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이 글은 제5회 漢字・漢字 敎育 國際 學術 大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의 주제 발표의 하나로, 韓國의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을 紹介하는 연구 과제로 企劃되었다.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성과는 範疇에 따르는데,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와 구분에 앞서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座標로 提示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몇 가지 次元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한문(과) 교육, 국어(과) 교육,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 교육을 포함한 漢字文化圈 次元으로 收斂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분야이다. 그리고, 한국의 지리적・언어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한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비록 <그림 1>에서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그림 1>에서 세로축을 기준으로 보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한자는 일상 언어 생활이나 국어사전 登載 어휘 가운데 ‘高頻度’ 군에 속하는 한자다. 造語力과 常用度 혹은 活用度가 높다. 한문 교육 차원, 곧 가로축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가), (다) 영역에 속하는 한자가 漢文 典籍에서 높은 빈도를 갖는다. 座標가 스스로 밝히듯이, (가) 군에 속하는 한자들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에서 모두 학습의 轉移 및 相互 作用 效果가 높다. (가), (다)에 속하는 한자군이 바로 현행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種이다. 한편,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 문제는, 1972년 이래 국어교과의 附庸으로부터 독립한 한문과의 위상이 외형적으로 좋아진 듯하지만 其實은 孤立無援으로 불안정하게 된 현실을 따져보면서, 한문과 국어의 連繫 내지 統合과 관련지어 조심스럽게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한국의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과 성과를 범주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漢文科 敎育課程 : 현재,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일차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가운데, 교과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으로 機能한다.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遂行되었다. 교육과정에 기술된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한자 읽기 교육, 한자 筆順과 관련된 성과가 提出되었고, 특히 韓國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초・중・고 한문 학습 字典의 현황과 編纂 방안’을 주제로, 한문 학습 자전에 대한 종합적 연구 결과를 報告하였고, 2013년 ‘한문 교육과 創意・人性 敎育’을 주제로, 한문과에서 遂行 可能한 창의・인성 교육을 提案하였다. •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 2000년에 새롭게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調整된 이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史的 考察, 字義 선정, 字形 고찰, 교과서 활용 방안, 형성자의 音價 변화, 의미 통일화 방안 등 제반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를 포함한 교육용 한자의 字量, 字種, 水準,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최근 컴퓨터와 코퍼스언어학의 발달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 결과가 注目되는데, 한문교육용 基礎 漢字 선정, 한자 造語 능력, 한자 活...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to consider the latest achievement of research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of this study, I focused on three main problems. First, I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Second, I considered the latest achievement of research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by category. Third, I left many subjects more to be investigated and answered. To summarize, in the present paper, several results were explored as follow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can be discussed from three points of view,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First of all,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one of the key parts of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closely connec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geographical, linguistic and cultural conditions. Meanwhile, Chinese character was historically and contemporarily used as their own character in Korea, Japan, China, Taiwan, and Hong Kong. It is the so-called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It occupies the outline shown in dotted line of <FIGURE 1>.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ontain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he key achievement, out of the curriculum, is th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reading, stroke of Chinese character, a dictionary for learners of classical Chinese, a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Newly adjusted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announced in 2000. By recent advances in computational linguistic,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selection of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hinese characters’ ability to coin,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election of a basal vocabulary and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 were reporte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 Out of recent investigations on Chinese characters,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a lot of useful discussion about standardization of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These investigations has been pursued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 of four countries, Korea, China, Taiwan, and Japa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 Out of previous achievement of researches, connection, dichotomy and unifi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were reported. Meanwhile, study in the academic world has been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ith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 It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among stakeholders related to language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it relates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entural theme of the issue has been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the present condition, the curriculum, aim of a lesson and a key characteristic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 These are surely some of the most practical fields of studi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Various subjects of study, such as origin of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retrospect,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ssess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and teaching materials in Korea, China and Japan, etc., have been addressed. The reason why the situ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 in Chine...

      • KCI등재후보

        카시가르시의 공공 활동 영역에서 위구르어가 차지하는 사회문화적 위상에 대한 연구

        김영구 ( Yeong Ku Kim ) 현대중국학회 2007 現代中國硏究 Vol.9 No.1

        정치적으로 중국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만 문화적으로는 중국과 이질 적인 남부 신쟝의 중심도시 카시가르시의 언어적 상황에 대한 분석은 위구르족의 사회문화적 현실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서부대개발정책이 천명된 이후 카시가르시의 공공 활동 영역에서 위구르어가 차지하는 사회적 기능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다. 공공서비스, 매스미디어, 교육, 출판 등의 영역에 걸쳐 위구르어의 사회적 기능은 한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주요한 원인은 경제적으로 우세한 한족 이민의 증가와 북경 중앙정부의 주관 아래 추진되고 있는 중앙집권적인 서부대개발정책에 있다. 특히 동부 한족의 투자와기술에 의존하는 서부대개발정책은 경제개발이 주축을 이루는 향후 신쟝지역의 개발 과정에서 위구르족과 위구르어가 그다지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없게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한어의 사회적 기능이 확대된다고 하더라도 문화적 영역에서 한어가 위구르어를 대체하는 언어가 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카시가르시의 문화 활동 분야에서 위구르어의 기능은 별로 위축되지 않고 있으며 위구르어 사용자의 저변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위구르족의 정체성을 구성해 온 요인들 가운데 서부대개발의 진행에 따라 종교와 습속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견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앞으로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주로 문화적 정체성이라는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될 것이며 위구르어는 그 문화적 정체성의 핵심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The city of Kashgar is politically authorized in the territory of PRC, while it is heterogeneous in terms of cultural origin. The analysis of linguistic situation of Kashgar can be useful for the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Since the proclamation of western development policy, the social function of Uyghur language in the public sphere of Kashgar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Extending over the area of public service, mass media, education, publishing, the social function of Uyghur language has been experiencing the gradual shrinkage compared to Mandarin Chinese. The main reason lies in the continuous augmentation of migration of Han Chinese people and in the highly centralized impetus of western development policy. The western development policy foretells that both Uyghur people and Uyghur language shall be marginalized in the developmental arena of Xinjiang area, where economy will take the lead of social change. However, even though the social role of Mandarin Chinese shall enlarge its territory, it is not likely for the Mandarin Chinese to take over that of Uyghur language in the cultural space of Kashgar. In the field of cultural activities in Kashgar, the role of Uyghur language shows no evident sign of withering, as the bottom line of the number of Uyghur users are expanding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 to the diminishing of importance of religion and social customs which has long conformed the ethnic identity of Uyghur people viewed in the light of culture and tradition, in the course of western development project, the Uyghur identity will be observed through the vision of cultural identity. The Uyghur language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search of cultural self-identification paid by Uyghur people`s endeavour.

      •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for translating and publishing of Korean literature into Chinese

        JIN LING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9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학술대회 Vol.2019 No.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he Korean literature has been accommodated in China.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schema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nation, relevant institutes, translators and readers, paying attention to the supporting system operated by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and The Daesan Foundation both of which have supported th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to Chinese.

      • KCI등재

        국어(과)와 한문(과), 그 연대와 공존 방안

        박덕유 ( Deok Yu Park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3 No.-

        한국어의 대부분은 漢字語이므로 語彙力을 향상시키려면 漢字를 알아야만 하고, 그러려면 한자와 한자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漢文교육을 통해 讀解力을 길러 우리의 傳統文化를 繼承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言語精神과 言語機能을 모두 중시여기는 분위기를 조성해 國語科와 漢文科가 相互補完함으로써 共存해 나아가야 할 方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漢字가 國字임을 분명히 하는 語文敎育의 政策的轉 換을 통해 21세기 漢字文化圈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은 물론 한국어의 세계화를 이루어 國家競爭力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敎育課程次元에서 초등학교부터 한자·한문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中等學校에서 한문 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되거나 국어과와의 통합으로 교육과정 안에 한자 및 한자어에 관한 항목을 명시해야 하며, ``古典과 漢文`` 과목을 설정해 한문 독해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言語敎授차원에서 한자, 한자어, 한문 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국어과의 道具性과 한문과의 正體性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국어과와 한문과의 연대와 공존으로 그 位相을 세워야 한다. Given that most of the Korean words come from Chinese words,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if students want to improve the ability of vocabulary. For this reason, it is inevitable to teac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dur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ad by learning Korean Classical Chinese and then, as a resul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lso could be keeping successive and developed forward as well. In this context, this paper is intended to present a detail recommendation about creating an at- mosphere of taking both language spirit and language function seriously so that both two could complement each other, and then the coexis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ly. Firstly,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globalizing Korean language, as the part of the Han-character Culture sphere of the 21st century, should be enhanced by means of switching the policies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ry in which Chinese characters specifically is the national script. The second suggestion about the education curriculum is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should start from primary school. Meanwhile during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phase, Korean classical Chinese should be set up as required subject, or specified as a projec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at is integr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sides, the subject of Classic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also should be set up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to read. The third one is relative to language teaching. The vehic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ubject identity should be match up each other whe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is conducted. Furtherm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jointed and coexisted as one subject whose status of subject is necessary to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