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로서의 역사?

        崔成哲(Choi Seong-Cheol) 역사학회 2002 역사학보 Vol.174 No.-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 field of cultural history has achieved a position with universality while leading other fields within the historical discipline and enjoying an un-precedent modernizing mood. However, in spite of these new leading trends of cultural history, the correct defmitions for the concept of 'culture' or 'cultural history' are not established yet. Consequently, within this absence of established definitions, understanding those concepts becomes much harder. In this paper, I am going to examine the definitions on history, culture, and cultural history given by Johan Huizinga,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histori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this examination I hope to provide a vision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dilemma in the present field of cultural history. For Huizinga 'history' is seen as a mental form through which one would understand the world surrounding him on the basis of the culture of the past. And 'culture' for him is a historical subject, which suggests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from the past. At the same time it is seen as major objects for the people within the same cultural boundary to choose to study when they write their history. Huizinga's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ncepts could be stated as following: history is cultural phenomena and the culture is historical phenomena. In other words, history is the culture of the past, and culture is the history of the present. In defining both concepts, one concept should function as a quintessential device for explaining the other. Consequently, in Huizinga's writing we fi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looks ambiguous in terms of their contents. Because of this tendency, the question whether 'history' and 'culture' are two completely substitutable concepts for Huizinga, seems to be still in debate. However, on the basis of such outside features, we should not conclude that Huizinga understood history and culture as the same concepts that can substitute each other. Furthermore such an argument would lose any of its explanatory power when we find that Huizinga eventually regarded culture as an upper hand concept, which includes history. Consequently the relationship of 'history' and 'culture' for Huizinga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ing. While they are sharing similar contents, history and culture are in the process of dialectical development while complementing each other in making up for the other's weakness in order to become one perfect concept. On the other hand, 'cultural history' for Huizinga is not just some simple concept of mathematical combination between culture and history. Huizinga's cultural history is produced to be a synthetic concept in new dimension functioning to observe and respond to an era's historical situation while suggesting a new metaphorical vision as 'the phenomenology of culture' and 'the morphology of life: In this point of view, this very contribution by Huizinga should be reassessed as an opened vision about history, which had already discussed and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mong the new sciences of cultu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놀이’의 의미 탐구 : Huizinga와 Caillois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

        홍정아(Hong, Jeong-Ah),김소향(Kim, So-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Huizinga와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놀이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놀이 이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시사점은 놀이는 놀이 행위 그 자체를 의미하며, 놀이 자체가 목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유아교육에서 놀이를 유아 전인발달의 매개체로 보기 보다는 놀이 자체를 교육의 목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 시사점은 놀이는 일정한 규칙이 있고 그 규칙을 내면화하는 것이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이고 이는 놀이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인 Vygotsky의 내면화 이론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놀이와 교육에 사회문화적 맥락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즉 유아들은 놀이를 통하여 그들의 사회문화를 자연스럽게 내면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시사점은 놀이는 재미를 최우선으로 추구하며 자유롭고, 몰입을 동반한 행위라는 것이다. 유아들은 자유롭게 선택한 놀이에서 재미를 느끼고 몰입을 통한 긍정적 정서와 행동의 자유를 얻게 되므로, 유아교육에서 유아의 흥미와 능동성을 강조하는 놀이중심 유아교육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Huizinga and Caillois s play theory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looking at the meaning of play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play theory of Huizinga and Caillois.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play means the act of play itself, and that play itself should be the goal. This suggests that the play itself should be viewed for educational purposes rather than as a medium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econd implication is that play has certain rules and internalizing the rules is a sociocultural interaction, which is achieved through play. This is in line with Vygotsky s claim, and we can find common ground. Therefore children can see through play that their social culture is internalized naturally. The third implication is that play pursues fun as a top priority, and it is free and flow. So,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mphasis is on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interest and activeness of the child.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놀이와 문화정책 -호이징아의 "놀이"개념을 중심으로-

        김화임 ( Hwa Im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5

        호이징아의 저서 『호모 루덴스』는 1938년에 쓰여졌으나, 오늘 날 더주목받고 있다. 그는 “놀이는 문화 자체보다 앞서 있는 것이고, 문화의 토대이며, 요소”라는 테제를 내세우면서 서양의 문화사를 ‘놀이’의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때 어떤 ‘놀이’가 역동성을 지니고, 문화를 구성하고, 생성하느냐가 그의 주된 관심사이다. 즉 ‘진정한 문화’를 만들어내는 ‘놀이’가 중요한 것이다. 호이징아는 오늘날의 여가사회를 염두에 두고 ‘놀이’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던 것도, 문화정책과 놀이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던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의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은 ‘노동’에서 ‘여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에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 창출의 측면에서도 ‘놀이’가 떠오르고 있는 시대이다. 탈산업사회에서의 경제는 재생산보다는 ‘새로운 발견’에 의존한다. 따라서 인간의 ‘창조적 능력’이 부상하며, 자발적 노동의 중요성이 한층 커지면서 ‘일’과 ‘놀이’의 관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방향에서도 점차 놀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호이징아 의미의 놀이 개념이 본격적인 정책 방향이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호이징아의 놀이 개념에 대한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바탕으로, 그것의 문화정책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창의적 환경조성으로서 ‘자연 어메니티’, 축제 평가의 잣대로서의 ‘놀이’가 그 구체적인 방안 제시에 해당된다. Although it was published nearly eight decades ago in 1938, Homo Ludens by Dutch historian and cultural theorist Johan Huizinga is more spotlighted today than ever. Huizinga reilluminated the cultural history of the West from the perspective of play, while emphasizing his main idea: “Play is older than culture and is the foundation and the element of culture.” One of his main concerns is what play is dynamic and what culture constitutes and generates culture.” For Huizinga, play is highly crucial in creating genuine culture. As a matter of fact, Huizinga nei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lay in consideration of today’s leisure society nor mentioned the direct relation between cultural policies and play.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lay, however, has shed a new light on the contemporary times that require the paradigm shifts from labor to leisure. Besides, we are living in an era when the importance of play is more cherished than ever in terms of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Economy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relies on “new discoveries” rather and “reproduction.” Therefore, with the promotion of men’s “creative power” and with the rising value of voluntary labor,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 “play” is newly reilluminated. Meanwhile, the cultural policies of South Korea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play. Nevertheless, the concept of play maintained by Huizinga has not fully developed into the policy goals in earnest. This study will figure out whether Huizinga’s concept of play would possibly be applied to the nation’s cultural policies based 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concept in terms of forms and contents. This paper will suggest “nature amenity” and “play” as a criterion of policy evaluation. One of the top priority concerns of this paper, however, will be the analysis of Huizinga’s concept of play in terms of forms and contents with much focus on arousing concerns of cultural policies on play.

      • KCI등재

        하위징아의 놀이이론 관점에서 분석한 조선시대 사대부의 투호

        남현지 실천민속학회 2024 실천민속학연구 Vol.43 No.-

        조선시대의 투호를 하위징아의 놀이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본 연구에서는 사대부들이 즐기던 놀이의 본질적 속성이 무엇이었는지 논의하였다. 투호는 왕실에서 시작되어 사대부로 전해진 신체 놀이인데 투호를 통하여 신체를 단련하며 사람들과의 친목을 유지하고 또한 왕실에서는 이를 정사의 연장선상에서 활용하기도 하였다. 투호는 신체 활동과 더불어 시문을 짓기도 하였는데 투호아집도에 잘 드러난다. 참가자들은 예를 지키며 시문을 나누며 자신들의 여가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모습은 여가 시간을 잘 활용하던 그리스 귀족의 디아고게의 모습과 닮아있으며 시문으로 놀이를 진행하는 방식 또한 음유시인 바테스의 모습과 빗대어 볼 수 있다. 사대부는 하위징아가 말하는 시간을 ‘잘’ 보내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벼슬에서 내려 온 후, 귀양을 간 후, 벼슬을 하는 동안의 시간을 투호를 하였으며 시문을 짓거나 야외에 나가는 등 그 모습은 변하였지만 놀이를 즐기는 사대부는 줄어들지 않았다. 하위징아는 놀이가 ‘무엇’을 하느냐가 아닌 무엇이든 ‘노는’ 그 자체라고 말하였다. 놀이하는 인간인 호모루덴스는 삶의 가치를 노동에 두지 않고 놀이나 여가활동에 관심을 기울인다. 하위징아는 삶을 놀이처럼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희의 본질과 의미를 문화현상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놀이를 분석하는 것은 그 시대와 사회의 문화 전체를 이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역설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은 노동에서 자유로운 그리스의 귀족 혹은 조선 시대 사대부와는 다른 환경에 놓여 있지만 기술의 발달에 많은 부분을 양보한 현대 사회에서 ‘놀이’를 제대로 즐기고 있는지, 놀이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어떠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지는 연구자들에게 던져진 질문이다. Examining the play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Huizinga’s theory of play, this study discuss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games enjoyed by the people of the time. The play of the Joseon Dynasty’s royal court and literati readily exhibits features of Huizinga’s play theory. Specifically,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literati exemplified Homo Ludens, engaging in play not for profit but for honor, a key aspect of their recreation. Huizinga asserted that play should not yield economic profit and that any rewards should symbolize honor rather than financial gain, which would otherwise compromise the purity of play. Tuho, a physical game originating from the royal court and passed down to the literati, was not only a means of physical training and fostering camaraderie but also a way for the royal court to extend its formal activities. Unique to Korea and distinct from Chinese practices, Tuho also involved composing poetry alongside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maintained decorum, exchanged poems, and meaningfully engaged during their leisure, reminiscent of the Greek nobility’s Diagoge, adept at utilizing leisure time. This method of integrating poetry with play also parallels the tradition of Bardic poets like Barthes. The literati did not neglect the study of Huizinga’s notions of ‘well’ spent time. Whether retired from official duties, in exile, or during their tenure, they engaged in Tuho and composed poetry, changing in form but never diminishing in their enjoyment of play. Huizinga posited that play is not about ‘what’ one does, but rather the act of ‘playing’ itself, regardless of the activity.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Homo Ludens, or ‘playing human,’ who does not anchor life’s value in labor but instead focuses on play and leisure activities. Huizinga argued that life should be lived in the spirit of play, interpret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play as a 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he articulated that analyzing play within a society is tantamount to understanding the entire culture of that era and society. In the play of the literati clas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one can readily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Huizinga’s theory of play. This calls for a reconsideration of how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lived and played, questioning whether modern individuals, amidst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different social conditions, are truly enjoying ‘play’ or if a shift in perception is necessary to appreciate and engage in play properly. This question is particularly poignant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essence of ‘play’ might be compromised by the demands of labor and economic pursuits.

      • KCI등재후보

        놀이와 문화정책 -호이징아의 ‘놀이’개념을 중심으로-

        김화임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科學 Vol.0 No.55

        Although it was published nearly eight decades ago in 1938, HomoLudens by Dutch historian and cultural theorist Johan Huizinga is morespotlighted today than ever. Huizinga reilluminated the cultural history of theWest from the perspective of play, while emphasizing his main idea: “Play isolder than culture and is the foundation and the element of culture.” One ofhis main concerns is what play is dynamic and what culture constitutes andgenerates culture.” For Huizinga, play is highly crucial in creating genuineculture. As a matter of fact, Huizinga nei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layin consideration of today’s leisure society nor mentioned the direct relationbetween cultural policies and play.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lay,however, has shed a new light on the contemporary times that require theparadigm shifts from labor to leisure. Besides, we are living in an era when the importance of play is morecherished than ever in terms of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Economy inthe post-industrial society relies on “new discoveries” rather and“reproduction.” Therefore, with the promotion of men’s “creative power” and with the rising value of voluntary labor,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play” is newly reilluminated. Meanwhile, the cultural policies of South Korea are increasinglyconcerned about play. Nevertheless, the concept of play maintained byHuizinga has not fully developed into the policy goals in earnest. This studywill figure out whether Huizinga’s concept of play would possibly be appliedto the nation’s cultural policies based 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conceptin terms of forms and contents. This paper will suggest “nature amenity” and“play” as a criterion of policy evaluation. One of the top priority concerns ofthis paper, however, will be the analysis of Huizinga’s concept of play interms of forms and contents with much focus on arousing concerns ofcultural policies on play. 호이징아의 저서 『호모 루덴스』는 1938년에 쓰여졌으나, 오늘 날 더주목받고 있다. 그는 “놀이는 문화 자체보다 앞서 있는 것이고, 문화의토대이며, 요소”라는 테제를 내세우면서 서양의 문화사를 ‘놀이’의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때 어떤 ‘놀이’가 역동성을 지니고, 문화를 구성하고,생성하느냐가 그의 주된 관심사이다. 즉 ‘진정한 문화’를 만들어내는 ‘놀이’가 중요한 것이다. 호이징아는 오늘날의 여가사회를 염두에 두고 ‘놀이’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던 것도, 문화정책과 놀이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던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의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은 ‘노동’에서 ‘여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에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 창출의 측면에서도 ‘놀이’가 떠오르고 있는 시대이다. 탈산업사회에서의 경제는 재생산보다는 ‘새로운 발견’에 의존한다. 따라서 인간의 ‘창조적 능력’이 부상하며, 자발적 노동의 중요성이 한층 커지면서 ‘일’과 ‘놀이’의 관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방향에서도 점차 놀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있다. 그러나 아직 호이징아 의미의 놀이 개념이 본격적인 정책 방향이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호이징아의 놀이 개념에 대한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바탕으로, 그것의 문화정책에의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창의적 환경조성으로서 ‘자연 어메니티’,축제 평가의 잣대로서의 ‘놀이’가 그 구체적인 방안 제시에 해당된다.

      • KCI등재

        Intertextuality 관점에서 놀이문화와 진도북춤

        강연화 한국무용학회 2011 한국무용학회지 Vol.11 No.2

        본고는 진도북춤의 텍스트를 고찰하여 ‘호이징하’의 이론을 근거로 상호텍스트성을 규명한 후 진도북춤의 3차원적 의미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창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도의 지역적 기반 요소를 내포한 다양한 텍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역문화는 호이징하가 주장한 놀이문화 요인과 1차적 영역화-2차적 영역화를 통해 밀접한 상호 관계성을 갖게 된다. 둘째, 1차 영역화 - 2차 영역화 - 범주화를 통한 진도북춤의 요인들은 호이징하의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활동성', '내재적 자기목적성', '비현실적인 활동', '제의성', '시간과 공간의 한계성' 과 관계성이 있다. 셋째, 진도북춤은 진도의 지역적 기반 요소 및 형성요인과 호이징하의 놀이문화 요인들이 복합적인 상호관계성을 나타내면서 '예술로 승화된 진도 특유의 북춤'의 3차원적인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Jin-Do's social cultural connection and Huizinga's play culture and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izinga's play theory and Jin-do drum dance to defin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Jin-Do drum dances from the interactional viewpoint. The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Jin-Do are various texts. Such culture has close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play culture factors claimed by Huizinga. Second, the factors of Jin-Do's drum dance have relationship with Huizinga's cultural factors of freedom, self-purpose, unrealistic activity, regularity, offering, and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ird, the social cultural factors of Jin-Do drum dance and Huizinga's play theology are analyzed From the standpoint of intertextuality, this is 3-d relationship.

      • KCI등재

        놀이와 ‘아곤’ 개념의 유형에 관한 연구 - 하위징아와 카이와를 중심으로 -

        이병돈 ( Lee Byung-d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4

        이 논문은 놀이와 아곤(Agôn)개념에 대해 하위징아와 카이와를 중심으로 비교해보고 이것이 현대에 갖는 의미를 해석한다. 하위징아는 광범위한 언어분석을 통해 놀이 개념을 재정립하고 놀이를 문명의 발전을 추동하는 본능으로 보았다. 특히 아곤(경쟁)은 고등형태의 사회적 놀이에서 문명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후, 카이와는 하위징아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놀이를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 네가지 항목으로 분류하는데, 이 중에서도 아곤은 문명의 발전과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항목이다. 하지만, 근대에 이르러 지나친 물질문명과 너무나 진지한 합리주의로 아곤의 개념은 왜곡되었고, 현대의 아곤은 무자비한 경쟁 또는 무조건적 평준화라는 양극단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놀이와 아곤의 본질 회복을 통해 ‘서로가 성장하는 경쟁’, ‘다음 기회를 허용하는 경쟁’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This paper compares the concepts of play and Agon (competition) with Huizinga and Cailloi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is in modern times. Through extensive language analysis, Huizinga redefined the concept of play and viewed play as an instinct to drive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n particular, Agon is an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civilization in higher forms of social play. Afterwards, Caillois critically inherits Huizinga's ideas and classifies play into four categories: Agon, Alea, Mimicry, and Ilinx, among which Agon is an important item directly related to development. However, in modern times, Agon's concept has been distorted by excessive material civilization and too serious rationalism, and modern Agon is taking place at the extremes of ruthless competition or unconditional equ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odern meaning of "competition in which each other grows" and "competition that allows for the next opportunity" through the restoration of Agon's essence.

      • KCI등재
      • KCI등재

        카이와와 호이징하의 놀이이론 관점에서 본 훌라후핑의 미적 특성

        이종영,이해일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1

        Hula hoops are used as exercise equipment and toys by a lot of women and children. However, existing studies were confined with the field of exercise physiology and kinetics. Therefore aesthetic characters were researched in this study in view of the play theory by Roger Caillois and Johan Huizinga.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hula hooping is athletic beauty as aesthetic cosmo phenomenal play that contains the yo−yo which is transformed from a linear shuttle motion into a continuous circular movement ,and kite−flying which has character the player projects his presence beyond the limits of his body. Second, Alea, mimicry, and ilinx are contained by hula hooping among agon, alea, mimicry, and ilinx on the basic attitudes of the play. Also, hula hooping is derived from a kind of counter motion of children "whirling", the factor of "Paidia" of children "whirling" is transformed to the factor of "Ludus" carrying technical beautify by the hula hoop. And more diverse technical beautify is presented by agon and mimicry. Third, expressional beauty for creative needs which is able to aesthetic experience by beauty, fright and mystery through levitation of the hula hoop is supplied by hula hooping. Fourth, overcoming beauty is created by obstacles providing overcoming pleasure by the hula hoop. From these results, researches for hula hoop equipment, playing methods, and techniques are demanded. 훌라후프는 많은 성인여성들과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운동기구이자 놀이기구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훌라후핑연구는 운동생리학과 운동역학에 관한 연구에 국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훌라후핑의 미적 특성을 놀이이론의 원류인 카이와와 호이징하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훌라후핑은 직선적인 왕복운동을 연속적으로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중력과 회전의 특징을 갖는 요요놀이와, 육체의 한계를 넘어서 자신을 투사하는 특징을 갖는 연날리기의 성격을 모두 포함하는 미적 우주현상놀이로서 운동미이다. 둘째, 훌라후핑은 놀이를 지배하는 기본적인 태도들로써 미적 감정이 연관된 경쟁, 운, 모의, 현기증 중에 운의 요소를 제외하고 나머지 요소들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현기증은 일종의 어린아이의 「뱅뱅돌기」와 같은 일링크스(현기증)의 역동작으로, “파이디아(Paidia)”적 요소는 훌라후프라는 도구에 의하여 “루두스(Ludus)”적 요소로 전환되는 기술미를 갖고, 경쟁과 모의를 통해서 보다 다양한 기술미가 표출된다. 셋째, 훌라후핑은 훌라후프의 부양 등을 통해 아름다움, 놀라움, 신비라는 심미적 경험을 가능케 하는 창조욕구의 발현미를 제공한다. 넷째, 원운동을 실현시키는 훌라후프는 극복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하나의 의도적 장애물 역할을 수행하는 극복미를 창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훌라후핑의 지속가능한 미적 특성강화를 위한 훌라후핑의 도구, 놀이방법, 기술 등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