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의 범죄피해자보호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박봉진(Park Bong-Jin) 한국법학회 2011 법학연구 Vol.42 No.-

        그 동안 가해자의 인권을 강조해 온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수사에서 재판에 이르는 형사사법의 절차에서 범죄피해를 입은 피해자의 인권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경찰에서는 그동안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던 범죄피해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 방안 등에 관하여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각종 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경찰청에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등 적극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ㆍ사회적 또는 정신적ㆍ심리적 지원이 수사기관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사기관에서도 경찰수사의 단계는 범죄피해자가 최초로 접하게 되는 형사 절차의 과정으로 피해자의 육체적ㆍ심리적 충격이 가장 큰 단계이기 때문에 피해자보호에 있어서 경찰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범죄와 관련된 1차적ㆍ2차적 피해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정당화 할 수 있는 적합한 이론을 도출하고, 아울러 바람직한 경찰의 범죄피해자보호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권리와 이익을 존중하고 수사절차에서 이중의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피해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한편 피해자가 신속히 사회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사회 각 분야의 지원체계를 연결함으로써 경제적ㆍ정신적으로 지원하고 형사절차상 권리와 이익을 존중함으로써 피해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와 사회의 의무이자 경찰의 의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aradigm shift of crime victims protection in police. By analyzing and finding the problems of victim protection system of the polic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victim protection system as the center to search for the protect measures. We try to protect and support the crime victims in the investigative institutions and the support centers for crime victims, but these systems are not firmly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s the criminal investigation stage is generally the gate to criminal procedures which the victim may encounter first with biggest physical and psychological shocks, the role of the police is very important in victim protec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reactions to the crime-victim protections by the police as mechanisms of Criminal Justice System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victi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an improvement scheme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rime victim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theories on the crime victimization of social minority owing to social power inequality. The postmodernism criminal theory are adequate to explain the crime victimization of social minority. For crime victims protection in police, we must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rime victims protection in police, and to improve them.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ently on going protection plans of the police for the criminal victims and a variety of systems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criminal victims.

      • KCI등재

        경제안보 패러다임 하에서 한일간 협력 강화의 중요성 고찰

        이홍배(Hong-Bae Lee) 한일경상학회 2024 韓日經商論集 Vol.102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back on Korea-Japan economic relations in the wake of the recent improvement in Korea-Japan relations, and to conside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a trade environment where economic security and protectionism are spread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first reviews recent studies similar to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n examines changes in the world economic order and global trad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the economic security paradigm. Based on this, we analyze the challenges facing Korea and Japan, and then consider why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s important and necessary under the current trade environment where protectionism is rampant. The analysis method uses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Korea-Japan trade statistic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Japan exports and imports, the effects of the Korea-Japan FTA within RCEP, and the ripple effects of the expansion of Korea-Japan cooperation. Result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suggests that building a strong cooperative relationship at the present time, as it has in the past, will bring about mutual benefit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need for active response through multilateral cooper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such as RCEP and IPEF, and not limited to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Specifically, the Korean and Japanese economies have a fundamental condition in which they cannot help but prioritize the U.S.-led economic bloc when choosing between the U.S.-led economic bloc and the Chinese-led economic bloc.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Korean and Japanese economies are faced with a dilemma in that they have a connection and closeness with the Chinese economy that cannot be easily escaped. If bleeding occurs due to intensified compet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mpani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only China will benefit as it will be able to purchase at low prices. On the contrary, if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mpanies is strengthened and transactions are carried out with Chinese companies, the Chinese economy is still highly dependent on the Korean and Japanese economies, so negotiations can be advantageously guided in the direction demanded by both Korea and Japan. Implications: Our government must recognize that Korea and Japan can continue to generate economic benefits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even under the economic security paradigm,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in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s, the closenes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and the shared concepts of capitalism and free market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f trade friction or disputes occur between specific countries among the three countries, this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so to speak, on large losses, not only to the relevant country but also to the other country. Therefore,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s an essential op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무형문화재 춤의 패러다임에 대한 재고(再考)

        김기화 ( Kim Ki-hwa ),백현순 ( Baek Hyun-soo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한국 무형문화재 춤의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무형문화재 제도의 법적 시행에 따른 흐름을 살펴보고자 「문화재보호법」, 「무형문화재법」, 이들 법령의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무형문화재 춤의 제도적 패러다임의 범주를 논의하고 무형문화재 춤의 양식적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문화재 개별종목의 지정기준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지정문화재의 중복 종목지정의 경우 명확한 법률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무형문화재 춤의 지정해제에 대한 합의와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보유자 인정절차의 객관성이 선행되고 검증의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다섯째, 무형문화재 춤의 전형에 대한 담론이 확장되어 시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d the paradig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nce in Korea.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the flow of the legal implement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we reviewed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w, the enforcement decrees and enforcement rules. In addition, the category of the institutional paradigm of dance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as discussed, and the stylistic paradigm of dance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as discus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individual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ust be specifically defined. Second, in the case of overlapping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y item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city/provinc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clear legal standards must be established. Third, there is a need for consensus and discussion on the de-designation of dance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ourth, the objectivity of the holder recognition procedure should precede and the criteria for verification should be clear. Fifth, the discourse on the typical danc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expand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중국 미디어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저작권 보호방식의 특성

        나낙균 ( Nak Gyun Na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1 No.3

        중국은 미디어 패러다임의 전환과정에서 신매체와 채널에 담길 내용물인 디지털 콘텐츠의 절대적 공급 과부족 현상과 함께 “해적판의 범람”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 중국은 2001년 WTO의 가입 이후 TRIPs 규정에 맞추어 저작권법을 강화하고 있으나 아직도 저작권 보호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본 논문은 중국사회의 구조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현행 중국 저작권법의 주요 체제상의 특징 및 중국 저작권법의 고유한 작동원칙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의 형사적 제재수단과 행정적 조치 및 사법절차에 따른 보호방식은 중국 저작권 법제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특징으로서 콘텐츠의 확산과 저작권 보호에 실질적이고도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저작권 보호 방식은 중국 저작권법의 연원상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이념의 부조화와 중국 정부의 외국으로부터의 저작권 보호 압력에 대한 대응 및 국내 시장발전을 위한 대응전략에 기인하며, 저작권법상의 구체적 규정에 대한 입법의 결여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진정한 저작권자의 권익과 문화발전을 위해서는 지적재산권 중심의 문화정책과 저작권 법제를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In the paradigm shift of media industry, China experiences difficulties with absolute shortage in supply of digital contents which will be distributed by the new media and channels and has problems of piracy in the same time. Although China has reinforced its copyright law and harmonized with the TRIPs regulations since it has signed up WTO in the year of 2001, the level of Copyright protection of China is still insufficie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main features of Chinese existing copyright law system and the unique copyright protection methods of China. Especially, the incompatibility of ideologies between socialism and capitalism in its copyright origin and the disharmony between measures against foreign pressure for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domestic market are caused by the Chinese copyright protection methods such as the criminal sanction, administrative action and judicial proceedings against copyright infringe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modify Chinese culture policy orien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pyright law system through amendment and legislation of specific copyright regulations.

      • KCI등재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한국의 저작권의 현황과 미래

        한지영(Han, Ji-You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叢 Vol.17 No.1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인터넷 환경 하에서 우리는 음악, 영화 등 타인의 저작물을 권리자에 대한 동의 없이 손쉽게 그리고 아주 저렴하게 이용하여왔다. 디지털 환경은 우리들의 삶에 양질의 변화를 가져왔지만 저작권법 측면에서는 많은 이슈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특히 인터넷 상에서 원저작물이 복제될 때 복제본과 원본은 질적인 측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거의 무료로 전송되기 때문에 법적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든지 이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우리나라는 예컨대,‘삼진아웃제’를 도입하여 인터넷에서 불법적인 이용을 하고 있는 이용자의 계정을 정지시킬 수 있는 법규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제도는 기본권 침해라고 하는 위헌 소지의 논쟁이 있기도 하였다. 한편 네티즌이 정보의 이용자뿐만 아니라 생산자로 되는 웹 2.0시대에서 제3자가 저작물을 이용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예컨대, 유튜브 등과 협력하여 이익의 일부를 권리자에게 환원시키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볼 수도있다. 저작물이라는 무형의 가치에 권리를 부여하는 저작권은 사권이므로 개인의 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법제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디지털시대에서 인터넷 환경 하에 다수가 폭넓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작물의 활발한 유통을 도모하는 일 역시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저작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오늘날 저작권의 불법적인 침해에 대한 법적 구제장치를 적절하게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작물의 이용이 결국 이용자의 몫이기 때문에 저작물의 이용이나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작권자와 이용자를 모두 고려한 법규정, 제도 또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vices and internet environment, we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digitalized information is so easily and cheaply reproduced as well as modified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y. The digital environment has changed the paradigm from the previous media which was the paper. Under these circumstances, digitalized information is separated from media which is tangible material, and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for example digitalized contents such as music, films, games, fictions are quickly circulated on the internet. However, such acts on the internet without any consent of right-holders face with copyright matters owing to violating copyright. The recently revised Korean Copyright Act has introduced “Three-strikes system” so that user's accounts can be suspended in case that users illegally make use of the digitalized contents on the internet. However, three strikes system could be against the Constitution because it can mostly violate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which are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al Law. It is natural to protect the right holders from illegal acts of copyright infringement, but it would not be appropriate to move only in the direction of protecting right holders excessively. As it is ultimately advantageous for rights holders when their contents are actively used and distributed on the interne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pace on the internet for the contents to be used legitimately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infringes right holders' profits, and users also may make use of the contents on the internet without any concern on copyright matters.

      • KCI등재후보

        Research on Inter-subjectivity of Media Education in Web 3.0 Era

        Huo Meichen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0 다문화와 교육 Vol.5 No.2

        As a part of media education, media aesthetic education has been concerned and proposed by the Western education community since the 1930s. It has a history of more than 80 years of development. Due to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s, cultural environments, media systems, and educational systems, media aesthetic education in the different historical stages of its emergence and development, it is inevitable to present unique historical paths and orientations. On the basis of collating historical data, this paper discusses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media aesthetic education concept,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ual category of media aesthetic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notation ideas in various periods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n extract the stage composition, core content and main features of the paradigm of the “protectionism” aesthetic education.

      • KCI등재

        빅데이터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연구-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한계와 리스크규제체제로의전환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윤혜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제규제와 법 Vol.11 No.1

        There are many legal and regulatory issues surrounding Big Data and its use, however, the related legal discussions in Korea are locked up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related legal system. Regulation of Big Data, hence, calls for a new perspective as well as a new regulatory paradigm and/or legal theory, which can work and be compatible or suitable in fast-changing technical, socio-psychological, policy, and economic environment. Having said that,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search for a new approach to Bid Data regulation, by interpreting the nature of Big Data risk as a side effect of high technology and technology that provides great social benefits. Hence, this article first examined Big Data as a regulatory subject: it analyzed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Big Data, whether it genuinely exists, whether it is an independent phenomenon, its benefits and risks. Next, this article examined the tension between Big Data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limitation of the remedies the Act provides for, and of the current regulatory regime under the Act. Then this article explored the possibility and feasibility of shifting the regulatory paradigm into the risk-based regulation. In doing so, this article has first analyzed the crucial issues in designing a new regulatory regime for Big Data: the starting point, i.e. whether the new regime should be based on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issue of responsibility and control. Finally it has demonstrated that the threats to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can indeed be considered as a risk or new public interest, and thus, a shift to into the risk-based regulation is a real feasibility for Big Data. 2013년부터 큰 관심을 받아온 빅데이터의 활용 수준이아직까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는데, 빅데이터 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정비가미흡하다는 지적은 어김없이 그 목록에 등장한다. 실제 빅데이터의 활용을 둘러싼 개념적, 사회적, 법적, 윤리적 문제는 늘 제기되어 왔다. 빅데이터의 정의와 성질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에서부터, 빅데이터의 활용에 내재된 부작용으로서 사생활 침해, 부당한 차별, 위축효과, 필터버블의 우려, 약탈적 마케팅, 데이터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명쾌한 규범적 기준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 중에서 가장 주요하고 핵심적인 법적 과제는 개인정보 및 사생활 보호와 빅데이터 활용 간의 조화를 모색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빅데이터에 관한 국내 법적 논의는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테두리를벗어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가장 이상적인 상황, 곧 빅데이터라는신기술의 이용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편익과 혜택을 향유하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을 가능한 최소화하고 그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는 규범적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빅데이터의 활용에수반되는 부작용을 사회적으로 큰 편익을 제공하는 고도의과학기술의 활용에 수반되는 부작용, 즉 리스크의 문제로해석하여 빅데이터에 대한 규제적 대응을 리스크규제이론에기초하여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지 그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빅데이터에 대하여 새로운 규제적 접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기초 조사로서규제 대상으로서의 빅데이터를 고찰하였다(II). 빅데이터가제공하는 편익과 부작용을 중심으로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법적 과제와 법적 대응방안에 대한 논의는 활성화되어있는 편이지만, 현상으로서, 규제 대상으로서 빅데이터를 규범적 관점에서 검토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해외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결과를 기초로 빅데이터의 정의, 독자성, 현황, 적용범위 등을 비롯하여 빅데이터가제공할 수 있는 편익과 부작용 등을 검토하고 이것이 규제, 특히 새로운 규제 설계에 대하여 가지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빅데이터 규제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의 필요성을 빅데이터의 특성과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체계와 내용을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III). 마지막으로빅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규제체계의 도입가능성을 검토하였다(IV). 이를 위하여 먼저 빅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규제적접근을 시도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하는 쟁점들을 살펴보고, 리스크규제체제로의 빅데이터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가능성을 검토한 후, 결론을 맺었다(V).

      • KCI등재

        헌법정신과 범죄피해자 보호

        황태정(Hwang, Tae-Jeong) 한국피해자학회 2019 被害者學硏究 Vol.27 No.2

        1987년 개정 헌법이 범죄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과 구조청구권에 관한 명문의 규정을 신설하면서 우리나라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제도는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범죄피해자 관련 입법이 전무한 상태에서 내려진 헌법적 결단 이후,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입법이 탄생하였고,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입법은 적어도 양적인 측면에서는 지속적인 성장을 해 온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발전에 의해 형사사법의 패러다임이 피해자 중심으로 선회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우리나라 형사절차에서 범죄피해자는 여전히 증인 등 형사절차의 객체 또는 주변인으로서의 지위에 머무르고 있다고 생각된다. 선진 각국의 입법과 비교해볼 때, 사소권, 소송참가권, 변호인조력권 등 형사절차에서의 권리보장이나 적절한 손해전보를 포함한 범죄피해자에 대한 다각적 지원 등 향후 우리나라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제도가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형사사법체계 내에 투영된 피해자의 모습을 통해 우리 헌법과 형사법이 범죄피해자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국가와 국민,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다각적 구도 속에서 범죄피해자에 대한 정당한 대우는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헌법정신의 관점에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In modern criminal procedure, crime victims were perceived only as peripheral ones for a long time, even though they were victims of crime. With the establishment of state power and penal rights of state, the main concern of criminal justice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power maintaining order of the community and criminals who broke the order.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infringement of the victim-offender has changed into the composition of public infringement of the state-criminal, and the victims who gave their place to the state are pushed out to the outside of the criminal procedure and turned into peripheral or forgotten ones. In South Korea, various legislations were created to protect crime victims since the constitution stated the rights of crime victims in the late 1980s. Legislation related to crime victims is estimated to have continued to grow, at least in quantitative term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adigm of criminal justice has changed. There are many obstacles to the full protection and support of crime victims, such as strengthening the right of information, expansion of participation rights, and expansion of compensation.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recall the example of 9th revision of constitution that has made numerous roots and branches by sowing seeds of constitutional determination in the wilderness of relevant legislation. Inductive changes through concrete system improvement are also meaningful, but I think it is time for deductive changes to change the situation in a top-down manner by putting the provisions on victim protection in the Constitution. his is because victim-centered criminal justice is not only a matter of specific institutional improvement but also a paradigm shift involving awareness and will to change.

      • KCI등재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내외부 맥락 이해하기: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정제용(Jung, Je Yong),최연준(Choi, Yeon Ju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1

        재외국민이 범죄 등 사건사고로부터 보호받는 것은 중요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최근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다수가 법적인 관점 혹은 범죄 피해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둘째, 재외국민들이 제대로 보호받고 있는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연구 부재를 메우고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업무 체계 및 절차, 외부적 환경, 재외국민들의 인식 등을 포함한 재외국민 보호라는 실제적인 현상(phenomena)에 초점을 맞추었고, 사건사고 영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증적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Glaser와 Strauss(1967)가 개발한 근거이론과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증적 자료를 추상화하여 범주들을 구성하고 그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가설적 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9개의 개념, 49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를 유형화하였고, 중심범주인 ‘불안’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매개적 조건, 맥락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재외국민 본인이 직접적 이해관계자인지 여부, 사건사고가 공정하게 처리되는지 인식 정도, 사건사고 영사의 근무체계 구축 여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주기적 소통 여부, 공식적/비공식적 채널의 활용 여부, 절차적 정의 준수 여부에 따라 재외국민의 치안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질 수도 혹은 낮아질 수도 있다는 가설적 관계를 도출하였다.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overseas citizens to be protected from crimes and other incidents, but it is one of the research topics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recent previous studies, first, most of them were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legal or criminal damage. Second,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overseas citizens are properly protected. To fill the gap,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ual phenomenon of the protection of overseas Koreans, including related work systems and procedures, external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s. In the proces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grounded theory and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1967) were applied, and by abstracting empirical data to construct categories and explore their relationships, finally, a substantive-level theory was constructed. Analyzing the research data, a total of 59 concepts, 49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nxiety" of overseas Korea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anxiety are investigated and what conditions are influencing them. A hypothetical theory was derived that such anxiety is influenced by whether an overseas Korean is a direct stakeholder, the level of awareness that procedures are being followed, whether a working system of the consul for incidents and regular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s are established, whether official/informal channels are used, and whether procedural justice is maintained.

      • KCI등재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박상식(Park, SangSik) 한양법학회 2011 漢陽法學 Vol.36 No.-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and related institutions on criminal victims, rights of criminal victims have been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criminal victims have still been alienated from Criminal Justice System. Police, in particular, is the primary investigation institution performing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and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victim protection by directly contacting the victim and the crime itself. It may be fairly said that police is in the foremost frontline for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 Fortunately, police have tried their best to protect criminal victims by establishing Victim Consolation Room, providing victims with information on violators, and starting Victim Supporter Center, One-Stop Support Center, and Crisis-Intervention Assistance & Response (CARE). It is because they made criminal victim protection major policy agenda and shifted the paradigm of police activities from criminal centered to victim centered. Although police have published various policies in the form of manuals, manuals seem to be mere forms to show off. In particula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violators to the victims is most wanted by victims. However, it is still not in place. It is because according to the positive law,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o victims can be made by prosecutors and the police have separate instructions. Additionally, in Crime Victim Support Center which is acting in the front line for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s do not include the police. It is being independently operated under the name of "Victim Protection Committee" however its operation has not been in place. Besides, there are victim supporters, one-stop support centers and Crisis-Intervention Assistance & Response (CARE) are being introduced. However, they do not seem to satisfy the victims expectation.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the status of protection schemes for victims that the police is currently performing and to find the countermeasures. To achieve the goal, it is emphasized to shift the paradigm of police investigation from "violator-oriented" to "victim-oriented" based on the concept of criminal vict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