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황신학 전망에서의 하느님 이해 문제에 관한 성찰

        정희완 신부(Prof. Fr. Heewan Jeong) 신학과 사상학회 2016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7

        현대 신론은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종교와 종교적 신앙의 역할을 약화시키는 세속주의, 하느님 존재를 부인하는 무신론과 인간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불가지론적 태도의 확장과 생의 모든 의미를 물질적 성취와 욕망의 실현에 두는 물질적 쾌락주의의 성행은 신에 대한 관심에서 사람들을 멀어지게 한다. 또한 형이상학적 사유에 기초한 그리스도교 전통의 하느님 담론들은 전혀 사람들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 하느님에 대한 담론들을 전개함에 있어서 새로운 방식과 형식이 요청된다. 이러한 도전들에 맞서 현대 그리스도교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탈형이상학적 관점에서 하느님에 대한 담론들을 구성하려 한다. 그들은 신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이성을 중시하는 전통 신학의 방식에 서 벗어나 감정과 경험의 차원을 강조한다. 또한 그들은 하느님을 표현함에 있어서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개념을 사용하기보다는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즉, 종교 언어의 은유적, 유비적, 상징적 특성을 강조한다. 한편으로 현대 그리스도교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하느님 존재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하느님 정체성을 더 강조한다. 그들은 하느님의 무력함 혹은 겸손함을 강조한다. 이들에게 하느님은 전통신학이 묘사하는 전지전능하고 초월적인 하느님이 아니다. 하느님은 말로 형언할 수 없는 신비이며 약한 하느님이다. 또한 하느님은 숨어 있는 하느님이며 동시에 계시하는 하느님이다. 더 나아가 이들은 전통적인 하느님 이미지들 안에는 많은 이데올로기의 왜곡이 숨어있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이들은 이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하느님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찾으려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오늘 우리의 상황에서 하느님을 어떻게 생각하고 말할 것인가? 우리는 어떤 하느님을 고백할 것인가? 즉, 하느님의 어떤 특성을 우리는 강조할 것인가? 이 질문들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상황들을 분석해야 한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우리의 상황들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했고, 당연히 하느님에 대한 우리 자신들의 담론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여전한 숙제다. Contemporary Theology of God faces many challenges. Secularism, which means the retreat of religion from the public space and the decline in religious belief, atheism that denies the existence of God, agnosticism, which focuses on the impossibility of knowledge of God, and materialistic hedonism, which stresses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achievement and the realization of desires, have made people far away from the concern for God. The traditional theological discourses about God, which was mainly based upon metaphysical thoughts, are becoming irrelevant to contemporary thoughtful people. This new awareness of the conditions of God-talk calls for a new understanding of God in a different way. In response, contemporary Christian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try to construct in a new way their discourses about Go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etaphysics. They stress not only reason but also emotion in their doing theology. They try to recover experience as an integral element in doing theology and stress the centrality of experience in understanding God. They focus on the limitation of human language for describing God, and are concerned with the metaphorical, analogical, symbolical characteristic of religious language. Contemporary Christian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focus not on the existence of God but on the identity of God. They stress God’s powerlessness or kenosis. They reject a sovereign God in favor of a suffering God. God is not the immutable, all-powerful, completed perfection Christianity has often worshipped. God is an ineffable mystery, weak God, and the hidden-revealed God of history. They attempt to think in a new way about and imagine God in the face of ideological distortions of the image of God. It is the healthy role of critical theology to free the distorted images of God. And then, how do we speak about God in our context? What attribute of God do we stress in our context? To answer the questions, first of all we have to analyze our contexts. But until now we do not analyze properly our contexts, and we do not have our own theology to perform the task. The questions are still in progress.

      • KCI등재

        기적에 대한 신학적 이해

        정희완(Hee Wan Jeong) 신학과사상학회 2022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86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miracles is being challenged. As science advances and secular thinking proliferates, people become increasingly exclusive of miracles and testimonies about miracle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miracles depend on differences in mindset and worldview.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ose who lived in the pre-modern mindset and worldview and those who live in the modern mindset and worldview.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s of acknowledging and accepting miracles due to differences in civilization and culture even among people living in modern age. Miracle stories are much more in the past than in the present. How should we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iracle story of history from today's perspective? There are many miracle stories related to Jesus in the Bible. It is clear that Jesus was accepted as a miracle-worker by the people of that time. However, the ways in which modern Bible scholars acknowledge, accept, and interpret Jesus' miracles differ depending on the category of the miracle. On the one hand, Jesus' miracles are one of many things that Jesus did in his life. Miracles do not determine Jesus' identity. What place does miracles occupy in the contemporary theological context of the theory of ‘God’s continuous cre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racles and natural laws differs depending on how the laws of nature are defined. Science changes and evolves. When a new paradigm for understanding nature is formed, the way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s and miracles will change. Miracles are just one of the many variations of God’s creation. It would make more sense to approach miracles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God’s creation. An understanding of miracle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divine action. Traditional theological accounts of divine action are becoming increasingly less persuasive today. We live in a time when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explain and account for God’s activity. The question of divine action posed by the problem of miracles is perhaps the challenge for the theology of our time. A new theology is called for. Miracles can be better understood in the Sitz im Leben of believers than in the field of science. Miracles are not a scientific problem, but a theological problem and a matter of faith.

      • 부활에 대한 현대 신학적 담론들의 지형도

        정희완(Hee-Wan JEO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Is Jesus’ resurrection a historical event or not? What does the disciples’ experience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mean? Is the resurrection experience subjective or objective? In other words, what is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the resurrection experience? What does it mean to believe in resurrection? What is the specific content of the resurrection faith? What implications does Jesus’ resurrection have for our resurrection? What i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What does resurrection mean to the identity of Jesus Christ? What does resurrection mean on the eschatological level? As such, questions about the resurrection of Jesus can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paper introduces various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rrection that are discussed in contemporary Western theology, with a view to the efforts of modern theology to establish a new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rrection. We want to present a topography of contemporary theological discourses on the resurrection in terms of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Theological discourses on the resurrection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biblical, systematic, and fundamental theological perspectives. Roughly speaking, biblical theologians have been talking about the resurrection in the past. Traditional systematic theologians have talked about the salvific significance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Today’s theologians should include both of them and talk about the resurrection in the future. A new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new humanities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especially in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as created a crisis that make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the resurrection an empty and incomprehensible explanation. In the challenges of humanities and science, Christian theology is faced with the need to reconstruc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rrection through new ways and new imaginations. Therefore, contemporary theologians explore the modern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the resurrection while seeking a balance between the traditional humanistic reason and the traditional theological reason for the resurrection. 예수의 부활은 역사적 사건인가 아닌가? 제자들의 예수 부활 체험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부활 체험은 주관적인 것인가 아니면 객관적인 것인가? 즉, 부활 체험의 인식론적 구조는 어떤 것인가? 부활을 믿는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부활 신앙의 구체적 내용은 무엇인가? 예수의 부활은 우리의 부활에 대해 어떤 함의를 갖는가? 예수 부활의 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부활은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대해 어떤 의미를 지니 는가? 부활은 종말론적 차원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처럼 예수 부활에 관한 질문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부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을 구축하려는 현대 신학의 노력들을 조망하면서, 현대 서구 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부활의 이해와 해석에 관한 다양한 접근 방식들을 주제별로 소개하고 그 방법적 특성을 관점별로 정돈함으로서 부활에 대한 현대 신학적 담론들의 지형도를 그리 고자 한다. 부활에 대한 신학적 담론들은 크게 분류해서 성서신학적, 조직 신학적, 기초신학적 관점으로 구별될 수 있다. 거칠게 말한다면, 성서신학자들은 과거의 부활 사건(the resurrection in the past)에 대해 이야기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조직신학자들은 예수 부활의 구원론적 의미에 대해 말해왔다. 오늘의 신학자들은 그 둘을 모두 포함하면서 동시에 미래의 부활(resurrection in the future)에 대해 말해야 한다. 새로운 인문학적 사조와 특히 20세기 후반 과학의 발전에 따른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부활에 대한 전통적 견해들을 설득력 없는 공허한 설명으로 만들 위기를 초래했다. 인문학과 과학의 도전 속에서 그리스도교 신학은 부활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새로운 방식과 새로운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해야 한다는 요청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신학자들은 현대의 인문학적 사유와 부활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의 사유의 균형을 찾으면서 부활의 현대적 해석과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 프란치스코 교황과 식별의 문제: 교회론적 전망에서

        정희완(Jeong, Hee-wa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그리스도교 역사 안에서 식별이라는 주제는 영성적, 신학적, 윤리학적, 철학적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식별이라는 개념은 영성적이면서 동시에 실천적인 함의를 지닌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식별은, 내면에서 하느님의 뜻을 찾는 영적 행위이면서 동시에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구체적 행동을 향한 실천적 지혜를 추구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현대사회에서 식별과 예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황직 수행과 교회에 대한 그의 이해, 양자 모두를 관통하는 개념이 식별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식별이라는 개념을 통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려 하고, 식별이라는 렌즈를 통해 교회를 성찰하려 한다. 식별의 방법이 무엇인지, 식별을 위해 요청되는 태도와 자세가 어떤 것인지, 식별의 대상과 내용이 무엇인지,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의 문헌과 연설과 강론에서 숱하게 언급하고 있다. 교회론적 관점에서 보면,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있어서 식별이란 첫째, 교회의 세상 읽기다. 식별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사목헌장」의 핵심 개념인 시대의 징표를 읽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식별은 복음과 신앙의 관점에서 세상을 읽는 일이다. 세상의 도전과 질문이 무엇인지 섬세하게 살피는 일이다. 둘째, 식별은 교회가 자신의 구조와 모습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일이다. 즉, 교회 자신을 반성하고 변화와 쇄신을 추구하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사명과 과제를 점검하는 것이다. 복음화와 선교의 사명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일이다. 식별은 읽기, 반성과 성찰, 점검과 판단의 과정을 포함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식별이란 단순히 어떤 특별한 영적 수련을 의미하지 않는다. 식별은 그 본성상 신앙의 핵심적 행위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식별한다는 것은 신앙을 살아낸다는 것이다. 모든 신앙인은 식별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다. 신앙을 산다는 것은 어떤 종교적 관습과 관행과 규범을 기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하느님의 뜻을 찾고,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과 삶을 바라보고, 하느님을 닮은 방식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식별이란 영성적이고 지성적인 행위이며 동시에 예언적이고 실천적인 행위이다. The subject of discernment in Christian history has been interpreted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cluding spiritual, theological, ethical, and philosophical. Above all, however, the concept of discernment has been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s both spiritual and practical. Discernment is a spiritual act of seeking God's will from within, but at the same time it is linked to the pursuit of practical wisdom toward concrete action that follows God's will. Pope Francis emphasizes the need for discernment and prophecy in modern society. Discernment is the concept of penetrating Pope Francis’s pontificate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Pope Francis tries to perform his job through the concept of discernment, and tries to reflect on the church through the lens of discernment. What is the method of discernment, what attitudes and postures are required for discernment, what is the object and content of discernment, and Pope Francis has mentioned a lot in his literature, speeches and lectures. From an ecclesiological perspective, for Pope Francis, discernment is the church’s reading the world. Discernment is linked to reading the signs of the times, a core concep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s Pastoral Constitution. Discernment is reading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spel and faith. It is to carefully examine the challenges and questions of the world. Second, discernment is the church’s self- reflection on its structure and appearance. In other words, it is to reflect on the church itself and seek change and renewal. Third, it is to check the mission and task of the church. It is to check whether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and missionary work is properly carried out. Discernment includes the process of reading,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and inspection and judgment. For Pope Francis, discernment does not simply mean any special spiritual practice. Discernment, by its very nature, is a key act of faith. For Pope Francis, to discern is to live faith. This means that every believer must live a life of discernment. Living faith is not a mechanical acceptance of certain religious customs, practices, and norms, but constantly seeking God's will, looking at the world and life with God's eyes, and living in a way that resembles God. For Pope Francis, discernment is a spiritual and intellectual act, but at the same time a prophetic and practical act.

      • KCI등재

        신학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정희완(Jeong, Hee 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7

        신학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신학은 교회뿐만 아니라 사회 안에서도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또 담당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신앙이 사적 차원뿐만 아니라 공적 차원도 포함한다는 것에 대한 재성찰, 개인의 영역으로 축소되었다고 여겨졌던 종교가 공적 영역에서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는 현상, 그리고 비록 학문의 영역에서 주변으로 밀려난 것처럼 보이지만 신학은 그 본성상 공공성을 지니는 학문이라는 것에 대한 자각, 이 세 요인들이 사회 안에서의 신앙인들과 교회의 신앙적 실천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서의 신학이 갖는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질문과 논의를 낳았다. 신학의 공공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 데이비드 트레이시(David Tracy)의 주장에 따르면, 신학은 하나의 공적 담론으로서 학계와 교회와 사회라는 세 공적 영역 안에서 공적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신학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된 배경 안에는 모든 신학이 컨텍스트적이라는 것에 대한 자각과, 이론과 실천의 통합으로서의 신학의 실천 지향성에 대한 요구와, 실제 현실 안에서 사회참여적 신학들의 등장이라는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사회참여 신학이란 사회 현실들에 대한 신학적 관점에서의 분석과 비판과 대안 제시를 모색하는 신학이며, 사회 안에서의 교회의 모습과 세상 속에서의 신앙적 실천들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제기하는 신학이다. 이러한 사회참여 신학을 지향하기 위해서 우리 신학은 교회의 신앙적 담론과 세상 속에 서 있는 교회의 모습이 갖는 정치적 속성과 이데올로기적 속성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신학은 세상 속에 계시는 하느님을 발견하기 위해 사회과학적 방법론의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신학은 추상적이고 비현실적 언어들로 자신의 담론을 형성해 가기보다는 더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이 시대 사람들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언어로 자신의 담론을 만들어 가야 한다. 신학은 이론적 정교함에서도 판단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 그 신학이 수행하는 것들을 통해 또한 검증되어야 한다. 신학은 자신이 어떤 기능으로 사회 안에서 작동되는지 그리고 또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명한 자기 이해를 가져야 한다. 우리 신학이 이러한 방향성으로 움직여 갈 때 한국적 사회참여 신학은 탄생하게 될 것이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ocial mission of theology. Theologians believe that theology can and should seek the possibilities of new forms for the social involvement of Christians. They recognize that faith has a public dimension as well as a private one. They are experiencing the resurgence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They realize that theology, which seems to be marginalized in the academy, has publicness by its very nature. This awareness has brought about the ques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ology for the good of society. According to David Tracy, who argues that all theology is public discourse, theology should be practiced in face of three particular publics(academy, church, and society). The reasons why a sense that theology has publicness are thre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ology is contextual, the emphasis on the practical function of theology as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emergence of public theologies in a broad sense. Theology of social engagement, which can be defined as a critical reflection on Christian praxis in society, attempts to address soci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and suggest an alternative vision in the light of Gospel. In order to construct a transformative theology, we should be aware of the political dimension of the Church, focus on ideological factors of theological discourse, and disarm the transcendence of theological discourse by revealing the unconsciousness of theological knowledge. To perform this social mission, theology should converse with the social sciences. Because theology is first and foremost a way of using language to make sense of God and the world, its languages need be more concrete, intelligible, and rhetorical. Most of the traditional symbolic languages of Christianity are out of date. They do not work effectively in contemporary society. We need new modes of symbolic languages, which can lead to emancipatory politics. Theology as a discipline should not be judged based upon its ability to solve particular social problemes but based upon its capacity to ensure logical integrity. But theology should be judged based on its performativity as well as its theoretical elaboration. In other words, theology should always be investigated as to its persuasive power and argumentative functions in particular situations. We should examine how theology works in society and what functions theology really performs. These efforts can lead to the start of a Korean Catholic theology of social engagement.

      • KCI등재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톨릭 신앙이 수행*되는 방식에 대한 하나의 비판적 성찰: 2016년 “가톨릭 신자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에 관한 설문조사에 대한 신학적 성찰

        정희완(Hee-Wan Jeo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0

        한국 가톨릭 신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신들의 신앙을 표현하고 고백하고 실천하는가? 가톨릭 신자들은 자신의 신앙과 종교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이 논문은 가톨릭신문사에서 2016년에 수행한 가톨릭 신자 들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앞의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찾으려 한다. 신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사람들이 믿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제로 그들의 신앙을 살아내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신앙이란 믿음과 행동과 태도를 포함하는 실천들이다. 살아있는 신앙이란 개인적, 공동체적, 사회적 차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신앙은 단순히 종교적 차원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도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신앙은 교리적 차원, 전례적 차원, 삶의 차원 안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가톨릭 신자들의 종교적 삶의 모습과 사회적 삶의 모습이 곧 그들의 신앙의 모습을 증거한다. 한국 가톨릭 신자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자신들의 신앙을 수행하고 있다. 주로 전례와 신심행위들을 통해 자신들의 신앙을 수행하고 있다는 뜻이다. 신앙이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지 않고 있다. 교계제도와 전례적 틀 안에서만 수행되는 신앙은 자칫 상투적이고 위선적으로될 위험이 있다. 신앙의 총체성과 공공성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 How do Korean Catholics express, confess, and practice their faith? What do Korean Catholics think about their faith and religion?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way Korean Catholics perform their faith, using data from the 2016 Catholic Times study of religious consciousness and parish life of Korean Catholics. To understand a faith is not merely to know what people believe, but to know how people live in and live out their faith. Faith is a set of practices composed of patterns of acting, believing, and attitudes. Living faith includes individual, communal, and social dimensions. Faith has to be performed not only in a religious level but also in a social level. Faith has to be expressed, confessed, and practiced in a dogmatic dimension, in a liturgical dimension, and in a life dimension. The religious and social lives of Korean Catholics show what their faith is and means. Korean Catholics still perform their faith in a traditional way. They express, confess, and practice their faith mainly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liturgies and pious exercises within a parish. Expressing their faith does not extend to a social life. Catholic faith that is performed within a framework of hierarchy and in a liturgical form tends to be conventional and even hypocritical. We need to understand the totality and publicness of our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