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재학 시 진로교육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규효(Kyoo Hyoo Kim),이은경(Eunkyoung Lea)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9 동서정신과학 Vol.22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재학 시의 진로교육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고등학교 때 받은 진로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할수록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하여 학업적, 사회적 측면의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5,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초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재학 시 진로교육경험은 진로성숙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성숙도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재학시 진로교육경험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의 진로교육경험이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대학교 입학후 대학생활적응을 돕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college high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areer education received in high school, the more useful it was to examine whether it would be helpful to adapt to academic and social aspects of college life through career maturity. For this purpose, basic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using the 5th and 7th year data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firs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career maturit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high school promotes career maturity and adapts to college life after entering university.

      • KCI등재

        진로적응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혜정(Hyejeong Ka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적응모형을 우리나라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국내에서 이 모형이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avickas 외(2018)의 연구와 동일한 변인인 진로자기의심, 진로적응성척도, 진로구성척도, 진로일체감으로 구성된 설문지에 대한 총 369명(대학생 220명, 대학원생 14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적응준비가 적응자원을 통해 적응반응에 영향을 미쳐 적응결과가 나타난다고 설명하는 진로적응모형과 진로적응모형에서 적응자원과 적응반응의 관계를 반대로 설정한 경쟁모형을 검증하고 비교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로적응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좋았으며, 모든 경로에 대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적응모형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쟁모형에서 적응준비가 적응반응을 거쳐 적응자원에 영향을 주어 적응결과에 이르게 되는 과정 및 적응준비와 적응자원의 관계를 적응반응이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ion for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data from a total of 369 respondents(220 university students, 149 graduate students) to the survey consisting of the same variables as Savickas et al(2018) that were self-doubt, career adapt-abilities scale(CAAS),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SSCI) and career commitment were analyzed.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ion explained that adaptive readiness affects adapting responses through adaptability resources and leads to adaptation results and competition mode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bility resources and adapting responses was reversed in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ion were verified and compar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As a result, both the fit of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ion and the competition model were good, and the indirect effects on all pathways were significant. Through thes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ion in Korea was confirmed. Also in the competition model, it was confirmed that adaptive readiness affects adaptability resources through adapting responses and leads to adaptation results, and adapting response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adaptive readiness and adaptability resourc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의 관계에 대한 대학생활 적응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조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and moderation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tion on these relations. For this study, 701 junior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areer barrier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ly, by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effects of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adapt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the lack of self clarity, the recognition lack of necessity and external barrier had significantly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ly, college life adaption moderated as well 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nd counseling progra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이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 및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생 701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대학생활 적응, 진로 적응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장벽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 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의 정도와 각 하위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부족, 필요성 인식 부족과 외적 장애가 진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적응이 부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모두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할 때, 대학생활 적응이 진로장벽이나 진로적응과의 관계에서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및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박신영,이동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CPB)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SAC) in multiple domains.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rvey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four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SAC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including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CDL and CPB,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DL and four SAC domains. Correlations between CPB and SAC domains, except for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ere also positi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P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SACQ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academic adjustment was significant only if CDL was very high or low (not moderat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college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when CDL wa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DL, but not CPB,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on social adjustment. Finally, CDL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and CPB had a unique negative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consistent positive effects of CDL on SAC domains, the nature of effects of CPB can vary across different CDLs and SAC domai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다양한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4 영역)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개념화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모든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도 개인·정서적응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는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학업적응이 뚜렷하게 높아지는 반면, 진로결정수준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대학환경적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진로결정수준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대학환경적응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동시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진로결정수준만이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정서적응에 진로준비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와는 달리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그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개인의 진로결정수준과 구체적인 적응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진로적응성 연구의 문헌고찰: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유지연(Jee-Youn You),신효정(Hyo-Jung Shi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진로구성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적응준비-적응자원-적응반응-적응결과로 연결되는 순차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0월까지 진로적응성을 검색어로 하는 논문 중 76편의 문헌을 검토하고, 그 중 CAAS로 진로적응성을 측정한 36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적응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3편의 연구에서 진로적응모형의 순차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진로적응과 관련된 변인들을 진로적응모형의 이론적 틀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하여 진로구성주의 이론에서 제시한 진로적응모형의 이론적 틀이 국내에서도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적응성의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with a focus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based on the career construct theory,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adaptivity readiness-adaptability resources-adapting responses-adaptation results was identified. 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the seventy-six papers in terms of the career adaptation were reviewed by October 2018. And the thirty-six papers out of them with regards to the career adaptability measured with CAA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equential relationship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was identified in three studies which deal with CAAS as a mediator.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adapt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The result provides tha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is applicable in Korea as well. Based on this study,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reer adaptability are discussed.

      • KCI등재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낙관성과 우울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주원(Han, Ju Won)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비서 관련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낙관성 및 우울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비서 관련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269명의 자료를 표집하였고 이를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낙관성이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정의관계를 보이는 반면 대학생의 우울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성은 진로적응성의 하위차원인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울은 진로적응성의 모든 하위차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낙관성이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우울이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낙관성 및 우울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성향적 변인인 낙관성 및 우울의 수준이 주어진 상황에 대안적 설명을 할 수 있는 인지적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진로적응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메커니즘과 인지적 영역을 기초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검증하여 취업 및 진로지도에서 학생들의 진로적응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진로교육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서 관련 전공 대학생의 진로교육 운영에 있어서 진로적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진로적응과정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내적변인을 기초자료로 한 다양한 기제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optimism and depression on career adaptability, an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i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confirm this, 269 students were surveyed by the questionnaires of the secretarial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optim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adaptability, whereas college students" depress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adaptability. Second, positive effects of optimism on cognitive flexibility and adverse effects of depression on cognitive flexibility were confirm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process of optimism and depression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implies that the level of optimism and depression, which is the propensity of the individual, affects the cognitive flexibility of explaining alternatives to given situations, and 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that can cope positively with the changing job environmen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o develop various mechanisms based on the internal variables required by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the secretarial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김지근,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Savickas(1997, 2005) proposed the career adaptation model which explains that motivation and resources to adapt in a changing environment will lead to adaptive behaviors in career construc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valuate the theoretical model of career adaptation process, which denote a sequence raging acros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s adaptive readiness, career adaptability as resources to adap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s adapting response, including the interaction role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f 274 university students are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as found. Seco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moderated the mediated relation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hi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may need to have low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in order to have high career adaptability which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Savickas(1997, 2005)는 진로구성이론에서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자 하는 동기와 더불어 적응에 필요한 자원의 활용이 수반될 때 적응적인 행동이 나타난다는 진로적응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개인의 동기 수준인 진로결정자율성, 적응에 필요한 자원 수준인 진로적응성, 환경에 대처하는 행동 수준인 진로관여행동 변인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 변인의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진로적응모형의 이해와 해석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74명(남 109명, 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이 모두 검증되었다. 특히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성, 진로관여행동으로 이어지는 진로적응모형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이 낮은 집단에서만 타당하게 나타남으로써, 진로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에 있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의 및 진로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매개효과

        조은정,이혜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4

        This article is aimed to prove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erception toward colleg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prove it, 7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1-year colleges in Gyeonggi-do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gree of negative perception toward college was negatively relate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college life adjustment had totally mediated career adaptability during negative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and review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이 스스로 지각하는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경기지역에 있는 전문대학교 3개 학교의 1학년 재학생이며, 총 74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 대학생활적응 요인,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대학생활적응 요인, 진로적응성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학생활적응 요인과 진로적응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요인 모두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즉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더라도 대학생활적응 요인인 학업능력, 학업흥미, 교육학문, 교육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면 진로적응성 정도는 높아진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전문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진로관여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이 진로적응과정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Savickas (2005)가 제안한 진로적응모형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적응준비 수준으로 정서지능, 적응자원 수준으로 진로적응성, 적응반응 수준으로 진로관여행동을 선정하여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부산, 경남 지역 소재 대학의 대학생 342명(남 132명, 여 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이 진로관여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진로적응모형으로 구체화한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relates to Occupational Engagement based on career adapt process by Savickas(2005). Accordingly, It selected Emotional Intelligence as adaptivity readiness, Career Adaptability as Adaptability Resource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s Adapting Response, and was verifi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data from the online survey of 342(132 men, 210 women) university student was used for analysis, SPSS PROCESS macro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outcomes were as follows. The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as found. Thes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necessity of intervention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김수영,배성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결정의 관계에 있어서 가지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C지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1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적응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적응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상관을,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모든 하위요인 간에는 부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고 진로적응성도 높은 학생들이 진로미결정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남생의 경우에만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의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고 진로적응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진로미결정이 낮게 나타남을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을 높이기 위해 진로적응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과 프로그램의 내용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들을 구체적으로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