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Patent Valuation Factors

        Guozhong Li,Seong-Taek Park ASCONS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MULTIDISCIPLINAR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patent value evaluation at home and abroad, and to derive common factors of patent evaluation. Since different factors are used to evaluate the value of a patent by each institution, the evaluation results differ from institution to institution. Therefore, we examined the evaluation models of two Korean institutions and three evaluation models overseas institutions. Through this, we derive the patent valuation factors which are commonly used by 5 institutions. The derived factor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future patent valuation.

      • KCI등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양희만 대한산업경영학회 2017 산업융합연구 Vol.15 No.2

        특허 등의 지식재산권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에, 유형자산과 마 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재산인 특허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거래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기술담보를 통한 자금력 확보와 더불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 어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허권이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크지 않다 는 것이 현실이며, 이유는 특허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고 그 속성 또한 다양하며,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또 한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 문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해 특허가치평가들을 살펴보았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특허가치평 가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중요한 요인들을 분석 하여, 특허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보았다. 최종적으로 나타난 중요한 요인 10개는 기술의 사업화 가능 성, 시장경쟁력, 기술의 상업화 가능성, 시장규모, 보유기술의 독창성, 권리의 안정성(무효화 가능성), 기술의 수준, 기술 경쟁력, 기술의 파급효과, 기술의 성격(원천기술/응용기술)으로 나타났다.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effec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ike patent on enterprise competitiveness is growing, rational valuation of patent rights, which are own by enterprises, is required because accurate patent valuation can bring about the activation of the technology exchange market and enhancing the values of enterprises as well as the security of funds through technology security. However, in reality, interest in the value of patent rights is not great due to many variables, affecting patent rights, and diverse attributes, and non-generalized methods of valuation. Therefore, studies on patent valuation for patent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required. This thesis examined patent valuation for the patent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attempted to find factors, affecting patent valuation by finding patent valuation factors through experts, organizing, and analyzing these factors. 10 essential factors, which are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are th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ies of technology, market competitiveness,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arket size, the originality of acquired technology, the stability of the right(the possibility of invalidating), the level of technology,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e ripple effect of techn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original technology/application technology).

      • KCI등재

        특허가치 결정요인과 기술거래금액에 관한 실증 분석

        성태응(Tae-Eung Sung),김다슬(Da Seul Kim),장종문(Jong-Moon Jang),박현우(Hyun-Woo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2

        최근 지식기반경제 구조로의 전환과 함께, 기술이전, 기술사업화와 같은 연구개발 성과의 생산적 활용을 위한 거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특허가치평가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거래사례 수집의 어려움으로 실제 사례분석을 통한 결정요인 분석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전문가조사법, 비교평가법 등 정성적인 평가기법의 주관적인 결과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점법에서 적용될 수 있는 정량적인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제시하고자 15개의 국내외 특허가치평가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6개 기술가치 결정요인을 도출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각각의 결정요인의 대리변수로 활용 가능한 특허정보를 매칭하였다. 또한, 제시된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공공 및 민간기술거래기관에서 수집된 총 517건의 특허거래사례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특허가치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특허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체산업에서는 특허연계성(인용문헌수) 및 해당 특허기술의 상용화단계 정보들이 기술거래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거래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유의미한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거래사례 수집 및 모니터링을 통해 산업별 연구 결과가 체계적으로 검증된다면, 특허출원 전략 수립 및 연구사업(대표 특허보유) 성과 평가 시 활용할 수 있는 산업별 맞춤 평가모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the conversion towards knowledge-based economy era,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for patent valuation has been growing rapidly because technology transactions are increasing with the purpose of practically utilizing R&D outcomes such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terminants of patent valuation by analyzing technology transactions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in practice. Hence, to suggest quantitative determinants for the patent valuation which could be applied to scoring methods, 15 patent valuation models domestically and overseas are analysed in order to assure the objectiveness for subjective results from qualitative methods such as expert surveys, comparison assessment, etc.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ortant 6 common determinants are drawn and patent information is matched which can be used as proxy variables of individual determinant factors by advanced researches. In addition, to validate whether the model proposed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total 517 technology transactions are collected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technology transaction offices and analys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led to significant patent determinant factors in deciding its value. As a result, it is herein presented that patent connectivity(number of literature cited) and commercialization stage in market influence significantly on patent valu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that it suggests the significant quantitative determinants of patent valu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transactions data in practice, and if research results by industry are systematically verified through seamless collection of transaction data and their monitoring, we would propose the customized patent valuation model by industry which is applicable for both strategic planning of patent registration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research projects (with representative patents)

      • KCI등재

        지식재산금융에 있어 특허담보대출을 위한 특허가치평가 산정기준 제시 연구

        김용규 ( Kim Yong Kyu ),엄성희 ( Eum Sung Hee ),이철규 ( Lee Cheol Gyu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3

        세계 각국은 차세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혁신을 국가 아젠다로 삼고 있을 정도로 기술혁신은 국가 및 기업의 경제성장과 경쟁력강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기술혁신의 성과는 특허권의 확보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허권은 법률상 재산권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허권의 확보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활용 촉진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특허권의 활용에 있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특허권 기반의 사업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 사업화에 있어 사업자금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나 창업자의 경우 우수한 특허권을 확보하고도 사업자금의 확보에 어려움으로 인해 특허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신용이나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과 창업자를 위해 특허를 담보로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특허담보대출제도가 시행되었다. 특허담보대출은 담보대상이 되는 특허권만을 평가하여 자금지원이 가능한 제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허금융담보로 특허를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토대로 특허담보대출을 위한 평가 산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has been a national agenda innovation for ens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next generation. These innovations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and companies, is inclined a lot of effort. Not only the importance of securing patent rights, has also emerged a problem of utilization promotion. That can be the representative in the utilization of patent right, can be a patent based commercializing. Secure business funds in these patents commercialization can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founding company, also to ensure the excellent patent right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business funds, it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patent. Patent security loan system to be able to raise business funds to secure the patent for the founder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credit and loans in order to raise business funds is insufficient has been enforced. Patent secured loan is a financial support capable system to evaluate only the patent rights to the collateral subject. However, in practice, patent, an objective and is it can not be performed with high reliability evaluation reality patents as financial security.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the punitive damages system, trying to presen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a paten security loan.

      • KCI등재

        지식재산평가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기술보증기금의 특허가치평가를 중심으로

        박영수 ( Park Youngsu ),최성호 ( Choi Sungho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최근 특허권을 포함한 지식재산권에 대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가치평가가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특허가치평가를 통한 대출, 보증, 담보용의 평가가 기술금융의 활성화와 더불어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비록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특허가치평가의 적정성에 관련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가치평가의 방법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익접근법(DCF모형)을 적용하여 산출된 추정가치와 평가이후 수집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실제가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허가치평가의 적정성에 대한 문제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특허가치 평가액에 대한 추정가치와 실제가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평가업무별로 추정가치와 실제가치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술성 평가자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교수, 변리사, 연구원에 있어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데 반해 변리사와 기타 평가자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평가대상 업종별 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Recently, the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cluding patents has been estimated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of loans, guarantees and collateral through patent valuation is increasing with the revitalization of technology financing.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tent valuation,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adequacy of patent valuation. In this study, using the DCF model,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technology valuation, we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atent valu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stimated value and actual value of the patent. An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work. In addition,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patent attorneys, and researchers in the analysis of value differences according to technical evaluator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ent attorneys and other evaluators. Finally, we find a significant value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value and actual value of technology subject to evaluation by industry.

      • KCI등재

        특허기술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박선영 ( Sun Young Park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 지식재산연구 Vol.2 No.1

        Patent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intellectual property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ed growth strategy and the driving force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refore, private sectors as well as public sectors need to technological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However, the valuation of patent technology intrinsically harbor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such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source of technological value, theoretical fragility about the materialization of value, and methodological shortcomings about practical technology valuation. These inherent limitations hampe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echnological intangible assets such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evaluation factors and scheme for valuation of patent technology by overcom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of technological intangible asset assessment, dissolving informational discrepancies between the models from existing literature and the practical tools. Through literature survey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intrinsic characteristic of technological intangible assets as well as technology, the concepts of technology value and the sources and factors of technology, intrinsic sources and factors of patent technology are discovered. Deterministic and contingent factors for the deduction of practical value are also discussed. This underlies the whole assessment structure of its purpose.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techniques from grading/scoring to accounting/monetary methods, the merits and demerits are discussed at both a theoretical and a practical level. Through case analyses of domestic and foreign models and reports about technology valuation, assessment criteria, concepts, factors and structures are reviewed. Categorized evaluation factors and scheme are proposed.

      • KCI등재

        전자산업의 특허출원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

        김수섭(Sooseop Kim),최수미(Sumi Choi)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0 경영경제연구 Vol.33 No.2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통하여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내놓기까지 연구개발에 투입하는 노력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재무제표에 나타나는 것은 연구개발 비용인데 연구개발에 투입된 비용의 크기는 연구개발의 성공 여부를 말해주지 않는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의 성공을 측정할 수 있는 특허관련정보가 기업가치를 설명하는지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정보의 공개시점에 따른 특허출원수, 특허 공개수 및 특허등록수는 각각 해당기업의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허출원수보다 특허공개수로 분석하였을 때 주가에 대한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이는 출원공개수가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특허출원수, 특허공개수, 특허등록수에 대하여 특허청구항의 수를 가증하고 변수를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증가하였다. 이는 청구항을 가증한 변수가 훨씬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실증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리나라 전자산업분야에서 기업들의 특허출원공개 정보가 기업 외부의 투자자들이 기업의 미래 이익을 예측할 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실증하였다는 것에 있다. Financial statements is a key information for investors in order to assess the firm’s value. Increasing a firm’s intangibles is one of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book value and market value in the modem hi-tech companies such as electronic firms. Patent data is one of the suitable sources of information for assessing firms’ market value which can be accounted for by intangibles. Some kinds of patent data is available for giving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 is one of them, but it is not available to investors at that applying time. The number of patent publication is available to investors after 18 months from applying time. The number of granted patent is less useful in fastly changing industries than slowly changing industries. This empirical study examines if the number of patents according to the times of publication is associated with the stock price of korean electronic firms. This study finds a favorable association between stock prices an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 data, between stock prices and the number of patent publication data. between stock prices and the number of granted patents. Also, model including the number of claims of patent increases the value of adjusted R2. This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the number of patent publication, and the number of patent granted are related to the stock price of the korean electronic firms.

      • KCI등재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인 도출에 대한 델파이 연구

        김영기 ( Young Ki Kim ),박성택 ( Seong Taek Park ),이승준 ( Seung Jun Lee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0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1

        지식기반경제에서는 지식을 창출하거나 활용하는 능력이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 경쟁우위의 기본이 되고 있다. 산업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됨에 따라 부동산 및 설비 등 유형자산 보다는 노하우, 특허권 등의 무형자산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유형자산과 마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인 특허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 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 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또한 기업의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형자산과는 달리 무형자산인 특허권의 정확한 가치평가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시된 특허가치 평가요인들을 살펴보았고, 이로부터 특허가치평가 전문가들에게 설문을 하여 공통된 10개의 중요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In knowledge-based economy, the ability to create and utilize knowledge is a key to a company`s competitive edge as well as the foundation for a country`s competitiveness. Thanks to the paradigm shift from the industrial economy to the knowledge economy, the importance of the intangible assets such as know-how or patents surpasses that of the tangible assets such as real estates or equipments in terms of the impact on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s such,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a patent reasonably accurately because it can activate the technology market and it is critical to the patent strategy development of a company. However, it is known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a patent`s value accurately.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evaluation factors suggested by the past research and select important common 10 factors from patent valuation experts survey.

      • KCI등재

        특허가치평가를 위한 합리적 로열티율 산정 방안

        양동홍(Donghong Yang),김성철(Sung-Chul Kim),강근석(Gunseog K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특허권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합리적인 로열티율을 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권 자체의 합리적인 로열티율을 산정하기 위해, 기존의 25% 룰의 장단점과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내쉬 협상 방정식의 게임이론을 이용한 산정방법과 재무분석을 통한 투자수익률 방법을 적용하여 합리적인 로열티율을 산출하였다. 손해액 산정 모형에서는 최근의 미국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 시 실시료 상당액으로 판결한 미국 법원의 판례를 이용하여 당해 침해 관련 특허를 분석하고, 각 특허의 서지(書誌)사항 항목에서 특허지표를 추출해서 이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개별 특허권의 합리적인 로열티율을 산정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미국의 판례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methods for determining the reasonable royalty rates in the valuation of patents. To calculate the reliable reasonable royalty rate of a patent, we review pros and cons of the 25% rule royalty calculating method and the recent trend of this method. We also review the game theory of Nash Bargaining equation and review the Investment of Rate of Return Method according to the financial analysis. Next, we refer to the reasonable royalty damage cases among the recent patent infringement cases in USA and analyze the corresponding patents. We extract the patent indicators from the patent bibliographic information. Finally, we obtain a regression model for calculating a reasonable royalty rate using the patent indicators and the reasonable royalty rates in the recent patent infringement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