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쓰기 평가 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 분석─ 쓰기 평가 수업 경험을 중심으로

        가은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promote the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writing assessment expertise of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analyze it, 85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nd given interviews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level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level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very low. Second, the gender gap in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s not significant. Third, when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on experience in writing assessment classes, a significant gap is on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Fourth, pre-service Korean languag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but did not give an effort to expand it.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level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level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as follows: expanding classes related to writing assessment, supporting experience of writing assessment in teaching practice, and building a website to practice writing assessment. 이 연구는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의 수준을탐색하여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을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예비 국어교사 85명을 대상으로 하여 쓰기 평가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을 측정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국어교사들의 쓰기 평가 지식과 쓰기평가 효능감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예비 국어교사들의 쓰기 평가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에서 성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셋째, 예비 국어교사들의 쓰기 평가 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은 쓰기 평가 수업 경험이 있는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예비 국어교사들은쓰기 평가 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신장하기위한 노력은 기울이지 않았다. 예비 국어교사들의 쓰기 평가 지식과 쓰기 평가 효능감을 신장하기 위해쓰기 평가와 관련한 수업을 확대하고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포함할 것, 교육실습과 연계하여 쓰기 평가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할것, 쓰기 평가를 연습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구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쓰기 평가 워크숍이 예비 교수자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7

        이 연구는 예비 교수자의 쓰기 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하나로서 쓰기 평가 워크숍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평가 워크숍은 다음 세 가지 원리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실제적 활동 수행을 중심으로 쓰기 평가 전문성의 제 요소가 단계적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했다. 둘째, 신뢰도 향상에 중점을 둔 기존의 평가자 훈련과 달리, 참여자들이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문제 모두에 주목할 것을 유도했다. 셋째, 참여자의 개별 수행과 조별 협의를 통한 수행이 상호 발전적으로 연계되도록 구성하여, 평가자들이 자신의 개별적인 평가 특성을 발견하고 이를 다른 평가자들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조력했다. 중등 교육 예비 교수자 집단을 대상으로 쓰기 평가 워크숍을 실시한 결과 다음 사항이 확인되었다. 첫째, 쓰기 평가 워크숍을 통해 예비 교수자가 구성한 <평가 준거표>의 내용 타당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특히 준거표에 나타난 ‘영역 분류의 적합성’ 및 ‘항목 선정의 적절성’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둘째, 예비 교수자 집단의 평가 결과에 나타난 평가자간 신뢰도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신뢰도 상승은 주로 상위 및 하위 글에 대한 평가 일치에 의해 발생했으며, 중위 글에 대해서는 여전히 협의 결과가 상이한 양상도 나타났다. 셋째, 쓰기 평가 워크숍을 통해 예비 교수자의 쓰기 평가 효능감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예비 교수자들은 평가 관련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고, 스스로가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를 주도할 수 있다는 긍정적 태도를 갖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writing assessment workshop as a effective program which can develop expertise of pre-service writing teachers and to navigate its effectiveness. The workshop is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First, It has to develop three elements of writing assessment expertise of participants step by step focused on their practical activities. Second, Unlike traditional rater`s training focused on improving reliability, it has induced participants to focus on bot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ssue of writing assessment. Third, It has been configured to be carried out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consultations of the participant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o it`s participants to discover their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and helped them to go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evaluators. As a result of the writing assessment workshop, the following was confirmed. First, content validity of ‘writing assessment criteria’ composed by the participants in writing assessment worksho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levated. Second, the inter-rater`s reliability shown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participants has risen sharply. Third, self-efficacy for the writing assessment of participants was improved through the workshop as a whole.

      • KCI등재후보

        쓰기 평가 연구의 주요 과제

        박영목 ( Young Mok Park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평가가 학생들의 쓰기 학습을 실제적으로 도와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의 일차적인 목적은 쓰기 영역 교수학습의 개선에 두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쓰기영역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 대한 비판적 탐색을 반영하고 허용해야 한다는 점 등을 고구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평가가 쓰기 교육의 본질에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쓰기 능력의 발달에 대한 학교와 가정과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반드시 인식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점, 쓰기활동에 내재된 복합성을 인식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공정하고 공평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학교 공동체에 그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점 등을 쓰기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쓰기 평가의 질적 개선과 제고를 위하여 시급히 연구해야 할 과제로서 쓰기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쓰기 영역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 국어과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국어과 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 기준에 관한 연구, 논술 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쓰기 평가 방법과 도구에 관한 연구, 다중 매체 시대의 쓰기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쓰기 평가 과제에 대한 연구, 쓰기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goal of all types of writing assessment is to help students become better writers. Until recently, the formal assessment of student writing has focused on the quality of students`` finished texts. However, the emphasis on writing process has produced a different approach to writing assessment. The varied approaches currently used to assess writing ability reflect the changing beliefs about how writing should be taught and how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are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writing assessment.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are writing assessment standard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standard in writing assessment, direct assessment methods of writing ability, writing assessment methods in the age of multi-literacies, writing assignments,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riting assessment. The ideal form of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dynamic, equitable, instructionally effective, technically sound, and context based.

      • KCI등재

        글쓰기 평가에서 객관-주관주의 대립과 그 함의

        정희모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is article criticizes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and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for it. In the beginning of writing assessment,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used psychometric assessment, and it chose objective and standardized methods. Therefore it has focused on reliability rather than validity since the beginning of writing education.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caused lots of problems, because it regarded reliability as very important. It put emphasis on objectivity rather than variety and creativity in writing. In addition raters thought every text had a true score, and they tried to find it through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For figuring out the true score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regarded the scoring guideline and rater training highly. New writing research provides criticism and suggests many alternatives for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First, writing research rejects objectivism and values subjectivity. Too much emphasizes on objectivism made writing education regressed ironically. The second focuses on vitalizing inter-rater’s conversation including task context in writing assessment. Lastly ranking and grading should be minimized and should be explained with words and sentences. Also this method has most educative effect than ranking in writing assessment. 이 논문은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방식의 원리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이론과 그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글쓰기 평가 방법은 초기에 심리측정학의 평가방법을 사용했다. 그래서 글쓰기 평가는 획일화, 객관화, 표준화된 평가방법을 선호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방식에서는 타당도보다 신뢰도를 중시했다. 전통적인 글쓰기 교육방법에서는 신뢰도를 중시하여 글쓰기의 특성들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글쓰기의 창조성이나 다양성보다 평가방법의 객관성이나 평가자 간 일치성을 더 중요하게 보았다. 또 텍스트마다 절대적인 점수(true score)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중요하게 보았다. 따라서 글쓰기 평가는 획일화된 시험, 표준화된 평가방식을 지향하게 되었다. 평가지침표와 평가자 훈련을 중시하게 되었고, 평가자 간 점수 차이는 평가 오류로 취급되었다.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는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몇 가지 논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평가에 주관적인 가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나지 않는 텍스트의 내면적 가치를 평가에 포함시키고자 했다. 두 번째는 과제 맥락을 평가에 포함하고 학생 및 평가자 간의 대화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올바른 평가를 위해 대상 학생을 이해하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다. 셋째 평가 등급을 최소화하고 수량 점수보다 해석학적 논평으로 평가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경쟁적인 등급 부여보다 교육적 효과가 높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의 원리로서 신뢰도와 true score를 설명하고, 글쓰기 평가에서 이런 원리가 불가능한 이유를 논증했으며, 이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대안적 평가 방법을 소개했다. 이런 논의를 통해 우리 글쓰기 교육 분야에서도 지나친 경쟁을 지양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강구하도록 애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쓰기 평가 방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 분석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이 연구는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경기 부천 지역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 8개 반 2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쓰기 평가와 관련한 주요 이론들을 고찰하여 쓰기 평가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한 후에, 이를 각각의 문항으로 개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 문항의 주요 범주로는 ‘쓰기 과목의 성격’, ‘쓰기 교육과정’, ‘쓰기 수업 및 내용’,‘쓰기 수행’을 설정하고 이와 관련한 세부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양적 연구로서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수행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분석이 활용되었다.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에 따르면, 주요 범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대체로 간접 평가 방식은 ‘쓰기 수업 및 내용’과 ‘쓰기 교육과정’에서, 직접 평가 방식은 ‘쓰기 과목의 성격’ 및 ‘쓰기 수행’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 각각 주요 범주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상관분석에 따르면, 대체로 간접 평가 방식에 비해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가 쓰기 평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범주들 간에 보다 긴밀한 영향 관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현재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는 쓰기 과목에서 주로 직접 평가보다는간접 평가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의 학교와 같이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을 대등하고 활용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은 쓰기 과목에서 간접 평가와 직접 평가가 의도하고 중요시 여기는 부분에 대해 차이를 두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 문항들이 평가 요소들 간에 보다 긴밀한 영향 관계를 반영한다는 측면은 앞으로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학생들 또한 인식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ance of student``s Cognition about indirect and direct writing assessment. I carried out a survey of 290 K-12 students that studied in Pucheon Women`s high School. I consider the existing theories of the writing assessment and test tools were manufactured. Test tools were questioned that configure the items in the writing assessment factors. The major factors is ``nature of writing subject``, ``curriculum of writing``, ``writing classes and contents``, and ``writing performance``. As quantitative research, I use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various areas. Indirect writing assessment of ``curriculum of writing`` and ``writing classes and cotents`` are higher than direct writing assessment. but direct writing assessment of ``nature of writing subject`` and ``writing performance`` are higher than indirect writing assessment. In a correlation analysis on relations of each 4 major factors about Indirect and direct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indicates that is generally highly correlated in direct writing assessment. So far school was primarily indirect writing assessment. but students recognize importance of direct writing assessment. This will be basic foundation for the activation of a direct writing assessment.

      • KCI등재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박영민 ( Young Min Park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3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은 현실적인 요구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이 글에서는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을 주요 주제로 논의 하였다.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작문평가의 문제적 국면을 국어교사 양성의 국면, 작문평가 실행의 국면, 작문 평가의 경험적 국면으로 설정하여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교사 평가전문성의 신장 방안 두 가지를 검토하였다. 하나는 국어교사의 개별적 특성에 기반을 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평가 도구 및 평가 환경 개선에 기반을 둔 것이다. 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채점의 엄격성 유지 훈련, 작문평가 효능감의 신장, 평가 과정 점검 질문의 개발 및 적용, 평가 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으며, 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평가 기준의 상세화 및 평가 척도의 적정화, 평가 예시문의 선정 및 활용, 국어교사 협의회의 운영, 작문평가 반성 전략의 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을 기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investigation into ways to promote specialit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writing assessment. Until now there is no enough academic attention to levels of the teachers` speciality of writing assessment. Then this paper is trying to speculate on the theme. First, to make a foundation of inspection, this paper explored three problematic situations as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performance of writing assessment, and experience of writing assessment. Second, this paper proposed the method of promotion the specialities two dimensions : the individual properties based, assessment tools and environment reformation based. The individual properties based way is relate into ⑴ training of stable severity on writing assessment, ⑵ upward self-efficacy of writing assessment Korean, ⑶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question strategies in processes of writing assessment, ⑷ extension of the assessment experiences of Korean teachers. The assessment tools and environment based way is related into ⑴ specification of writing rubric and mediation of the assessment scale, ⑵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anchor paper in writing assessment, ⑶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onferences for writing assessment, ⑷ reflective strategies for writing assessment improvement.

      • KCI등재

        작문 평가의 도구와 방법 개선 방향 설정

        조재윤 ( Jae Yoon Cho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3

        이 글의 목적은 현재까지의 작문 평가 도구와 방법을 되돌아보고 발전된 작문 평가를 위하여 평가 도구와 방법에 대한 개선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작문 평가는 작문 능력을 평가해야 한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작문 능력을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사용’ 범주의 상보적인 합으로 구성된다고 잠정적으로 규정하였다. 작문 평가의 목적인 학생들의 작문 성취를 돕기 위한 평가 도구의 개선 방향으로 ‘작문 상황 설정, 독자 설정, 작문 과제 설정, 정의적 능력의 평가 도구 개발, 사용 범주의 평가 도구 개발’을 설정하였다. 작문 평가 방법의 개선 방향으로는 ‘작문 평가의 기준 설정, 채점 방법 개선’을 설정하고, 채점 방법 개선 방향은 수험자에게 구체적인 채점기준 제시와 신뢰도를 높이는 측정 방법인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라쉬 모형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eek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assessment tool and method in order to look back upon a tool and a method of writing assessment, which have been formed so far, and to assess the developed writing. The writing assessment needs to be evaluated the writing ability. Thus, this writing potentially prescribed that the writing ability is synthetically formed the categories of ``cognitive ability, affective ability, and use``. Improvement directions for assessment tool for helping students` writing achievement, which is the objective of writing assessment, were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writing situation, the establishment of readers, the establishment of writing assignments,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of affective 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in the use category.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a method of writing assessment were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 writing assessment and the improvement in a scoring method. The improvement plans for a scoring method were presented the specific scoring standard and were suggested the generalizability theory and Rasch model, which are measurement methods of increasing reliability.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고찰

        오현아 ( Oh Hyeon-ah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작문 평가는 학생 필자가 작성한 텍스트를 평가하여 작문 학습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작문 평가의 주체인 평가자인 동시에 작문 평가를 통해 얻은 학생 필자와 학생 필자가 생산해낸 텍스트에 대한 평가 정보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제공자로서 교사는 학생 필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작문 평가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모색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작문 평가 연구는 학습자에게 작문 평가 결과를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분석적 평가, 총괄적 평가 이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지점에 주목해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텍스트 결과물이 빨간 펜에 의해 검열 혹은 교정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정서적인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작문 평가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후의 작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원리로, (1) 소통성의 원리, (2) 발달성의 원리, (3) 은유성의 원리, (4) 학습자 사고 촉진성의 원리(각인성의 원리), (5) 학습자 자기 주도성의 원리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한 사례로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양상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지향점과 이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이 학생 필자에게 미친 영향을 통해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물론 이러한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서는 학생 필자의 평가 결과 해석 과정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잘못된 해석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학습자가 많은 교실 상황에서는 일반화해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학습자를 배려한 새로운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이를 통해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새로운 모색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Writing assessment is a process evaluating texts composed by student writers and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writing learning. In the process, the teacher plays the role not only as an assessor who performs the evaluation but also as an information provider who provides the students with information on the student writers and the assessment of texts produced by the student writers obtained through writing assessment. Accordingly, the teacher as an information provider needs to make methodological research on how to present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effectively to student wri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ssessment have not gone beyond analytical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concerning how to present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to learners. Taking note of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five principles for the learner centered present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aiming that learners may understand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fully and utilize them in subsequent writing without emotional discomfort from the feeling that their writings are censored or corrected by a red pen. The five principles suggested are: (1) principle of communications (2) principle of development; (3) principle of metaphor, (4) principle of learner’s thinking promotion; and (5) principle of learner’s self-direction. In addition, as a case of learner centered present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we suggested a pattern for the metaphoric presentation of assessment results,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metaphoric presentation by examining its objectives as well as its effects on student writers. Of course, the metaphoric presentation of assessment results also require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ssessment results of student writers and there can be misinterpretations in the process. Moreover, the presentat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applying to a clas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new learner centered methods of presenting writing assessment results and discussed their potential.

      • KCI등재

        대단위 쓰기 평가 설계를 위한 평가 체제 검토 -SAT essay와 GRE Analytical Writing을 중심으로-

        오규설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6

        대단위 쓰기 평가는 교실 쓰기 평가와 대별되어 특정 규모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를 말한다. 서논술형 평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해지는 가운데, 타당도와 신뢰도, 공정성을 확보한 대단위 쓰기 평가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평가틀의 관점에서 대학 이상 기관의 선발 시험에서 시행한 대단위 쓰기 평가 체제를 검토하여 대단위 쓰기 평가의 체제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SAT와 GRE의 쓰기 평가 체제와 개발 과정을 검토하여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단위 쓰기 평가의 설계를 위해 증거 중심 설계와 평가 공학적 접근의 활용 방안, 다양한 심리측정학적 접근 방법을 활용한 대단위 쓰기 평가 설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고, 공정성 확보를 위한 실질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differentiate from classroom writing assessments as they are a direct assessment method targeting a significant number of learners. With the increasing societal demand for essay type assessments, systematic research must precede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ensuring validity, reliability, and fairnes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assessment systems of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administered in college-level selection exams, extract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framework. In pursuit of this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writing assessment system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United States' SAT and GRE. For the design of the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this study proposed research methods utilizing evidence-centered design, assessment engineering approaches, and various psychometric approaches. It also discussed practical alternatives to secure fairnes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진단평가의 실제와 수업 적용 사례 - 비대면/대면 수업의 피드백을 중심으로

        배혜진,전은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diagnostic assessment can lead to effective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actual cases that ran non-face-to-face/face-to-face writing curricula using th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developed by K University. K University has diagnosed and assessed basic writing abilities of freshmen through a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targeting freshmen since the first semester of 2020. According to th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2020, “spacing” got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llowed by “spelling,” “sentence,” “summary, thesis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It was found that students lacked an understanding of basic writing concepts, such as “summary, thesis 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compared to language norms, and failed to apply these to writing. One-tim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has no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K University systematized writing lessons, based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results to motivate students.They then provided feedback about each item(spacing, spelling, sentence, summary, thesis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for students to improve writing skills on their own. Lastly, they managed divers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an item pool, apost-diagnostic assessment, and a writing clinic so students could improve basic abilities by on their own and become confident about writing.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서 개발한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비대면/대면 글쓰기 교과목을 운영한 사례를 통해 진단평가가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K대학교에서는 2020학년도 1학기부터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신입생들의 글쓰기 기초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였다. 2020학년도 1, 2학기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띄어쓰기 > 맞춤법 > 문장 > 개요, 주제문, 문단 > 어휘’ 순서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어문규범에 비해 ‘개요, 주제문, 문단, 어휘’와 같은 글쓰기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글쓰기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일회성으로 시행하는 것은 교육적 효과가 없다. 따라서 K대학교에서는 먼저,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글쓰기 수업을체계화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각 항목별(띄어쓰기, 맞춤법, 문장, 개요, 주제문, 문단, 어휘) 피드백을 진행하여 학생들 스스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 은행, 사후 진단평가, 글쓰기 클리닉 등 다양한 교과/비교과 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 스스로 기초 능력을 향상시키고 글쓰기에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