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참깨 Fusarium 萎凋病에 關한 硏究

        朴鍾聲 忠南大學校 1965 論文集 Vol.4 No.-

        (1) Fusarium wilt of sesame attracted the author's attention for the first time in Suwon in 1957 and recently the disease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esame-growing areas of South Korea. At present Fusarium wilt of sesame is in urgent need of effective control practice because of losses to individual growers often amounts over 70 per cent of the crop in some localities. (2) Fusarium wilt of sesame occurs all the time from seedling stage to mature-plant stage during cultivation term of sesame. The disease bring about damping-off. of seedling stands and sudden wilting accompanying with more or less crinckle of leaves and browning of vascular elements of the adult plant. (3) From the wilted sesame pathogenic Fusarium is isolated in the highest percentage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other pathogenic fungi, Pseudomonas solanacearum, Phoma sesami, Sclerotinia sclerotiorum etc, and root lesion nematodes, Pratylenchus spp. It is presumed that Fusarium wilt of sesame probably interrelated closely with root lesion nematodes from the fact most of Fusarium wilted sesame are residence of especially nematodes among soil microorganisms. (4) The morphological status of mycelium, conidiophore, microconidium, macroconidium and chlamydospore formed by the sesame-wilt fungus resembles those of the cotton-wilt fungus, Fusarium vasinfectum. Among the isolates of sesame-wilt fungus, there are three morphological groups classified by numbers of septum and relative sporulation of macroconidium formed on the culture medium. All of isolates of the sesame-wilt fungus used in this study do not from sclerotium and so the fungus differs from the cotton wilt fungus, Fusarium vasinfectum forming easily sclerotium. (5) Throughout this study it has been definitely shown that considerable variation exists in cultural characters of the isolates of sesame-wilt fungus. In culture, the isolates differ in pigmentation, zonation of colony, type of growth, growth rate and autolysis as selected cultural characters and so 40 isolates of the fungus used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12 cultural rac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cultural characters. The differences of cultural characters are not only expressed among isolates but also among different media. Among the cultural characters of the fungus, autolysis only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pathogenicity of the fungus, that is, all of isolates autolysis occurs on the culture media are weak in pathogenicity to sesame and cotton. (6) The sesame-wilt fungus also are classified into various strain through aversion tests, but the strains classified through aversion tests do not always coincide with thos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racters. (7) The range of temperature for growth of the sesame-wilt fungus is minimum 10~15℃ and maximum 3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growth of the sesame-wilt fungus is 25~30℃(28℃). Among the isolates of the sesame-wilt fungus, there are strains favouring low temperature, such as grow in 10℃, and strains favouring high temperature, which do not grow in 10℃ but do grow in 15℃. (8) The extinct temperature of the sesame-wilt fungus differs according to its isolates, but it covers maximum 60℃(5 minutes) and minimum 55℃(5 minutes). (9) The acidity(pH) for growth of the sesame-wilt fungus is minimum 2.5 and maximum 10.2 over, and it grows well both in acid and in alkali. In the growth curve of the fungus to acidity, there are two peaks which one appears in acid side and the other in alkali side. The alkali peak(pH 7.4~8.4) is more or less higher than the acid peak(pH 4.3~5.4) so the optimum pH for growth of the fungus is pH 7.4-8.4. Such an acidity-relation to growth of the sesame-wilt fungus differs from that of the cotton-wilt fungus, Fusarium vasinfectum. (10) The sesame-wilt fungus can grow utilizing various carbon sources. Particularly glucose, mannite, sucrose, maltose etc. In some isolates of the fungus, they are favouring pectin as a carbon source though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among its isolates. Though cellulose is utilized as a carbon source of the fungus, it is not admitted as an appropriate one because it results in very unsatisfactory growth of mycelium and sporulation of the fungus as compared with other carbon sources. (11) The sesame-wilt fungus can grow utilizing various nitrogen sources, particularly NO₃-N and Urea-N. When the sesame-wilt fungus is supplied with NH₄-N as a nitrogen source, its growth is worst and it incure abnormal growth such as forming staling-type growth of colony and bead-like mycelial cells. Thus it is presumed that percentage of wilted sesame probably decrease under the soil condition disturbing nitrification of NH₄-N. (12) The sesame-wilt fungus shows more or less pathogenicity to sesame and cotton, while does not show to flax, tomato, egg-plant, cucumber, soybean and hemp etc. Among the isolates of the sesame-wilt fungus, there are 10 strains strongly or moderately pathogenic to sesame while there is only one strain(isolate 321) moderately pathogenic to cotton and the rest of isolates used in this study were weakly pathogenic or were not considered to be practically pathogenic to sesame and cotton. Such a fact indicates that pathogenic races to sesame are differentiated from pathogenic race to cotton. Differences of pathogenicity of the fungus not only expressed among its isolates but also among varieties of the host. Isolates of the fungus us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6 races according to pathogenicity to sesame and cotton. (13) As stated above, the sesame-wilt fungus does not form sclerotium, its optimum pH for growth lies in alkali(7.4~8.4) and shows weak pathogenicity to cotton, thus differing from the cotton-wilt fungus, though most of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coincide with those of the cotton-wilt fungus, Fusarium vasinfectum (F. oxysporum f. vasinfectum). From such differences to the cotton-wilt fungus, the sesame-wilt fungus belongs to different race distinguishable from pathogenic race to cotton among the species of Fusarium vasinfectum or the form of 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 (14) The sesame-wilt fungus is very weak than the other wilt-inciting Fusaria in the resistance to malachite green. The fungus can not grow in the medium added 10ppm solution of malachite green. This characteristic is helpful to discern the sesame-wilt fungus from the other Fusaria with its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15) The sesame-wilt fungus remain viable in the soil and crop refuse for about 3 years under appropriate environment, and soil-borne chlamy dospores and often mycelium of the fungus serve as inoculum of next year. It is presumed that the fungus is carried with the seed and serve as inoculum of next year because it is isol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eed though it is an unusual thing. (16) The sesame-wilt fungus is a weak pathogen. The fungus do however, penetrate and colonize the healthy plants, whether they are wounded or not. After the fungus penetrated from the epidermal cell directry or through the intercellular space, the fungus extends mycelial growth as far as vascular elements. (17) When the sesame-wilt fungus grows in synthethic media, soil and the host plant, it produces a wilt-toxin causing retardation of the plant growth and wilting, and other toxic substances causing browning of the stem and collapse of tissues. These toxic substances are produced within 6 days after culture of the fungus. A toxic substance, wilt toxin causing retardation of the plant growth and sudden wilting coincides with Fusaric acid in its biological activity which disturb germination of seeds, growth of root and shoot, semipermeabilty and protoplasmic stream of the cell protoplasm. And it is presumed that a toxic substance causing browning of stem is vasinfuscarin and a toxic substance causing collapse of tissue is a pectolytic enzyme as depolymerase. Production of toxic substances of the sesame-wilt fungus is not only differences among the isolates of the fungus but also among culture media. (18) Production of a wilt-toxin, Fusaric acid of the sesame-wilt fungus is disturbed by adding Ca-ion in culture media of the fungus, and the activity of Fusaric acid is lost through putting Fe-ion in it. It is assumed that much Ca-ion and Fe-ion in sesame itself make the rate of disease occurence decrease. In particular the wilt of sesame is conspicuously relieved(Table 26) in the field applied lime. It is considered that such a result is founded on actions of Ca-ion giving influences production of toxic substances of the fungus and mechanical resitance of cell membranes of the host plant. Thus the application of lime is very helpful for not only physical and chemical improvement of soil, but also controlling of the Fusarium wilt of sesame (19) It is considered that a main agent of mechanism of wilting does not lie in themycelial growth in vesseles or formation of tylosis causing plugging of vesseles, but in losing the ability of water absorption and rehabilitating power of root system, and promoting of transpiration in leaves causing unbalanced water relation between root system and shoo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Fusaric acid. In unbalanced water relation between root system and shoot system, a wilt-toxin, Fusaric acid effects more depriving of the ability of water absorbing and rehabilitating power of root system than promoting of transpiration of leaves. In addition to such an important role of Fusaric acid in the mechanism of wilting, it is presumed that Fusaric acid probably is an important causal agent of sick-soil disease of crops in the case it i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soil. (20) 8-hydroxyquinolin sulfate, Pentachlorophenol(PCP), Mercuric chloride, Phenylmercuric acetate etc. Have greater fungicidal action, but Copper-compounds, Sulfur-compounds and Calcium chloride are very weak or not appreciated in their fungicidal action to the sesame-wilt fungus. Particularly 8-hydroxyquinolin sulfate and PCP are very conspicuous in their fungicidal action to the sesame-wilt fungus as compared with other fungicides, and the fungus can not grow on the medium containing 8-hydroxyquinolin sulfate and PCP in low level auch as 10 ppm. PCP has an unfavourable condition that it gives serious chemical injury to sesame plant and so soil has to be treated with it before seeding of sesame, but 8-hydroxyquinolin sulfate giving no chemical injury to sesame, can be applied in the sesame field at any time before or after the cultivation of sesame plant, and in addition to effective fungicidal action it has also an action to reinforce the drought resistance of sesame resulting in delaying the permanent wilting of sesame plant. So 8-hydroxyquinolin sulfate i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fungicide to be applied for the controlling of the Fusarium wilt of sesame.

      • 참깨 수확·정선·석발·조재 복합수확기의 개발

        김상완 ( Sang-wan Kim ),박성훈 ( Sung-hun Park ),강무준 ( Mu-ju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참깨는 전국적으로 169,804 농가에서 22,930ha 재배된다(KOSIS, 2021). 참깨 수확시기는 8월초로 비가 자주 오고, 습한 기후조건이다. 따라서 참깨대가 덜 마른상태에서도 탈곡과 정선이 가능한 수확기가 필요한데, 참깨 기계화율은 51% 수준인데 수확단계가 4.3% 수준으로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2019 농업기계이용실태조사, 2020). 개발 예정인 참깨 2조식 복합수확기는 전동식 15마력급으로 수확(참깨대 예취후 이송)/탈곡(참깨대에서 탈립)/정선(참깨알 분리)/석발(참깨알에서 돌 분리)/조제(포대) 기능을 부여한 본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서, 참깨 기계화 진척의 부진은 농가고령화와 더불어 재배에 있어서 주요 20 작업단계 중 수확단계(수확/건조/탈곡/선별 및 포장/운반 및 저장)가 노동시간의 44.3%를 차지한다. 각 세부 단계별로 소규모 재배면적으로 농기계 구입이 어려운데, 더불어 악성 농작업자세가 반복된다. 따라서 수확기 본체에 통합이 가능한 수확·정선·석발·조제 복합기능을 부여하여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악성 농작업에 대응이 필요하다. 개발은 대규모 농가(공동사용 포함)를 목표로 선행연구(잡곡탈곡부(1020190118716), 잡곡탈곡기(1020190032346), 이물질분리장치(1020150018163), 탈곡송풍장치(1020140064107) 등)를 적용하고, 복합수확기 시스템, 참깨 전용 탈곡장치, 공기이송장치 등 신규 요소기술을 개발로 진행될 예정이다. 수확단계에서 수확·탈곡·정선·조제 등 반복적으로 노동력이 투여되는 단계를 한 대의 수확기에 기구적으로 통합하고, 복합기능을 부여하는 연구개발 및 제품화를 통한 기계화 추진이 절실하다. 또한, 들깨, 수수, 기장 등 타 소립자 곡물에 대한 적용범위 확산도 필요하다.

      • 참깨 생산 기계화 작업체계 연구

        전현종 ( Hyeon-jong Jun ),강연구 ( Youn-koo Kang ),최일수 ( Il-su Choi ),유승화 ( Seung-hwa Yu ),우제근 ( Jea-keun Woo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참깨는 기계화가 미흡한 작목 중의 하나이다. 재배방식도 파종방식과 육묘로 정식하는 방식이 있다. 참깨 대부분은 인력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경운정지, 방제작업을 제외한 파종, 정식 수확 작업은 대부분 인 력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참깨는 두둑에 비닐피복하여 재배하기 때문에 기계화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참깨 생산 작업 중 파종, 정식, 수확 작업의 기계화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깨 생산의 노력 및 비용 절감을 위하여 파종, 정식, 수확 작업의 기계화를 위해 기존에 개발된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등을 영농현장에 투입하여 최적의 작업체계를 구명한 후 참깨 생산 전과정 기계화 작업체계를 설정하여 참깨 생산에 투입되는 전체 노력과 비용을 관행 작업과 비교분석 하였다. 참깨 생산 기계화 작업체계는 파종작업을 통한 전과정 기계화 작업체계와 정식작업을 통한 전과정 기계화 작업체계로 구분하여 작업공정별로 투입된 기계 및 인력에 따른 노력과 비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참깨 생산 전과정 기계화 작업체계와 관행 작업체계에 투입된 기계 비용을 농기계임대사업 임대료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10a당 참깨 파종작업체계에서는 관행 대비 기계화 작업체계가 노력 65.8%, 비용 54.4%를 각각 절감하였고, 정식작업체계에서는 관행 대비 기계화 작업체계가 노력 55.1%, 비용 39.7%를 각각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파종작업체계 전과정 기계화가 정식작업체계 전과정 기계화 보다 노력 및 비용 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참깨 왕담배나방 피해정도 및 요방제수준

        김현주,배순도,윤영남,Bishwo P Mainali,오인석,박정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왕담배나방 유충은 참깨의 꼬투리를 직접 갉아 먹거나 줄기를 부러뜨려 신초생장을 억제함으로써 수량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종실의 품질도 떨어뜨린다. 2013년에 밀양, 의령, 안동의 노지 및 시설참깨 포장에서 왕담배나방에 의한 참깨의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밀양, 의령, 안동에서 참깨 꼬투리의 피해율은 각각 노지재배에서 6.2, 11.7, 7.2%였고, 시설재배에서 14.2, 11.9, 4.6%였다. 노지참깨 포장에서 왕담배나방에 대한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참깨 줄기의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와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에 왕담배나방 3령 유충을 주당 0, 1, 2, 3, 4마리씩 20일간 접종하여 왕담배나방에 의한 수량 감소율과 수량감소율 관련 관계식을 산출하였고, 이 산출식을 이용하여 5%의 수량감소율을 기준으로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였다. 줄기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에 왕담배나방의 유충밀도가 주당 1, 2, 3, 4마리일 때 수량감소율은 각각 13.5, 23.0, 33.8, 40.2%였다. 그리고 줄기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에는 각각 4.1, 10.7, 19.5, 29.5%였다. 참깨 생육단계와 왕담배나방의 유충밀도에 따른 수량 감소율과의 관계식은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가 Y = 10.07x+1.96, R2 = 0.9867,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가 Y = 7.44X-2.12, R2 = 0.975 이었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참깨포장에서 왕담배나방 유충의 요방제 밀도 (5% 수량감소율 기준)를 산출한 결과,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에는 10주당 3마리,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맺히는 시기는 10주당 10마리였다.

      • 참깨 기계 정식을 위한 플러그 트레이 파종 및 육묘의 기계 적합성 구명

        전현종 ( Hyeon-jong Jun ),유승화 ( Seung-hwa Yu ),최일수 ( Il-su Choi ),김진구 ( Jin-gu Kim ),이상희 ( Sang-hee Lee ),강태경 ( Tae-gyoung Kang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참깨는 대부분 인력식 기계파종이나 손으로 파종하고 있고 일부 농가에서 트레이에 파종하여 묘를 길러 인력으로 정식하고 있다. 참깨는 소립종자로 파종시 한 곳에 많은 양이 파종되어 발아 후 1주만 남기고 나머지 참깨를 솎아내야 한다. 이러한 솎음작업은 많은 노력이 소요되어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참깨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참깨를 육묘하여 인력으로 정식하는 농법이 늘어나고 있으나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계화 정식기술의 보급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깨 생산의 노력절감을 위하여 플러그 트레이에 효과적으로 소립종자를 정밀하게 파종할 수 있는 방법과 기존의 채소정식기를 이용한 정식기의 작업성능 및 기계정식을 위한 플러그 트레이 육묘의 적정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정식기(TAP1)용의 128구 육묘 트레이에 간이용 128구 인력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 시험을 하였다. 들깨종자는 타원형으로 파종기의 파종성능을 높이고자 직경 5 mm 이하로 코팅한 종자를 사용하였다. 참깨용 간이 파종기는 직경 5mm의 구멍이 128개 이고 손으로 흔들어 종자를 구멍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 후 트레이에 파종하여 파종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장에서 기계 정식시험을 위하여 육묘의 기계 적합성을 구명하였다. 참깨 육묘의 기계적합성 시험을 위해 자동 정식기(TAP1)과 반자동 정식기(KTP-30)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인력식 간이파종기의 파종성능은 1립 파종률이 99.4%, 2립파종 0.004%, 미파종 0.002%로 양호하였다. 정식기의 포장성능은 육묘의 초장이 0.2 m 이상일 경우 정식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은 초장 0.2 m 이상일 경우 식부 호퍼가 정식한 육묘를 다시 끌어올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트레이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 상태 및 초장과의 관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식기(TAP1)은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 상태 및 초장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식기(KTP-30)은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이 손으로 뽑아서 부서지지 않을 정도에서도 정식작업이 가능하여 육묘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참깨 풀색노린재 요방제 수준설정 및 약제방제 효과

        김현주,배순도,윤영남,이영훈,박인희,강항원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참깨에 발생하는 노린재류는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등이다. 이들 노린재들은 참깨가 개화하는 시기부터 발생하여 수확시기까지 잎, 줄기 및 꼬투리의 영양분을 흡즙하여 식물체를 고사시키거나 참깨 종실을 쭉정이로 만드는 등의 피해를 준다. 2013부터 2014년까지 2년 동안 밀양지역 2개 포장에서 조사한 시기별 노린재 발생량은 개화기인 7월 21일이 주당 0.2~3마리,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인 8월 5일이 0.9~1.2마리, 등숙기인 8월 20일이 1.2~1.8마리였다. 이들 노린재에 의한 참깨 피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요방제 시험을 수행하였다. 참깨의 생육단계별로 풀색노린재 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은 참깨 주경의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에는(개화중기) y = 11.754x – 0.1834,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개화말기)는 y = 7.6887x – 3.6407이었다. 이 관계식을 기준으로 설정한 풀색노린재의 요방제 밀도(10% 수량감소율 기준)는 참깨 주경의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는 10주당 9마리,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는 10주당 18마리였다. 참깨에 피해를 주는 노린재를 방제하기 위해 델타메트린 유제 및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를 처리한 결과, 처리후 3일차 평균 방제가는 델타메트린 유제가 97.6%,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는 95.7%였고, 7일차는 델타메트린 유제가 98.6%,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는 97.7%로 방제효과가 좋았다.

      • KCI등재

        참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amylase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오영진주,김명현,한영실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2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5 No.3

        In this study, a sesame meal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The sesame seed meal, pressed from roasted Sesame seed, contains various polyphenols. The defatted sesame meal was extracted using 70% ethanol,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diabetic effects were evaluated. Proximate composition of sesame meal was showed that moisture 6.51%, carbohydrate 16.22%, crud protein 46.30%, ash 9.88%, crude fat 21.09%. Mineral contents were K 1128.08 mg/100 g, Ca 1356.27 mg/100 g, Fe 12.29 mg/ 100 g, P 2022.14 mg/100 g, Cu 2.08 mg/100 g, Mg 643.40 mg/ 100 g, Na 7.29 mg/100 g. The results showed the sesame meal of 70% ethanol extract had higher polyphenol content (184.98 mg GAE/g) and flavonoid content (27.63 mg QE/g). The 2,2-diphenyl- 1-picrylhydra-zyl and 2,2′-aziono-bis(3-ethylbenzthiazoline-6- 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efatted sesame meal (IC50) were 891.84 and 340.09 μg/mL.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defatted sesame meal extracted using 70% ethanol ha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ability to diabetesrelated enzymes, indicating that it has good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or nutritional fo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xidation. 기름을 착유하고 얻어지는 부산물인 참깨박의 활용과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일반성분(수분,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무기질을 측정하였고 탈지 처리한 후 70% 에탄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당뇨 활성을 분석하였다. 참깨박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6.51%, 탄수화물 16.22%, 조단백질 46.30%, 조회분 9.88%, 조지방 21.09%로 이었고, 무기질은 K 1128.08 mg/100 g, Ca 1356.27 mg/100 g, Fe 12.29 mg/100 g, P 2022.14 mg/100 g, Cu 2.08 mg/100 g, Mg 643.40 mg/100 g, Na 7.29 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다. 탈지 참깨박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84.98 mg GAE/g, 27.63 mg QE/g였으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IC50을 측정한 결과각각 91.84, 340.09 μg/mL, 환원력은 0.87 OD으로 측정되었다. 탈지 참깨박의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IC50의측정 결과는 각각 74.31, 16.73 mg/mL을 나타내었다. 따라서70% 에탄올로 추출한 탈지 참깨박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 기능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참깨를 착유하고 남은 참깨박을 사용하게 되므로 환경보호와 자원순환 측면에 활용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Global Food Value Chain cooperation in Asia: focused on the sesame industry

        Ji, Seongtae(지성태)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 주요 국가의 참깨 가치사슬 모델을 분석하고, 3개의 시나리오에 따라 국가별로 참깨 수출입을 통해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추산하여 비교하며, 이를 바탕으로 아세안 지역에 건전한 참깨 산업가치사슬을 형성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최근 세계 참깨 생산 및 수출입의 구조가 뚜렷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아시아 주요 국가의 참깨 가치사슬 모델을 수입-수출(중국), 수입-가공-수출(일본, 싱가폴), 생산-수출(미얀마), 수입-소비-수출(한국, 베트남)으로 구분하였다. 저렴한 수입 참깨 혹은 참기름을 재수출하는 중개무역, 수입한 참깨를 참기름으로 가공하여 수출하는 가공무역을 가정하여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국가별로 창출되는 부가가치에 차이가 있다. 이는 국가별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한 참깨 가치사슬 모델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chain types of sesame seeds in major Asian countries, to estimate and compare each country’s added value generated by sesame seeds import and export according to the three scenarios, and to explore ways for cooperation to form a good sesame seeds industrial value chain in ASEAN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same seeds’ value chain types of major Asian countries were divided into Import-Export (China), Import-Processing-Export (Japan, Singapore), Production-Export (Myanmar), Import-Consumption-Export (Korea, Vietnam) amid a recent marked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world sesame seeds production and import and expor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cenario assuming intermediary trade that re-exports affordable imported sesame seeds or sesame oil and processing trade that processes imported sesame seeds into sesame oil,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dded value generated by each country. It is because the sesame seeds’ value chain types are different to maximize the creation of added value by country.

      • 참깨 재배 기계화를 위한 파종기 및 채소정식기의 포장작업성능

        전현종 ( Hyeon-jong Jun ),김진구 ( Jin-gu Kim ),이상희 ( Sang-hee Lee ),최일수 ( Il-su Choi ),유승화 ( Seung-hwa Yu ),강태경 ( Tae-gyoung Kang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참깨는 대부분 인력식 기계파종기나 손으로 파종하고 있고 일부 농가에서 트레이에 파종하여 묘를 길러 인력으로 정식하고 있다. 참깨는 대부분 비닐피복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기계파종에 어려움이 있고 소립종자여서 한 번에 많은 양이 파종되어 솎아내야 한다. 이러한 솎음작업은 많은 노력이 소요되어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참깨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참깨를 육묘하여 인력으로 정식하는 농법이 늘어나고 있으나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계화 정식기술의 보급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깨 생산의 노력절감을 위하여 파종기를 이용한 직파 파종과 정식기를 이용한 정식작업의 노력절감 및 작물생육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각각의 작업체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참깨의 기계파종은 종자의 발아시험 결과를 기초로 1조식 인력파종기로 한번에 3립 파종을 기준으로 하였다. 기계 정식은 참깨의 특성을 고려하여 128공 플러그 육묘트레이에 2립씩 파종하였다. 시험지역 2개소에 파종과 정식을 하여 생육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파종은 파종기의 파종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종자를 직경 4~5mm로 코팅하여 파종하였다. 기계파종은 비닐을 절개하며 파종할 수 있는 구조의 파종기 1종류와 정식기는 자동정식기와 반자동 정식기 등 2종류를 이용하여 농가포장에서 성능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잠깨 종자의 발아율은 95~100%이었고 기계파종 작업능률은 0.6시간/10a이었다. 기계파종의 경우 파종 후 발아율은 92~95% 정도 이었으나 해충피해 및 생육불량으로 보식률이 10~17%이었고 평균 재식 주수는 공당 1.6주 이었다. 기계정식 작업능률은 1.5~2.0시간/10a이었고 결주율은 6.9~26.1%이었다. 또한 정식후 결주, 생육불량, 해충피해 등으로 인한 전체 보식률은 11.9~43.7%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트레이 육묘의 생육상태가 불량할 경우 기계정식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정식시 작업조건, 작업상태, 해충피해 등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참깨 탈곡기 선별장치의 선별특성에 관한 연구

        방연규 ( Yeoun Gyu Pang ),김상헌 ( Sang Hun Kim ),김재원 ( Jae Won Kim ),전현종 ( Hyeon-jong J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최근 참깨 또는 들깨에 대한 국내수요가 증대되어 이들의 전용 탈곡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참깨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기계적 그리고 공기역학적 선별특성을 연구하고 참깨 전용탈곡기의 선별부 제작에 필요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계적 선별을 위한 요동체는 길이 70cm, 폭 18cm의 시브를 장착하였고 시브상에는 곡물 선별을 위한 루버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였다. 요동체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구조이고 진폭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시브상에서 참깨의 평균곡물이송속도를 6.0cm/s 가 되도록 하였다. 시브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따른 곡물의 잔류율을 측정하기 위해 시브하단에 10개의 섹션을 갖춘 곡물수집기를 설치하였다. 공기역학적 선별특성을 분석하기위해 0.4HP의 블로어를 사용하였고 홈이있는 파이프를 시브와 곡물수집기 사이에 설치하여 시브하부에 균일한 풍속을 유지하였다. 시브위치에 따른 곡립의 잔류율은 풍속이 강할수록 높아졌고 따라서 곡립손실률도 높아졌으나 이와는 반대로 공급율이 높아질수록 곡립의 잔류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곡물과 짚풀의 비율은 시브의 중간위치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풍속이 강할수록, 그리고 공급율이 낮을 수록 높아져서 양호한 선별효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콤바인을 이용한 밀탈곡에서 제시된 선별모델 공식을 이용하여 참깨의 시브상 곡물잔류율을 요동체의 기계적특성, 공급율, 풍속등을 고려한 지수함수로 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