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MOOC 사용의도에 대한 개인 혁신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MOOC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박혜진 ( Park Hye-jin ),차승봉 ( Cha Seung-b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MOOC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의도에 어떤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수행된 관련 선행연구로부터 개인 혁신성, 자기효능감,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등의 변인을 도출하고, MOOC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MOOC 사용의도(7.46), 학업적 자기효능감→MOOC 사용의도(2.29), 개인 혁신성→MOOC 사용의도(6.97), 개인 혁신성→지각된 유용성(9.60), 개인 혁신성→학업관련성(8.29)에서 모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해당 가설이 지지되었다. 둘째, MOOC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t값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396)과 개인 혁신성(.438), 학업적 자기효능감(.107)으로 나타났으며, 학업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t값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개인 혁신성(.667)으로 나타났다. 학업관련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지 않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관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t값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개인 혁신성(.476)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and actual learning by using MOOC.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sonal innovativeness, academic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perceived usefulness, and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were examined as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588 students at Chungcheongbuk-do Univers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7.46), academic self-efficac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2.29), personal innovativeness→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6.97), personal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9.60),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major relevance (8.29) all had direct effects, and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Second,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were perceived usefulness, individual inno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as personal innovation. Major relev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not significant. Fourth,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 relevance was personal innovativeness (.476). Academic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Finally,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mobile learning, and MOOC can affect students' intention to use content value and personal interest.

      • KCI등재

        정보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생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박성열 ( Sung Youl Park ),남민우 ( Min Woo Na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정보기술수용모델(TAM)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요인들간의 구조적 관계성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변인으로 모바일러닝 태도, 모바일러닝 유용성, 모바일러닝 사용용이성 등을 설정하였고,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시스템 접근성, 주관적 규범 등을 외생변인으로 하는 연구 모델을 설정하였다. 서울소재 K대학의 대학생 648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모델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관계 매트릭스를 LISREL에 삽입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델의 전반적 적합도 검증결과는 RMR=.041, RMSEA=.064, GFI=.894, AGFI=.865, NFI=.926, CFI=.945 CN=223.40 등으로 분석되어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에 대하여 모바일러닝 태도,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러닝 태도에는 지각된 유용성과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러닝의 지각된 유용성에는 지각된 사용용이성,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이, 지각된 사용용이성에는 자아효능감과 시스템 접근성에서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모델의 변인 간 직접·간접효과와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바일러닝의 학업관련성 및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의 영향요인 간 관계에서 핵심변인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purpose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university students` adoption and use of mobile learning. A sample of 648 K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In order to explain adoption proces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employed with the LISREL program. The general structural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clude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mobile learning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s endogenous variables and mobile learning self-efficacy, relevance for students` major, system accessibility, and subjective norm as exogenous variables. According to the goodness-of-fit test results(RMR=.041, RMSEA=.064, GFI= .894, AGFI=.865, NFI=.926, CFI=.945, IFI=.946, CN=223.40), the model turned out to be good enough to conduct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mobile learning attitude, relevance for major, and subjective nor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In terms of direct effect result, perceived usefulness, self-efficacy, relevance for major and subjective norm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obile learning attitude. The study result also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was influenced by perceived ease of use, relevance for major and subjective norm. Meanwhile, perceive ease of use was influenced by self-efficacy and system accessibility. Finally, relevance for major and subjective norm were identified as key variable through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 KCI등재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MOOC 사용의도와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수용태도 요인 간 구조관계분석

        차승봉,박성열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9 No.3

        As MOOC newly appears in context of educational ecolog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what factors affect behavior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manor in agricultural science in their learning. Especially,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whether or not students’ motivation of registering MOOC when they are relevant to learning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use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encourage students’ use of MOOC.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ructural model proved to be good enough to understand students’ acceptance of MOOC in their learning.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eptance attitude towards MOOC (.462, t=4.172) was the most important construct, followed by major relevance (.339, t=4.221), and perceived usefulness (.222, t=2.411) in explicating the causal process in the model. Second, perceived usefulness (.555, t=5.713) and major relevance (.339, t=4.221) were identified as having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s on acceptance attitude. Third, perceived usefulness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direct relationship with major relevance (.353, t=3.812). Conclusively,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OC who major in agricultural fields increase their positive acceptance attitude, Finally, it is implied that behavioral intention could be also improved when they feel MOOC are beneficial to learning or job competency, and relevant to their major. 본 연구는 MOOC라는 새로운 교육 생태계 출현에 따라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MOOC를 활용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의도에 어떤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중 새로운 교육환경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에서 MOOC 초기 수강 동기가 학업과 관련될 경우에 사용의도에 영향요인으로 작용 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MOOC 활용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OOC 사용의도에 직접효과가 있는 변인은 MOOC 수용태도(.462, t=4.172), 학업관련성(.237, t=3.168), 지각된 유용성(.222, t=2.411)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MOOC 수용태도에 직접효과가 있는 변인은 지각된 유용성(.555, t=5.713), 학업관련성(.339, t=4.221)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효과가 있는 변인은 학업관련성(.353, t=3.812)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MOOC에 대한 사용의도는 MOOC에 대한 긍정적 인식인 수용태도를 높이고, MOOC가 학습에 도움이 되거나 직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정하거나 학업과 관련성이 높을 때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이버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융복합 연구

        강경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study is to enhance the convergence effects of cyber lectur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verification of recognition levels before and after cyber lectures. The study material wa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15 questions divided into five areas; usefulness, enjoyment, academic relevance, social intention and usage intention. The recognition level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learning in five areas with particularly large improvements in enjoyment and academic relevance. The recognition level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five areas(p<.001). With regard to changes in recognition levels by major, social science major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sage intentions after learning. Cyber lectures for university students were proved to be generally convergence effective. 연구 목적은 대학생의 사이버강의 융복합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으로 사이버강의 전․후 인식 수준 비교․검증을 통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자료는 설문지이며, 15개 문항을 유용성, 흥미, 학업관련성, 사회적 상호작용, 사용의도의 5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대학생의 사이버강의 인식수준은 5개 영역에서 학습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고, 특히 흥미와 학업관련성에서 높게 향상되었다. 성별 및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5개 영역에서는 유의미하게 높아졌다(p<.001). 전공별 인식 수준은 사회과학전공이 흥미와 사용의도에서 학습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강의는 전반적으로 융복합 효과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사이버강의 컨텐츠 제작 시 흥미와 학업관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유용성의 요인인 학업관련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박성열,차승봉,문승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Cyber education is currently believed to be effective fo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nd usage related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ttitude) and personal factors (self-efficacy, relevance of major, educational level, social norm). Major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adopted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interaction effect of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s dependent variable, main effect of educational level was significant. Meanwhile, main effect of age was not significant. Second,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479, p=.000), and relevance of major(=.229, p=.000) or self-efficacy (=.133, p=.03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when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is positive and relevance of major related to other colleagues use is positive,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accordingly. Further, higher self-efficacy and education level, highe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ould take place. It is finally proposed that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cyber education courses or programs are developed, and educational efforts to increase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their norms’ to others should be implemented. 본 연구는 농업분야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사이버교육을 도입하기 이전에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이용의도 차원에서 나타나는 요인(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사용에 대한 태도)과 개인적 요소(나이, 학력,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나이와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나이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력의 주효과(F=8.872, p<.004)와 상호작용효과(F=4.591, p<.014)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p)에서 .05를 기준값으로 보았을 때,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유의미적 영향 변인은 사용에 대한 태도(=.479, p=.000), 학업관련성(=.229, p=.000), 자아효능감(=.133, p=.030)으로 3개의 변인 모두에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농업분야나 또는 자신의 학업과 관련성이 크다고 느낄 때, 이용의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높을 때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이용의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에 대한 이용의도가 다를 수 있으며,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 본인 및 학업에 대한 사이버교육의 긍정적 인식이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이버교육을 실행하거나 전개할 시 이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학내 온라인 강좌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이용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애,도현옥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K대학의 온라인 과목수강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외부변인인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및 주관적규범이 스마트러닝의 사용용이성 및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러닝의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이 스마트러닝의 수용태도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 스마트기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의 수용정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e-러닝이나 모바일러닝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검정되었던 스마트러닝의 모든 요인의 영향력이 검정되었으며, ANOVA와 더미변수를 활용한 회귀분석 및 AHP 분석을 통한 학습기간별 차이 검정에서는 스마트폰을 보유한 횟수나 학습자의 스마트기기 노출의 정도에 따른 수용태도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학습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보유하는 것이 스마트러닝의 효용을 높여 준다고 볼 수 있었다. 이는 결국 학습자의 입장에서 스마트기기를 자주 접하므로 스마트러닝을 쉽다고 느끼고 스스로 사용하고자 하는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스마트러닝의 중요요인으로 고려되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 도입 초기에는 스스로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났고, 현 시점은 스마트폰의 노출과다로 인해 스마트러닝의 유용성에 대한 효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설계함에 제언하고자 하는 것은 스마트러닝을 설계함에 있어 스마트러닝의 다양한 속성요인도 중요하지만 사용용이성을 높여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마트기기의 노출이 과다한 현실을 반영한다면 학습관련 컨텐츠를 구축함에 있어 학습자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러닝의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개 대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및 우울 수준의 융복합적 관련성 분석

        이현숙,배상윤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onvergent relationship of stress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level(CES-D) of a college student. The questionnaire was used using an unregiste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304 students from a college located in J area from Nov. 12, 2018 to Dec. 14, 2018.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pression level of respondent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following groups: a group in which job seeking stress(CMI) is higher, a group in which academic burnout(MBI-SS) is higher, a group in which anxiety(BAI) are higher. The results show explanatory power of 60.7%.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efforts, to decrease job seeking stress, to decrease academic burnout and, to decrease anxiety, are required to decrease the depres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in various interventional efforts for academic counseling and guidance, job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that lowers the depression level in college students. Following studies requires the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structural models for the structural model that effects the depres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일개 대학생의 우울수준(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들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11월 12일부터 2018년 12월 14일까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대학의 재학생 304명에 대하여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업스트레스(CMI: Conell Medical Index)가 높은 군에서, 학업소진(MBI-S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이 높은 군에서, 불안(BAI: Beck Anxiety Inventory)이 높은 군에서 우울수준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0.7%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대학생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학업소진을 낮추고, 불안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우울수준을 낮추는 학업 상담 및 지도, 취업상담, 및 심리 및 정서적 안정을 위한 다양한 중재 노력에 활용될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들에 대한 구조모형의 제시 및 분석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