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 대중음악과 종교교육

        孫元暎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7 No.-

        최근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기독교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CCM으로 불려지는 기독교대중음악은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라이브공연장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글은 CCM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통해 새로운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세가지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된다. 첫째, 대중문화로서 기독교대중음악은 어떻게 정의되고 또 분류될 수 있는가? 둘째, 문화란 의미를 만드는 실천이라고 할 때, 기독교문화적 실천으로서의 기독교대중음악은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셋째, 앞의 논의를 통해, 향후 종교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이상의 탐구주제를 통해, 연구자는 기독교 종교교육이 기독교적 문화교육으로 재개념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CCM이 문화적 실천으로써 적어도 해방적 실천, 해석학적 실천, 그리고 영성적 실천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빠른 시일 내에 기독교문화를 실천할 수 있는 종교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s the popular culture which is focused on "Contemporary Christian Music"(CCM), and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more details, this paper follows three issues about CCM which are in debates. First of all, the researcher tries to clarify the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as well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terms of what culture means by "signifying practices." Based on such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CCM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models: worship and praise model, communio sanctorum model, and neighborhood mission model. Secondly, this paper argues that CCM could be theologically interpreted by three-folded theological praxes, i.e., liberating praxis, hermeneutical praxis, and spiritual praxis. Thirdly, following the above results, researcher tries to reconstruct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us, this paper suggests to re-conceptualiz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s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evangelization in postmodern cultural society, and to develop the new religious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 popular cultures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Groome의 ‘Sharing Faith’에 나타난 ‘앎’에 대한 철학적 논의

        한미라(MeeRha Hahn),전예령(Ye-Ryung Chu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4

        본 논문의 목적은 그룸의 두 번째 저서 “Sharing Faith”에 나타난 ‘앎’(Knowing)의 방식에 관한 철학적 기반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그룸이 영미권의 학자이므로 그가 인용하고 있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2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과 근대 유럽 철학자 2인(데카르트와 칸트)의 인식론을 조사하고 각 인식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룸이 그 이론들을 어떻게 비판 또는 수용하고 있는 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그룸이 자신의 각 이론들의 비판과 수용들이 어떻게 나눔의 프락시스 교육론에서 접목되었는지를 찾아내어 설명하였다. 주요 발견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기독교 신앙교육에서 프락시스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프락시스는 이론의 반대어가 아니다. 프락시스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선 플라톤의 아남네시스의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이 개념으로부터 그룸은 존재에 대한 기억을 상기하였다. 이것은 그의 프락시스 방법에서 사람들의 현재 삶을 명명할 때 적용되는 인식의 방식인 기억으로 재수정되었다. 또한 아리스토틀의 세 가지 삶의 방식을 통전하여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를 알고, 그것을 자신의 삶에 도입하며, 마지막에는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자신의 책임을 결단하는 것까지, 즉, 앎과 삶이 하나로 통전되는 교육방법을 그룸은 나눔의 프락시스 교육론에서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그러므로 그룸이 사용하는 프락시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 가지 삶의 방식에서 유래한 것으로 “존재”에 대한 통전적 이해이다. 우리가 처한 시간과 장소에서의 우리 존재의 역사적 의식과 현실에서의 “프락시스(praxis, 실천)”라고도 정의할 수 있겠다. 이 논문을 준비할 때 두 연구자의 질문은 “그룸의 프락시스는 어떤 인식론적 철학적 배경을 갖고 있을 까?”이었다. 이 연구의 두 연구자는 자신들의 질문에 답을 찾아 가며 자신들이 누군지, 관심이 무엇인지, 기억과 분석과, 창조적 상상을 하면서 프락시스의 개념을 탐구하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 것 같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at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knowing’ is in Thomas H. Groome"s second book, “Sharing faith.” Since Groome is a western scholar, we examined the epistemology of two ancient Greek philosophers (Plato and Aristotle) and two modern European philosophers (Descartes and Kant). Having fou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epistemology, and we discussed how Groome criticizes or accepts those theories. In addition, Groome found out how critics and receptions of the theories were incorporated into his theory of Shared praxis approach to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Praxis is a key concept in Groome’s Sharing Faith. Praxis is not the antonym of theor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raxis, we must understand the concept of Plato`s Anamnesis. From this concept, Groome recalled it as the memory of existence. This was reassessed in his epistemology of existence, which is the way of recognition applied when naming people"s present lives.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the three types of knowing by Aristotle; to know God`s Word and revelation, to apply it into their lives, and finally to commit their own responsibility to carry it out, that is, which has been reconstructed in Shared praxis approach to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by Thomas H. Groome. Therefore, the praxis used by Groome is derived from the three ways of knowing by Aristotle, which can b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being.” It can also be defined as “praxis”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reality of our existence in time and place that we are in. For preparing this paper, the two researchers’ question was “What epistemolog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does Groome’s praxis have?”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seem to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we have got the answer to our question by exploring who we are, what we are interested in through the activities of memory, analysis, and creative imagination of our praxis.

      • KCI등재

        뉴노멀 시대에 교회가 추구해야 할 십자가 프락시스의 설교 : 기독교 이야기와 비전을 중심으로

        채정명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미디어 생태계의 지각을 바꾸어 놓은 COVID-19 팬데믹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교회는 이제 뉴노멀(New-Normal) 이라 불리는 격변의 시대적 상황 가운데 놓여 있다. 회중은 역사적, 사회적 존재로서 그들이 몸담고 살아가는 세상으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갈 수 밖에 없다. 그러 므로 설교에는 복음에 대한 바른 신학적 이해와 함께 회중이 살아가는 현실에 대해서 도 올바른 해석이 담겨져야 한다. 급격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도 변함없이 복음을 수 호하고 교회를 바로 세우며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성도들에게 삶 과 앎의 분리, 무분별한 가치관의 수용, 그리고 성경의 왜곡된 이해와 같은 문제는 신 학적 본질의 상실에서 나온다. 토마스 그룸(Thomas H. Groome)은 이론과 실천, 신앙과 삶, 내용과 경험의 이 분화를 극복하고 통합적인 실천적 앎의 형성을 위해 해석학적 차원을 지닌 공유의 프 락시스(Shared Praxis)를 제안하는데, 이는 성경이라는 텍스트와 오늘날 우리 삶의 현실과 경험이라는 컨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해 삶-성찰-삶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프락시 스를 반영하는 설교는 삶의 자리에서 그것을 시작하고 삶에서 이루어진 복음의 경험 적 차원을 이야기하며, 결국 삶의 반성과 변화를 추구한다. 또한 프락시스의 비평적 성찰은 기독교 공동체의 이야기와 비전의 원천이 되며,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삶의 현 실의 이야기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전통 안에서 드러난 이야기와 비전과의 변증법적 대화를 통해 전해야 할 진리가 무엇(기독교 이야기와 비전)이며, 무엇을 반 성할 것이며(나의 이야기와 비전), 어떻게 그 삶이 회복되어져 갈 것인지(비평적 성 찰)를 숙고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오늘의 상황 속에 서 프락시스로서의 설교 사역 회복을 위한 바른 신학적 기준을 정립하고자, 예수 그 리스도 안에서 드러난 자기계시인 십자가라는 궁극적 이야기와 비전으로서 존 스토트 (John Stott)가 말하는 정체성(제자도)과 자기이해(존재성), 공동체성(타자성), 공공성 (정의)의 회복을 강단회복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Amid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the COVID-19 pandemic,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 which have changed the perception of the media ecosystem, the church is now in the midst of a new standard, called New-Normal. As historical and social beings, congregations have no choice but to live by exchanging influences from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Therefore, the Preaching should contain a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reality in which the congregation lives along with a correct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gospel. Problems such as separation of life and knowledg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values, and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Bible arise from the loss of theological essence for saints who are invariably responsible for defending the gospel, building churches, and playing the role of light and salt in the world. Thomas H. Groome proposes a shared Praxis with an hermeneutic dimension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theory and practice, faith and life, content and experience and to form an integrated practical knowledge. Preaching reflecting this Praxis begins it in the place of life, talks about the empirical dimension of the Gospel made in life, and eventually pursues reflection and change in life. In addition, Praxis' critical reflection becomes the source of the Christian community's Story and the Vision, and it makes us reflect on what truth (the Christian Story and the Vision) to be conveyed through dialectical dialogue with the Story and the Vision of Christian life today and the Bible. Through this process, in order to establish the right theological standard for the restoration of preaching as Praxis in today's rapidly changing situation, this study presents John Stott's ultimate the Story and the Vision of the Cross, self-understanding (existence), community (otherness), and public (justice) as alternatives to the restoration of the pulpit.

      • KCI등재

        영적식별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영적식별(spiritual discernment)은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기에 기독교 역사상 많은 신앙의 구도자 들이 성경의 말씀과 성령님의 인도하심에 따라 깊은 신학적 독서와 기도를 통해 이를 구해 왔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 푯대를 찾기 힘든 시 대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그들 삶의 이정표를 발견하지 못해 세상의 흐름과 풍조에 자신의 삶을 맡기며 방황하고 있다. 신앙인들 또한 물질주의와 세속주의적 세계관 속 의 고도의 기술력으로 급변하는 세계에서 더더욱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살기 어려워 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로 바탕을 삼은 첨단화시대에, 현대인들이 영적인 것에 더욱 관심을 가지며, 신학계에서도 영성신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물질로는 영적인 갈급함이 채워 지지 않기 때문이다. 혼탁해지고 어두워져 가는 이 세상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기준삼아, 살아가야 할까? 교회는 침묵하시는 하나님 앞 에서 어떻게 그분의 뜻을 구할 수 있을까? 성경과 교회전통에 자신의 삶을 비추어 참 인지를 검증하는 과정이 삶의 신학화(神學化)라면, 이러한 신학을 현장에서 구현하여, 이론을 삶으로 살아내는 것이 실천신학이다. 그러면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 교육은 교회의 위대한 전통인 영적식별을 어떻게 교회현장과 신학교에서 담아내고 있는가? 영성과 기독교 교육사이에서 그 적용점을 낳아야 하는 영성교육은 과연 이러한 하나님의 뜻 분별이라는 과제 앞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가? 본고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 는 영적식별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먼저 다음 장인 II장에서는 영적식별에 대한 용어적 정의와 성경에서 쓰인 용례를 통해 교회현장에 있어서의 영적식별의 필요를 살펴 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성서신학, 교회사, 실천신학에서의 영적식별의 신학적 흐 름들을 짚어볼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기저를 바탕으로 IV장에서는 전제, 기준과 단 계, 규범 등의 영적식별의 실제를 알아볼 것이다. 결론격인 V장에서는 이러한 영적 식별의 기독교 교육적 적용점들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Spiritual discernment" is to seek God's will. However, it is not so easy. Thus, by following God's Word and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many seekers have found God's will through theological readings and prayers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Modern man lives in a time where, more than any other time in history, it is difficult to find a sign post. Many people today are wandering aimlessly and simply going with the tide because they are not finding any of life’s milestones. Believers, too, find it difficult to discover God’s will in this materialistic, secularized, and rapidly changing, high-tech world. For this reason, it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for modern people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spiritual concern; and for theologians, the spiritual theology. There is an undying spiritual thirst. In this secular world, what are we to follow and live by? How is the church to find God's will in His silence? Then, how does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contain spiritual education, as a great church tradition, in the fields of local churches and seminaries? What is the response of the spiritual education which should give birth to Christian educational application between theology and praxis? This study is a Christi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spiritual discernmen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I will explore the need of spiritual discernment in the fields through the terminological definition and examples of the Bible. Chapter II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streams in the biblical theology, church history, and practical theology concerning spiritual educ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chapter IV will find practice of the spiritual education such as premises, criteria, stages, and rules. Chapter V will try to apply these theories about spiritual discernment to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한국기독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 교육 방법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적용-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Education is a powerful tool of socialization process to perpetuate the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An ideology to maintain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is established as social convention b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Korean church should reform herself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move not only for her renewal and revival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To make it come tru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seminary students is needed for their’s recognizing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the seminary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the seminary student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illustrates a lesson plan model to practice into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employing the teaching method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This study describes the following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ntroduction brings out a question related to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 and presents main topics to be discussed for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hapter II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Korean chu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gender equality issue in Korean churc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women minist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and the renewal of the church. Chapter III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r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t tries to build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includ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e study of chapter II and chapter III, Chapter IV explicates the components and movement process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practical teaching model and adds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o teaching-learning scene. Chapter V illustrates the example of an actual model employing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o practice in a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at example is presented as a lesson plan with the class topic titled as “a typical pattern of workload sharing in pastoral ministry between men and women” for one session of a course of women’s studies in a theological seminary’s curriculum. Conclusion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of the study and proposes the practical use of this praxis model for the teaching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over the various educational a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for the paradigm shif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가치를 영속화하는 사회적 과정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역시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회의 양성 불평등 문제의 개혁은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 사회의 양성평등 가치의 발전에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 차원에서부터 기독교 사역자로 교육받는 남녀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하다. 본서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기독교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교 차원의 커리큘럼에서 실천적 교육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의 인식과 관련한 실천적 교수-학습 모델(레슨 플랜)을 구성하여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실현을 위해 본서는 1장 서론에서 한국 기독교회의 사역자들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다루게 될 주요 명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회 내 젠더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회와 양성평등 인식 수립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과정의 신학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와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 철학의 구성 요소를 다루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기초로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토마스 그룸의‘나눔의 프락시스’방법론의 구성 요소와 핵심 활동의 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이를 적용하기 고려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나눔의 프락시스’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진행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신학교 차원의 한 학기의 여성학 강의 중‘교회 내 남녀 사역자의 업무 분담의 정형성’이라는 한 차시의 수업을 위한 레슨 플랜을 프락시스 모델의 전개과정을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의 활용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진술하였다. 본 연구가 ‘양성평등 인식’의 가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써 활용되고, 한국 기독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종교교과에서의 기독교적 종교교육 실천을 위한 교육모형 연구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김선아 한국종교교육학회 2010 宗敎敎育學硏究 Vol.32 No.-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종교교육의 기본방향은 학습자들이 종교문제를 생활 속에서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주제로 만나게 하고, 모든 주제들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례들을 통하여 접근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종교교육의 기본방향에 부합하고, 학습자에게 경험을 제공하는 학습상황을 중요시하고,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강조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이야기하기인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종교교과에서 기독교적 종교교육을 실천적으로 수행하는 교육모형을 탐구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다.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과 기독교의 전통을 연결시키는 그룸의 다섯 단계의 실천적 교육모형과 개인의 정체성 이야기를 기독교적으로 재해석하게 하는 오스머의 다섯 가지 차원의 교육모형은 기본적으로 내러티브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즉 학습자들의 고유한 정체성에 맞게 기독교의 이야기와 비전을 재해석한 것을 학습자들의 것으로 통합시켜 학습자들이 공동체 안에서 헌신하도록 결단을 촉구하는 그룸과 오스머의 교육모형은 모두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기초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적 기본 성격은 그룸의 다섯 단계의 실천적 교육모형과 오스머의 다섯 가지 차원의 교육모형을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실천적 수행을 위해 종교교과 수업에 적용함에 있어 그 타당성과 적절성, 그리고 효율성과 매력성이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첫째, 상상력과 해석적인 재구성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능력과 양식을 다양화하는 내러티브는 종교교과에서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실천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매우 타당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 둘째,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그룹 구성원과의 관계 속에서 학습자들이 인격적이고 창조적인 만남과 돌봄의 경험을 하게 되고 자신들의 신앙을 성장시키게 된다는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관점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 셋째, 이야기의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공동체를 통해 공동의 기억, 공동의 전통 이해, 공동의 삶과 목적을 공유할 수 있다는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공동체에 대한 관점과 접목될 수 있다. 넷째, 교사와 학습자와의 상호협동적 관계를 통해 학습의 효율성과 매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교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동기부여를 하여 학습자들은 학습 상황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학습에 매력을 느낄 수 있다. 한편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육모형으로 이 내러티브적 교육과정을 활용할 경우 매우 개인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점이 우려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실천을 위해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기초로 한 교육모형을 종교교과에서 사용할 경우, 실제적으로 활용된 사례들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사례연구를 통해 그 효과성과 적절성, 타당성 등이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검증이 바탕이 될 때, 학습자들은 기독교적 삶의 양식에 기초한 정체성과 성품을 형성하는 여정에 안전하게 들어서게 되고, 계속하여 학습자들은 그들의 삶의 이야기를 기독교적으로 재해석하는 이 여정에 기쁨으로 참여하도록 초청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환경 속에서의 청소년의 영성 형성을 위한 연구

        이미아(Mi-ah Y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2

        오늘날 한국 청소년들은 자기 정체성의 규명과 역사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발견하고 생의 소명을 주체적으로 이루어 나가는 일에 있어, 심리사회적 또한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큰 도전을 받고 있다. 대중문화 속에 자리 잡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자아 주체성과 주체적 역할은 위기 속에 있다. 청소년의 진정한 존재 규명과 역할 발견은 자신의 존재 근거로서의 하나님과의 관계성 수립을 근거로 동료 인간 및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나아가 청소년의 영성 형성은 하나님, 인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규명하며, 역사 속에서 자신의 생의 소명을 결단하고 행동해 나가는 전인적 성장 과정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 속에 광범하게 흐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환경 속에서 청소년의 영성 형성 및 진정한 정체성 달성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역할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청소년에 대한 발달론적 이해를 시도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중문화 속에서 청소년이 겪어야 할 발달 과제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나아가 기독교 영성 안에서 청소년의 진정한 자기 정체성 발달을 위한 전인적 영성 형성을 위해,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를 하나의 교육학적 방법론으로서 제안하였다. Today, adolescents in Korea have a task of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of the discovery of their own roles and life-calling in historical reality. This process includes a big challenge in the psycho-social aspect and sociocultural aspect. Youths" concept of self and their independent role encounters a crisis in Postmodernism environment. The clarification of their identity and finding out their calling in life in a true meaning should be done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humans and the worl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Furthermore, youth"s spiritual formation should be fulfilled in the process of the holistic maturity in which they investigate thei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humans, and the world as well as determine and conduct their life ca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s spiritual formation including the true identity accomplishment in the Postmodern environment widespreadly permeated in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For this, this study tried to do a developmental understanding to youths in the psycho-social aspect. Also, a developmental task that youths should go through in Postmodern popular culture was investigated. Moreover, this study proposed "Thomas Groom"s shared praxis" as an educational method so that youths can carry on their true identity accomplishment and form a holistic spiritual formation.

      • KCI등재

        인구절벽 시대의 어린이 목회와 설교

        김종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6 No.-

        The Korean Church has shown remarkable growth to the world. A large number of Korean Churches has established, and the church sends missionaries everywhere around the world. Despite revival, Korean churches are not having a bright prospect. After the 1990s, the growth of the Church has stopped. The Economic crisis, low birthrate, and the spread of secular values head for the endless crisis of the church. However, I argue that this crisis originated from the problem of sermon platform. Especially, to educate faith to children, we have to indicate structural problems that block faith to grow, and it will recover starting from changing of sermon platform. Thus, we have to look children's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the ecosystem and to make an attemp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faith can grow through the recovery of faith ecosystem. the fundamental cause is from ineffective bible deliverance. Korean Church encounter with the serious problem of a bible interpretation and in effective deliverance of the Bible. Thus, the reason for children's faith education has gotten influenced by destroyed of the ecological system is because of sermon platform. There is two way to understand about preaching: know about what preaching is, and know how to preach effectively. Next, know what bible talks about children and know the diverse development of children to understand children in various ways. Last, look out for action in the sermon communication and keep in mind of various communication element. and then looking into Thomas H. Groom's shared praxis model to know shared praxis' important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each praxis' five movement progress. "LIFE+" is preaching method to recover faith ecological system with rationale Thomas H. Groom'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he end result of children faith education is slow and in numerous cases, we cannot even check mostly. But for the recovery dimension of Korean church ecological system, those in charge of it needs a sense of mission, continuing cooperation, and support. Moreover, cooperation at home is now essential to make children faith to grow effectively. I dream Korean church to be restored with a recovery of sermon platform of a new generation. 한국 교회는 세계가 주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었다. 1990년대 이후 교회 성장이 멈추었고, 교회의 부정적 인식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경제위기, 저출산, 세속적 가치의 확산으로 교회는 그 끝을 알 수 없는 위기로 치닫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위기를 설교 강단의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한다. 특별히 어린이 신앙 교육에 있어서 신앙이 바르게 자랄 수 없도록 만든 구조적인 문제들을 지적하고, 그 회복의 시작을 설교 강단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고 본다. 이렇듯 어린이 주변을 둘러싼 환경을 생태계로 보고 신앙 생태계의 회복을 통해서 신앙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꾀한다. 본질적 원인은 성경을 바르게 해석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한 성경해석의 문제, 바르게 해석된 본문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설교의 전달의 문제를 한국교회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로 진단한다. 이렇게 어린이 신앙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신앙 생태계의 파괴의 주된 원인을 설교강단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먼저 어린이 설교가 바른 해석과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두 영역, 우선 설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설교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설교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형식을 어떤 방법이 있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어린이에 대한 이해로 성경에서 말하는 어린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다양한 발달의 영역에 대해 살펴보면서 어린이를 다각도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써 설교를 살펴보고, 설교시 염두해 두어야 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Thomas H. Groome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살펴봄으로 나눔의 프락시스가 갖는 주요 개념과 특징들, 프락시스의 다섯가지 무브먼트가 진행될 때 각각의 의미들을 집어본다. 이 모델을 기초로 신앙 생태계 회복을 목표로 한 “LIFE+” 설교 방법을 제안한다. 어린이 신앙교육이 그 결과를 보는 것이 더디고 많은 경우 그 조차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한국교회 신앙 생태계의 회복이라는 차원에서 맡은 자들의 사명감, 지속적인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 신앙이 효과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가정과의 협력은 이제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다음세대 설교 강단의 회복을 통해서 한국교회의 회복을 꿈꿔본다.

      • KCI등재

        신학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정희완(Jeong, Hee 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7

        신학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신학은 교회뿐만 아니라 사회 안에서도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또 담당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신앙이 사적 차원뿐만 아니라 공적 차원도 포함한다는 것에 대한 재성찰, 개인의 영역으로 축소되었다고 여겨졌던 종교가 공적 영역에서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는 현상, 그리고 비록 학문의 영역에서 주변으로 밀려난 것처럼 보이지만 신학은 그 본성상 공공성을 지니는 학문이라는 것에 대한 자각, 이 세 요인들이 사회 안에서의 신앙인들과 교회의 신앙적 실천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서의 신학이 갖는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질문과 논의를 낳았다. 신학의 공공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 데이비드 트레이시(David Tracy)의 주장에 따르면, 신학은 하나의 공적 담론으로서 학계와 교회와 사회라는 세 공적 영역 안에서 공적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신학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된 배경 안에는 모든 신학이 컨텍스트적이라는 것에 대한 자각과, 이론과 실천의 통합으로서의 신학의 실천 지향성에 대한 요구와, 실제 현실 안에서 사회참여적 신학들의 등장이라는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사회참여 신학이란 사회 현실들에 대한 신학적 관점에서의 분석과 비판과 대안 제시를 모색하는 신학이며, 사회 안에서의 교회의 모습과 세상 속에서의 신앙적 실천들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제기하는 신학이다. 이러한 사회참여 신학을 지향하기 위해서 우리 신학은 교회의 신앙적 담론과 세상 속에 서 있는 교회의 모습이 갖는 정치적 속성과 이데올로기적 속성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신학은 세상 속에 계시는 하느님을 발견하기 위해 사회과학적 방법론의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신학은 추상적이고 비현실적 언어들로 자신의 담론을 형성해 가기보다는 더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이 시대 사람들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언어로 자신의 담론을 만들어 가야 한다. 신학은 이론적 정교함에서도 판단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 그 신학이 수행하는 것들을 통해 또한 검증되어야 한다. 신학은 자신이 어떤 기능으로 사회 안에서 작동되는지 그리고 또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명한 자기 이해를 가져야 한다. 우리 신학이 이러한 방향성으로 움직여 갈 때 한국적 사회참여 신학은 탄생하게 될 것이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ocial mission of theology. Theologians believe that theology can and should seek the possibilities of new forms for the social involvement of Christians. They recognize that faith has a public dimension as well as a private one. They are experiencing the resurgence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They realize that theology, which seems to be marginalized in the academy, has publicness by its very nature. This awareness has brought about the ques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ology for the good of society. According to David Tracy, who argues that all theology is public discourse, theology should be practiced in face of three particular publics(academy, church, and society). The reasons why a sense that theology has publicness are thre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ology is contextual, the emphasis on the practical function of theology as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emergence of public theologies in a broad sense. Theology of social engagement, which can be defined as a critical reflection on Christian praxis in society, attempts to address soci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and suggest an alternative vision in the light of Gospel. In order to construct a transformative theology, we should be aware of the political dimension of the Church, focus on ideological factors of theological discourse, and disarm the transcendence of theological discourse by revealing the unconsciousness of theological knowledge. To perform this social mission, theology should converse with the social sciences. Because theology is first and foremost a way of using language to make sense of God and the world, its languages need be more concrete, intelligible, and rhetorical. Most of the traditional symbolic languages of Christianity are out of date. They do not work effectively in contemporary society. We need new modes of symbolic languages, which can lead to emancipatory politics. Theology as a discipline should not be judged based upon its ability to solve particular social problemes but based upon its capacity to ensure logical integrity. But theology should be judged based on its performativity as well as its theoretical elaboration. In other words, theology should always be investigated as to its persuasive power and argumentative functions in particular situations. We should examine how theology works in society and what functions theology really performs. These efforts can lead to the start of a Korean Catholic theology of social engagement.

      • KCI등재

        The Hopeful Vis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Moon So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21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calls for a new alternative to maintain their own identities within the coexistence of various values and diverse beliefs. Jesus" teaching model, which provides a moral principle and consciousness to move toward the convention of the era, is working as the foundational insight in this article. Christian educators have laid stress on the activ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theology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the reflexive activity within theology in a modern society. However, they have failed to achieve the equal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ology and its non-theological partners. Thus,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needs to focus on the conversational process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other disciplines based on the hermeneutical-praxis paradigm. It will also be another task of Christian scholars to reinterpret the original meaning of Christian faith, activating God"s loving-kindness and faithfulness in Jesus Christ.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might be concerned with the future vision of Christian educational activities (for example, the Godly Play) in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as well as the past heritages in Christian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