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성 중심성·문화적 표준·종교적인 것-최재서의 국민문학론에 관한 몇 개의 주석-

        장문석 ( 張紋碩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8

        이 글은 한국근대문예비평사의 맥락에 유의하면서, 최재서의 국민문학론을 경성중심성, 문화적 표준, 종교적인 것이라는 세 개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 글은 논의의 전제로서 최재서가 편집자 겸 발행인으로서 활동하였던 잡지 『국민문학』의 변모과정에 유의하였으며, 1943년 최재서가 일본어 비평집 『전환기의 조선문학』을 출판했고, 이후 소설 창작으로 나아갔다는 사실을 유의하였다. 우선 파리 함락 이후 문화주의 비판과 국민이라는 이념 정립 속에서 최재서의 국민문학론이 형성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2장). 이 과정은 1930년대 최재서 자신의 문학론을 자기비판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다음으로는 최재서의 국민문학론에 나타난 경성중심성과 문화적 표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3장). 최재서는 지방문학으로서 조선문학의 독창성을 강조하였으며, 조선문학이 일본문학의 일익(一翼)으로 일본문학을 재편성할 것을 기획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이면에는 제국 일본문학의 내부에 여러 문화적 단위를 구획하려는 최재서의 기획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그와 달리, 최재서는 조선문학의 비균질성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를 최재서의 경성 중심성과 문화적 표준에 대한 인식과 연결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최재서의 국민문학론에서 재조일본인과 종교적인 것의 의미를 살펴보았다(4장). 그의 국민문학론은 경성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이 함께 참여하는 것이었으며, 그가 창작한 소설 역시 신라의 수도 경주를 배경으로 ‘내선일체’를 역사적으로 투사한 것이었다. 그의 소설에서 종교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으로 회수된다. 또한 이 글은 시험적으로 내부와 외부, 중심과 주변, 신정(神政)과 세속, 수도와 지방 등의 기준에서 김사량과 최재서의 주체구성·언어·문학 등의 비교를 시도해 보았는데, 경성중심성, 문화적 표준, 종교적인 것 등을 핵심어로 1940년대 국민문학을 입체적으로 다시 읽는 것은 추후의 과제이다. 本稿では、朝鮮近代文芸批評史をふまえながら、崔載瑞の「国民文学論」について「京城中心性」「文化的標準」「宗教的なもの」という三つのキーワードを中心に考察した。まず、議論の前提として、崔載瑞が編集兼発行人を務めた雑誌『国民文学』の性格の変化と、崔載瑞が1943年に日本語批評集『転換期の朝鮮文学』を出版した後に小説の創作を行うようになったという事実に注目した。第2章では、パリ陥落以降に文化主義をめぐる批判と国民という理念が確立する中で、崔載瑞の「国民文学論」が形成されたことについて検討した。崔載瑞の「国民文学論」の形成過程は、1930年代の彼自身の文学論を自己批判する過程でもあった。次に、第3章では、崔載瑞の「国民文学論」における「京城中心性」と「文化的標準」について検討した。崔載瑞は地方文学としての朝鮮文学の独創性を強調し、朝鮮文学が日本文学の一翼として日本文学を再編成するとした。このような朝鮮文学をめぐる認識の裏には、帝国の日本文学の内部にさまざまな文化的単位を区画しようとする崔載瑞の企てが存在した。崔載瑞は朝鮮文学の非均質性をはっきりと認識できなかったが、本稿ではその理由を崔載瑞の「京城中心性」と文化的標準をめぐる認識と結び付けて考察した。最後に第4章では、崔載瑞の「国民文学論」における在朝日本人と「宗教的なもの」が持つ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崔載瑞の「国民文学論」は、京城という空間を中心とし、朝鮮人と在朝日本人が共に参加するものであった。崔載瑞が創作した小説も、新羅の首都·慶州を背景に、「内鮮一体」を歴史的に投射したものであった。彼の小説における「宗教的なもの」は、政治的なものとして回収されることになった。また、本稿は内部と外部、中心と周辺、神政と世俗、首都と地方などの基準によって、金史良と崔載瑞の主体構成·言語·文学などの比較を試みたが、「京城中心性」「文化的標準」「宗教的なもの」などのキーワードをとおして、1940年代の「国民文学」について立体的に捉え直すことは今後の課題である。

      • KCI등재

        낭만주의·경성제국대학·이중어 글쓰기 -김윤식의 최재서 연구에 관한 몇 개의 주석

        김동식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This article aims to refine ou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left to us by Kim Yoon-shik through a rereading of his research on Choi Jae-seo. Choi Jae-seo (1908-1964) studied British Romanticism in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 1934 he published “Modern Intellectualist Literary Theory,” introducing the work of T. E. Hulme, T. S. Eliot, Herbert Read, I. A. Richards, and others. In addition, he left exceptional criticism on the work of Korean modernists Kim Ki-rim, Yi Sang, and Pak Taewon. However in 1942, working as editor of the magazine National Literature(國民文學), he followed the course of pro-Japanese literature, and after the liberation his primary achievements were as a Shakespeare scholar. Kim Yoon-shik first published “A Study of Choi Jae-seo (Choejaeseoron)” in 1966, later publishing “Personality and Character – A Study of Choi Jae-seo (Gaeseonggwa Seonggyeok - Choejaeseoron)” in 1984, and the book-length study Choi Jae-seo’s National Literature and Professor Sato Kiyoshi (Choejaeseoui Gukminmunhakgwa Sato Kiyosi Gyosu) in 2009. “A study of Choi Jae-seo” (1966)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intellectualist literary theory Choi Jae-seo introduced, placing it with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Personality and Character – A Study of Choi Jae-seo” (1984) Kim Yoon-shik shows that Choi Jae-seo’s literary research has its basis in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 romantic imagination. Choi Jae-seo’s National Literature and Professor Sato Kiyoshi (2009) reveals that National Literature was a bilingual creative writing space invested with the cultural capital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Thus, Kim Yoon-shik’s research expanded from intellectualism to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n to bilingual creative writing.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cademic atmosphere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s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through the Gyeongseong Imp. Univ. English Literature Review (Gyeongseongjedae Yeongmunhakhoebo) and examines the meaning of Choi Jae-seo’s work on intellectualism published in Japanese. 김윤식의 최재서 연구를 다시 읽으면서 그가 남겨 놓은 문제들을 첨예화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최재서(1908-1964)는 경성제국대학 영문과에서 영국 낭만주의 문학을 공부하였으며, 1934년에는 T. E. Hulme, T. S. Eliot, H. Read, I. A. Richards 등을 소개한 「현대 주지주의(Intellectualism) 문학이론」을 발표하였으며,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자인 김기림, 이상, 박태원에 대한 뛰어난 비평을 남긴 바 있다. 그러나 최재서는 1942년 국민문학 의 편집인을 활동하며 친일문학으로 나아갔으며, 해방 이후에는 셰익스피어 연구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김윤식은 1966년에 「최재서론」을 발표한 이래로, 1984년에는 「개성과 성격-최재서론」을 발표했으며, 2009년에는 단행본 『최재서의 『국민문학』과 사토 기요시 교수』를 출간한 바 있다. 「최재서론」(1966)은 한국근대문예비평사의 관점에서 최재서가 소개한 주지주의 문학이론의 성취와 한계에 대해서 고찰했다. 「개성과 성격-최재서론」(1984)에서는 최재서의 문학 연구가 경성제국대학 영문과와 낭만주의 상상력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재서의 『국민문학』과 사토 기요시 교수』(2009)에서는 『국민문학』이 경성제대의 문화 자본이 투입된 이중어 글쓰기 공간임을 규명한 바 있다. 김윤식의 연구는 주지주의, 경성제국대학, 이중어 글쓰기로 확대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경성제대 영문학회보』를 통해서 경성제대 영문과의 학문적 분위기를 살펴보았으며, 일본어로 발표된 최재서의 주지주의 이론의 의미를 점검하였다.

      • KCI등재

        보편에 이르는 길

        이만영 ( Man You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본 연구는 최재서가 작성한 평문을 통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국민문학론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 추적해보고자 한다. 『국민문학』에서의 활동 이전과 이후의 비평 의식을 매개할 때라야 비로소 최재서는 하나의 연속적 실체로 간주될 수 있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에 개진된 최재서의 비평 체계 속에서 국민문학론의 맹아를 추출하고 이를 최재서의 국민문학론과 접맥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최재서가 엘리엇(T. S. Eliot)의 ‘전통’과 ‘몰개성’이라는 개념을 자신의 비평 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했는지 검토한다. 최재서는 동시대적인 질서 관념을 내세우기 위해 전통 개념을 활용한 바 있는데, 여기서의 동시대적인 질서는 특수한 개별 문학이 보편적인 세계 문학과 교섭할 수 있는 질서를 의미한다. 최재서는 이러한 전통 개념을 작가가 마땅히 가져야 할 모럴로 간주하면서, 한 작가의 개별성이나 지역 문학의 특수성은 궁극적으로 세계 문학의 보편적 윤리들을 담지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몰개성’이라는 엘리엇의 비평적 개념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최재서는 엘리엇의 몰개성론을 참조하여 개성에 얽매인 ‘소아(小我)’적 글쓰기를 배제하고 전통에 의거한 ‘대아(大我)’적 글쓰기를 지향해야 한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결국 개성을 억압하는 통제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귀결되는데, 그 논리는 1940년대 『국민문학』을 통해 개진했던 전체주의적 논리와 동궤를 이루고 있다. 최재서의 논의는 개성보다는 전통을, 지역문학의 특수성보다는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던 바, 거기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 이념이라 할 수 있다. 최재서는 조선적 특수성보다 서구적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작가에게 필요한 모럴은 문명의 중추인 유럽 대도시의 문화와 접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구 중심적인 코스모폴리탄 이념은 1940년 6월에 일어났던 ‘파리 함락’을 기점으로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파리 함락’은 보편성의 표본이라 할 수 있는 서구의 몰락을 확인하는 일대 사건이었기에, 최재서는 코스모폴리탄 이념을 강조했던 기존의 비평적 논리를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는 서구를 대체할 만한 보편성의 표상을 일본으로 설정하기에 이른다. 엘리엇의 이론을 참조하여 개성보다는 전통을 강조하고 개별적인 지역문학보다는 보편적인 세계문학의 모럴을 강조했던 그가, ‘파리 함락’ 이후 일본 중심의 보편성을 강조하게 되면서 이른 바 국민문학론을 주창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따라서 최재서의 비평을 통시적인 흐름으로 바라본다면, 그의 비평논리는 엘리엇의 전통론과 몰개성론에서 출발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인정하는 국민문학론으로 귀결됨으로써 결국 논리의 파탄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ursuing how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Choi, Jae-Seo has been composed by reviewing the criticism of Choi, Jae-Seo. Choi, Jae-Seo can be considered as one continuous entity only when the critique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in『National Literature』is mediated mutually, 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concentrate the efforts on extracting the sprouts of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in the criticism system of Choi, Jae-Seo set forth in 1930s and grafting them in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Choi, Jae-Seo. For this, we should review in what manner Choi, Jae-Seo utilized the concepts of ``tradition`` and ``impersonality`` suggested by T. S. Eliot in the criticism of his own in the first place. Choi, Jae-Seo says that the tradition should also include the idea of contemporary order, which means the order that a special individual literature can negotiate with the universal world literature. Choi, Jae-Seo regarded the concept of tradition like this as the moral which a writer ought to have, and asserted that the personality of a writer or the speciality of local literature should contain the universal ethics of world literature ultimately. The recognition like this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critical concept of ``impersonality`` suggested by T. S. Eliot. Referring to ``impersonality theory`` suggested by T. S. Eliot, Choi, Jae-Seo asserts that a writer should aim at the writing based on ``larger self``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 to the exclusion of ever writing based on ‘smaller self’ constrained by personality. After all, his viewpoint like this results in the logic that the control to oppress the personality is required, and this logic forms the same track as totalitarian logic stated through『National Literature』in 1940s. The discussion of Choi, Jae-Seo is progress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tradition rather than personality is emphasized and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the speciality of lo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nd it can be said that what is highlighted here is the ``cosmopolitan`` ideology. Laying emphasis on the universality of the West rather than the speciality of Joseon, Choi, Jae-Seo says that the moral required for a writer can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ulture of big cities in Europe, the backbone of civilization. However, the cosmopolitan ideology like this centering on the West encounters a big change starting from the ``Fall of Paris`` that occurred in June, 1940. Because the ``Fall of Paris`` was one of big incidents confirming the decline of the West which was regarded as a model of universality, Choi, Jae-Seo had nothing but to modify the existing critical logic which emphasized the cosmopolitan ideology. In the end, he came to establish Japan as the representation of universality to replace the West. Although having emphasized the tradition rather than personality, and the moral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individual local literature after referring to the theory of T. S. Eliot, he came to advocate the so-called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as he emphasized the universality centering on Japan after the ``Fall of Paris`` in 1940.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riticism of Choi, Jae-Seo through a flow penetrating the ages, the logic of his criticism started from the tradition theory and impersonality theory suggested by T. S. Eliot and resulted in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accepting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 KCI등재

        최재서 셰익스피어론의 한계

        김인환 ( In Hwan Kim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7

        1963년에 을유문화사에서 나온 최재서의 『셰익스피어 예술론』은 한국 영문학 연구의 중요한 업적이다. 대학시절에 영국 낭만주의를 연구하고 1930년대에 영국의 현대문학 이론을 소개하면서 얻은 문학적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1957년에 『문학원론』을 지어 독자적 체계를 구성하고 자신의 체계에 맞추어 셰익스피어의 드라마를 분석한 것이 그의 셰익스피어론이다. 셰익스피어의 각본 전체를 일관된 시각으로 분석한 저서는 최재서 이후 아직까지도 나온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저서는 현재도 높이 평가될 만하다. 셰익스피어의 각본들을 사극, 희극, 문제극, 비극, 로마극, 로맨스극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하위 장르에서 정치적 질서, 사회적 질서, 인생비평, 도덕적 질서, 초월적 질서, 자연적 질서를 해명한 방법은 독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재서에 의하면 셰익스피어의 사극들은 무질서한 영국의 정치적 투쟁을 통해서 질서의 이념을 추구하고, 희극들은 사회생활에 구현되는 질서 속에서 행복의 조건을 탐구하고, 비극들은 도덕적 질서의 파괴와 회복을 그린다. 셰익스피어는 문제극들에서 질서를 기준으로 불완전한 인간성을 비판하였고, 로마극과 로맨스극에서는 비극을 초월한 영원한 이념의 세계와 자연계의 질서를 탐구했다는 것이 최재서의 생각이다. 그러나 최재서는 질서라는 단어를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한정하지 못했다. 정치적 질서라는 말은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아무리 그 의미를 확대해서 해석한다 하더라도 질서에 본능, 선악, 행복, 인간성, 절대가치 등을 포함시키는 것은 한국어나 영어의 문법으로 볼 때 허용될 수 없을 것이다. 악을 병균에 비유하여 병균이 유기체를 죽이면 병균 저도 죽으므로 악은 자기파괴에 이를 수밖에 없다고 하거나 수술할 때 종양과 그 주위를 도려내는 것처럼 악은 그 주위의 선도 파괴한다고 한 것은 이와 기의 관계를 해석하는 성리학의 시각과 유사한 관점이다. 자연과 사회를 동일시하는 이러한 중세적 질서관을 보편적 질서이념으로 내세우는 것은 최재서의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최재서의 셰익스피어론을 책의 순서에 따라 분석하고 연구태도와 용어사용과 현실인식의 문제점들을 비판하였다. Choe Jaeseo has published Shakespeare`s Art as Order of Life in 1963. It is an important achievement in the field of literary study in Korea. He has classified Shakespeare`s dramas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reclassified the plays centering around the sub-themes which he referred to as political order, social order, criticism of life, moral order, transcendental order and natural order. His conclusion derived from Shakespeare`s creative intuition is as followes: Shakespeare`s history plays seek after the idea of the order through the political struggles of the Tudors; the comedies search for the conditions of happiness in the order which is realized in social life; his tragedies describe the destruction and reestablishment of the moral order; Shakespeare points out the incompleteness of the human beings in terms of the order in his problem plays; he pursues the world of the eternal idea and the natural order in the Roman plays and the romantic comedies. Choe Jaeseo`s wordings depend heavily on the everyday usage of language. He has included instinct, the good and evil, happiness, humanity and absolute value in the order of life. In addition to this, he, at one point, compares the social evil to pathogenic bacteria without further developing the theoretical leap which perplexes the reader. Moreover, he has not been able to make distinction between social order and natural order. His view of the order, therefore, is similar to the Neo-confucianism which confused society with nature. Finally, his interpretation of Shakespeare`s plays concentrating on the concept of the order lacks any sense of history.

      • KCI등재후보

        식민지 말기 국민문학론의 국민 되기의 논리와 문학적 의미-최재서의 「받들어 모시는 문학」을 중심으로

        전설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본 논문은 1944년 4월 『국민문학』에 발표된 최재서의 「받들어 모시는 문학」을 재조명하여 국민문학론의 국민 되기의 논리와 그 문학적 의미를 새롭게 읽어보고자 했다. 이 글은 소위 전향이나 굴복의 계기로 의미화되거나, 비평가적 입장에 대한 불연속성, 바꿔 말해 최재서의 ‘이론화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의미에서 문제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적 시점을 재고함으로써, 첫째 이 글이 최재서의 ‘이론화의 한계’가 아니라 정확히는 국체론이라는 ‘이론화되지 않은 것’, ‘모순의 논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 둘째 이것이 문학의 장에 지속적으로 머무르기 위한 주체화의 작업을 통해 가능함을 규명하였다. 더불어 이 규명의 과정을 민족-피, 이념-국체, 주체화-수행성이라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국민문학론에서 국민 되기의 실천을 일관되게 관찰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는 별도로 생각해야하지만 징병제 실시가 국민문학에 관여한 문인들의 국민 되기의 주체화 작업을 극적으로 진전시켰음은 분명하다. 최재서도 물론 예외가 아니었으며 그의 국민 되기의 질적 변화의 양상은 징병의 기획을 통해 드러났다. 그것은 전장 체현자의 출현에 의해 국민적 완성을 이루는 것이 환상이었음을 통감한 순간에 포착된다. 따라서 국민 되기란 손상된 국민의 위치를 회복하는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데, 바로 이 지점이 ‘받들어 모시는 국민 되기’였다. 천황을 받들어 모시는 국민의 과정은 국체라는 제국의 보편 이념에 대한 의식적 수용을 통해 성취된다. 일본인만이 생득적으로 지니는 국체의 이념이란 조선인에게는 본연적으로 소여되지 않은 것이므로 이론적 이해가 불가피 하였다. 그러나 이론적 이해를 통해서만 국체론을 수용할 수 있다는 이 사실이야말로, 조선인이 일본인이 될 수 없는 결정적인 결핍이었다. 왜냐하면 국체란 이론을 초월한 ‘일본인만의 자연적인 마음의 발현’이기 때문이다. 최재서는 일본인이 될 수 없는 절대적 요인, 즉 국체론의 핵심인 ‘피’가 상징하는 민족 구성의 문제를, 내선의 동질성을 통해 극복하려 했다. 그는 학도출진을 매개체로 고대를 소환하여 조선과 일본이 하나가 된 민족공동체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선동근 사관은 근본적으로 철저히 ‘일본적인 것’에서 지양되므로 이것 역시 극복 불가능한 것이었다. 이처럼 민족의 경계 밖에 타자화된 존재는 일본인 되기의 불가능함을 자각했고, 바로 그 자각 때문에 ‘받들어 모시는 국민 되기’라는 선택을 취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그 선택이란 국민 되기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받들어 모시는 문학」은 실상 그러한 수행성이 관찰되는 텍스트인데, 이 국민 되기의 수행성은 국체론의 순응을 통해 국체의 모순을 드러내기까지 한다. 요컨대, ‘국민문학’을 관철하는 국민 되기라는 행위수행적인 주체화 작업은 최재서의 문학 실천과 연동되고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최재서의 국민 되기의 논리는 제국의 보편주의 담론 및 체제 내적인 것이므로 사실상 그 보편주의를 극단화한 결과이기도 하다. 더불어 대중이 부재한 개인의 욕망으로서의 국민 되기라는 보편의 범주화의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그 논리는, 근대 국가의 국민과 민족이라는 보편과 특수의 논리가 대동아공영권으로서의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 사이의 모 ... This article aims to shed new light on Choi Jaeseo’s “Matsurou Literature,” -published in National Literature(Gug- Min-Mun-Hag) in April 1944, This article thereby interprets the logic and literary meaning of becoming a nation through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Matsurou" means serving the Japanese emperor. Choi’s essay has been read either as a ritique on the so-called surrender or conversion to Japan, or as a reflection of his discontinued stance as a critic, i.e., his limit of theorization. While taking these contrasting views into consider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Choi’s paper does not reveal "the limit of his theorization" but rather the limit of the theory of Kokutai(the national polity). In fact, the theory of Kokutai is not fully formed and contains contradictions in logic. Furthermore, his work regarding subjectivization strived to place himself permanently in the arena of literature, which enables us to explore its limits. Lastly, this study revolves around three ideas:nation-blood, ideology-Kokutai, and subjectivization-performativity. Aside from whether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plays a role in the formation of a nation, for Korean writers involved in National Literature, establishing a conscription system led to dramatic progress in the subjectivization of becoming a nation. Choi is certainly no exception. The conscription project discloses aspects of his transformation to becoming of the nation, which comes to fruition when he finally accepts the idea that it is an illusion, as Korea veterans fought for Japan to bring about national completion. Hence, becoming a nation starts anew only through becoming "the Matsurou nation", whereby Korean people are expected to recover their lost status as a nation. The process of "the Matsurou nation" is completed through conscious adoption of Kokutai,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Unlike the Japanese who were born into this ideology of Kokutai, Korean people had to understand it in theoretically because the ideology of Kokutai, could not come to them naturally. However, the very fact that only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ideology of Kokutai enables Korean people to adopt it determines they are not Japanese. This indicates their critical loss because Kokutai, is nothing but the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Japanese mind beyond theory. For Choi, the issue of constructing a race symbolized by blood, the essence of the ideology of Kokutai, is obviously what prevents Korean people from being Japanese in every respect. In turn, he attempts to overcome this ultimate hindrance through homogeneity of imperial Japan and colonial Korea. He takes advantage of Korean student soldiers as a vehicle to recall the ancient past in order to stress the national community where Korea welds Japan together. Nevertheless, his attempt is doomed to fail because this historical viewpoint that Korea and Japan originated from the same root completely negates the essence of being "Japaness". Accordingly, the otherized being situated outside the boundary of nation comes to realize the disability to be Japanese, which leads to the choice of becoming "the Matsurou nation". In other words, the choice refers to the "performance" of a nation at will. In fact, “Mausurou Literature” is the text that reflects the performativity of becoming a nation. This performativity encourages the adoption of the ideology of Kokutai, thereby disclosing the contradiction of Kokutai. In short, becoming a as presented in "national literature" is the work of subjectivization oriented to performing an action, which associates and interacts with the literary practice of Choi’s literary practice. Universalist discourse of the empire and the empire system per se results in the logic of becoming the nation from Choi. In this sense, his logic is able to evolve where universalism goes extreme. Furthermore, the categorization of the universal as a personal desire to become ...

      • KCI등재

        최재서의 1930년대 중기 문단 재구성 기획의 실제와 파장-「리아리즘의 확대(擴大)와 심화(深化)-< 천변풍경(川邊風景) >과 <날개>에 관(關)하야」를 중심으로-

        박상준 ( Park Sangjo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본고의 목적은 최재서의 문제적 평론 「리아리즘의 擴大와 深化 -< 川邊風景 >과 < 날개 >에 關하야」가 당대에 갖는 특징과 문제 및 그 의의와 현재적 파장을 폭넓게 검토하는 데 있다. 이 글을 올바로 이해하고 그 의미를 적절히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재서의 이전 비평들, 이 글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 그리고 당대 문단과의 관계가 그것이다. 그 결과로, 첫째 「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 또한 이전의 비평들과 마찬가지로 리얼리즘에 대한 모호한 규정을 제시함으로써 좌파 문학의 리얼리즘론에 교란을 가하고 있으며, 둘째 박태원의 「천변풍경」과 이상의 「날개」의 실제를 왜곡하는 것조차 아랑곳하지 않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면서 자신의 문학론을 내세웠고, 셋째 이 모두가 근본적으로는 좌파 문학이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문단의 질서에 충격을 주면서 후일 모더니즘소설로 분류되는 이들 작품에 문단적 지위를 부여하려 한 결과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 위에서 본고는 이 글의 의의를, 최재서의 비평 활동과 1930년대 중기의 문학 상황, 그리고 후대의 국문학 연구계 세 차원에서 추론, 정리하였다. 주지주의 문학론의 소개 등에 잠복되어 있던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실제비평으로 구체화하여 문단 일각의 동조를 이루어 냈다는 점, 문학계의 일반적인 양상과 거리를 보이는 새로운 소설들에 문단 차원의 위상을 부여함으로써 알 수 없는 변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 당대 문단에 질서를 부여하려는 시도에 해당한다는 사실, 상기 두 작품에 소설사적인 위상을 부여한 단초로서 관련 연구를 활성화한 반면 ``리얼리즘 - 모더니즘`` 논의에 착종을 낳은 원천이 되기도 했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본고의 결론은, 「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가 리얼리즘론을 발전시키거나 「천변풍경」과 「날개」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1930년대 중기 문학계 및 문단의 상황을 바꾸려는 최재서의 문단 정치적인 감각을 원동력으로 하는 이데올로기적인 특징을 짙게 띤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그동안 검토되지 않았던 관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 이와 관련해서 향후 연구의 지점을 제시했다는 데 본고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the hitherto effects of Choe JaeSeo`s "Enlarged Realism and In-depth Realism" (November 1936).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is aforementioned text and his previous writings, the novella and short story that he criticized, and the literary field of the ti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e following three facts: (1) By using the term "realism" in a strange way, he disturbed leftists` discourse on realism. (2) He emphasized "novelists` objective attitude" through the review of their works and did not hesitate to distort the true features of "Stream Scenery (川邊風景)" and "Wings (날개)." (3) By doing so, he accorded literary importance to those works and attempted to reorganize the order of the literary field. The significance of Choe`s criticism is threefold. First, he produced changes in literary discourses on realism. Second, he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order in the literary field that was entering a state of confusion. Lastly, his criticism became the source of research on realism and modernism. In short, Choe`s criticism can be regarded as an ideological practi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ertifies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three relationships mentioned above.

      • KCI등재

        1930년대 비평과 주체의 수사학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임화ㆍ최재서ㆍ김기림은 각자의 주제적인 관심에 따라 비평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문학적 주체의 근거를 탐색했던 1930년대의 대표적인 비평가들이다. 이들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자아(moi)가 아니라 비평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서 재/구성되는 주체(subject)를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에서 본격적으로 문제삼은 최초의 비평가들이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부분은 임화 최재서 김기림이 비평적 주제를 공유하고 논의를 펼쳤던 지점들에 대한 검토이다. 기교주의를 둘러싸고 임화와 김기림이 벌였던 논의, 김기림과 최재서에 의해서 논의된 풍자문학의 의미, 최재서의 리얼리즘 논의에 대한 임화의 대응 등이 그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세 사람의 비평에 등장하는 주체의 수사학 또는 구성 원리에 대한 검토이다. 최재서의 경우 전통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통일적인 주체를 꿈꾸었다. 과도기적 혼돈성으로 요약되는 현대의 위기를 통일적인 주체성의 확립을 통해서 버텨나가고자 한다. 반면에 김기림은 시대적인 변화를 움직이며 관찰하는 주관성을 지향한다. 그의 이러한 원칙은 비평을 시작한 1930년대부터 납북되기 이전까지 조금의 변화도 보이지 않는 원칙이었다. 임화의 경우 변증법의 정지상태를 넘어설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작품 또는 텍스트 속에서 집요하게 찾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주체는 변증법의 살아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었다. 2008년은 이들 세 사람의 비평가가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07 is th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three representative literary critics in the 1930s, Choi Jae-Seo, Im Hwa, and Kim Gi-Rim. This article reviews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through examining their criticisms. Kim and Im argued with each other in the technicalism debate, and as a result, Kim reorganized the composition of poetry of totality and Im moved forward the great romanticism. Meantime, Kim and Choi met in the field of satire. While Kim perceived sarcasm as a vehicle in that it made intellectualism go forward criticism of civilization, Choi suggested a split model of the subject from the satirical literature. Finally, Choi and Im met in the sphere of realism. Choi focused on the post-delimitation of realism but Im insisted the victory of realism which Balzac managed. In conclusion, Choi suggested a forming process of the unified subject as a principle of critique, Kim maintained the flexible subjectivity, and Im intended creative criticisms which could produce themselves.

      • KCI등재

        최재서의 주지주의 문학론과 현대의 혼돈

        이성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6

        After the dissolution of KAPF, Korean criticism falls into chaos in the absence of guiding ideology. What was introduced in this situation was Choi Jae-seo's intellectualism theory. Intellectualism is not a literary trend but a literary theory that attaches importance to an intelligent attitude. Choi Jae-seo, who studied British Romanticism in University, thought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romanticism in modern chaos. He thus derives the Intellectualism from the modern criticism of England and presents it as an alternative literary theory of modern chaos. At that time, Kim Ki-lim also suggested a intellectual method, but that was a way to reflect the cheerfulness of modernity in poetry. On the other hand, Choi Jae-seo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were chaotic and divisive, and that he proposed Intellectualism to heal them. Choi Jae-seo’s Intellectualism excelled in the actual criticism of modernist literature that was being produced in the mid – 1930s. He invited the author to a critical attitude toward modernity and presented ‘the satirical literature’ with this attitude to literature. He highly appreciated the sarcastic character of 『Kisangdo』. He also paid attention to the sharp “self-satire” about 「the Wing」. But for 「the Wing」 there was no moral and criticized the limit. After criticizing 「the Wing」, Choi argued that it could gain morals through self-criticism. According to him, Moral is formed and individuality is established as the subject constantly responds to external Morality through intelligence. This is because the intelligence of ‘Intellectualism’ he has accepted and leaned on has been a formality except Morality. That's why he couldn't form his own Moral, even though he asked the author for Moral. In the end, he abandoned the pursuit of intelligence and the formation of individuality and internalized the external Morality of Emperor Fascism, taking the path of rebirth as a subject loyal to the empire. 카프의 해산 후 한국 비평계는 지도이념의 부재 속에 혼돈에 빠진다. 이 상황에서 소개된 것이 최재서의 주지주의론이었다. 주지주의는 문학유파가 아니라 지성적 태도를 중시하는 문학론이다. 대학교에서 영국 낭만주의를 연구한 최재서는, 현대의 혼돈을 헤쳐 나가는 데 낭만주의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영국의 현대 비평으로부터 주지주의를 도출하여 현대의 혼돈에 대한 대안적인 문학론으로서 문학계에 제시했다. 당시 김기림도 주지적 방법을 제시했지만 그것은 현대의 명랑성을 시에 반영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반면 최재서는 현대의 특성이 혼돈과 분열에 있다고 보고 이를 치유하기 위해 주지주의를 제시한 것이었다. 최재서의 주지주의는 1930년대 중반 산출되고 있었던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실제 비평에서 그 진가를 발휘했다. 그는 현대에 대한 날카로운 지성이 발현되는 비평적 태도를 작가에게 권유하고, 이러한 태도가 구현된 ‘풍자문학’을 문학계에 제시했다. 그는 『기상도』의 풍자적 성격에 대해서 높은 평가를 내리고. 「날개」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자기풍자’에 주목했다. 하지만 「날개」에는 모랄이 없음을 들어 그 한계를 비판하면서, 그는 자기비판을 위한 모랄의 획득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르면 주체가 외부의 모랄리티에 대해 끊임없이 지성을 통해 대응해나가면서 모랄이 형성되고 이와 함께 개성이 성립된다. 하지만 그는 모랄과 개성의 형성에 바탕이 되는 지성을 더 이상 작동시킬 수 없었다. 그가 받아들이고 기대어 온 주지주의의 지성은 모랄리티를 뺀 형식적 지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는 작가에게 모랄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자기 자신의 모랄을 형성할 수 없었다. 결국 그는 지성의 추구와 개성의 형성을 포기하고 천황제 파시즘이라는 외부의 모랄리티를 내면화하면서, 제국에 충성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길을 걸었다.

      • KCI등재

        최재서의 일본어 번역표현 연구 - 이태준 「꽃나무는 심어놓고」와박화성 「한귀」의 번역을 중심으로 -

        우시지마 요시미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7

        This article compares Lee Tae‐jun’s “Planted Flower Trees” and Park Hwa‐seong’s “Drought-god” translated by Choi Jae-seo into Japanese in 1936,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and Choi Jae-seo’s intention. While Choi Jae-seo changed the tone of female characters to urban in the translation of “Drought‐god” in Japanese, he used a regional dialect for the male characters and hid the asset of the farmer who could read the text. While Choi Jae-seo expresses the male character as a simple, moral farmer, the woman character is expressed as an intellectual, but, she is expressed as a wife falling into a totem faith because of the drought. It may be the result of being conscious of the contempt that the Japanese readers might have against Joseon‐people. In the “Planted Flower Trees”, he hides the fact that the evil landlord, who is the cause of hero’s departure, is a Japanese as he deliberately uses an inverted-black-type, but it can also be restored from other parts. Choi Jae‐seo sought a compromise between the repression of the empire and the writer’s mission. In Choi Jae‐seo’s translation version of “Drought-god”, the characters are mostly marked as a general noun, which causes to ge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ders and the characters. It would have been the distance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Joseon people that Choi Jae-seo felt. 이 글은 1936년 최재서가 일본어로 번역한 이태준의 「櫻は植えたが(원제: 꽃나무는 심어놓고)」와 박화성 「旱鬼(원제: 한귀)」를 원작과 비교해 그 표현의특징과 최재서의 의도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최재서는 「한귀」 번역본에서 여성인물의 어투를 도시적으로 바꾼 반면 남성인물에게는 사투리를 사용하게 하고, 글을 읽을 줄 아는 농민임을 숨겼다. 최재서는 남성인물을 순박하고 도덕적인농부로, 여성인물을 지적이지만 가뭄으로 인해 토속신앙에 빠지고 만 아내로 표현했다. 그것은 일본인 독자의 조선인에 대한 멸시감정을 의식한 결과일 것이다. 「꽃나무는 심어놓고」에서는 주인공이 실향하는 원인인 악덕지주가 일본인임을복자로 숨기지만 그것은 그 밖의 부분에서 복원이 가능하기도 하다. 최재서는제국의 탄압과 작가의 사명 사이에서 타협점을 모색했다. 최재서의 「한귀」 번역본에서 등장인물을 주로 일반명사로 서술되며 이는 독자와 등장인물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고 있다. 이 거리는 최재서가 느끼고 있는 일본인과 조선의 거리이기도 했을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비평과 주체의 수사학 - 임화ㆍ최재서ㆍ김기림의 비평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P>임화ㆍ최재서ㆍ김기림은 각자의 주제적인 관심에 따라 비평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문학적 주체의 근거를 탐색했던 1930년대의 대표적인 비평가들이다. 이들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자아(moi)가 아니라 비평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서 재/구성되는 주체(subject)를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에서 본격적으로 문제삼은 최초의 비평가들이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부분은 임화 최재서 김기림이 비평적 주제를 공유하고 논의를 펼쳤던 지점들에 대한 검토이다. 기교주의를 둘러싸고 임화와 김기림이 벌였던 논의, 김기림과 최재서에 의해서 논의된 풍자문학의 의미, 최재서의 리얼리즘 논의에 대한 임화의 대응 등이 그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세 사람의 비평에 등장하는 주체의 수사학 또는 구성 원리에 대한 검토이다. 최재서의 경우 전통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통일적인 주체를 꿈꾸었다. 과도기적 혼돈성으로 요약되는 현대의 위기를 통일적인 주체성의 확립을 통해서 버텨나가고자 한다. 반면에 김기림은 시대적인 변화를 움직이며 관찰하는 주관성을 지향한다. 그의 이러한 원칙은 비평을 시작한 1930년대부터 납북되기 이전까지 조금의 변화도 보이지 않는 원칙이었다. 임화의 경우 변증법의 정지상태를 넘어설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작품 또는 텍스트 속에서 집요하게 찾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주체는 변증법의 살아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었다. 2008년은 이들 세 사람의 비평가가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