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4 포스터 발표 : 수질 환경 분야(PW) ; PW-03 : 호소생활환경기준 수질등급에 대한 SS, Chl-a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정경은 ( Gyoung Eun Jung ),최금선 ( Geum Sun Choi ),김선영 ( Sun Young Kim ),노영애 ( Young Ae Noh ),김미옥 ( Mi Ock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는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수질등급 기준을 적용한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은 Ⅰa등급부터 Ⅵ등급까지 총 7개의 등급이며, 각 등급별로 pH, COD, SS, TOC, Chl-a 등 총 9개의 항목에 대하여 기준 등급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농업용저수지 805개를 대상으로 COD에 따른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수질등급별 Chl-a의 적정 기준 여부를 분석하였다. Ⅰa등급과 Ⅰb등급은 Ⅰ등급으로 통합하여 조사하였으며, Chl-a 비교를 위해 SS항목을 추가하여 각 등급별 초과여부를 분석하였고, 지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COD, SS, Chl-a이며,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별 초과율을 살펴보면, 1등급과 5등급에서는 SS가 Chl-a보다 약 1~16% 초과하였으나, 2등급부터 6등급(5등급 제외)까지는 Chl-a가 SS보다 18~55% 의 초과를 보였고, 연도별로 살펴보면, Chl-a의 초과율은 SS보다 2011년에 약 17%, 2012년에 약 27%, 2013년에 약 29%로 높으며 평균적으로는 약 23% 초과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국의 모든 5개 권역에서 Chl-a가 SS보다 19~53% 까지 초과하여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과 연도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을 초과하는 지점의 수가 Chl-a가 SS에 비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에서 Chl-a가 SS보다 COD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Chl-a는 수온, 수심, 수량과 같은 환경조건과 농업용저수지 주변의 식생과 같은 기타조건의 영향을 SS보다 더 많이 받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농업용저수지의 환경조건이나 저수지 주변의 식생과 같은 기타 조건을 반영하지 않고,Chl-a의 결과값 만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의 Chl-a 항목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주암호의 수질인자의 계절별 상관성 분석

        윤찬호(Chan-Ho Yoon) 한국환경관리학회 2012 環境管理學會誌 Vol.18 No.3

        주암호의 수질측정망 3개 지점의 계절 변화에 따른 수질인자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주암호 1지점은 4계절 모두 Chl-a와 수질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Chl-a와 COD의 상관관계가 크게 나타났다. 주암호 2지점은 봄, 여름에는 양의 상관성을 가을과 겨울에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상관계수도 낮아 다른 지점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주암호 2의 경우는 주암호 1지점과 다르게 계절별 특정 수질인자별 상관관계 값이 작게 산정되어 계절별 특정 수질인자를 기준으로 한 다른 수질인자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주암호 3의 경우 여름철을 제외한 봄, 가을 및 겨울에 Chl-a와 BOD, SS가 각각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암호 3의 경우는 2개의 지점과는 다르게 부영양화와 가장 밀접한 인자인 Chl-a와 다른 수질인자들의 상관관계가 높게 산정되었다. 지속적인 계절별 수질인자의 특성 분석을 통해 호소 관리에 있어 호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할 수 있으며, 특히 부영양화에 따른 수질개선 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has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lake in their us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n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factors in Juam Dam. Juam Dam show the high relationship between Chl-a and other water quality factors while the correlation among COD, BOD, and SS is strong in multipurpose dams. Juam 1 site have the high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water quality factors in season such as Chl-a and BOD (R²=0.864) in Spring, SS and T-P(R²=0.779) in Summer, and COD and Chl-a(R²=0.772) in Fall, and between SS and Chl-a (R²=0.640) in Winter, respectively, for Juam 1 site while Chl-a and SS (R²=0.739) in Spring, BOD and COD (R²=0.531) in Summer, and pH and BOD (R²=-0.514) in Fall, and between pH and Chl-a (R²=-0.433) in Winter, respectively, for Juam 2site. Juam 3site has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S and Chl-a (R²=0.644) in Spring, BOD and COD(R²=0.523) in Summer, and T-P and Chl-a(R²=0.883) in Fall, and between SS and Chl-a (R²=0.679) in Winter. The first and second water quality factors in relationship are Chl-a and COD in Juam 1 and Chl-a has no relationship with other water quality factors in Juam 2.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contributions to the seasonal water quality control an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for each Dam(reservoir) by monitoring.

      • KCI등재

        수륙양용드론을 활용한 수질측정 및 DO, 온도에 따른 Chl-a 예측식 개발

        김수현,홍성철,이병인,장성호,서정민,시바쿠마르,박제성,정은상 한국도시환경학회 2019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2

        최근 몇 년간 하천에서의 부영양화가 심해짐에 따라 녹조가 발생하며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 수자원의 대부분은 하천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원인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하천에서 Chl-a의 수를 파악할 수 있는 공정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도와 DO에 따른 Chl-a의 성장률을 비교하고 관계식을 개발해 UV 흡광도 값만으로 Chl-a의 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계식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실 내부의 항온수조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온도와 DO 조건은 2016년 수질 자료를 참고해 설정하였다. 배양 실험을 통해 Chl-a는 DO 조건에 상관없이 27oC에서 모두 원활한 성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계식을 통해 복잡한 실험을 거치지 않고 DO, 온도, UV 흡광도 값을 예측할 수있었다. As the eutrophication in rivers becomes serious, the green algae bloom has also a great influence on the water quality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 since most of the water resources come from rivers, it is important to predict and prevent the causative phenomena beforehand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water resources. In order to know the number of Chl-a in the current stream, the process is complex and time-consum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rate of Chl-a by temperature and DO and developed a formula that can predict the number of Chl-a by using the UV absorbance value. Culturing for developing formula were conducted inside a constant temperature chamber, and the temperature and DO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referring to river water quality of 2016. Culturing showed that Chl-a grew equally well at a temperature of 27oC under all DO conditions. Also, by developing formula that can predict the number of Chl-a using DO, temperature and UV absorbance values, so that can know the number of Chl-a without doing complex experiment.

      • KCI등재

        낙동강 중 · 하류 보 구간의 수질특성 및 Chl-a와 수질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정선영(Sun-Young Jung),김일규(Il-Kyu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보가 건설된 이후 분석되는 시기인 2012년 1월부터 2016년 10월까지의 낙동강 중 · 하류에 위치한 4개 보구간의 수질인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Chlorophyll-a(Chl-a)와 수질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달성보(DS)부터 창녕함안보(CH)까지의 영양염류와 Chl-a 농도가 강정고령보(GG)에 비해 높게 분석이 되었으며, 이는 DS 지점 상류에 위치한 금호강의 유입으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수집한 전 시기의 상관분석결과, Chl-a와 대부분의 수질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각 연도별 하절기인 6월부터 9월까지 상관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PO₄-P와 NH₃-N와의 상관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비교적 적은 강수량과 높은 조류발생량이 기록된 2015년 하절기를 상관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PO₄-P와의 상관성이 증가하여 하절기에 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전 시기를 요인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제 1요인이 질소계열로 나타났으며, 각 연도별 하절기를 요인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제 1요인은 인 계열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 · 하류 구간은 영양염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하절기는 질소계열의 오염물질보다 인 계열의 오염물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hl-a and water quality factors among four weirs located in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Nakdong River for five years.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and Chl-a from DS to CH was higher than that of GG, which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influx of Kumho River located at upstream of D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Chl-a and most of the water quality factors for all season data.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all season data and summer season data,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l-a and nutrients (PO₄-P, NH₃-N) was increased. Based on analysis on summer in 2015 with relatively low precipitation and high algal blooms, the correlation between Chl-a and PO₄-P at all sites were increased. Therefore phosphoru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iver on summer season. And PCA results showed the first factor was classified as T-N, NO₃-N for all seasons, and the first factor was classified as T-P, PO₄-P for summer seasons. Consequently,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Nakdong River were most affected by nutrients, especially it was affected by phosphorous pollutants rather than nitrogen pollutants during summer seasons.

      • KCI등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낙동강 하류의 Chlorophyll-a 농도와 복합 영향인자들의 상관관계 분석

        임지성(Ji Sung Lim),김영우(Young Woo Kim),이재호(Jae Ho Lee),박태주(Tae Joo Park),변임규(Im Gyu Byun) 大韓環境工學會 2015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7 No.5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낙동강 물금지점의 수질, 수리 및 기상 인자를 통해 조류발생의 주요 영향인자를 평가하고 chlorophyll-a (chl-a)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분석 전 데이터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이상치를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국내 태풍영향기간을 산정하여 태풍영향기간에 포함된 데이터는 제외를 하였고 관리도 기법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하였다. 이후 분석과정은 Method 1과 2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뉘었다. Method 1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17개 항목의 데이터를 직접 이용하여 chl-a 예측모형을 도출 하였고, Method 2는 전처리 후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여 이를 통해 모형을 개발하였다. Method 2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물금지역의 chl-a에 대한 주요영향인자는 수온, pH, DO, BOD, COD, T-N, NO₃-N, PO₄-P, 유량, 유속 및 수심으로 나타났다. Method 1, 2에 의한 chl-a 회귀모형은 각각 R2 값이 0.799 및 0.790의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2009~2010년의 데이터로 검증하였다. Method 1에 의한 chl-a 예측모형의 training period와 validation period의 RMSE 값은 각각 20.912와 24.423으로 나타났으며 Method 2를 통한 모델은 각각 21.422 및 26.277을 나타냈다. 예측 모형 도출 결과 Method 1 및 2 모두 BOD, DO 및 PO₄-P 세 가지 인자가 주요한 역할을 한 것을 볼 때 향후 물금 지점의 조류 발생은 BOD, DO 및 PO₄-P를 중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Chlorophyll-a (chl-a) prediction model and multiple parameters affecting algae occurrence in Mulgeum site were evaluated by statistical analysis using water quality, hydraulic and climate data at Mulgeum site (1998~2008). Before the analysis, control chart method and effect period of typhoon were adopted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data. After data preprocessing step two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In method 1, chl-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preprocessed data. Another model was developed by Method 2 using significant parameters affecting chl-a after data preprocessing step.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ater temperature, pH, DO, BOD, COD, T-N, NO₃-N, PO₄-P, flow rate, flow velocity and water depth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multiple parameters affecting chl-a concentration. Chl-a prediction model from Method 1 and 2 showed high R2 value with 0.799 and 0.790 respectively. Validation for each prediction model was conducted with the data from 2009 to 2010. Training period and validation period of Method 1 showed 20.912 and 24.423 respectively. And Method 2 showed 21.422 and 26.277 in each period. Especially BOD, DO and PO₄-P played important role in both model. So it is considered that analysis of algae occurrence at Mulgeum site need to focus on BOD, DO and PO₄-P.

      •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 조사

        전지홍 ( J. H. Jeon ),윤춘경 ( C. G. Yoon ),함종화 ( J. H. Ham ),김호일 ( H. I. Kim ),황순진 ( S. J. Hwang ) 한국농공학회 2002 韓國農工學會誌 : 전원과 자원 Vol.44 No.3

        Monitoring data from agricultural reservoir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limiting factor fur algal growth and relationships between Chl-a,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Total 394 reservoirs ranging from below 500 ㎥ to over 50 million ㎥ in storage volume were monitored from 1990 to 2000 with respect to TP, W, Chl-a, and their annual mean values were used fur the analysis. Based on N/P ratio, the dominant limiting factor for algal growth was turned out to be phosphorus in agricultural reservoirs (about 83%). Therefore, the proper managements of phosphorus in the agricultural watershed appear to be crucial to prevent excessive on algal growth. The effects of phosphorus and nitrogen ware most eminent during the summer period. And the effect of nutrients on the algal biomass (Chl-a) development appeared to be greater in smaller the reservoirs than in larger ones. Generally, Chl-a and TP demonstrated a close relationship while that of Chl-a and TN showed less correlationship. Chl-a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also showed a good relationship. Beth ratios of Chl-a / TP and Chl-a / COD relationships were within the range of literature values. Quantitative analysis of TP and COD is relatively convenient compared to that of Chl-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P and COD and Chl-a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beneficially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related water quality modeling.

      • 반월저수지에서 Chl-a와 영향인자간의 상관성 및 조류발생 특성

        이태호 ( Taeho Lee ),김형중 ( Hyungjoong Kim ),김미리내 ( Mirine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농업용 저수지에서 조류발생 특성 및 영향인자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월저수지를 대상으로 2013년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반월저수지에서 자기상관함수 그래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Chl-a 시계열 데이터는 추세성을 가지나 계절성은 갖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일 전·후의 자료 간에 가장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편자기상관분석 결과 1차의 편자기 상관계수만이 큰 것으로 나타나 1일 전의 값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a와의 상관성이 높은 영향인자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온, EC, pH, DO, 탁도, 수위와 Chl-a간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EC, pH, DO가 Chl-a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hl-a와 EC, pH, DO는 1~2차의 교차상관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나 1~2일의 차이를 두고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Chl-a와 기상인자간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일사량, 풍속, 습도가 다른 기상인자에 비해 Chl-a와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월저수지의 조류발생 특성을 살펴보면 4월에는 갈편모조류가, 5월에는 녹조류가 우점한 반면 남조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6월에도 녹조류가 우점하였으나 남조류도 많아지기 시작하여 8월과 9월에는 남조류가 우점하였다. 총조류수는 4월이 1,360 cells/mL이었는데, 이후 5월에는 2,640 cells/mL, 6월에는 12,500 cells/mL로 증가한 뒤, 8월에는 115,280 cells/mL로 피크를 보이고 9월에는 27,720 cells/mL로 줄어들었다. 시기별 종조성을 보면 4월에는 갈편모조류인 Rhodomonas sp.가 920 cells/mL로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녹조류인 Scenedesmus spp.와 Nitzschia spp.가 같은 160 cells/mL이고 남조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5월에도 남조류는 출현하지 않고, 녹조류인 Micractinium pusillum가 1,000 cells/mL로 우점하고, 다음으로 같은 녹조류인 Pediastrum duplex가 많이 출현하였다. 6월에는 녹조류인 Scenedesmus spp.가 5,600 cells/mL로 우점하였다. 다음으로 앞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던 남조류가 출현하였는데, 종은 Microcystis sp.가 4,000 cells/mL로 많이 출현하였다. 조류가 가장 많이 출현한 8월에는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107,200 cells/mL로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같은 남조류인 Oscillatoria sp.가 7,440 cells/mL 출현하여 남조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외 갈편모조류인 Rhodomonas sp.가 320 cells/mL, Cryptomonas ovata가 80 cells/mL, 규조류인 Navicula spp.가 160 cells/mL 출현하였다. 9월에도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24,000 cells/mL로 우점하였으나, 다른 시기에 비해 다양한 조류가 출현하였다. 출현종으로는 남조류인 Anabaena sp.가 480 cells/mL, 갈편모조류인 Cryptomonas ovata가 120 cells/mL, Rhodomonas sp.가 120 cells/mL, 녹조류인 Eudorina elegans가 960 cells/mL, Golenkinia radiata가 120 cells/mL, Pediastrum duplex가 480 cells/mL, Scenedesmus spp.가 480 cells/mL,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가 360 cells/mL, Nitzschia spp.가 240 cells/mL, Stephanodiscus sp.가 240 cells/mL 등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 KCI등재

        수문기상예측자료를 활용한 대청호 Chl-a 3개월 선행예측연구

        곽재원(Kwak, Jaewon)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2

        최근 반복되고 있는 녹조는 수질관리에 가장 큰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7일 단위의 선행수질예측을 통한 수질예보를 수행하고 있으나, 선제적인 조치를 위해서 좀 더 장기간의 수질예측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예보의 보완자료로서 대청호의 Chl-a 농도를 3개월 선행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청호의 수질자동측정망 자료와 ECMWF의 수문기상예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청호의 Chl-a 농도와의 상관 및 웨이블릿 분석을 바탕으로 수문기상입력인자를 결정하고 지연시간을 가지는 NARX모형을 이용하여 대청호의 Chl-a에 대한 3개월 선행예측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In recently, the green algae bloom is one of the most severe challenges. The seven days prior prediction is in operation to issues the water quality warning, but it also needs a longer time of prediction to take preemptive measur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 to conduct a 3-month prior prediction of Chl-a concentration in the Daechong Lake and tested its applicability as a supplementary of current water quality warning. The historical record of water quality in the Daechong Lake and seasonal forecasting of ECMWF were obtained, and its time-serie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Chl-a forecasting model was established using a correlation between Chl-a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 and NARX model, and its efficiency was compared.

      • KCI등재

        여자만 북서부 꼬막양식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1. 먹이생물로서 Chlorophyll a 농도,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시 · 공간적 분포 특성

        윤양호(Yang Ho 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여자만 북서해역에 위치하는 꼬막 양식어장의 해양환경 중 먹이생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 5월에서 11월까지 계절별로 7개 정점의 표층과 저층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먹이생물 항목인 Chlorophyll a (Chl-a ), 입자태 유기탄소(POC), 입자태 유기질소(PON) 및 POC/PON ratio, POC/Chl-a ratio 등을 분석 및 산출하였다. 결과 Chl-a 농도, POC 및 PON은 각각 1.69-7.68 ㎍‧L<SUP>-1</SUP>(표층 평균 3.48 ㎍‧L<SUP>-1</SUP>), 0.88-2.58 mM(평균 1.97 mM) 및 0.17-0.90 mM(평균 0.54 mM)을 나타내어, 봄과 여름에 높고 가을에 낮은 농도를 보였다. 우점 출현하여, 기존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층별로는 Chl-a 와 POC는 저층이 표층보다 높았고, PON은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다. POC/PON ratio 및 POC/Chl-a ratio는 각각 1.56-7.88 (표층 평균 3.71) 및 216-967 (표층 평균 700)를 나타내어, 탄소원 대부분은 표층퇴적물에 침강 축적된 입자태 유기물로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여부분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막 북서해역의 꼬막양식장의 먹이자원은 양적으로는 풍부한 것처럼 보이지만, 질적으로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food resources such as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Chl-a ),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the particulate organic nitrogen (PON), on blood cocke (Tegillarca granosa Linnaeus) farms from May to November 2017 in the northwestern area of Yeoja Bay, Korea. The values of Chl-a , POC and PON were 1.69-7.68 ㎍‧L<SUP>-1</SUP> (average: 3.48 ㎍‧L<SUP>-1</SUP> in the surface), 0.88-2.58 mM (average: 1.97 mM) and 0.17-0.90 mM (average: 0.54 mM),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were higher in the spring and summer and lower in the autumn. Furthermore, Chl-a and POC had higher values on the bottom layer than those vales on the surface, while PON had higher values on the surface than those values on the bottom. The POC/PON ratio and POC/Chl-a ratio were 1.56-7.88 (average: 3.71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216-967 (average: 700 on the bottom of the water), respectively, with most of the carbon sources being sediment-accumulated particle organic matter, and the contribution by phytoplankton was assessed as being low.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ood source of the blood cockle farms in the northwest area of Yeoja Bay seems to be abundant in quantity, but this is considered to be very poor in quality.

      • KCI등재

        정수처리장에서 직분사 용존공기부상조와 맥동식 침전지의 Chl-a 제거특성 비교 연구

        김정웅 ( Jeong-woong Kim ),최영익 ( Young-ik Choi ),정진희 ( Jin-hee Jung ),권민지 ( Min-ji Keon ),김한석 ( Han-seok Kim ),장성호 ( Seong-ho Jang ),정병길 ( Byung-gil Ju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22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3 No.6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Chl-a removal characteristics of a direct-spraying dissolved air flotation(DAF) tank and a pulsator clarifier in water treatment plant. Alum(Aluminum sulfate) and PAC were used. The Chl-a removal efficienc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irect-spraying DAF tank and the pulsator clarifier in the summer when algae is frequently generated were 68.3(25.0∼91.3) % and 39.1(9.1∼71.9) %,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direct-spraying DAF process is more effective than the pulsator clarifier in removing algae. In the case of the direct-spraying DAF tank,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showed a high correlation of 0.8821 at Chl-a concentration below 20.0 mg/m<sup>3</sup>. Also, The change in removal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 at Chl-a concentrations above 20.0 mg/m<sup>3</sup>. In particular, the removal efficiency was less than 50 % at a Chl-a concentration below 8 mg/m3. Therefore, the direct-spraying DAF tank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algae than the pulsator clarifier, as it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y not only during the algal bloom period but also in the low Chl-a concentration. In terms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irect-spraying DAF process, it is evaluated that the unit price of this algae removal technology is 21.47 won/m<sup>3</s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