectiveness and statistical validity, and problems in effects on crime prevention of CCTV because of the misconception about fear of crime. The worn-out CCTV installed in the past does not provide help to secure evidence. Further, the police place too much stress on new technologies to secure evidence of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expansion of CCTV installation at this point of planning toward community policing would bring back the traditional policing rather focusing on reactive prevention activity. Therefore, CCTV policies for crime prevention must be massively re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