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비교연구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3

        러시아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소비에트 시기라는 역사적 특이성 때문에 서구에서 논의하는 문예사조의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모더니즘의 특징이 하나의 통합적인 이상을 정립하려는 유토피아적 시도였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이상이 해체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측면에서는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변화 발전해야 할 기간의 중간 시기를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정치성 강한 문예사조가 지배했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그 자체로 또한 일률적인 이상향을 소비에트 국가체제 전체에 주입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소비에트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현대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억압적이고 기만적인 사회에 대한 조롱과 함께 모더니즘과 그 이전 시기의 역사적, 문학적 전통을 재발견하여 계승하는 것은 물론 모방하고 변형하여 재창조 한다. 문학적 기법은 물론 주제와 소재에서도 이러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여러 측면에서 모더니즘의 직접적인 패러디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시기를 대칭점으로 설정하고 그 이전 이 모더니즘의 시기이며 이후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라면 러시아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전의 양면이며 러시아 현대문학이라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두 축이다. 본고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성격 중에서도 모더니즘적 지향성의 패러디이자 현실의 패러디로서의 측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역사적 흐름이라는 하나의 큰 틀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In Russian literatur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resent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counterparts because of one major historica uniqueness: the Soviet period. The common feature that Russian literary trends share with their Wester counterparts is that Modernism was a rather utopian attempt to find and confirm a synthetic, unilateral ideal, while Postmodernism shows the deconstruction of such an ideal. However, in the case of Russia, the period in which Modernism should have changed and developed freely into Postmodernism was ruled by the very political and ideological Socialist Realism, which was itself an attempt to impost a unilateral utopian ideal upon the entire Soviet Union and its system. Therefore Russian Postmodernism, which began to manifest itself in the late Soviet period, shows the tendency to ridicule the oppressive and deceptive society and attempts to re-discover the previous literary and cultural traditions, succeed them, mimic, modify and re-create them. One can find these links between Postmodernism and its predecessors not only in terms of literary techniques but also in themes and subjects. In general Russian Postmodernism appears as a parody of Modernism in many respects. One may posit that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on either side of the same coin, composing a whole that is modern Russian literature, with Socialist Realist period in the middl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examine Postmodernism as a parody of the Modernist tendencies and a parody of reality and history, and ultimately to consider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s one entirety under the greater rubric of modern Russian history.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광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

        인태정(In Tae-Jeong)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8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변화가 관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관광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적인 현상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행에 관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과 특성에 관해 논의했다. 그리고 자본주의의 구조와 발전의 연속선상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과 연속적 계기 혹은 강화된 단계로서 파악하고 관광 영역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적인 현상과 특성들을 분석했다. 관광의 경제적 변화로는 일상생활로의 자본주의의 침투 현상, 포스트 포디즘적인 생산방식으로의 변화, 관광산업의 세계화, 공간적 차별화를 위한 새로운 관광공간의 창출 등에 대해 고찰했다. 관광의 문화적 변화로는 시ㆍ공간 감각의 변화, 경계의 붕괴현상, 일상 생활의 가속화, 향수풍조, 역사의식의 소멸 현상 등을 고찰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더니즘과는 다른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관광이 내포하고 있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구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ostmodernism on Tourism through the Postmodernism theory(discussion about the general relation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social background of Postmodernism. The changes of economic area of tourism are the production method of Post-fordism, the globalization of tourism industry, the new creation of tourism space for differentiation and heterogeneity and the rapid capitalist penetration into everyday life. The changes of cultural area of tourism are the change of sense in the time and space, collapse of barriers, accentuating volatility and ephemerality and the prevalence of nostalgia, disappearance of historical conscious. In the end, this study argue about the social meaning of postmodern tourism.

      • 21세기 서양미학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시론 1―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그리고 그 이후를 위하여

        김종기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포스트모더니즘이 동시대의 여러 문학 및 예술 현상을 지칭하는 가장 포괄적인 준거로서, 또한 이와 아울러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가 그 사상적·철학적 바탕으로 이해되어 온지도 오랜 시간이 지났다. 보편적 진리 및 총체적 역사 인식을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인식론과 존재론적 관점은 다원주의의 용인, 차이의 수용 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통해 더욱 확대되어가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교정하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전망을 주지 못한다. 그 결과 초국적 자본은 전 세계를 점령하였고, 전 세계에서 소수에게 더 많은 부가 독점되는 상황이 가중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 분야에서 예술이 인간 삶과 분리된 채 인간의 더 나은 삶과 미래에 대해 어떠한 전망을 제시해 주지 못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인한다 할 것이다. 이 글은 모더니즘에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현대 예술 또는 동시대의 예술 및 미학의 흐름을 개괄한 후, 우리가 찾아나가야 할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미학, 나아가 동시대의 예술의 방향을 ‘시론(試論)’의 한계 내에서 제한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과정 및 이들의 삶과 예술에 대한 관점과 전망을 되짚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의 대부분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를 전망하기 위해서 그 준비 작업으로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흐름을 간명하게 요약하여 정리하는 것에 할애되어 있다. 그리고 <결론>의 자리를 빌려 선언적 차원에서 간략하고 제한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방향성을 전망해 보고 있다.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시각이 부재한 채 진행되는 (실재와의 연관성을 상실한) 시뮬라크르의 끊임없는 반복적 재생산은 단순히 소비자본주의에 투항한 무기력한 개인들의 자기 복제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문제는 시뮬라크르 속에서 가려진 실재를 찾고자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에 대한 고민은 실재를 다시 회복하는 것과 연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이때 우리는 본질주의 및 고정된 실체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비판을 고려하면서 보편성과 진리의 문제를 다시 사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알렉산더 맥퀸 패션쇼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포스트모더니즘

        유은성 대한미용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on the hair styles of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from S/S 1995 to F/W 2010.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hair styles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are related to romantic emotion, they represent the pursuit of primitive substance, the transcendence of time, multi-factorial eclecticism, and uncertainty. The historic transcendence of time was shown in the various post-modern hair styles borrowing and changing the image of past hair styles from the Primitive era to today, which aimed at expanding the range of expression by searching for the origins of beauty in opposition to the values of modern beauty. The folk multi-factorial eclecticism was inspired by ethnic hair styles from many countries and re-created by mixing the West and the East, and alteration. The key value of post-modernism is uncertainty, which means defective human beings’ aesthetic taste such as the nature of the grotesque showing something disgusting and horrible. This shows the power of expression by hair styles and how they convey sarcasm and warning against the actual. This study predicts the expansion of hair design elemen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new hair design. 본 연구는 1995년 S/S부터 2010년 F/W까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알렉산더 맥퀸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은 낭만주의적 감정과 연결된 고리를 가지며, 인간의 감정을 중시하는 낭만주의는 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꾼 아방가르드에 영향을 주었다. 낭만주의에 반하여 인간의 감정보다는 미학적 현대성을 추구한 모더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주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새로운 실험의 성격을 띤 또 하나의 아방가르드이며, 이는 예술사조간의 경계와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종합예술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맥퀸의 작품세계는 낭만주의적 감정에서 시작된 모든 예술의 장르를 뛰어넘는 다원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으로 나타났다.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은 아프리카 원주민과 인디언들의 원시시대의 헤어스타일로, 가공되고 인위적인 현대의 헤어스타일의 미적 가치에 대한 도전으로 원초의 아름다움을 탐색하여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낭만주의 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헤어스타일을 이미지를 차용하여 새롭게 변형하거나 과거의 스타일을 그대로 재현시켜 포스트모더니즘의 폭넓은 헤어스타일에 기여하였다.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은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적인 헤어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아 이미지를 혼합, 변조하여 새로운 형태를 시도하였으며, 금발머리의 서양 모델이 동양적인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서양과 동양의 상호텍스트성, 전통스타일의 변조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적 절충주의를 표현하였다.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인 가치로 이해되며, 인간의 불완전한 미적 취향을 악마성과 혐오성이라는 그로테스크적인 특성을 도입하여 패션에서 헤어스타일이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인 표현의 힘을 보여주었다. 또한 헤어스타일을 통해 현실에 대한 풍자와 경고등의 메시지를 전달하였으며, 이는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버려진 음료수캔 등과 같은 오브제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기존의 미의 질서를 파괴하여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20세기 후기의 대표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의 시대정신이며 포괄적인 사회 현상으로 문화, 예술에 영향을 끼치며 ‘천재 디자이너’로 불렸던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도 나타남을 확인함으로써 헤어스타일이 패션이미지 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내재된 현대의 포괄적인 사회현상인 포스트모더니즘 미적 철학과 표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헤어디자인 표현 요소의 확대와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범위 및 표현 영역이 방대하여 헤어스타일에 국한하여 연구되었으며, 향후 알렉산더 맥퀸의 의복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21세기 서양미학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시론 1

        김종기(Kim, Chongki)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포스트모더니즘이 동시대의 여러 문학 및 예술 현상을 지칭하는 가장 포괄적인 준거로서, 또한 이와 아울러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가 그 사상적·철학적 바탕으로 이해되어 온지도 오랜 시간이 지났다. 보편적 진리 및 총체적 역사 인식을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인식론과 존재론적 관점은 다원주의의 용인, 차이의 수용 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통해 더욱 확대되어가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교정하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전망을 주지 못한다. 그 결과 초국적 자본은 전 세계를 점령하였고, 전 세계에서 소수에게 더 많은 부가 독점되는 상황이 가중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 분야에서 예술이 인간 삶과 분리된 채 인간의 더 나은 삶과 미래에 대해 어떠한 전망을 제시해 주지 못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인한다 할 것이다. 이 글은 모더니즘에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현대 예술 또는 동시대의 예술 및 미학의 흐름을 개괄한 후, 우리가 찾아나가야 할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미학, 나아가 동시대의 예술의 방향을 ‘시론(試論)’의 한계 내에서 제한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과정 및 이들의 삶과 예술에 대한 관점과 전망을 되짚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의 대부분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를 전망하기 위해서 그 준비 작업으로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흐름을 간명하게 요약하여 정리하는 것에 할애되어 있다. 그리고 <결론>의 자리를 빌려 선언적 차원에서 간략하고 제한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방향성을 전망해 보고 있다.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시각이 부재한 채 진행되는 (실재와의 연관성을 상실한) 시뮬라크르의 끊임없는 반복적 재생산은 단순히 소비자본주의에 투항한 무기력한 개인들의 자기 복제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문제는 시뮬라크르 속에서 가려진 실재를 찾고자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에 대한 고민은 실재를 다시 회복하는 것과 연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이때 우리는 본질주의 및 고정된 실체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비판을 고려하면서 보편성과 진리의 문제를 다시 사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관 비교 연구

        배정혜(Bae Junh-hye),정석환(Chung Seok-hwa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본 연구는 현대 유아교육 사조의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포스트모더니즘이 한국과 미국에 수용된 절차와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실제에 유용한 사상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미국 유아교육에 끼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자 논의의 준거이다. 둘째,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수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유아교육사상에 끼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의 수용이 비록 개념적으로 동일한 맥락이지만,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이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보다 더욱 체계인 수용과 적용을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유아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원리를 잘 적용시켜 다양한 유아의 개별적 상황과 인종 간의 차이, 성별에 의한 차이 등을 배려하고 인정하는 하나의 교육사상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 연구들은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개념과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 연구는 혁명적 방향의 전환이 요구된다. 후속 하는 연구에서 한국 유아교육의 상황을 엄격하게 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적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nd to seek for the mean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its results. First of a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post-modernism and the ide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US. Second of a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post-modernism and the ide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outh Korea. Finally, compare the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came out as follows: a denial of meta-narrative was one of the things that South Korea and the US had in common on the recognition of the postmodernism. Consequently, it denies common purpose as well as the temperament of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eric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at the post-modernism led pract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ertain directions but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problems in practical appli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accommodate American way of applying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as a new obj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에 내재된 서구중심주의 비판

        최일성(CHOI Il-S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5 정치사상연구 Vol.21 No.2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관을 중심으로 그것의 서구중심주의적 성격을 밝힌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말 거의 동시대에 등장한 탈식민주의적 지적 흐름과 더불어 서구중심주의적 패권과 그 폐해를 비판하면서 서구적 이성 및 진보 개념에 대한 비판을 역설하였다. 그런 이유로 역사학분야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전략이 전일적 관념을 강조해 온 서구적 모더니즘과 결별함으로써 서구중심주의적 역사관을 극복할 수 있는 주요한 이론틀이라는 입장이 개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관을 추론하면서 그것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의 서구중심주의가 내재해 있음을 지적한다. 첫째, 어떠한 형태의 비판적 역사이론도 허용하지 않는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비서구사회의 미래지향적 변혁이나 개혁을 가능하게 만드는 역사이론은 불가능해진다. 둘째, 역사의 변화를 주도할 비판적・개혁적 주체를 해체시킨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권력의 해체는 서구적 입장에서는 업악적 권력층에 대한 해체로 이해될 수 있으나, 비서구적 입장에서는 해방을 위해 투쟁할 비판적・개혁적 주체에 대한 해체를 의미한다. 셋째, 역사적 맥락을 거부하는 이른바 몰역사성의 한계를 드러낸다. 이러한 입장은 결국 비서구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지배, 종속, 착취 등과 연관된 역사적 맥락을 간과하게 만든다. 넷째, 비서구사회가 당면한 역사적 실재를 보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비서구사회에 고질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고통의 연속성을 드러내는데 부적합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포스트모더니즘은 자신들이 비판하고자 했던 서구중심적 모더니즘의 역사관을 오히려 새롭게 양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western centric characters inherent in postmodern historical view. It seems that the postmodernism have criticised the western centric hegemony with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 flow, Postcolonialism in particular. In that reason, several historians have voluntarily accepted the postmodern research method known as ‘deconstructivism’ as an emancipatory discourse to rise above the modern historical perspectives. However this paper analyzed and revealed four aspects of western-centrism in its historical view as follows: First, the postmodernism do not allow any critical theory of history by which a future-oriented transformation or reform of non-western societies may possible. Secondly, the postmodernism tends to deconstruct the critical or reformist non-western subjects who are able to lead to a historical change in their society. The deconstruction of power would be in fact associated with the repressive power in western sense, but in non-western sense with the emancipatory one. Thirdly,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s there is a tendency to overlook non-western historical context concerned with their subordination or exploitation. Finally, the postmodernism do not want to see the historical reality of non-western societies in which the continuity of pain is usually chronic. In these respects the postmodernism could be also considered as a western centric theory.

      • KCI등재

        일본현대시의포스트모던적요소

        임용택(Rheem Yong tac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2차 세계대전에 따른 인류 전멸의 위협과 인간성의 상실, 그리고 전후 세계경제를 주도한‘후기 자본주의(late-capitalism)’의 소비지향적 물질문화의 확산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도시를 살아가는인간의 소외의식을 심화시키며 무질서와 혼돈, 회의 등으로 점철 된 포스트모던 시대의 도래를 초래하였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모두 기존의 전통이나 인식에 대한 부정과 형식의 실험을 추구하나, 모더니즘이 문학을 포함한 예술의미적가치에 주력하는 반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상업 예술이나 하위문화에 관심을 기울 이는 매우 반항적이고 통속적인 사회 문화현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본 곳에서는일본 현대시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성을언어의 유희적 요소 및 표층성의 강조,장르 간의 경계 해체, 현실과 그런 대학문의 인식 체계 및 진리체계의 부정, ‘여성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접근해보았다. 다이쇼 말기에서 쇼와 초기로 이어지는 전위 적시에서는 다양한 언어적 실험에 바탕을 둔 시각적 형식화의 추구가포스트모더니즘 시의 주요 형태인‘구체 시’의 지평을 선점하고 있다. 시네포엠이나시속사진기법, 광고 등의 도입에서 나타나듯, 언어유희를 앞세운 모더니즘 문학의 아방가르드 정신과 포스트구조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장르 혼합의 상호 텍스트적 요소가포스트모던적 성격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암시한다. 전후시의 걸작으로 평가되는 요시오카 미노루의 승려는 신성성을 상실한 속물적승려의 모습을 통해 성(聖)과속(俗)의 경계 해체, 생과 사의 동일시 공간에서의 공존과 길 한 구조 등을 제시함으로써, 이항대립적 인식 체계에 기반을 둔‘대서사’의 권위에도전하고 있다. 나아가 요시 마스 고조의 타오르다에서는 현실과 꿈, 인간세계와 우주(천체)가 어지럽게 교차하는 시적 상상력의 질주가인간의 잠재의식이나 무의식을 바탕으로 현실과 상상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쉬르레알리슴적세계로는억제할수없는 시적 에너지를 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사카요코와이토히로미가 추구한 여성적 글쓰기는 주체로서의 남성, 타자로서의 여성이라는 남성중심주의의 신화를 붕괴시키며, 여성의 성적매력을 바탕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스스로를 타자로부터 주체의 위치로 전복시키고 있는 점에서 포스트모던적이다. The alienation of people living in cities was deepened by the threat of human extinction in World War II; the loss of human nature; the diffusion of consumer-oriented material culture of ‘late-capitalism,’ which led the postwar world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urn, this brought the advent of the postmodern era which was marked by disorder, chaos, doubt and the lik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ursue the experiment of denial and rally against tradition or human existence. However, postmodernism that is interested in commercial art and sub-culture is defined as a very rebellious and kitsch cultural phenomenon. This paper appears the postmodernity in modern Japanese poetry from the viewpoint of emphasis on the play elements and surface structure of language; boundaries between genres that are the ‘deconstruction’; the recognition of reality and modern science and the denial of the truth system; and ‘écriture-féminine’. First, the ‘avant-garde’ poetry which is performed in the first half of 1920 shows a visual format based on various linguistic experiments characteristic of ‘concrete-poetry’ that is representative of postmodernism poetry. As it appears in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techniques and advertisements in the poetry and ‘sine-poem’, the avant-garde spirit of modernist literature that prefers language play and the intertextuality of genre blending from poststructuralism to postmodernism is based on postmodernity. ”Souryo” (1958) by Yoshioka Minoru shows the demarcation of the sexual and the common and proposes a coexistence and conflict structure in the same time and space of life and death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monstrous monk who was no longer sacred. It is this challenge to authority that makes up the ‘meta-narrative’ based on the recognition system of binary opposition. Furthermore, in ”Moeru” (1970) by Yoshimasu Kozo, the gallop of poetic imagination in which reality, dreams, the human world, and the universe intersect chaotically with each other spurts the radical poetic energy which cannot be suppressed in the world of ‘surrealism’ that connects the reality with the imagination organically on human subconscious or unconsciousness. Finally, ‘écriture-féminine’ which Isaka-yoko and Ito-hiromi purse brings down the myth of androcentrism which is a man as a subject and a woman as the “other.” It is postmodernism that recognizes things based on the sexuality of woman and changes the position from the “other” to the subject for oneself.

      • KCI등재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 공연예술 분석 -사이먼 맥버니(Simon McBurney)의 <인카운터(Encounter)>(2015)를 중심으로-

        정다은 한국드라마학회 2023 드라마연구 Vol.- No.70

        The movement of postmodernism, considered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from the 1960s, began to slow down in the 1990s. This weakening of postmodernism raises the question of what will be next after postmodernism. This study refers to such postmodernism as Beyond- Postmodernism, and confirms the characteristics of Beyond-Postmodernism through analysis of performing arts activities. In this study, this is analyzed through the work of Complicité, a representative theater company that has been active from the 80s to the present.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the culture of Beyond-Postmodernism in the 21st century expresses the tim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ways from postmodernism. Through the analysis of <Encounter>, this study finds six characteristics of Beyond-Postmodernism: 1) identity exploration, 2) truth exploration, 3) spiritualism, 4) trust, cooperation, reconstruction, 5)neo- realism, and 6)the use of computers, the Internet, and mass media. 1960년대부터 문화와 예술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으로 여겨진 포스트모더니즘 의 움직임은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주춤하기 시작한다. 이 같은 포스트모더니 즘의 약화는, 포스트모더니즘 그 다음은 무엇일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를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지칭하 며,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공연예술 활동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80년대부터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극단 컴플 리시테(Complicité)의 작품 <인카운터>를 통해 이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문화예술 분석을 통해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비욘드-포스 트모더니즘의 문화가 포스트모더니즘과 어떻게 다른 방향과 방법으로 시대를 표현해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카운터>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1) ‘정체성 탐구’, 2)‘진실탐구’, 3)‘영성주의’, 4)‘신뢰, 협력, 재구축’, 5)‘신사실주의’, 6)‘컴퓨터와 인터넷 매스미디어의 활용’이라는 6가지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 의 특성을 발견한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영화 미학의 상관관계 연구

        정헌(Jeong, H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8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과의 연관성 속에서 디지털 영화 미학의 주요한 특징과 가능성을 탐구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합성 이미지에 근거한 디지털 영화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를 새로운 차원에서 제기한다. 이미지 구성 방법론의 측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뮬레이션 이미지, 패러디, 꼴라쥬, 혼성모방 등은 이후 등장하는 디지털 영화 미학의 주요 방법론으로 작동한다. 또한, 이미지 존재론의 측면에서, 디지털 영화는 필름의 복제 이미지를 넘어 컴퓨터 합성의 기술적 기반 위에서 실현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현실의 사진적 재현을 넘어 이미지 합성과 변형의 차원을 전면화한다.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전은 실제의 현실보다 더욱 현실적인 하이퍼리얼 이미지를 창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영화 미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넘어서 간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미학 사이의 역사적 겹쳐짐과 미학적 유사성이 여전히 존재하긴 하지만, 디지털 합성 이미지의 적극적 주체 개입과 상호작용성의 미학은 포스트모던의 탈역사성과 하이퍼리얼리티로부터 분리된다. 디지털 기술의 도움으로 영화의 현실 지표성과 리얼리즘의 재현 미학은 오히려 더욱 강화된다. 이 글은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양 방향에서 디지털 가상성의 새로운 미학을 검토한다. 한편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미지 편향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리얼리즘의 의미를 모색한다. 다른 한편으로 모더니즘 작가주의의 측면에서 포스트모던 비관주의를 넘어서고자 한다. 디지털 가상성 미학은 물질 현실과 가상 이미지, 지표성과 조작성, 복제와 혼성모방, 결국 리얼리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이의 이분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디지털 가상성의 미학은 현실의 지표성과 함께 영화의 상상적 표현력을 동시에 확장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ain trait and potential of digital cinema aesthetics in relation to the postmodernism. Firstly, I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postmodernism and digital aesthetics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digital revolution. Postmodernism is focused on the de-historicalization and hyper-reality against the authenticity of reality. In particular, it suggests the cinematic aesthetics of simulated images beyond the representative aesthetics of realism and the rational skepticism of modernism. Postmodernism is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mass culture and the cultural products of capitalism. The digital cinema based on computer simulations and synthetic images since the 1990s takes new issues with the postmodernism. In terms of the methodology of image composition, postmodern techniques like simulation, parody, collage, and pastiche function as a main methodology of digital cinema aesthetics. In addition, digital cinema is based on computer-simulated images beyond filmic reproduced images, in terms of the ontology of cinematic images. The computer-simulated images suggest the new stage of synthesis and transformation of cinematic images beyond filmic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The evolution of digital technology opens a new age of hyper-real images that the simulated images are more real than the reality. Here the digital synthesis of cinematic images is related with the hyperreal aesthetic of postmodernism. Nevertheless, the aesthetics of digital cinema goes beyond the postmodernism. Historically, the end of postmodernism is associated with the beginning of digital aesthetics. The advent of digital network society provides the technological foundation beyond the postmodern passivity and recession. Although the historical imbrications and aesthetic similarity between postmodernism and digital aesthetics still remain, the digital aesthetics of activity and interactivity is distinguished with the postmodern aesthetics of dehistoricity and hyperreality. The cinematic aesthetics of indexical and representative realism is reinforced with the help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cinematic aesthetics in digital era should search for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hyperreality, representation and simulation, indexicality and symbolicity, and actuality and the virtual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new aesthetics of digital virtuality in the direction of realism and modernism. On one hand, I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ew realism beyond postmodern hyperreality. On the other hand, I try to go beyond postmodern pessimism in terms of modern auteurism. The cinematic aesthetics of digital virtuality departs from the dichotomy between material reality and virtual images, indexicality and manipulation, reproduction and pastiche, and realism and postmodernism. It is an historical hybridity and ontological complexity of traditional cinema aesthetics. The aesthetics of digital images reinforces the contradiction of cinematic indexicality and expressive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