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문서’의 문서성 인정 여부 - 직무발명 관련 ‘문서’에 의한 통지방법을 중심으로 -

        황성필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과학기술과 법 Vol.11 No.2

        Recently, a series of legal amendmen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purpose to realize paperless society. In that context, the Framework Act on Electronic Documents and Transactions has been enacted and grants the juridical effect to an electronic document, which is the same effect as a paper document. Nonetheless, the Korea Supreme Court has interpreted the meaning of ‘in writing,’ or a document, that was stipulated in other individual Acts only as a paper document, thus causing a confu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legal theory regarding the document. Such a confusion may also happen in interpreting what the document that is stipulated under the Invention Promotion Act would exactly mean. Under the Korea Patent Act, an invention originally belongs to the inventor(s) who has invented the invention. Since an employee invention is also one of that inventions, the invention also originally belongs to the employee. Thus, a company (employer) must success that employ invention by notifying to the employee in a right time to obtain a right to patent. Importantly, the notice should be given by a document to the employee. That is, it is very important to clarify whether an electronic document is permitted as an appropriate way for the notification by the employer under the Invention Promotion Act. While there has been discussion to amend the Invention Promotion Act to solve problems arising from a delay in time due to the gap between completion of an employee invention and notification by a company of the intend to succeed that employee inven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regarding whether the document contains the electronic document along with a paper document. Thus, this article examined regarding whether a current concept of the document would embrace the electronic document. This article has figured out that the nature of a document takes into account an idea or an intention contained in the medium as important rather than what type of the recording medium should be to be the document, and the concept of a document is not a fixed concept, but can change flexibly to reflect a certain situation from time to time under dynamic statutory interpretation. However, this article has also figured out that the exact meaning of a document that is stipulated in the Invention Promotion Act is not clear because there was no specific clue in the legislative history for the amended Invention Promotion Act to support an intent to embrace an electronic document.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a legislative method for the amendment of the Invention Promotion Act not only to prevent any confusion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document, but to clarify that an electronic document has been contained in the concept of the document. Furth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in writing,’ which is stipulated, and also used along with a document, in the Invention Promotion Act and the Regulation on the Disposition, Management and Compensation for an Employee Invention of a Public Officer, which i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vention Promotion Act, be amended by legislation to remove the term of the ‘in writing’ and insert the term of a document, including the term of an electronic document.

      • KCI등재

        발명진흥법 법체계 정비와 지식재산 기본법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경호(Kyung-Ho Lee),김시열(Si-Yeol Kim),김화례(Hwa-Ry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발명진흥법은 최근까지 개정이 매우 잦은 법률 중 하나로써, 잦은 개정은 최근의 발명진흥법 체계 정비 논의가 이루 어지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발명진흥법 체계의 정비를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과 쟁점에 대한 논의가 다루어지 고 있는데, 그 중에서 2011년 지식재산 기본법의 제정에 따라 발명진흥법이 받는 영향을 고려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지식재산 기본법과 발명진흥법의 관계, 특히 기본법 형태의 법률과 그 법률의 제정 전 존재하던 개별법 령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명진흥법 체계의 정비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최근 제정된 기본법과 개별 법령의 관계 및 개정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법현실적인 기준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법체계 상 지식재산 기본법에 형식적 우월성을 인정하기는 어렵지만, 실질적 우월성 내지는 현실적인 우월 성의 고려는 인정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발명진흥법 역시 그러한 태도의 범위 안에서 지식재산 기본법과 적합한 관계를 유지하며, 그 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다만, 실무적으로 일부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발명진흥법이 지식재산 기본법의 집행법으로서 전적인 체계적 융합화를 도모하는 것은 우리나라 법체계의 한계 및 타법의 사례와의 균형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으며, 지식재산 기본법의 규정사항을 실질적으로는 고려하여야 하더라도 여전히 발명진흥법은 그 자체로서 입법의 목적이 존중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Invention Promotion act is one of the acts that have been frequently revised. Such frequent revisions have been pointed out as a major cause of the recent ongoing discuss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vention Promotion Act. For proper alignment of the Act, diversified perspectives and issues have been discussed. Of them, the talk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2011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establishment on the Invention Promotion Act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work Act and Invention Act with specia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work-formed law and an individual act that has existed prior to such a framework ac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alignment goal of the Invention Act. In additio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ntly-established framework act and the individual act along with revision case examples thereof, this paper aimed to produce a standard reflecting the legal reality. This study assumed that, although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ny formal superiority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present South Korean legal regime, some practical superiority or practical supremacy is still deemed to be acknowledged. Under this assumption,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Invention Promotion Act would also need to be managed in an appropriate relationship with the Framework Act within the range of such an attitude. Moreover, the structure would need to be reorganized. As discussed partially at the practical level, however, the Invention Promotion Act is an execution act of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Furthermore, it is inappropriate to seek to converge the full structures completely, given the limitations of the South Korean legal regime and the fairness balance with other legal cases. It is deemed that, although the provisions of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should be considered at the practical level, the Invention Promotion Act will need to be respected for its legislative purpose in itself.

      • KCI등재

        영업비밀 직무발명 보상에 관한 연구

        임현일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43 No.1

        The employee inven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adjust interest rationally between an employer that provided a foundation for inventions and an employee that completed an invention based on his or her personal creative efforts. In South Korea, the system is defined in the「Invention Promotion Act」, which stipulates that an employer can inherit the rights of an invention after paying the employee a just compensation. After inheriting the rights of an employee invention, the employer can manage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ways:First, the employer can set a monopolistic and exclusive right for the invention through a patent. In this case, the patent holder is granted a monopolistic and exclusive right during a limited period of time. When a third party implements the patented invention in his or her business without just ground of claim, the patent holder can take civil and criminal actions. Once the protective period is expired, the general public can use the invention freely. Second, the employer can manage th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In this case, the trade secret holder can have an exclusive economic advantage during the period of the secret being kept. The trade secret holder is, however, asked to maintain and manage th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through rational efforts. He or she can have it protected under law only against infringement on it. When a third party develops and uses the same technology, he or she can exercise no right over it. The first case is defined in the「Patent Act」and the「Invention Promotion Act」. but the second case, trade secrets can be protected the「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However, this law covers business secret holders. Therefore, there is no provision for the protection of newly created trade secrets such as inventions converted from business inventions to trade secrets. Since the「Invention Promotion Act」is based on the premise of obtaining rights including patents, it offers no explicit regulations about the right relations and compensations of an employee invention converted into a trade secret. As there are no laws providing explicit regulations about the right relations of an employee invention converted into a trade secret, several problems can happen with regard to compensations and right relations for an employee invention converted into a trade secret. These problems can cause disputes between an employer and an employee in the futu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jor nations in the employee invention system and trade secret protection system and identified legislative problems with the「Invention Promotion Act」and the「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in South Korea. The study focused on propos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right relations and compensations of employee invention-turned trade secrets based on these problems. 직무발명제도란 발명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 사용자와 개인의 창조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발명을 완성한 종업원 사이의 이익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발명진흥법」을 통해 직무발명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동법에서는 사용자가 종업원에게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고 발명에 대한 권리를 승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직무발명에 대한 권리를 승계 받은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발명을 관리할 수 있다. 첫째, 특허 등을 취득하여 발명에 대한 독점배타적권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허권자는 제한된 기간 동안 독점배타적 권리를 부여받으며 정당한 권원 없는 제3자가 특허발명을 업으로 실시하는 경우 민ㆍ형사상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단, 보호기간이 만료되면 일반 공중이 그 발명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영업비밀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밀을 유지하는 동안 영업비밀 보유자는 독점적인 경제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하지만 영업비밀 보유자는 영업비밀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합리적인 노력을 해야 하며, 영업비밀 침해행위에 대해서만 법으로 보호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3자가 동일한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경우 아무런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 첫 번째 방법의 경우는「특허법」과「발명진흥법」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두 번째 방법의 경우 영업비밀은「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을 통해 보호가 가능하나 이 법은 영업비밀 보유자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영업비밀 직무발명과 같이 새롭게 만들어진 영업비밀에 대한 보호규정은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다. 그리고「발명진흥법」은 직무발명에 대한 특허 등 권리취득을 전제로 규정하고 있어 영업비밀 직무발명의 권리관계나 보상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렇듯 영업비밀 직무발명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종업원등이 영업비밀 직무발명을 개발한 경우 권리관계와 보상관계가 불분명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업비밀 보호를 근거로 종업원등에 대한 경업금지조치 등을 실시하는 경우 기본권 제한에 따른 보상 실시 여부와 보상 실시 기간과 금액의 산정방법이 없는 등 여러 가지 법적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발명진흥법」과「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어디에서도 이러한 부분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다. 영업비밀의 보상과 관련하여「발명진흥법」에 보상관련 규정이 있으나, 단지 출원 유보에 따른 보상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상황이며, 경업금지조치 등과 관련하여「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에 그 근거가 있으나 보상과 기간 등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업비밀 직무발명을 개발한 종업원등은 직업선택의 자유나 보상과 관련하여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의 직무발명제도와 영업비밀 보호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발명진흥법」과「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의 입법적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영업비밀 직무발명의 권리관계 및 보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직무발명의 사전예약승계

        조경임(Kyung-Im Cho)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22 No.2

        대법원이 2011년 7월 28일 선고한 2010도12834 판결은, 피해자회사의 종업원인 피고인들이 자신들의 직무발명에 관하여 사용자인 피해자회사 이름으로 특허 출원을 냈다가 피해자회사의 동의 없이 특허출원인 명의를 피고인들로 변경하여 특허출원한 사안에서, 직무발명은 원시적으로 발명자인 종업원에게 귀속되므로 사용자가 직무발명의 특허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인 피고인들로부터 직무발명에 관한 권리를 승계해야 하는데, 피해자회사에는 직무발명에 관한 명문의 계약이나 근무규정이 없었고 달리 피해자회사와 피고인들 간에 명시적으로나 묵시적으로 직무발명의 승계에 관한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피고인들의 행위가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발명진흥법 입법자의 의도는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명문의 계약이나 직무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사전예약승계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도록 하는 즉 사전예약승계에 관하여 요식행위 또는 이와 유사한 효과를 갖도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진흥법 규정은 계약에 관한 방식 자유의 원칙에 반하므로, 직무발명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명문 계약 또는 직무규정 유무가 아니라, 직무발명의 승계에 관한 사전 예약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여부에 따라 법률관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직무발명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명문 계약 또는 직무규정 유무는, 예약의 존부를 입증하기 위한 증빙자료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서 살펴볼 때 본 대법원 판결 사안에서 피고인들과 피해자 회사 간에 직무발명의 승계에 관한 묵시적인 예약이 있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한 바, 묵시적 예약 존부에 대한 충분한 심리 없이 직무발명에 관한 승계가 없다고 판단한 대법원 판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직무발명제도 및 사전예약승계에 관하여 검토한 후, 발명진흥법 상 직무발명제도 관련 규정의 해석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사안에서 사전예약승계규정이 있었다면 당사자들의 법률관계는 어떻게 달라졌을지, 대법원 판결이 당사자의 실제 의사에 부합하는지, 그렇지 않다면 이러한 불일치 및 모순은 이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현행 발명진흥법 관련 규정은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Supreme Court finds in 2001 Do 12834 case that defendants are not guilty of malfeasance on July 28, 2011. In this case, at first, defendants who are employees in the injured party (hereinafter “the Company”) filed a patent application in the name of the Company and then, changed the applicant into defendants without the Company’s approval. Basically, employee’s invention belongs to an inventor, an employee, and an employer can file patent application under his name only if the employee assigns his right of invention to the employer.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no express contract or work regulation regarding employee’s invention and no express or implied agreement on assignment of employee’s invention between the Company and defendants. The Legislature’s intent on Invention Promotion Act seems that pre-reserved assignment may not be recognized or has similar effect without an express agreement or work regulation. However, because such a provision in Invention Promotion Act is against no formality rule on contract, the legal effect must depend on existence of pre-reserved assignment and the express agreement or work regulation will be just one evidence to prove pre-reserved assignment. Review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lausible to recognize implied reservation on assignment of employee’s invention in this case. Therefore, the Court’s decision that there is no assignment of employee’s invention without enough hearing of existence of implied reservation seems problematic.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employee’s invention system and pre-reserved assignment from above-mentioned perspective and then, constructs relevant provisions in Invention Promotion Act.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e idea to improve provisions on employee’s invention in Invention Promotion Act.

      • KCI등재

        직무발명보상금의 과세 문제에 관한 연구

        정승영(Jeong Seungyeong) 한국세법학회 2016 조세법연구 Vol.22 No.2

        직무발명보상금은 소득세법 제12조 제5호 라목에 따라 비과세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있다. 과세관청에서는 직무발명보상금 중 비과세 기타소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위는 최초 1회성 보상금액만 해당된다고 판단하여 과세하던 논리를 고수해 온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법원 판례 등(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두15559 판결;대전고등법원 2014. 11. 20. 선고 2014누36 판결 등)에서는 발명기여도와 직무발명으로 창출된 지식재산 간의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직무발명보상금의 범위를 1회 보상금액이 아닌 연관된 보상금액 전반까지 확장하여 발명진흥법상의 직무발명제도의 목적과 직무발명보상금의 실질에 맞추도록 과세․비과세논리를 재정립하였다. 직무발명보상제도는 종업원등이 직무 중에 발명을 통해 취득하게 된 지식재산을 기업이 승계하는 과정에서 공평하게 그 이익을 나누면서 종업원에게도 그 공헌도에 따라서 경제적 인센티브를 취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제도이므로 직무발명보상금은 그 본질이 자신이 취득하거나 취득할 수 있는 지식재산에 대한 권리를 기업에 승계시키면서 발생하게 되는 양도소득과 직무관련성이 있는 발명에서 연관된 근로소득(퇴직자의 경우라면 사업소득)으로서의 성격이 복합적으로 합성되어 있는 특성이 있는 소득이라고 볼 수 있다. 종업원등이 직무발명에 대해서 정당한 보상을 받도록 하여 발명이 가지는 사회적인 가치를 도출해 내는 인센티브제도로서의 성격까지 본다면 소득세법상의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있는 직무발명보상금의 성격은 양도소득의 대체 · 보완 분류이자 근로소득의 대체 · 보완 분류로서의 성격이 있지만, 특히 근로소득에 더욱 가까운 본질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발명진흥법상 직무발명보상제도가 발명자주의를 선택하든, 아니면 사용자주의를 선택하든 상관없이 세법상으로 합리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면서 직무발명보상금이 갖춘 본연의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직무발명보상금의 본질 판단과 과세논리에 대한 참고 사안으로 일본의 경우(大阪高等裁判所平成24年4月26日判決)에서의 사실관계와 판단 논리, ‘hired to invent’ Doctrine에 근간을 두고 있는 미국의 판례(Blumv. Commissioner Case 등)들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명진흥법상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갖춘 직무발명보상금이 세법상으로도 합리성과 타당성을 갖출 수 있도록 검토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도 보완 · 필요하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또한 직무발명보상금의 성격과 실제 지급금액 측면에서 볼 때,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는 것에 대한 합리성과 타당성은 확보되지만 비과세가 되는 이유에 대한 합리성과 타당성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중 · 장기적인 측면에서 직무발명보상금이 ‘비과세’ 기타소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비합리적이며, 과세대상인 기타소득으로 분류하는 것이 직무발명보상금에 대한 사회적 이익과 조세공평을 합리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대안임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3 things for tax treatment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recent cases in the Supreme Court of Korea and a new approach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tax trends from Japan and the U.S., and an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subparagraph 5 of Article 12 of the Income Tax Act. First, it examines a meaning of the new approach of employee"s invention and compensation in the tax law. In 2015, the Supreme Court of Korea suggested a new interpretation and tax approach for employees" invention and their compensation. It developed an approach only to consider the linking feature between employee"s contribution and employee"s invention. However, an existing approach by the National Tax Service" opinion was weighed on what number the company compensate for their inventions. This paper takes in-depth legal reviews about serial recent cases in the Supreme Court of Korea. Second, it analyses Japanese case and the U.S. cases about their tax treatments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In special, the “hired to invent" doctrine made by the U.S. courts helped to understand the original feature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By the way, Japan cases explained a range of other income and capital gain for inventions. It finds that this stance about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made a practical effect on Korea, because Korea and Japan have many commons of legislative contents and interpretation. Finally, it suggests an reasonable interpretation for the subparagraph 5 of Article 12 of the Income Tax Act. A new approach of tax treatment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is designed to focus on his/her contribution for that invention and the reasonable assessment method in a company. It affects the tax perspective of income characterisation for compensation of employee"s invention:it is not capital gain, but income combined with the nature of capital gain from transfer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a right to register his/her inventions and income for his ordinary work. This basic approach made by the Supreme court does not consider detailed issues:a tax qualification issue for compensation, an explaining issue for non-monetary or non-explicit compensation, and the reasonable explanation why the compensation be classified for "Other Income in the Income Tax Act". This part try to analyse the detailed issues and suggest reasonable interpretations in accord with Article 15 of the Invention Promotion Act.

      • KCI등재

        직무발명 보상규정의 노동법적 접근

        김성종 한국사회법학회 2019 社會法硏究 Vol.0 No.39

        Employees are the subjects of inventions defined in the Invention Promotion Act under the Invention Promotion Act. The concept of such an employee can be interpreted very widely, In most cases, employees are in an employee's position under the premise of a labor contract. Therefore, in implementing the job invention compensation system, the labor law ideology should be considered that workers should be protected through the legal system, not just through the invention promotion or patent law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he compensation provisions set out in Article 15 of the Inventions Promotion Act should be applied specifically only in cases where a worker has invented his or her job. In order to protect workers under the Labor Act in consideration of social and legal ideolog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Inventions Act, Article 72, should apply the above rules on employment. Alternatively, it would be possible to require the compensation system for occupational inventions to be included in the employment rules, not in the labor-management council under the Labor Relations Act. 발명진흥법상 직무발명보상제도에서 정하고 있는 발명의 주체는 종업원이고, 그러한 종업원의 개념은 매우 넓게 해석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종업원은 근로계약관계를 전제로 하는 근로자의 지위에 있다. 따라서 직무발명보상제도를 시행함에 있어서는 발명진흥법이나 특허법만이 아닌 사회적 약자인 근로자를 법제도를 통해 보호해야 한다는 노동법 이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노동법상의 근로자가 직무발명을 한 경우에 한하여 발명진흥법 제15조 소정의 보상규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가 필요하며, 이 때 사회법적 이념을 고려한 노동법상의 근로자 보호를 위한다면 발명진흥법 시행령 제7조의2에서 위 취업규칙에 관한 법리를 준용하거나, 노동관계법령상 노사협의회가 아닌 취업규칙에서 직무발명 보상제도를 필수적으로 기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직무발명보상금의 산정과 재판례 분석 -2011~2020년간 제1, 2심 판례 분석

        이지영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6

        종업원의 직무발명을 승계한 사용자는 종업원에게 특허법, 발명진흥법의 규정에 따라 직무발명을 이용하여 얻은 이익 중 일부를 지급할 의무를 부담한다. 2000년대 이후 직무발명보상금 청구소송이 지식재산 관련 소송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지만 특허 등의 등록무효소송, 지식재산권 침해를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 소송에 비해 그 비중이 크지 않고, 법원의 직무발명보상금 산정 실무에 대해 여러 가지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대표적인 비판은, 법원의 보상금 산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보상금 산정에 지나치게 구체적이고 사후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기업운영의 안정성을 저해하며, 종업원 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고,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를 산정함에 있어 고려하는 요소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중복 적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직무발명보상금의 구체적 산정 기준 중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를 중심으로 학계와 업계의 주요 비판을 살펴보고, 지난 10년간 선고된 직무발명보상에 관한 제1, 2심 재판례를 분석하여 위 비판들이 타당한지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직무발명보상금 관련 소송을 담당하는 제1, 2심 법원에서는 학설과 판례 등을 통해 어느 정도 확립된 계산식을 적용하되, 사건별로 현출된 증거에 따른 구체적 사정 등을 감안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법원의 보상금 산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종업원 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법원이 보상금 산정에 지나치게 구체적이고 사후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기업운영의 안정성을 저해한다.’는 취지의 비판은 다소 과도하거나 법원 실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다만 해당 직무발명이 완성품의 매출액이나 직무발명의 양도액에 미친 영향을 기준으로 보상금을 산정해야 하는 점에서 직무발명의 기여도는 독립 산정 항목(편의상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발명자의 공헌도, 직무발명의 기여도를 ‘독립 산정 항목’으로 부른다)으로 반영해야 하므로, 직무발명의 기여도를 반영하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고 반영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은 정당하고, 직무발명보상 관련 소송실무에 즉시 반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를 산정함에 있어 고려하는 요소들이 중복된다.’는 비판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지난 10년간 선고된 제1, 2심 판결에 나타난 고려 요소들을 종합하여 각 항목별로 분류하고,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 산정을 함에 있어서 중점적으로 고려할 요소들을 분류하였다. 향후 직무발명보상금 관련한 재판실무에서 위와 같이 분류된 요소들을 중심으로 심리를 진행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이 반영된 보다 설득력 있는 판결을 도출하는 등 직무발명보상금 관련 소송심리의 개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The employer who succeeds to an employee’s invention is obligated to pay some of the profits obtained from the employee’s invention to the employe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Act and the Invention Promotion Act. Since the 2000s, lawsuits for claiming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have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lawsui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but their number is not large compared to the number of lawsuits for claims for damages caused by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revocation of IP rights, etc.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against the assessment methods having been used by the courts to calculate employee invention compensation. Some of them are as follows: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amount of the court are not clear, and the factors considered when calculating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are the same or similar, and are applied overlapping. It shows that the court interferes with the stability of business operation by intervening excessively in detail on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for an employee’s invention. This article examines major criticisms from academia and industry focusing on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of the assessment method of employee invention compensation and analyzes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 judgements on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for the past 10 years. The above criticisms were practically reviewed by analyzing them. As a result, some were considered valid to point out that factors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are same and similar. Furthermore, the factors to have been consider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 court rulings over the past 10 years were summari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sections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hearing of lawsuit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will be provided by drawing more persuasive judgements that reflect concrete validity through the hearing centering on the factors classified as above in the trial affairs relevant to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 KCI등재

        산업보안법 분류 체계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남기연,박정인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2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2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by examining how effective the system of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Act is in protecting technology, which is the purpose of the law and system.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Act system was operated centered on the government's work without integration among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Therefore, laws and regulations were examined separately by technology type, such as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the Industrial Technology Leak Prevention and Protection Act,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Protection Act, and the Defense Technology Protection Act.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protection guidelines, the reality is that government guidelines for each field, such as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defense technology protection guidelines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continue to be created in the same way, without showing any specificity for each technical field. In other words,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Act system has an Industrial Security Act system that selects a different legal response method depending on the type of technology. However, the actual industrial security law research system classifies technologies and responds mainly to the government's legal system, which raises doubts whether it is effectively responding to industrial security incidents. come. The Act on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is the object of protection for industrial technology and national core technology, and the protection of technical information and business information in the Unfair Competition Act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nd the Invention Promotion Act. The invention of employees is the subject of protection,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oexiste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tects technical and managerial information, the Foreign Trade Act protects strategic materials, and the Defense Technology Protection Act protects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there is. As such,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Act establishes a technology-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ustrial Security Act and adopts a method in which the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chnology. will be. Thus, in industrial security, safety is concerned with efforts to prevent, detect, and respond to accidental damage, whereas security is claimed to prevent, detect, and respond to malicious damage. Therefore, in industrial security managemen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ore efficient approach to analyze the cause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and remove it. A new legal response system was proposed in the Industrial Security Act as a response to the Industrial Security Act against technology leaks by unauthorized persons due to and illegal acts.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 industrial security law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response to illegal acts and the legal relationship behind intentional actions to access technology by further subdividing risks. First, it is more efficient to establish a security system in a way that eliminates problems by analyzing what kind of situation a person is in, and research on establishing a detailed security system suitable for each person's position is possible. In the case of those with the right to access industrial technology, if they attempt to leak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breach of trust and embezzlement, after accessing them through labor contracts,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joint ventures, and mergers and acquisitions contracts, which are legally related, tight security measures in the contract A detailed security plan for each contract, such as clarifying the person... 본 연구는 산업보안법 지원체계에 있어 효율적인 분류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기존의 산업보안법 지원체계는 정부 부처의 행정주체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주요 흐름을 이루었다. 즉, 산업보안법은 정부부처의 행정주체에 따라 산업기술유출방지 및 보호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법, 발명진흥법, 상생협력법, 대외무역법, 중소기업기술보호법, 방위산업기술보호법 순으로 체계화하였다. 그러나 실제 산업보안 사고를 예방하거나 보호하는 체계는 지식재산권과 기술보호의무(비밀유지의무, 경업금지의무) 중심의 대응체계가 필요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기술유출에 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전문성 있는 법제 대응은 아니라는비판을 받아왔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정부부처 행정주체 중심으로 체계화되어 있는 산업보안법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계점을 제시한 뒤, 지식재산권과 기술보호의무를 중심으로 한 산업보안법 체계를 제안하여 보다 기술유출을 예방하는 효율적인 법적 대응체계를 마련 할 수 있도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대학교수 발명의 직무발명 해당성에 관한 연구 -각 대학의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을 중심으로-

        김인유 ( Kim In-y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一鑑法學 Vol.0 No.40

        이 연구는 대학교수의 발명이 직무발명에 해당되는지, 해당된다면 그 성립요건은 어떠한지, 나아가 직무발명에 대한 특허등 권리 귀속관계 및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 등의 쟁점에 관해, 발명진흥법상 직무발명에 대한 해석론 및 각 대학 지식재산권 관련 규정의 분석을 토대로 각 대학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의 통일적인 정비를 위한 개선안 제시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대학교수 발명의 직무발명 해당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규정이 없이 발명진흥법상의 직무발명을 근거로 동법상의 직무발명에 대한 정의규정을 각 대학 산학협력단의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에 그대로 인용한 정도인 것이 현실이다. 모든 대학교수 발명이 직무발명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만큼 사안별로 분류하여 직무발명 해당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근거로 대학교수 발명의 직무발명 범위를 각 대학 지식재산권 규정에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즉 대학교수가 대학의 연구시설이나 인력을 활용하여 그 직무와 관련하여 창출한 지식재산, 대학이나 국가 또는 정부부처와 그 출연기관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과제를 수행한 결과로서 창출한 지식재산, 외부 기업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고 수행한 연구용역 과제라도 대학시설이나 인력을 활용하여 수행할 결과로서 창출한 지식재산은 직무발명으로 보고,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자유발명으로 정의하자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학교수 발명에 대한 직무발명 해당성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설정되고, 이 기준을 충족하여 직무발명으로 인정하게 되면, 직접 발명한 교수에게는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내 합리적인 보상 기준 등의 정립이 시급하다고 할 것인데, 이를 위해 보상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어 왔던 직무발명에 대한 수익기간의 명시, 퇴직 및 사망시의 보상문제 등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한 바, 이를 포함한 대학교수의 직무발명의 정의, 구체적 기준설정을 통한 적용범위 등에 대한 각 대학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의 통일적인 정비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lative regulations of Invention promotion act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each university about whether university professors’ inventions are appliable to employee invention or not and its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scheme. In case of whether university professors’ inventions are applicable to employee invention, it is the situation that Research & Development Business Foundation of each university states regulat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quoting relative regulations of employee invention on Invention promotion act. It is essential to specify the boundary of employee invention on the regula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each university by classifying all of the case of university professors’ inventions, and deciding whether it is appliable to employee invention or not. For instance, it could be employee invention that university professors create intellectual properties by using research facilities of ‘their university’ regardless of having supported research funds by government or company. If the invention is recognized to be employee invention, it is necessary for professor who makes the invention in person to take proper compensation. To do this, because setting the standard of resonable compensation is essential, this paper suggests improvement schemes about specification of period of earnings, compensation in retirement or death, and so on.

      • 종업원의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의 묵시적 이전에 관한 소고

        김훈건(Kim, Whoon Gun) 세창출판사 2014 창작과 권리 Vol.- No.75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n employee, who had created an invention based on facilities of employer, etc. and who had transferred the invention to other company without explicit contract, was entitled to be paid fair compensation which was calculated by Article 40 of the former Patent Act, assuming the invention as an employee invention notwithstanding the nature of free invention as it is. There is, however, a major problem with the decision of the substance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was not free invention but employee invention by reason of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Consequently, The Supreme Court should dismiss the Plaintiff's cla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