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

        소대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3 No.-

        Research Trends of Sundo Culture in East Asia and Review of the Concept of ‘Korean Sundo’ and ‘Korean Taoism’ So, Dae Bong (Korean Council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origin and ideological content, ‘Korean Sundo’ has been comprehensively used in the Chinese-centered term ‘Korean Taoism’.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Sundo culture researchers,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unfairness of using ‘Korean Sundo’ tied to the term ‘Korean Taoism’. After Shin Chae-ho named the unique national thought ‘Sungyo’ and argued that it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Chinese Taoism, research on Sundo culture after modern times began. Lee Neung-hwa, who followed Shin Chae-ho’s research, organized the perception system and data range of Korean Sundo in a large framework, but confused the study of Korean Sundo by calling it ‘Chosun Taoism’ by combining its own ideology with Taoism from China. After Lee Neung-hwa, the unique national thought(Korean Sundo) was comprehensively studied in the Chinese-centered term ‘Korean Taoism’. Although there was a limitation in using the term ‘Korean Taoism’ centered on China, the trend of claiming the uniqueness and self-sustaining theory of indigenous thought formed the trend of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re of Korean Sundo is not only in individual enlightenment, but also in creating an ideal community called ‘HongikinganㆍJaeseiwha’.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Korean Sundo’ is a completely different thought system in practice from ‘Chinese Taoism’, which puts the purpose of discipline and life only on personal well-being and longevity. On this basis, as concrete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since the 2000s, ‘Korean Sundo’ has the power to stand on its own feet, breaking away from the term ‘Korean Taoism’. As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since the 2000s, it has been confirmed that Korean Sundo and Chinese Taoism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e ontology, which is the core of the ideological system, as well as the discipline method. In addition, as the research on convergence with archaeology deepened, it was found that it was contrary to reason to include ‘Korean Sundo’ in the term ‘Dogyo’ formed after the 4th century B.C., as the origin of Korean Sundo was retroactive to the Neolithic culture in the confluence of the Heukryong River and Osori River around 7000 B.C. Even after the 2000s, there is still a research trend in which the ambiguous term ‘Korean Taoism’ combines the unique national thought(Korean Sundo) and Taoism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China. They see that the unique national thought pursues eternal life, and there is also a research flow that sees the source of indigenous thought as Shamanism. However, due to the research results on the unique thought accumulated over 100 years starting with Shin Chae-ho, it was confirmed that the ontology, practice theory, and discipline method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Chinese Tao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far ahead of Chinese Taoism in historical origin. Now, the unique national thought should be called the right name, ‘Korean Sund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Korean Sundo’, which is bound by and the ambiguous term ‘Korean Taoism’, to ensure separation independence. ‘한국선도’는 그 연원과 사상적 내용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도교’라는 중국 중심의 용어에 포괄되어 사용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선도문화 연구사에 대한 비판 적 검토를 통하여 ‘한국선도’를 ‘한국도교’라는 용어에 묶어 사용하는 것이 부당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신채호가 민족 고유 사상을 ‘선교’라고 명명하고 중국도교와 전혀 다름을 논증한 후 근대 이후의 선도문화 연구가 시작되었다. 신채호의 연구를 이은 이능화는 한국선도 의 인식체계나 자료범위를 큰 틀에서 정리하였으나 고유 사상인 선도와 중국에서 전래 된 도교를 한데 묶어 ‘조선도교’라 칭하여 한국선도 연구에 혼선을 초래하였다. 이능화 이후 민족 고유 사상(한국선도)은 ‘한국도교’라는 중국 중심의 용어에 포괄되어 연구되 었다. 중국 중심의 ‘한국도교’라는 용어를 사용한 한계는 있었으나 고유 사상의 독자성과 자생설을 주장하는 흐름이 연구의 대세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선도의 핵심은 개인의 깨달음에 그치지 않고 ‘홍익인간 재세이화’라는 이상적인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로써 ‘한국선도’가 개인의 안녕과 장생불사에만 수행과 삶의 목적을 두는 ‘중국도교’와는 실천론에서 전혀 다른 사유체계임이 드러났다. 이러 한 바탕 위에 2000년대 이후 구체적인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한국선도’는 ‘한국도 교’라는 용어에서 벗어나 자립할 힘을 갖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연구 성과가 축적되자 한국선도와 중국도교는 사상체계의 핵심인 존재론은 물론 수행법에서도 전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고고학과의 융합 연구로 연구가 깊어지자 한국선도의 연원이 무려 서기전 7000년경 흑룡강⋅오소리강 합류 지역의 신석기문화로까지 소급되어 서기전 4세기 이후 형성된 ‘도교’라는 용어로 ‘한국선도’를 포괄하는 것은 이치에도 어긋남을 알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도교’라는 애매한 용어 안에 민족 고유 사상(한국선 도)과 중국에서 전래된 도교를 묶어 사용하는 연구 흐름이 있다. 그들은 고유 사상이 장생불사를 추구한다고 보기도 하고, 고유 사상의 근원을 샤머니즘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채호를 기점으로 100여년 축적된 민족 고유 사상에 대한 연구로 인해 존재론, 실천론, 수행법에서 중국도교와는 전혀 다른 사유체계임이 확인되었고, 역사적 연원에 서도 중국도교에 훨씬 앞서는 민족 고유 사상은, 이제 ‘한국선도’라는 올바른 이름으로 불려야 한다. 본 연구가 ‘한국도교’라는 애매한 용어에 묶여 있는 ‘한국선도’가 확실히 분리⋅자립 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심기리편(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3

        조선 도가사상 연구는 지금까지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조선시대 5권의 『노자』주석서와 2권의『장자』 주석서가 모두 임진왜란 이후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선전기의 도가사상 전개를 고찰하기 위한 1차 작업으로 개국초기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정도전의 「심기리편」과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에서 임란 이전까지 200여년 간의 사료 안에서 도가 사상에 대한 언급을 발췌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정도전과 권근은 도가를 ‘도덕이 없는 양생술의 추구’로 비판하였다. 도교와 불교의 비판 위에서 성리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조선왕조실록에서 도가는 세 가지 단계로 變容된다. 첫째는 ‘노자’를 장생의 사술, 신선의 방술, 도교의 최고 신으로 환치시켜 이단시하고 배척하는 단계이다. 둘째는 1차적인 배척의 논의에서 벗어나 도가사상의 핵심으로서의『노자』와 ‘신선술’ 및 기복신앙의 대상이 되는 ‘도교 신’인 ‘노자’와 분리해서 보려는 단계이다. 셋째 3차 논의는 『노자』의 정치술과 처세술에 대한 존숭으로 드러난다. 즉 조선 전기 도가 사상은 건국초기에서 15~16세기에 이르기까지 초기의 강력한 벽도불에서 벗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전개된다. 이러한 점은 조선 전기의 도가를 단순히 성리학의 도통관에 따른 이단논리로 해석할 수 없는 지점이다. 건국 초기의 벽이단론에서 도가에 대한 온정적 태도를 취하게 되고, 유학과 사상적으로 융합되는 처세술과 정치술을 수용하는 변화를 보인다. 즉 ‘老子’는 비도덕적인 長生不死의 탐욕을 가진 異端에서 유교국가의 처세술과 정치술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은 조선 후기로 가면 道家書에 대한 적극적 해석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Until now, the studies researching the Taoism theories of Joseon Dynasty have mainly dealt around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The reason for that was because the 5 cribs of a book Lao Tzu and the 2 crib of a book Changzi were produced after the Imjin-Year Korean-Japanese War(壬辰倭亂,Imjin Waeran). Therefore this thesis extracted the mentions about Taoism from about 200-year history records from Jeong Do-Jeon`s Theory, which w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arly days of Joseon`s foundation and the history book King Taejong`s Annals(太宗實錄) contain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analyzed the extracted historic data as the first work contemplating how the Taoism theories were developed during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drew out the findings as follows. Jeong Do-Jeon and Gwon Geun sharply criticized the Taoism for that it pursued for the techniques of longevity for oneself without moral. They tri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eo-Confucianism on the foundation criticizing the Taoism and the Buddhism. Since then, the Taoism was transformed through the 3 stages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first stage was the stage transformed ‘Lao Tzu’ as the witchcraft master of long-live, the technique of the taoist hermit and the super god in Taoism, and regarded the Taoism as heresy and excluded the Taoism. Second stage was the stage trying to see the book Lao Tzu as the core of Taoism theory separately from the ‘Hermit Witchcraft’ and the ‘Taoist gods’ the target of fortune-pursue religion beyond from the primary discussion of exclusion. Third stage was revealed as the respects on the art of politics and the art of living described in the book Lao Tzu. That is, the Taoism theorie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was developed with various spectrums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s foundation to 15~16 centuries beyond Joseon`s strong suppression against the Taoism and the Buddhism in early days. That is the point that the Taoism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can`t be simply interpreted in the neo-Confucianism. During the firs half of Joseon Dynasty, the warm attitude toward the Taoism was created differently from the attitude against suppressing it as a cult, which had been created in the early days of Josen`s foundation, and there appeared the changes accepting the art of living and the art of politics theoretically integrating with the Confucianism theories. That is, the book ‘Lao Tus’ became accepted as the Confucian country`s arts of living and politics from a cult book pursuing for immoral log and immortal life. Such acception is revealed as the appearance actively interpreting the books about Laoism in the latter half o Joseon Dynasty.

      • KCI등재

        도교의 생명윤리

        김태용(Kim Tae-yo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08 道敎文化硏究 Vol.28 No.-

        이 글은 도교의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이다. 동아시아 전통사상 가운데 생명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이고 농도 짙게 발전시킨 것은 도교이다. 생명중심의 종교인 도교철학은 ‘勸善成仙’을 주제로 한다. 생명의 존재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도교의 ‘勸善成仙’적 윤리학의 출발점이 된다. 도교의 생명문제에 대한 해결은 신선이 되는 것이다. 도교는 인간의 노력으로 ‘죽음’을 극복하고 ‘불사’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생명을 수련하거나 혹은 내단 혹은 외단을 단련하는 것 이외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도덕적으로 선을 행하고 공덕을 세워 자신의 죄악을 씻어 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철학과 윤리학이 접합이 되어 또 다른 성격의 생명윤리학을 형성한다. 도교의 생명윤리이론을 응용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도교생명윤리의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다. 도교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타율적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식 아래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주체적 능동적 존재이다. 자신의 夭와 壽는 하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체자아의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둘째, 선행원칙이다. 도교는 순박진실하고 선행이 실천되는 도덕적 이상사회를 지향한다. 이러한 도덕이상은 타인을 이롭게 하고 돕는 것을 인생의 즐거움으로 여기며 죄인도 관용과 柔和함으로 대해서 죄를 씻고 선행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은 바로 불로장생으로 이어진다. 셋째, 악행금지의 원칙이다. 도교에서 재물이 있는 자나 도가 있는 자는 빈궁한 자나 부덕한 자를 구제하고 교화해야 한다. 만약 빈궁한 자의 재산을 빼앗거나 부덕한 자를 기만하는 악행을 한다면 죄를 얻고 요절하게 된다. 넷째, 생명존중의 원칙이다. 도교의 궁극적 목적은 생명의 영원한 보존에 있다. 만물가운데 인간의 생명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선 가운데 장수가 가장 으뜸이다. 그러므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은 그 무엇보다 존중한다. 도교에서 자율성 존중 원칙은 생명 존중 원칙이라는 큰 틀 안에 갇힌다. 왜냐하면 도교라는 종교는 생명의 현세 지속성을 최고 가치로 여기기 때문이다. 도교는 개체 생명의 보호와 양육을 중시하고 장생불사를 인생에서 추구할 최고목적으로 여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제가 필요하다. 그것은 바로 모든 인간은 타율적 존재가 아니라 자율적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주재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이 신념이 ‘我命在我’ 즉 인간 자율성 존중의 원칙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적 원칙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교의 생명윤리이론은 기타 원리보다 생명 존중 원리를 상위개념으로 놓고 윤리적 해답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도덕이론을 구체적인 도덕문제에 적용시키는 하향적 접근법이다. This is to study on Bioethics of Taoism. Taoism is the most comprehensive thought in the traditional thoughts of East Asia. The main idea of Taoism is quanshanchengxian, which places the life first. Solving the existence of life is the starting point of quanshanchengxian Bioethics. The answer to solve the problem of life existence is to become Taoist. In Taoism, human beings can overcome death and have eternal life. Our sins should be forgiven by leading a life in virtue morally and building up virtues in addition to cultivating life or neidan or waidan. With this basis Bioethics is formed of life philosophy and ethics. The several principles of Bioethics of Taoism can be drawn from applying Bioethics of Taoism. Firs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In Taoism human beings are independent for their lives. They do not depend on nature, but they can control themselves. That is to say, their lives depend not on god but on their own wills. Secondly,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Taoism seeks for the moral, ideal society full of virtues. In this moral ideal society the joy of life is to help other people. Therefore, we should forgive sinners and help them to lead their lives in virtue. This virtue is connected to eternal life. Thirdly, th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In Taoism people who have morality and wealth should cultivate and educate people who have immorality and live in poverty. If you deprive poor people of their property or deceive immoral people, you become a sinner and die at an early age. Finally,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The religious, ultimate goal of Taoism is to have eternal life. The human life is the most precious in all nature and the most important in virtues. Hence, all the lives including human life should be placed firs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is limited t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because Taoism as a religion considers longevity as the most significant value. Taoism sets count on protecting individual life and educating people. Longevity and eternal life are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life. To attain this goal, one assumption is necessary. That is based on the belief that all human beings can control themselves as independent creatures, not dependent. This belief is womingzaiw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From this perspective, the principle of Taoism’s respect for autonomy could be said only one of the methods to protect dignity of life. Accordingly, Bioethics of Taoism seeks out an ethical answer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takes precedence over other principles. On this basis Bioethics of Taoism is the top-down approach that applies the general moral theory to the concrete moral problems.

      • KCI등재

        ‘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석상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3 No.-

        2000년대 초반 학계에 ‘한국선도’라는 새로운 학술 개념어와 학문분야가 등장하였 다. 본고는 한국선도를 중심으로 중국도교 및 한국도교와의 상호간 개념과 영역을 비교 한 연구이다. 그간 한국의 선도문화에 대한 인식은 유교문화 내지 서구인 시각으로 규정되어 저급한 샤머니즘[巫]으로 폄훼받기 일쑤였으나,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및 연구 성과는 선도문화가 샤머니즘이 아니라 고차원적인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신선문화⋅신선사상[仙]이라는 사실 및 동북아 신선문화의 시원과 전파의 주체가 한민 족에게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근대 이후 한국선도 연구는 두 경향이 있어 왔다. 하나는 신채호 이래 한국선도가 중국도교와는 차별화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라는 주체적 입장에서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이능화 이래 한국선도를 한국도교의 범주 속에 포함시켜 연구하는 입장이었 다. 전자에 비해 후자가 양적으로는 학계의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전자의 학풍을 계승하고자 하는 선학들의 연구가 이어져 왔고 이에 힘입어 ‘한국선 도’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선도는 기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 및 철학(사상), 역사 등을 포괄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신선장생사상을 기반으로 노장 사상 및 유교⋅불교와 여러 민간신앙의 요소들을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이다. 전자는 삼원오행론 철학을 기반으로 성통⋅공완하여 홍익인간⋅재세이화한 연후에 조천한다 는 신선문화, 곧 ‘신선공완사상’을 갖고 있다. 후자는 음양오행론 및 불로장생하여 우화 등선하려는 ‘신선장생사상’을 갖고 있다. 한국선도는 선도철학의 정수를 담은 경전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수행, 강인한 역사의식 등을 기반으로 선도사관이 형성되었 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도장이라는 방대한 경전을 갖고 있을 뿐 역사의식이 미비하고 사회적 실천의식도 없어서 도교사학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한국도교는 중국도교와 거 의 비슷하다. 2000년대 초 이래 ‘한국선도’ 학문분야가 신생하여 분립하고 있다. 한국도교는 한국 선도의 분립을 수용하지 않고 한국도교의 도장 편찬을 위해 한국선도의 경전 및 사서를 끌어안고 있다. 반면에 그간의 한국선도의 연구성과는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도 교는 한국선도 연구성과를 대범하게 인정하고 한국선도의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를 제안한다. 이유는 동북아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선도 문화를 한국선도 및 한국도교 연구자들이 상호 조화롭게 연구하여 유라시아 전역 상고 문화사가 선도적 역사의식의 관점에서 서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이 오랜 동안의 문화사대주의 특히 중화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that emerged in the early 2000’s wit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hinese Taoism. The Korean Sundo culture was hitherto viewed as being similar to Shamanism especially seen through the western lens. However,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achievements since the 1980’s are revealing that the Korean Sundo is the ShinSun (神仙) Thought which embodies a highly cultivated ways of life and a world view distinct in its qualities to shamanism and it also explains the origins of the North-east Asia ShinSun (神仙) Culture.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tendencies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Sundo since the modern era. One takes on the thoughts of Shin Chae-ho, that Korean Sundo is a thought system indigenous to Korea, distinguished from Chinese Taoism. The other follows on Lee Neung-hwa who understands Korean Sundo t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Korean Taoism. The latter has been the mainstream point of view, at least in terms of the numbers of its researchers. However, the former school has continued to thrive, culminating in the emergence of the field of ‘Korean Sundo’. Korean Sundo is an indigenous Korean system of thought that embraces the balance of the mind and the body based on training by way of the philosophy of energy (氣) that further extends to an awareness of social values and its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Taoism is a religion formed of Shinsun Long-life thought, Laotzu, combination as a Confucianism, Buddhism and various folk religion. The former is a Shinsun culture with active sense of humanitarian cause with endeavor to establish Hongik Ingan (弘益人間 People devoted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Jae Ihwa (在世理化 Creating a peaceful world) by way of Seongtong (性通 Connecting with heaven)⋅Gongwan (功完 Serving to the society) on a basis of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 Chun(天)⋅Ji(地)⋅ In(人,) doctrine. The latter, Chinese Taoism, on the other hand, has its base on Shinsun Long-life thought by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Yin and Yang, to ascend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by way of staying young and living long. Korean Sundo has also formed its way of viewing the history with emphasis on the awareness of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meditational training accompanied by the scriptures that contain the essence of Sundo philosophy. Whereas Chinese Taoism has a massive scripture, called Dojang (道藏), it lack historical consciousness or awareness to serve the society, and therefore there isn’t a branch of study in history in Taoism. Similarly, the same applies to Korean Taoism. Since the early 2000’s,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emerged and is standing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is, the Korean Taoism is embracing the scriptures and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Sundo in order to publish their own scriptures. Meanwhile, they do not accredit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We propose that the Korean Taoists should acknowledg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and that they should also study into the Chinese Taoism as a modified form of the Korean Sundo. This will enable the two fields to research more harmoniously as the Korean Taoism adopts the historical viewpoint from Korean Sundo, whereby the ancient cultural history that spread throughout Eastern Asia and Eurasian continent has its central philosophical origins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this will enable the Korean philosophers to stand on their own feet at last free of the prolonged cultural toadyism, especially Sino-centrism.

      • KCI등재

        百濟의 道敎 成立 問題에 대한 一考察

        김영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1 百濟硏究 Vol.53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Taoism(道敎) which has been the foremost issue in the study of Baekje’s Taoism. The earlier studies showed that Religious Taoism was different from Philosophical Taoism(道家). Religious Taoism was constructed on the ideological platform of Philosophical Taoism and immortalism(神仙思想), mixed with diverse ideologies and folk beliefs, and pursued the longevity and immortality(長生不死) and the pleasure(享樂) through the methods and arts(方術) and the methods of nourishing life(養生法). The earlier studies also concluded that Taoism in Baekje did not developed into a religion, based on the records in Juseo(周書), which argued there was no Taoist(道士) in Baekje. However, in Baekje, even though there was no national-level Taoistic religious fraternity, there existed a group of believers in Taoism as a religion, including Taoist trainee and the secular believers. Buddhist Temples were usually used for Taoist Temple, and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in Baekje influenced upon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Taoism in Baekje. Religious Taoism in Baekje also absorbed various techniques such as magic, charms, and medical techniques. Besides, the development of medicine in Baekje implied the development of Taoism as a religion because the medicine in Baekje used micaand apricot as medical materials, and manufactured the elixir of life(丹藥). The ritual for the god of road(道祭) and a ceremony as a memorial to a deceased person(追善供養) can be set forth evidence that would support Taoism in Baekje was established as a religion beyond the philosophy. This study also estimate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Religious Taoism in Baekje. During the 3~4th century, the ideology of Philosophical Taoism already prevailed in Baekje. Afterwards, they also imported Chinese Taoism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the East Jin(東晋) and Southern Dynasties(南朝). They might have imported the Highest Clarity(上淸, Shangqing) Sect Taoism through the frequent contacts with Liang(梁). Consequently, after the movement of capital to Woongjin, Baekje established Taoism as a religion through the import of Chinese Taoism as a philosophy upon the indigenous beliefs and the continuous contacts with Chinese Taoism. 본 논고는 백제의 도교 연구에서 기본적인 쟁점이 되었던 도교 성립 문제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존의 연구를 검토한 결과, ‘道敎’는 도가사상과 신선사상 위에 여러 가지 다양한 사상과 신앙이 섞여 사상적 기반을 형성하고, 長生不死와 享樂을 위해 方術과 養生法을 강구한다는 점에서 道家와는 차이가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도사가 없다”는 『周書』의 기록 때문에 백제에서 종교로서의 도교는 성립되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의 교단조직은 없었지만, 수련도사와 재가신자 등 도교적 종교집단의 존재는 인정할 수 있다. 또 道觀의기능은 사원이 수행하기도 했다. 백제의 토착신앙이나 불교도 백제 도교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고, 무술과 주술, 의술 등의 다양한 요소도 녹아들어가 있다. 특히 雲母ㆍ梅實 같은 약재를 사용하고, 단약을 제조했던 백제 醫藥의 발달은 도교의 발달을 시사한다. 또한 道祭나 死者에 대한 追善供養 의례와 같은 도교와 관련된 의례도 확인되므로 백제에서는 도교가 사상 차원을 뛰어넘는 종교로서 자리잡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백제의 도교가 어떤 과정을 거쳐 종교로서 자리잡게 되었는지를 추정해보았다. 3~4세기 단계에 이미 도가사상이 유행하였으며, 이후에도 동진, 남조를 거쳐 발달해온 중국의 도교를 받아들였는데, 특히 梁과의 빈번한 교류를 통해 남조에서 완성된 上淸派 도교도 수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백제의 토착신앙을 바탕으로 중국의 도가사상을 받아들이고 중국 도교에 지속적으로 접함으로써, 웅진천도 이후 종교로서의 도교를 성립시킨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중국불교의 도교 이해 고찰 - 『홍명집(弘明集)』을 중심으로

        손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6

        This paper analyzed Hong-ming-ji(弘明集 Collection on the Propagation and Clarification of Buddhism) to consider the Buddhist criticism of Taoism in the Middle Ages of China, Taoist rea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later period. Throughout Hong-ming-ji, as Dharma protection mainly aimed at Confucianism(儒家) that advocated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lmost every Buddhist activity or teaching was clearly intended to overcome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unlike such an attitude toward Confucianism, Buddhist arguments against Taoism focused on the superiority of Buddhism over Taoism. Besides, most of those arguments were concentrated in shénxiān shù(神仙術), Taoist rituals, Taoist books and doctrines seemed to be tolerated to a certain extent. As regards the thought of Hong-ming-ji, Buddhism competed with Lao-Zhuang thoughts(老莊思想) or the Xuanxue(玄學, literally “Dark Learning”). Despite various Buddhist critiques, Taoist attempted to improve its poor doctrine system and establish rituals by actively accepting Buddhist idea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various reform movements within the Taoist order. Such a historical shift of Taoism is reflected in Wei Shu(魏書, the Book of Wei), Shilao zhi (釋老志 Treatise on Buddhism and Taoism), Sui Shu (隋書), and the Preface to Taoistic Canons(道敎序) of Jingji zhi(經籍志 Bibliographical Treatise in the History of the Sui). Moreover, the Taoist order also tried to systematize complicated organization and doctrines, which had been inherited for hundreds of years. As mentioned above, the criticism of Taoism in Hong-ming-ji(弘明集) greatly stimulated the contemporary Taoism. Moreover, abundant literature data, critical arguments and writing style(文體) made Hong-ming-ji a guidebook for later Dharma protectors(護法者). In the Middle ages of China, Buddhism came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aoism and also began to show a standard pattern in criticizing Taoism and the methodology. In such a long history of Buddhism’s interaction with Taoism, Hong-ming-ji was a database for Dharma protectors. Finally, there are a few questions concerning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Taoism in Hong-ming-ji. First, Hong-ming-ji is a Dharma protective collection of treaties, which was compiled in early 6th century. The majority of those treaties are literary works(文章) of Southern dynasties(南朝). However, Hong-ming-ji contains few mentions about Taoist texts like Shangqing jing(上淸經 Scriptures of Highest Clarity) and Lingbao jing(靈寶經系 Scriptures of Numinous Treasure), both of which were completed one century earlier and influential in the south of the Yangzi river. Second, Hong-ming-ji does not introduce any divinity like Yuanshi Tianzu (元始天尊) nor era names like ‘chiming(赤明 Vermilion Brilliance)’ and ‘kaihuang (開皇 Opening Luminary)’. On the other hand, Wei Shu(魏書, the Book of Wei), Shilao zhi(釋老志 Treatise on Buddhism and Taoism) and Guang-hong-ming-ji(廣弘明集 Expanded Collection on the Propagation and Clarification), all of which were based on writings of Northern dynasties, show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Taoism of Southern dynasties. It is still unclear how Northern dynasties(北朝) obtained the in formation of Southern dynasties(南朝). This matter will be discussed in a further work. 본고는 『홍명집(弘明集)』을 통하여 위진남북조시대 중국불교의 도교에 대한 비판적 이해, 도교측의 반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유가(儒家)에 대한 태도에 비하여, 불교는 도교(道敎)에 대한 우위성을 주장하였다. 『홍명집』에서 도교에 대한 비판은 주로 내용면에서 주로 신선술(神仙術), 장생(長生)사상, 도교의례에 집중하였고, 도교 경전과 교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여유를 볼 수 있다. 『홍명집』에 나타난 도교 이해의 사상적인 면에서는 노장사상 또는 현학을 위주로 찾을 수 있었다. 한편 도교측은 불교로부터 다양한 비판을 받으면서도 특히 가장 빈약한 교리 부분에서 불교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교리체계와 의식 등을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그와 동시에 교단 내부에서 다양한 개혁운동을 하였다. 이와 같은 도교의 변화는 『위서(魏書)』 「석노지(釋老志)」,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의 ‘도교서(道敎序)’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도교측은 수백 년에 걸쳐서 번잡한 여러 계통의 제도 정리와 교리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홍명집』에 나타난 불교측의 도교 이해는 이와 같이 당시의 도교에 많은 자극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문헌자료와 비판논리 및 비판의 문체(文體) 등 후대의 호법자들에게 지남서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이후 불교는 도교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면서 동시에 도교 비판의 내용과 방법도 점점 정형화하였다. 『홍명집』은 그와 같이 오랜 기간 이루어진 불교와 도교의 교섭의 역사 속에서 호법자(護法者)에 대한 기록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고려중기 李仲若의 생애와 도교사상

        김철웅(Kim cheorung) 한국인물사연구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4 No.-

        Taoism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aoism enjoyed the greatest popularity during the Koryeo Dynasty, especially in the court and the ruling class. This paper studies the activites of Lee Jungyak, Koryeo's Taoist, and Taoism in the Koryeo Dynasty period. Lee Jungyak were very important Taoist and a bureaucrat. He and King Yejong established Bokwongung, Taoist Tample. They adopted Taoism as a part of the policy. Therefore, they expected to promote Taoism to overcome national crises and stabilize hardship of the Korgeo Dynasty. And Taoists said that the power of king was ordained by Heaven. It had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power of king. In the group of King Yejong's royal cronies, which was leaded by Han Anin, there were rising officials who had studied Confucianism and Taoism. But when Yi Jakyeom became to exercise political power as King Injong's maternal grandfather, Han Anin and Lee Jungyak were killed by him. Taoism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ree Kingdoms's Taoism succeeded Koryeo Dynasty. Koryeo's Taoism remains as a minor but significant element of Koryeo thought. And Taoist rituals were introduced into Koryeo from Song China, especially under King Yejong. Several Song emperors, most notably Huizong, were active in promoting Taoism. Song's Taoism arrived in Koryeo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Emperor Huizong sent the Taoist preacher to the Koryeo Dynasty. Therefore, Lee Jungyak and King Yejong built Bokwongung, tample of Taoists, at the Royal place in Gaegyeong from 1111 to 1112. and tried to promote Taoism. The object of worship in these rituals included most of the major and minor deities of the Taoist pantheon. Samcheong and Taeil seem to have been the most popular.

      • KCI등재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5

        본 연구는 조선후기 민간도교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민간도교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논구 하려는 것이다. 조선 후기 관제신앙이 관우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신앙이라면, 선음즐교(묘련사)와 무상단은 조직을 갖춘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妙蓮社)의 경우 ``善陰즐``은 『書經·周書』의 洪範傳에서 유래한 유학의 천관을 담고 있지만 수행의 방법으로는 보살성호(예-관세음보살)를 주문으로 수행하고, 신앙의 대상은 三聖(관제, 문창, 부우)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삼교합일적 현상을 보여준다. 임란 이후 왕실의 주도로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던 관제신앙은 민간에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조선 후기 關帝는 충과 효의 화신이면서 유 불 도의 삼교 교권을 집장하며, 생사 죄과 명운을 관장하는 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신의 위력과 가피력이 민간에 경전으로 유포되면서 관제신앙은 벽사와 구복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선음즐교 ``묘련사``는 명청대 ``白蓮社``를 모방한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는 염불을 통한 신과의 ``感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교적 엑시터시(ecstasy)의 상태에서의 降筆을 飛鸞으로 표현하였다. 飛鸞이란 扶鸞扶계라고도 하는데, 종교결사에서 경전을 만드는 방법으로,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의 강필을 의미한다. 선음즐교는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으며,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선음즐교의 난서 『濟衆甘露』의 서문을 장식한 여순양이 강림한 곳이 ``無相壇``이다. 무상단은 徐珽, 丁鶴九, 劉雲, 崔星煥이 주축이 된 독립된 교파로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의 三聖帝君을 숭배하면서 鸞書와 善書를 편찬하고 간행 보급하였다. 조선후기 민간도교 경전은 크게는 鸞書와 善書로 구분할 수 있다. 鸞書는 飛鸞時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 강필서이고, 善書는 『태상감응편』과 『공과격』같은 선행의 표준을 보여주고 권면하기 위한 책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유로 지어진 관묘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관제신앙은 구복과 벽사의 대상으로 민간에 널리 확산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에는 묘련사와 무상단이라는 구체적인 민간도교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감응``을 통한 靈性의 고양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 鸞壇道敎였다. 셋째 조선의 민간도교는 청대 민간도교의 유불도 합일과 종교결사의 조직형태 난단도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선의 민간도교 경전은 鸞書와 善書로 구분되는데, 조선에서 직접 만들어진 鸞書는 민간도교의 특징을 밝혀 줄 열쇠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n what form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has existed and discus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aspects forming the foundation of private Taoism. While Guan Yu Belief(關帝信仰)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is a folk belief focusing on Guan Yu, Seoneumjeulgyo(善陰즐敎) and Musangdan(無相壇) are religious groups with organization. In case of Seoneumjeulgyo(善陰즐敎), ``Seoneumjeul`` contains perspective of Tian(天觀) of Confucianism but the ascetic practice method is to practice by reciting the name of the Buddha and the targets of a belief are Gwanje, Munchang, Buwoo. This shows the unified phenomenon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Guan Yu Belief started at the national level led by the royal family of Chos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firmly settled in non-official circles. Guan Yu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is expressed as the incarnation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well as God controlling life, death and fate. As this divine power and empowerment were spreading as scriptures among people, Guan Yu Belief was settled as a target to defeat the evil and invoke a blessing. Seoneumjeulgyo is the religious group that imitated ``Paekryunsa(白蓮社)`` of Ming Qing time of China. Seoneumjeulgyo emphasized ``sympathy`` with God through chanting. And it expressed writing written in the state of religious ecstasy as ``Binan(飛鸞)``. Binan is also called as revelation and means to be revealed from heav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Seoneumjeulgyo pursued the state united with God through a recitation of a spell and made scriptures writt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as its central doctrine. Musangdan published and spread Nanseo(鸞書,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善書) while worshipping Sam Sung Je Kun(三聖帝君). The scriptures of Folk Taoism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Nanseo(鸞書) and Seonso(善書). Nanseo is a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 is a book to the standards of good deeds and encourage a person to do them such as Taishangganyingbian(太上感應篇) and Gonghwagyuk(功過格).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a shrine of Guan Yu built for political reasons played a central role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Second, specific private Taoist groups such as Temple Myoryonsa and Musangdan appeared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These are Nandan Taoism(鸞壇道敎) that pursued the unity of God through ``sympathy`` with God. Third, private Taoism of Choson was influenced by the unity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ith private Taoism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and religious organization form etc. Fourth, the Folk Taoism scriptures of Choson are divided into Nanseo and Seonso and Nanseo directly made in Choson is expected to be the ke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 KCI등재

        고대(古代) 일본(日本)의 도교문화(道敎文化)와 백제(百濟)

        김영심 ( Kim Youngsh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7

        본 논고에서는 일본에 道敎를 전해준 것으로 알려진 백제와 비교하면서 고대 일본의 도교문화를 검토해보고자 했다. 백제와 고대 일본에서 道敎가 종교로서 기능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유물·유적 속에 남아 있는 道敎文化와 道敎的 信仰 및 儀禮, 習俗 등은 종교로서의 도교를 상정하지 않고서는 이해가 곤란하다. 본고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 도교가 전해진 과정을 역사적으로 접근하여, 백제로부터의 전래가 전적이지는 않았을지라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했다. 백제로부터 醫博士·採藥師, 易博士, 呪禁師 등이 들어오기 시작한 6세기 중 후반부터 8세기 전반까지는 도교적 요소가 일본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天武天皇의 행적은 단지 神祇제도나 불교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長屋王의 變이후 율령국가체제에서 도교를 배척하는 정책이 취해지면서 점차 위축되어갔지만, 8세기대까지도 左道 내지 小道로서 영향력이 남아 있었다. 일본의 도교문화 또한 백제와 유사한 범주의 도교적 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나, 그 특징 내지 드러난 양상은 사뭇 달랐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呪術文化로서 오하라에[大?]와 같은 의례가 국가적 차원에서 행해졌다는 것과 天文과 결합한 주술문화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陰陽道가 탄생한 점 등이다. 呪術木簡이나 人形이 많이 발견된 점도 특징적인데, 향후 백제지역의 발굴에서도 유사한 자료가 나올지 주목해볼 문제이다. 도교문화는 神祇信仰또는 가미신앙과도, 또 불교와도 공존하면서 고대 일본인의 사유체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불교가 융성해짐에 따라 도교적 요소는 密敎나 修驗道, 陰陽道, 神道 등에 흡수되거나, 민간습속의 형태로 남게 되었지만, 변용된 모습으로나마 그 명맥은 계속 이어졌다. 특히 도교의 呪術文化는 여러 사상체계나 종교에 흡수되어 들어가면서 오늘날까지도 일본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Taoist culture of ancient Japa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at of Baekje. Though the Taoism in Baekje and ancient Japan may not be categorized as religion, the evidences such as ruins and relics which showed Taoist culture and faith, rituals, and folkway made us to guess the existence of Taoism as a religion. This study showed that Baekje played the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aoist Culture in Japan through the review of acquaintance with Taoism. From the middle and late part of 6th century to earlypart of 8th century, in which Taoism started to flow into Japan from Baekje in the shape of medical expert(醫博士) expert in taking herbal medicine(採藥師), specialist in the science of divination(易博士), incantation magician(呪禁師), Taoism might made a conspicuous effects on the Japanese society. A lot of events Tenmu Tenno(天武天皇) initiated, however not being understood under the tradition of Jingi(神祇) system or Buddhism, can be regarded as evidences for supporting the prevalence of Taois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revolt of King Nagaya(長屋), as the Japan adopted the statue system for governing state, Taoism started to reduce its degree of influences, we can find the still remaining influences on Japanese society until 8th century as wrong way(左道) or byway(小道). Though the Taoism in Japan has common features with Baekje, there were their own characteristics or appearances. The most conspicuous features of Japanese Taoism was the incantation culture. Representative cases might include rituals such as Oharai[大?] sponsored by state, and also the establishment of Onmyoudo(陰陽道) which set the high value on the incantation combined with astronomy. Another feature of Japanese Taoism can be found in the excavation of many wooden tablets for incantation and puppet. If some similar artifacts in the area of Baekje can be excavated, those can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oism in Japan and Baekje. Taoist culture in Japan coexisted with belief in gods(神祇信仰) and Buddhism, and exerted great influences on the Japanese speculation system. As the Buddhism became prevalent in Japan, Taoism was absorbed by Esoteric Buddhism(密敎), Onmyoudo(陰陽道), Shugendo(修驗道), and Shinto(神道) with the remnants in the people's convention. However, Taoism's thread of existence continued in the culture of Japan. Up to now, Taoist's incantation culture has sustained their influences on the Japanese speculation system and religions, and has conveyed great implication on everyday lives of Japanese people.

      • KCI등재

        고려중기 李仲若의 생애와 도교사상

        김철웅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4 No.-

        Taoism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aoism enjoyed the greatest popularity during the Koryeo Dynasty, especially in the court and the ruling class. This paper studies the activites of Lee Jungyak, Koryeo's Taoist, and Taoism in the Koryeo Dynasty period. Lee Jungyak were very important Taoist and a bureaucrat. He and King Yejong established Bokwongung, Taoist Tample. They adopted Taoism as a part of the policy. Therefore, they expected to promote Taoism to overcome national crises and stabilize hardship of the Korgeo Dynasty. And Taoists said that the power of king was ordained by Heaven. It had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power of king. In the group of King Yejong's royal cronies, which was leaded by Han Anin, there were rising officials who had studied Confucianism and Taoism. But when Yi Jakyeom became to exercise political power as King Injong's maternal grandfather, Han Anin and Lee Jungyak were killed by him. Taoism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ree Kingdoms's Taoism succeeded Koryeo Dynasty. Koryeo's Taoism remains as a minor but significant element of Koryeo thought. And Taoist rituals were introduced into Koryeo from Song China, especially under King Yejong. Several Song emperors, most notably Huizong, were active in promoting Taoism. Song's Taoism arrived in Koryeo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Emperor Huizong sent the Taoist preacher to the Koryeo Dynasty. Therefore, Lee Jungyak and King Yejong built Bokwongung, tample of Taoists, at the Royal place in Gaegyeong from 1111 to 1112. and tried to promote Taoism. The object of worship in these rituals included most of the major and minor deities of the Taoist pantheon. Samcheong and Taeil seem to have been the most popu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