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PEG-21 프레임워크 기반의 REL 및 RDD 웹서비스 시스템

        윤화묵,조태범,정회경,Yoon Haw-Mook,Cho Tae-Beom,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5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에서는 저작권 언어인 REL(Right Expression Language)과 REL의 능동적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용어사전인 RDD(Right Data Dictionary)에 대한 표준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REL의 저작은 MPEG-21 프레임워크를 이해해야 저작이 가능하다는 어려움이 있어 보다 쉬운 저작 시스템이 요구되며 저작된 문서를 분석 처리하는 소비 시스템과 REL 및 RDD를 연동하는 RDD 연동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EL 문서를 저작 할 수 있는 저작 시스템과 저작된 문서를 분석 처리하는 소비 시스템 그리고 웹서비스 기반에서 권한 질의를 처리하는 RDD 웹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The standardization on RDD and REL has been developed by MPEG. REL is a Right Expression Language and RDD is term dictionary which develop active application of REL. However, since REL documents could be oかy edited by user understanding MPEG-21's framework, much easier editing system is required. As well, REL Consumption System to process and analyze REL documents, the RDD interoperability system to interoperate REL and RDD are needed. In this paper, REL Editing System and REL Consumption System, RDD Web Services System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REL Editing System to make REL document, REL Consumption System to process and analyze edited documents, RDD Web Services System to process rights inquiry base on the Web Services.

      • KCI등재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연구.개발.보급(RDD) 체제에 관한 고찰

        정영근(Yong-keun Jeong),민용성(Yong-seong Min),이병천(Byeong-cheon Lee),권점례(Jeom-rae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고는 향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보급(RDD) 체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연구⋅개발⋅보급 모형의 사적 배경과 우리나라 실제 탐색, 주요국(핀란드, 영국, 호주) 사례 비교⋅분석, 교사와 교육청 교육전문직 1,603명 대상의 설문조사, 교육 관계자 9명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결과 우리나라는 교육과정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와 교육과정 RDD 체제의 선형적 과정을 형성하고 있어 향후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변화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 하에 분산적 거버넌스를 형성한 주요국의 경우 모두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과 교육과정 RDD의 선형적 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역동적인 체제를 갖추고 있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에서 교육과정 연구⋅개발 과정에 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층위의 참여 필요성에 대한 강한 인식이 나타나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에 대한 변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전달 연수 및 교과서 의존, 연차 적용 등에서 보이는 문제점은 교육과정의 확정⋅고시 이후 착수되는 보급⋅적용 방식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화 요구도 높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RDD 체제로의 변화를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향후 검토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대응과 관련하여, 첫째 전문가 위주의 연구⋅개발진 구도 개선과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층위의 참여 확대가 가능한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개발진’과 ‘교육과정 실행 지원 자료 개발진’, ‘교육과정 검토⋅자문진’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보급⋅적용의 적시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소유자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종래의 ‘연구⋅개발’과 ‘보급⋅적용’을 일원화하여 교육과정 RDD 절차의 선형적 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의존적인 교육과정 연차 보급⋅적용과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defusion (RDD)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response to changes in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future. Method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DD model was analyzed and R&D cases in Korea and major countries (Finland, UK, Australia) were compared, and a survey of 1,603 participants with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was analyzed. An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with 9 participants, and their perception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since the curriculum R&D system of Korea has been based on a single team and a linear process of curriculum R&D system, changes are required in response to distributed governance in the future. Second, the R&D cases of countrie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formed distributed governanc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a more dynamic system, breaking away from the linear process of multiple organizations of curriculum RDD. Third,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the curriculum R&D process, indicating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change from the single R&D single team system. Fourth, the problems seen in teacher training program, dependence on textbooks, and sequential application of curriculum by year are largely due to the current R&D system that is initiated after the confirmation and proclamation of the curriculum, so there are also considerable demands for change. Conclusions First,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expert-oriented R&D team should be changed through exploring multiple R&D organizations that can expand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particular including teachers. In this regard, various team composition for curriculum R&D was proposed in this study. Second, we need to improve the linear process of the curriculum RDD process by unifying the conven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diffusion and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timeliness of the curriculum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and teachers curriculum ownership. Thir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 transition to a free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in order to overcoming sequential application by year of the textbook-dependent curriculum and responding to distributed governance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연구논문 : 임의번호걸기와 시간균형할당표집에 의한 전화조사의 주요결과

        허명회 ( M. H. Huh ),한상태 ( S. T. Han ),김지연 ( J. Y. Kim ),성은하 ( E. H. Sung ),강현철 ( H. K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1 조사연구 Vol.12 No.2

        최근 우리나라의 전화조사가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벗어나 임의번호걸기(RDD)로 이행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전화조사가 지역·성·나이대 할당표집으로 수행되므로 이로 인해 재택성향이 큰 사회적 계층에 편중되기 쉽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시간균형할당표집이 제안된 바 있었으나 실증적 조사는 이제까지 부재하였다(허명회·황진모 2006). 이 연구는 TV시청환경에 대한 조사를 RDD와 통상적인 할당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와 RDD와 시간균형할당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Korean telephone surveys have been based on telephone directory and thus criticized for considerable under-coverage. Now, Korean survey institutions progress to random digit dialing (RDD) very actively. But still most surveys are administered by quota sampling, prone to assign heavier weights to social classes with more hours staying indoor. As a practical remedy, time-balanced quota sampling scheme was proposed by Huh and Hwang (2006). This study compares two telephone surveys on TV audience environment in Korea: RDD with conventional quota sampling versus RDD with time-balanced quota sampling.

      • KCI등재

        교육과정 개발 정책으로서의 SBCD 등장의 사적 배경과 성립에 관한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발론 및 개발 실제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SBCD의 등장 시점 전후로 다루어진 교육과정 개발 문제를 검토하여 SBCD의 등장과 성립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BCD의 등장 배경이 되었던 1960년대의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 SBCD의 등장과 보급에 대한 국제적 역할을 수행했던 OECD의 활동, SBCD의 정책적 도입과 보급이 비교적 명확했던 영국과 호주의 상황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BCD는 60년대의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교육투자론과 중앙집권화를 초래한 교육계획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SBCD는 60년대의 중앙집권화된 교육정책에서 취한 교육과정의 RDD 접근 및 중앙-주변 접근의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다. 둘째, SBCD의 등장과 성립 과정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파악된다. 하나는 70년대 초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 각국의 교육정책 변화이고, 또 다른 하나는 CERI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 논의 및 보급이다. 특히 CERI는 1968년에 설립된 후 교육과정의 RDD에 대응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접근을 세미나 및 회의, 연구회 등을 통해 모색하고, 1973년 콜레인 세미나에서 공식적으로 SBCD를 제창하기에 이르렀다. 셋째, SBCD의 아이디어 자체는 교육과정 개발에의 교사 참여를 핵심으로 한 풀뿌리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이 등장한 배경에는 교육정책의 변화가 있었고, 60년대의 교육과정 RDD의 대안으로 등장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earance and formation of SBCD(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examining the problems concerning curriculum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investigated the policies regarding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1960's, which were the backgrounds of the emergence of SBCD. I also examined some of OECD activities which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advent and dissemination of SBCD and investigated the SBCD cases in the U.K. and Australi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SBCD came out of the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Investment in Education for backing up 60's economic growth and Educational Planning which caused the centralization of education. Besides, it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the RDD and the Center-Periphery model taken from the educational policies for centralization. Second,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SBCD can be traced to the following two directions. One was the changes of educational policies centering around OECD countries in 1970's. The other was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and dissemination of SBCD carried out by OECD/CERI. Especially CERI founded in 1968 had explored an alternative curriculum approach to the RDD model through numerous seminars, conferences and researches, and finally made an official announcement of SBCD at the Coleraine seminar in 1973. Third, the idea of SBCD itself came from a grass root movement which was characterized by enlarging teacher’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However, its formation have been mainly backed up the changes of educational policies. Therefore, although the substantial idea of SBCD is school’s an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it’s linkage with educational policy must be kept in mi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SBCD ideal.

      • KCI등재

        공적 감시기관에 의한 제3자 등급평가와 비영리조직의 행동

        육근효 한국공인회계사회 202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2 No.4

        This article empirically examines how third-party ratings by watchdog agencies affects the future accounting policies and accountability (transparency, etc.) of NPOs, using the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RDD) approach. We investigate 381 non-profits rated by watchdog agencies (GuideStar in Korea) for the period 2015-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atings and star ratings for the current perio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xt period’s ratings(accountability and financial rating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gram expense ratio increases with the ratings, but fundraising and administration expenditure decreases with the ratings. Also, with the higher rated nonprofits tend to receive higher non-financial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score as compared to the lower rated ones. Second, with a RD(regression discontinuity) framework that exploits the threshold values of the overall ratings, We identify that a one star increase from 2 to 3 stars (around the threshold, 90 points) is associated with a 15.9% increase in the amount of program expenses. For nonprofits that are around 1 or 2 star cutoffs, there is no evidence of a discrete jump in the amount of fundraising and administration expenses around the threshold levels of the third-party ratings. Third, for large nonprofits that are slightly below the 3 star threshold rating, a one star increase has significant impact on the amount of program expens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a one star increase in star ratings on fundraising and administration expenses by large nonprofits is negative or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documen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screte change in non-financial indicator(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t the threshold star ratings, except a one star increase from 2 to 3 stars in large organizat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NPOs with lower ratings (score) for the current period are more likely to change their financial indicators to match the rating system and/or decisions by the watchdog agencies to improve their rating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NPO managers take a strategy to maintain a high rating (score) or rise to a high rating, which is advantageous for judgment through accounting indicator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manipulate, but it is hard to find improvement efforts through practical management efficiency. We believe that this study should cause debate about whether rating agencies contribute to creating an efficient charitable market or are unintentionally driving improper use of discretion in financial and non-financial reporting practic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valuation index and method so that good grades (ratings) are given only through efforts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For example, when conducting a rating evaluation, it may be an alternative to evaluate the NPOs by size or by industry type, and it is desirable for regulators to provide reasonable guidance on allocating costs to improve the problem that NPOs receive high ratings by using their discretion to allocate costs abnormally. 본 연구에서는 공적 감시기관(watchdog)에 의한 제3자 등급평가가 미래의 NPO의 회계정책과 설명책임에 관한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회귀불연속설계(RDD: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접근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최소제곱법(OLS) 분석 결과를 보면 당기의 NPO에 부여한 제3자 등급(평점)이 차기의 등급과 평점(책무성과 재무적 평점)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당기의 NPO에 대한 평점이 차기의 NPO가 수행한 프로그램비용의 증대로 이어졌으며 후원금을 조성(모금)하거나 내부관리를 위해 사용된 비용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NPO에 대한 평점이 차기의 NPO가 수행한 비재무적 활동(보고의무, 조직구성)에는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별 등급의 효과를 RDD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NPO 경영자는 전체표본의 경우 임계값(평점 90점) 주위에서 별 2개에서 3개로 하나의 별 등급 증가는 프로그램비용의 15.9% 증가로 이어졌으나 이 효과는 10% 유의수준에서 미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별 등급 1개에서 2개, 2개에서 3개로 증가하는 경우 모두 임계점에서 관리비용과 모금비용의 변동(jump)은 일어나지 않았다. 셋째 조직규모별 분석결과를 보면 회계변수의 조정과 관련해서는 대규모 조직에서 별 2개 등급이 별 3개 등급으로 상승한 경우에만 프로그램비용이 큰 변화(상승)를 가져와 소위 등급 간 절벽효과(cliff effect)가 나타났다. 반면에 관리비용과 모금비용은 유의한 감소로 이어지지 않았다. 비재무적 지표와 관련해서는 역시 대규모 조직에서 별 2개 등급이 별 3개 등급으로 상승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규모에 관계없이 유의적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NPO경영자들이 가능한 높은 등급을 부여받기 위해 상대적으로 조정이 용이한 지표(특히 회계지표)를 통해 판정에 유리하도록 하는 전략을 취하지만, 실질적인 경영효율화를 통한 개선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경영효율화 노력을 기울여야만 양호한 등급(평점)이 부여되도록 평가지표와 방법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무선 RDD 전화조사의 타당성 검토 연구: 18대 대통령선거 사례 연구

        장덕현 ( Deok Hyun Jang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선거조사에서 무선 RDD 전화조사의 정밀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갤럽에서 시행한 다섯 차례의 무선 RDD 전화조사의 조사결과가 그 평균값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 변동성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록 확률표집을 가정했을 경우의 표집오차보다 변동 정도가 컸지만 관심 변수의 차이를 유발할 정도는 아니었다. 따라서 무선전화 번호를 무작위 추출해서 실시하는 무선 RDD 전화조사의 정밀성 정도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할당 및 통제 변수들과 관심 변수 간의 상관성을 보면 거주지역, 성/연령대, 원적, 총선투표정당과 지지정당, 지지후보 간의 상관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1위와 2위 후보 간의 득표율 차이가 불과 1~2% 포인트도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정확성 정도를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조사결과와 투표결과와의 차이를 직접 비교하지 않고, 정밀성 정도와 모델의 설명력을 구함으로써 조사의 오류가 어느 부분에서 발생하는가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cision of mobile RDD phone survey methodology in election poll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gathered by Gallup Korea before last year`s presidential election. The level of precision measured by the Chi-square revealed that actual precision was less than ideal, but the variability did not affect the variables of our interest. We also tri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ota and control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f this relationship is strongly positive, then the survey results will be accurate even though some of the random sampling procedures were not kept.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ut it was not big enough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This is because the gap between the 1st and 2nd candidates was so small. More research is neede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and control variables.

      • KCI등재

        행정학 및 정책학 연구에서의 회귀단절 설계의 활용 가능성 탐구

        한승훈,안혜선 한국국정관리학회 2019 현대사회와 행정 Vol.29 No.1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RDD) in order to prompt causal inference studies in the field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RDD recently gains popularity in social science as a natural experiment that is useful for causal inference, in that it estimates an non-experimental but as-if-random effect that would be close to any experimental effect derived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he paper sections explain the basic principles, necessary assumptions, identification strategies, and the modeling methods in RDD, in addition to the comparison of sharp and fuzzy RDD types. At the end, the authors show the current underutilization of RDD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fields in Korea, and they provide an issue checklist that would be useful for those who want to apply RDD to their studies. 본 논문에서는 행정학 및 정책학에서 인과적 추론을 이용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촉진하고자, 인과효과를 추정하는 데 있어서 비실험적 상황의 관측 자료를 사용함에도 자연실험으로서 무작위배정실험과 가까운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회귀단절 설계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회귀단절 설계의 기본 원리와 필요한 가정들과 식별전략을 살펴보고, 회귀모형을 이용한 모형화의 방법들을 소개하며, 회귀단절 설계의 종류로서 계단형 회귀단절과 경사형 회귀단절을 비교하고자 한다. 아울러 한국 행정학 및 정책학 영역에서 회귀단절 설계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매우 드물게 사용되고 있음을 보이며, 앞으로 회귀단절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연구자들을 위하여 반드시 확인해보아야 할 사항 또는 쟁점들의 체크 리스트를 제시한다.

      • KCI등재

        RDD 전화여론조사의 무응답 편향 보정방법: 2014년 지방선거 여론조사 사례연구

        장덕현,이계오,홍영택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spondents and nonrespondents of local election telephone survey in 2014 and attempt to adjust the nonresponse bias. Database of previous RDD telephone survey respondents was used as the sampling frame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tendency(president approval, party support) are were checked in advance. First, the chi-square test result shows difference in age and party support, etc. The response rate was higher in the older generation and failure in connection was high in younger generation among 20s. In case of party support, political independents were reduced and others are not. The result can be considered as not responding by people who are indifferent to politics. Second, the influence of age and party support in Seoul was significant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it represents difference of political interest rather than those of supporting parties. Party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 Gyeong-gi. Finally, the nonresponse adjustment which was applied by estimated response probability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weighted and unweighted in Seoul. In Gyeong-gi, nonresponse adjustment increased bias compared to the weighted by gender/age voters size. This study found that age group and party supporting tendencyhave a big impact on survey response or rejection. But the non- response adjustment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t result, an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 was discussed further.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지방선거 여론조사 사례를 통해 전화조사의 응답자와 무응답자 간의 성향 차이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무응답편향의 보정을 시도했다. 기존 RDD 전화조사의 응답자 D/B를 표본추출틀로 활용했으며, 응답 대상자의 인구특성 및 정치적 성향(대통령 국정평가, 정당지지도) 등의 사전 정보를 이용했다. 먼저, 카이제곱검정 결과 연령대와 정당지지도 등에서 응답자와 무응답자 간에 차이가 있었다. 고연령대에서 응답률이 높았고, 20대 저연령대에서 연결실패가 많았다. 정당지지도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에는 무당층이 전반적으로 적고 정당 지지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이는 정치 비관심층이 응답하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연령대의 영향력이 유의했으며, 서울시에서 정당지지도가 유의했지만 주로 지지 정당에 따른 차이보다는 정치적 관심도를 반영한 차이였다. 경기도에서는 정당지지도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추정된 응답확률로 무응답 보정한 결과 서울시의 경우 가중 적용의 전후 차이가 없었으나, 경기도의 경우 성/연령대별 투표자 크기 가중에 비해 무응답 보정이 오히려 편향을 증대시켰다. 본 연구는 연령대와 정당지지 성향이 전화조사의 응답 여부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무응답 보정의 결과는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따라서 그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조사동향 : 유,무선전화 병행조사에 대한 연구;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여론조사 사례

        이경택 ( Kyoung Taeg Lee ),이화정 ( Hwa Jeong Lee ),현경보 ( Kyung Bo Hyu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1

        국내 선거여론조사에서 면접대상인 가구(또는 개인)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유선전화 전화번호부 또는 임의번호걸기(RDD)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선전화를 보유하지 않은 가구가 늘어나고 있고, 유선전화가 있더라도 전화번호부 등재를 꺼리는 가구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또한 젊은 층이나 직장인의 경우 여론조사가 실시되는 낮 시간대에 주로 외부에서 활동하므로 유선전화를 통한 접촉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들로 인하여 선거 여론조사의 예측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조사시간대에 주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낮은 접근성은 보수 성향 후보에게 긍정적인 예측결과를 내놓는 편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이동전화를 함께 활용하는 조사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낮 시간대 재택성향이 높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유선전화를 활용한 조사를 수행하고, 부재성향이 높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이동전화조사를 수행한 후, 두 결과를 혼합하는 방식(유·무선전화 병행조사)이다. 유 무선전 집틀 이 확보되어야 하고, 2)유선전화와 이동전화로 조사할 비중을 사전에 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 무선전화 병행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경험적(heuristic)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유선전화조사를 위해 임의번호걸기 방식을 이용하고, 이동전화조사를 위해 조사회사에서 모집한 조사패널을 활용한다. 또한, 유선전화와 이동전화로 조사할 표본의 비중은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이용해서 계산한 재택율과 부재율을 활용한다. 제안된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회의 여론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처음 3회의 조사는 판세분석용 조사이고, 최종 조사는 선거결과 예측용 조사이다. 판세분석조사의 경우 조사시점에 발생된 이슈에 대한 반응이 타당성 있게 조사되었고, 선거예측조사의 경우 실제 선거결과에 매우 근접한 예측능력을 보였다. Korean telephone surveys have been based on landline telephone directory or RDD(Random Digit Dialing) method. These days,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the households with no landline, or households with the line but not willing to register in the directory. Moreover, it is hard to contact young people or office workers who are usually staying out of home in the daytime. Due to these issues above, the predictability of election polls gets weaker. Especially, low accessibility to those who stay out of home when the poll`s done, results in predictions with positive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sm. A solution to resolve this problem is to contact respondents by using both mobile and landline phones-via landline phone to those who are at home and via mobile phone to those who are out of home in the daytime(Mixed Mode Survey, hereafter MMS). To conduct MMS, 1) we need to obtain the sampling frames for the landline and mobile surveys, and 2) we need to decide the proportion of sample size of both. In this paper, we propose a heuristic method for conducting MMS. The method uses RDD for the landline phone survey, and the access panel list for the mobile phone survey. The proportion of sample sizes between landline and mobile phone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Lifestyle and Time Use Study``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As a case study, 4 election polls were conducted in the periods of the special election for the mayor of Seoul on Oct 26th, 2011. From the initial 3 polls, reactions and responses regarding the issues raised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appropriately covered, and the final poll showed a very close prediction to the real election result.

      • KCI등재

        코로나19가 중등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은,이수영,곽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ausal effect of replacing face-to-face classroom classes with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in school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and degree of ICT utilization. To this end, teacher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were used. For the middle school teacher data, the data of the 1st grade panel in middle school and the 4th grade panel in elementary school were used. For the high school teacher data, the data of the 1st grade panel in high school and the 1st grade panel in middle school were used. The analysis was done as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RD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female teachers had a higher degree of ICT utilization than male teachers, and the longer the teaching experience of secondary teachers, the lower the average value of ICT utilization ability and degree of ICT utilization. Second, when examining the yearly trends of secondary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and degree of ICT utilization, the average value of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20. Third, COVID-19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and degree of ICT utilization. Finally,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policy suggestions that can enhance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and degree of ICT utiliz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하여 학교의 대면 교실수업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대체된 것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활용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불연속설계(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RDD)를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중1 패널의 제1차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제3차년도(중학교 3학년)까지의 교사 자료와 초4 패널의 제4차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제6차년도(중학교 3학년)까지의 교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고등학교 교사 자료를 위해 고1 패널의 제1차년도(고등학교 1학년)부터 제3차년도(고등학교 3학년)까지와 중1 패널의 제4차년도(고등학교 1학년)부터 제6차년도(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교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학교 교사는 3,679명, 고등학교 교사는 3,248명을 대상으로 회귀불연속설계(RDD)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 중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ICT 활용 정도가 높았으며, 교직경력이 길수록 ICT 활용 능력과 ICT 활용 정도 평균값이 낮아졌다. 둘째, 중등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활용 정도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았을 때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모두 2020년 이후 평균값이 크게 높아졌다. 셋째, 코로나19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활용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활용 정도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