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의순명(以義順命)``의 길: 다산 정약용의 종두법(種痘法) 연구

        김호 ( Kim H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마마``는 조선후기 가장 위협적인 역병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 줄곧 마마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어졌지만, 자연의 위협 앞에 인간의 대응은 무력해보였다. 다산의 종두법 연구는 그 자체로 ``옳은 일을 다하여 천명을 기다린다.``는 태도였다. 30대부터 마마 치료에 관심을 기울였던 다산은 18년의 유배와 해배라는 인생의 부침 속에서도 끊임없이 마마 치료법을 탐구했다. 그리고 인두법을 거쳐 최종적으로 우두법에 도달했다. 사실상 태독을 배출하는 일이야말로 마마 예방과 치료의 근본적인 방법이었다. 다산은 이미 1797년 곡산사또 시절 『마과회통』을 저술했다. 이후에도 중국의 종두법 의서를 구입했다. 1799년 정망이의 『종두방』을 구입했고, 박제가를 만나 규장각에 소장된 『의종금감』을 알게 되었다. 다산은 두 가지를 하나로 편집하여 <종두요지>를 완성했다. 1800년 6월 정조가 세상을 뜨고 다산은 유배형에 처해졌다. 종두법 연구는 중단되는 듯 보였지만, 유배 중에도 다산은 여전히 종두법에 관심을 기울였다. 인두법보다 안전한 우두법 소식을 알게된 다산은 1826년 북경 유리창에서 간행된 제너의 우두법 책자를 손에 넣을 수있었다. 서학을 금하는 현실 앞에서도 다산의 연구는 멈추지 않았고, 마침내 우리가 알고 있는 『마과회통』 말미에 우두법이 수록될 수 있었다. Mama[the collective term of measles and smallpox in Joseon Korea] was the one of the most threatening plag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ough attempts to overcome the disease had been exerted throughout Joseon Dynasty, those seemed to be helpless before the threat of nature. Dasan, who paid attention to remedies of mama from the thirties, kept his research for the treatment despite 18 years of banishment. His effort itself was "Man proposes, God disposes". Dasan wrote Comprehensive Treatise on Smallpox(麻科會通) while serving as a magistrate of Goksan in 1797. Even after, he constantly sought for Chinese medical books about vaccination. He bought Jongdubang(種痘方) by Ching Wangyi, and heard the presence of The Golden Mirror of Medicine(醫宗金鑑), which Gyujanggak library possessed, interacting with his friend, Park-Jega. Dasan completed Jongduyoji(種痘要旨), combining these two books in one. After death of King Jeongjo in 1800, he was exiled to Gangjin. The research for vaccination seemed to be discontinued, he still concentrated on it. Finding the existence of vaccination, safer than inoculation, he could obtain Edward Jenner``s booklet about vaccination published in Beijing. Against political oppression, he never stopped his study, and finally included the contents of vaccination in Comprehensive Treatise on Smallpox.

      • KCI등재

        의학지식의 수용과 변용 ― 종두법(種痘法)의 전래와 한문 우두서(牛痘書)를 중심으로 ―

        조정은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49

        인류의 역사는 질병과의 투쟁사이다. 그 중에서도 천연두(天然痘, smallpox)는 인류역사에 가장 큰 족적을 남긴 무서운 전염병이었다. 쉽게 전염될 뿐만 아니라 걸리면 10명 중 3명이 죽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요행이 낫더라도 얼굴에 흉한 곰보자국을 남긴다. 물론 지금의 인류에게 천연두의 공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바이러스의 절멸을 선언하면서 천연두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인류가 천연두를 정복할 수 있게 된 것은 백신 개발을 통한 예방법이 성공한 덕분이다. 천연두 백신의 시초는 중국에서 시행된 인두법(人痘法)이다. 인두법이란 천연두 환자에게서 균을 채취하여 약하게 천연두를 앓아 면역을 만들게 하는 방법이다. 중국에서는 주로 관을 통해 코에 두가(痘痂)를 넣었다. 약 17세기부터 중국의 인두법은 러시아, 중앙아시아, 터키, 일본, 조선 등으로 전파된다. 다만 유럽에서 유행한 인두법은 중국식이 아닌 터키식 인두법으로, 팔을 째고 그 상처에 두묘를 넣는 방식이었다. 이 시기 종두법으로 대표되는 의학지식의 전파는 주로 바다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특히 해양교통의 발전은 인두법보다 우두법(牛痘法)의 확산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우두법의 관건은 신선한 백신의 공수에 있다. 교통이 발전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인두법에 만족했을지라도 이후 신선한 우두백신의 운반이 가능해지자 종두접종의 대세는 점차 우두법으로 바뀐다. 우두법의 중국내 확산은 종두서의 번역과 출판 덕분에 가능했다. 알렉산더 피어슨(Alexander Pearson)의 『영길리국신출종두기서(咭唎國新出種痘奇書)』는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한문으로 번역되어 우두법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구희(邱熺)의 『인두략(引痘略)』은 중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우두법을 설명함으로써 중국인들이 쉽게 우두법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두법이 곧바로 중단된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20세기 초까지도 여전히 인두법이 행해졌다. 우두법은 팔을 째고 그 상처에 두묘를 집어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교적 관념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이 들여온 기술에 대한 기피, 완종법을 실시할 의료종사자의 부족도 우두법 접종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중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우두법이 들어오자 인두법을 실시하던 사람들도 곧 우두법으로 방식을 바꾸었다. 이제까지 선행연구는 우두법의 빠른 수용이 가능했던 원인으로 인두법을 통해 백신이라는 관념을 체득하고 있었다는 점, 난학의 수용으로 서양의학에 대해 거부감이 적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한문 종두서의 영향력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문제없이 읽고 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신정두종기법(新訂痘種奇法)』과 『산화신서(散花新書)』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의 의사들은 원문 그대로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양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종두법을 수정, 보완하였다. 『신정두종기법』은 『영길리국신출종두기서』의 설명이 부족하다고 여겨 종두를 채취하는 모습이나 묘장의 보관법을 묘사한 그림을 추가하고 종두 접종 시 주의점을 덧붙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산화신서』 또한 『인두략』의 번역에 그치지 않고 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medical knowledge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East Asia, the propagation of Variolation(人痘法) and Vaccination(牛痘法) as an example. Variolation was the first method used to immunize an individual against smallpox(Variola) with material taken from a patient. Smallpox was a devastating infectious disease in former times. On average, 3 out of every 10 people who got it died. Those who survived were usually left with scars. It is unclear when the variolation began in China, but at least it was generally practic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method was introduc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by sea until 1720s. In Japan, a Chinese inoculator Li Jen-Shan(李仁山) proposed the method of Chinese style variolation after a severe smallpox outbreak in Nagasaki in 1744, but it was not popular except for some areas. On the other hand, vaccination with cowpox developed from an experiment carried out by an English country doctor, Edward Jenner in 1796. Unlike the old Chinese style variolation, Jenner’s vaccine quickly spread throughout Asia, including China and Japan. Alexander Pearson’s small book was translated into Chinese YingjiliguoXinchuZhongdouQishu(咭唎國新出種痘奇書)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forming the Jenner’s vaccine in China. But the Chinese doctors understood that Jenner’s vaccine was based on the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for example YindouLue(引痘略). Japanese doctors were relatively tolerant of Jenner’s vaccine acceptance.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they had learned the concept of vaccines through the Chinese Variolation and the acceptance of Rangaku has made it less resistant to Western medicine. But the influence of Chinese Vaccination Books should not be overlooked, because it is a Chinese character, and Japanese was able to understand it without problems. In addition, Japanese doctors not only introduced the original texts, but also revised and supplemented them with western medical knowledge, as can be seen in the "Sinteitousyukihou(新訂痘種奇法)" and "Sankasinsyo(散花新書)". Here we can see how medical knowledge continues to build vitality and develop.

      • KCI등재

        한국 종두법의 발전과 의학 기술의 문제: 인두법에서 우두법으로 전환과 의학 지식과 기술의 간극

        신규환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한국에서 인두법과 우두법은 우열론과 이분법적 시각에서 이해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두법의 근대성과 역사적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인두법과 우두법 모두를 소개했던 정약용의 역할 역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인두법과 우두법이 확산될 수 있는 의학적 기반은 매우 취약했다. 여기에는 서학에 대한 정치적 탄압, 의학 지식 네트워크의 결여, 관민의 지원 부족, 두묘 확보와 접종 기술 등 여러 가지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이 글은 그 중에서도 두묘의 채취 및 보관, 접종 기술 등 그동안 종두법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원천기술의 중요성에 관심을 두었다. 두묘 없이 종두는 불가능하다. 인두법은 두창 환자에게서 두묘를 채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두묘의 확보에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인두묘의 경우에는 시묘와 숙묘사이에 안정성의 문제와 기술적 난이도가 존재하였다. 우두법 역시 우두묘 확보가 관건이었는데, 19세기 전반까지 한국에서 우두묘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자체 생산도 불가능했고, 해외에서 들여온 우두묘는 쉽게 부패해서 효과가 없었다. 두묘가 확보되지 않는 한, 아무리 우수한 종두법이 있다 해도 쓸모가 없었다. 인두법과 우두법은 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발전적인계승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자면 우두법에 사용된 인두법은 중국식 인두법이 아니라 서양식 인두법이었다. 중국식 인두법은 두가를 콧 속에 불어넣는 방식이었던 것에 비해, 서양식 인두법은 팔뚝 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에 우두묘를 접종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인두법에서 우두법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왜 우두묘를 접종해야 하는지와 왜 팔뚝의 피부를 절개해야 하는지 설명이 필요했고, 더 나아가 두묘의 확보와 접종 기술의 전수라는 의학 기술적 장벽도 넘어서야 했다.

      • KCI등재

        『마과회통』의 원경遠景, 보식保息의 정치

        김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0

        본고에서 필자는 정약용이 제안했던 육보서(재난 대책)의 제도적 의의와 마과회통 저술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필자는 조선시대 ‘역병 대책을 둘러싼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했다. 한마디로 ‘격리와 벽사辟邪’의 관점으로부터 ‘온보溫補와 보호’로의 전환이었다. 이러한 변화의 한 가운데에 다산의 ‘육보서’가 자리하고 있었다. 다산은예기치 않은 재난 상황으로 생계가 곤란한 백성들을 국가가 책임지고돌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인민들 중 오직 생계 수단을 잃은 사람들을 국가는 책임지고 돌봐야 한다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었다. 평상시에는 환과고독이요, 유사시에는 역병과 같은 재난의 피해자들이 생계 수단이 없는 자들이었다. 다산은 활인서의 대안으로 제시한 육보서를 통해 역병의 피해자들이 자활할 수 있는 복지 방안을 모색했다. 삼대의 이상 정치를 조선에 꽃피우려했던 했던 다산은 한편으로는 제도의 개선을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마과 지식의 종합을 통해 모색했다. 특히 18 세기 후반 조선의 일부 관료와 지식인들은 이용후생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려는 기획과 편찬사업에 전념하고 있었다. 청년 시절부터 서학에탐닉했던 다산은 곡산부사 시절 ‘마과 지식’의 총합을 시도했다. 이러한다산의 계획은 유배 시절과 해배 이후에도 멈추지 않았다. 다산은 종두법을 탐구하여 1800년 봄 인두법에 관한 조선 최초의 논문을 작성했을뿐 아니라 해배 이후 제너의 우두법을 입수하여 마과회통을 보완했다. 다산은 평생 동안 역병을 이겨내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방도를 끊임없이 연구했다. 마과 지식 및 종두법의 회통과 구태舊態의 제도를 새롭게창신하는 개혁은 필수적이었다. ‘다산의 실학 정신’이 오늘날 팬데믹의시대에도 여전히 빛을 발하는 이유가 여기 있었다.

      • KCI등재

        질병의 불안에 대한 서사적․극적 처방전 - ‘손님굿’의 신화와 놀이를 중심으로 -

        조현설(Cho, Hyun-soul)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정체를 알 수 없는 질병은 집단적 불안을 조성한다. 손님굿은 두창이라는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의례적 처방이었다. 손님굿에는 두 가지 처방전, 곧 서사적·극적 처방전이 제시되어 있다. 손님굿의 서사는 압록강을 건너온 전염병을 손님신으로 인식한다. 먼저 손님신을 문신·호반·각시, 3위로 설정한다. 이는 여신 각시손님이 두 남성신의 대립을 통합하는 형식이다. 그러나 실제로 대립하는 것은 각시손님을 대접하는 영접자들의 환대와 적대이다. 뱃사공과 김장자가 적대한다면 노고 할미는 환대한다. 손님신들의 화복을 결정하는 요인은 주체의 태도이다. 정성을 다하면 손님신을 피할 수 있다. 손님신은 동해안 굿에서 넷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이는 무당의 착각이나 관용적 변형이 아니라 전략적 선택의 결과이다. 네 번째 손님신 세존손님은 손님굿에 앞서 연행되었던 세존굿의 주신으로 가택신이자 조상신이다. 세존손님은 손님굿에 파견된 세존신이다. 네 손님신 구조는 세 손님신 구조가 변형된 것으로 각시손님의 중개적 위상이 세존손님으로 전이된 결과이다. 외부의 손님신들과 내부의 가신들의 대립 구도에서 가신이자 손님신인 세존손님은 중개자가 된다. 이런 서사적 처방전은 손님굿의 뒤풀이로 연행되는 굿놀이에서 극적 형태로 재현된다. 극을 주도하는 막둥이는 손님신을 박대한 김장자의 삼대독자이다. 두창으로 죽은 아이를 손님신을 모시는 마부로 배치함으로써 병사한 원혼과 아이 잃은 기주와 단골들을 위로하는 동시에 세존손님과 같은 중개자의 위상을 부여한 것이다. 천연두가 사라진 현재의 굿에서 막둥이는 별비를 얻기 위한 희극적 배역이지만 과거 별상굿에서 막둥이는 손님신을 달래는 구실을 수행했다. 손님굿의 서사적․극적 처방은 의학적 처방과 상동성을 가지고 있다. 의서들은 태독이라는 내인이 사기라는 외인을 만날 때 천연두가 발병한다고 해석하는데 이는 손님신을 주체가 어떻게 대접하느냐에 따라 질병의 발생과 경중이 달라진다는 굿의 해석과 흡사하다. 외부에서 씨앗을 배양한 뒤 아이의 신체에 주입하여 면역체계를 구축하는 종두법과 천연두로 죽은 막둥이, 또는 세존신을 손님신의 내부로 파견하여 백신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 의례의 처방도 혹사하다. 이는 인간의 몸과 마음, 의술과 의례를 통합적으로 사유했던 굿의 전통, 또는 동아시아의 통합의학적 사유가 빚은 상동성이다. Unidentified diseases create collective anxiety in the name of mysterious disease. To get out of this, every society devised a way. Sonnymgut was a ceremonial prescription to counter smallpox. Two prescriptions, epic and dramatic, are presented in this ritual. The myth of Sonnymgut recognizes the disease who crossed the Yalu River as Sonnym that is a guest god. First, Moonsin, Hoban and Gakshi, these three gods are Sonnym. This is the form in which the goddess Gakshi integrate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male gods. However, in reality, the confrontation is between the hospitality and hostility of the receptionists who treat Gakshi. The boatman of the Yalu River and the rich man Kim were hostile, while the Nogohalmi was welcoming. The determinant of the Sonnym fortune and misfortune is their attitude. If you do your best for the Sonnym, you can avoid smallpox. Sonnym is also transformed into four gods in the East Sea Coast Gut. This is not a shaman s mistake or a conventional transformation, but a result of strategic choice. The fourth Sonnym, Sejon was the god of housekeeping and ancestor of Sejongut, which was performed prior to the Sonnymgut. Sejonsonnym is a god Sejon who was sent to Sonnymgut. The structure of the four Sonnym is a result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three Sonnym structure, which is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Gaksi’ mediating status. Sejonsonnym, a housekeeping god and a Sonnym god,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outside guest gods and the inside housekeeping gods. These mythical prescriptions are represented in a dramatic form in Gutnori, which is performed to the after-party of Sonnymgut. The youngest child Makdungee, who leads the play, is the third-generation only son of rich man Kim, who treated the Sonnym poorly. By placing a child who died of smallpox as a horseman serving Sonnym gods, the Shaman comforted the deceased and the host who lost the child. Also, the youngest child Makdungee was given the status of a mediator like Sejonsonnym. In the present Gut where smallpox disappeared, the Makdungee is a comic role to earn the money, but in the past, the Makdungee performed a role to soothe Sonnym gods.

      • KCI등재

        조선 후기 전염병에 대한 정약용의 대응 방식

        신동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0

        이 논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지식인인 정약용(1762~1836)의 방역 활동과 이를 뒷받침한 사상을 탐구한다. 정약용은 자신과 가족의 개인적 차원, 더 나아가 그의 시대가 부딪친 끔찍한 전염병에 대해 맞섰다. 이런 여러 개인사가 관료로서, 지식인으로서, 의학자로서 역병에 대처한 정약용의 행적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모든 조선 사람이 똑같은 역병의 위협 속에 살았으므로 꼭 정약용만이 역병에 대해 남다른 특별한 행적을 보였으리라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정약용이 조선 후기 가장 대단한 인물이었으므로 혹시 방역 분야까지도미쳤을지 모를 그의 미덕을 일부러 찾아 칭송하려는 연구가 아니라면, 그의 행적은 질병과 의료의 일상생활사적인 측면을 짚는 사례의 제시로서 만족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방역과 관련된 정약용의 행적과사상이 단순한 일상생활사 차원을 넘어 존재했기에 그것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정약용은 자기 또는 그의 시대가 부딪친 방역에 대한 실천과 구상을, 때로는 의학자로서 수준 높게, 때로는관료로서 체계적으로, 궁극적으로는 경세가로서 자신의 전체 사상과연관 지어 극복하고자 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정약용이 『여유당전서』 에 남긴 방대한 내용 전체를 보면, 방역, 의학, 기술 등에 관한 조각 내용과 이를 아우른 사상적 편린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타난다. 또 그것은 20대부터 70세 임종 때까지 지속된 특징을 보인다. 또 그것은 나이가 들면서 수정, 발전, 종합하는 모습을 띤다. 역사적 접근을 취하는 이 글은 그가 남긴 여러 저작에 편재하는 전염병 의학과 방역 관련 기록을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핀다. 그것은 첫째, 1800년 유배 이전 『마과회통麻科會通』(1797)에 결집된 마진麻疹(홍역과 유사 질병) 연구, 둘째, 1789년 이후 임종 무렵까지 지속된 종두법에 대한 관심, 셋째, 1797~1798년 곡산부의 수령으로서 펼친 방역 활동과 이를 바탕으로 한 『목민심서』·『경세유표』에서의 제도화 구상, 넷째, 그의 전염병 의학과 방역 활동의 유교 사상적 체계화 등과 같다.

      • KCI등재

        청말 의료선교사의 눈으로 본 두창과 종두법

        曺貞恩 ( Jo¸ Jeong-eun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6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Chinese people's and foreign medical missionaries' perceptions on vaccin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transmission of Jenner's vaccine, from the records of Chinese smallpox and vaccination in the late Qing dynasty, which medical missionaries left. Furthermore, it also examines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eracted with the modern one, by exploring medical missionaries, Chinese people, vaccination and variolation. The Jenner's vaccine is a vaccination method for preventing smallpox by using the smallpox virus extracted from cows. Chinese people already knew the concept of vaccination through variolation, so Jenner's vaccine was the best method for introducing the modern medicine. Medical missionaries who first introduced the modern medicine into China also intended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modern medicine and show Christian mercy to Chinese people, by using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left a variety of records regarding the prevalence of smallpox and vaccination. In China, smallpox was an infectious disease that was always prevalent in all areas. Chinese people believed that they could not but experience smallpox once at least in their life.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vaccination and re-vaccination for missionaries were emphasized, since smallpox was a disease which also seriously threatened foreigners. Medical missionaries made various efforts to extend Jenner's vaccine, by publicizing it through a variety of media and freely vaccinating people in vaccine stations or mission hospitals constructed in cooperation with local merchants, elites and officials. In addition, medical missionaries and mission hospitals secured vaccine lymph, by using their domestic and foreign networks and contributed to extending Jenner's vaccine by instructing Chinese physicians about how to use Jenners' vaccine. On the other hand, an aspect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can be observed, in that vaccine stations were built in the traditional Chinese temples and Chinese people and foreign medical missionaries performed vaccination together. Jenner's vaccine was, however, not easily practiced. At the initial stage, medical missionaries also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The vaccination was often failed, due to corruption of vaccine lymph and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native vaccinators and use of unhygienic tools. Medical missionaries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Jenner's vaccine, by continuously investigating why the vaccination was failed and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Chinese people's high reliability of variolation was an obstacle to the extension of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introduced various cases of variolation, indicating that variolation was generally conducted at that time. In such record, they emphasized the advantage of vaccination, listing the cases of victims who were dead or lost their eyesight due to variolation. Different from them who recognized that the variolation and the traditional notions about it should be abandoned, however, Chinese people who learned Jenner's vaccine from them attempted to accept it within the traditional notions which they had long trusted and preserved. In particular, YindouLue(引痘略) applied the taidu (胎毒) theory, the Yin-Yang theory, periods of vaccination and the restriction on foods after vaccination to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however, could not understand such a restriction and explained Chinese people that Jenner's vaccine, different from variolation, could be applied to them regardless of any seasons and it was not necessary to choose foods after vaccination. On the other hand, xieqi(邪氣), a traditional medical concept was also used to explain the causes of smallpox, where the germ theory did not still appear. In order to extend the use of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thus criticized variolation, while using the traditional concept. In spite of such an effort, however, it was not easy to help Chinese people understand the Western way of thinking, since there was a cultural gap which could not be narrowed, between medical missionaries and Chinese people, as in the case of perceptions on re-vaccination and pockmarks. The issue of how to narrow the cultural gap between them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localization of the Western modern medicine with the main focus on Jenner's vaccine.

      • KCI등재

        조선종두령(1923)의 시행과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 종두시술생 정책을 중심으로

        김영수 의료역사연구회 2023 의료사회사연구 Vol.11 No.-

        This paper examines changes made to the smallpox vaccin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control the smallpox epidemic in colonial Korea, and analyzes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o this end, I look into the background of the enactment of the smallpox vaccination regulation promulgated in 1923 and w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gnized as essential in revising the regulation. In 1923,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nacted a regulation called Joseon Jongduryeong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mallpox vaccination and to actively implement vaccination by presenting scientific grounds. It was a revision of the existing regulation and based on the Japanese rule (Shutorei) enacted in 1909. The revision changed the period, subject, and number of doses for vaccination. It reflected the analysis of vaccination results and immunity conducted in Japan, and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colonial Korea.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doctors and traditional medical practitioners, Vaccination Practitioners (Jongdusisulsae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mplementing public smallpox vaccination. This inherited a part of the previous system (Jongduinheowon). Vaccination Practitioners were the main agents to implement temporary and special smallpox vaccinations, as well as regular ones. However, their vaccination techniques were difficult to trust because becoming a vaccination practitioner did not require any special skills, and they were trained only for a short time in learning to vaccinate for smallpox. As the smallpox epidemic re-emerged in the 1930s and 1940s, their role expanded inevitably. Therefore, it might be possible that management after smallpox vaccination was not strictly carried ou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aware that vaccination practitioners were not ideal agents to implement smallpox vaccination, but had no choice but to use them amid a lack of medical personnel. However, it trusted the effectiveness of smallpox vaccines developed in Japan.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securing a positive reaction (善感), it aim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epidemic by vaccinating more people, more often. 본 논문은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를 위해 일제가 실시한 종두정책의 변천을 살펴보고, 이 정책의 운용과 유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23년도에 반포된 「조선종두령」이 어떠한 배경에서 제정된 것이고, 법령 개정에서 문제로 인식하고 개선에 주안을 두었던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기존의 종두인허원 제도를 일부 계승하지만, 새롭게 마련된 종두시술생 제도를 살펴보면서 조선총독부의 종두정책의 유효성과 한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선종두령」의 내용은 일본의 「종두법」에 기초하여 접종 시기, 대상, 횟수 등을 변경한 것이 주요 골자였는데, 그 배경에는 1920년을 전후하여 두창이 유행했던 사실뿐만이 아니라, 그간 일본 내지에서 시행된 종두접종성적과 면역력에 대한 분석,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지리적 상황 등이 반영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종두를 접종할 수 있는 의사나 의생이 부족했기 때문에 기존의 종두인허원과 유사한 종두시술생 제도를 두어 그들에게 공종두(公種痘) 사업을 담당하여 두창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종두시술생은 정기종두를 비롯하여 임시 및 특별 종두를 실시해야 하는 주체로 상정되었는데, 기본적인 자격만 갖추면 될 수 있었고, 교육은 속성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접종기술에 대한 확신은 얻기 어려웠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 두창 유행의 규모가 커지면서 속성 교육만을 받은 이들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었는데, 그러다보니 종두 시행 후의 관리는 엄격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도 그들을 활용하여 종두시술을 하는 것에 대한 불완전함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의료 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이들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 다만 제조된 두묘의 효과는 신뢰하고 있었다. 따라서 선감을 확보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더 많은 사람에게 더 자주 접종하는 방식의 두창정책을 펼치면서 유행 확산을 저지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Korean Medical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1720-1876

        ( Dong Won Shi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5

        이 논문은 1720-1876년의 서양의학 담론에 대해 탐구한다. 당시 조선사회에서 떠돌던 서양의학의 내용은 파편적 지식의 모습을 띠었다. 많은 학자들은 서양의학의 이질성을 선진성으로 판단하여 갈채를 보냈다. 이러한 서양의학 담론은 근대의 조짐으로 해석되어서, 근대 서양의학의 내용을 척도로 하여 그것에 근접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에 그들은 서양의학 담론의 사회적 맥락, 역사적 울림, 심지어 그 담론들의 시기별 특징의 파악조차도 진지하게 탐구하지 않았다. 많은 선행 연구자와 달리 이 연구는 이 담론들의 시기별 특징, 역사적 울림, 사회적 맥락을 따진 후 이에 입각해서 그 담론을 평가한다. 이 논문 대상으로 삼는 시기의 서양의학 담론은 많지도 않았고, 또 단편적이었다. 그렇기는 하지만 그것들은 우연히 뽑힌것이 아니라 당시 조선사회의 사상계의 문제와 의료 현실과 관련되어 있었다. 사상적으로는 신체에서 감각, 지각, 도덕의 원천을 지배하는 중심기관이 심장인가, 뇌인가의 논쟁과 관련되었다. 심장을 중심으로 본 전통의학과 달리 서양의학 담론은 뇌를 중심기관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논쟁이 불가피했다. 이는 지엽적인게 아니라 성리학 중심과제 중 하나였다. 의료 현실적 측면으로는 18~19세기에 걸쳐 인민 다수가 의약을 이용하게 된 `조선사회의 의료확대`라는 현상과 서양 약이 관련되어 있었다. 더 효과 좋은 약물의 탐색, 믿을만한 약재 관리 시스템의 확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서양의학 담론이 존재한다. 이 시기 서양의학 담론은 1791년을 기점으로 해서 두시기 다른 특징을 보였다. 1700~1791년의 기간에는 서양의학이 `참으로 괜찮은 것`이라는 담론이 형성되었다. 1791~1876년까지는 천주교가 사악한 종교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서양의학 담론 중 서양과 관련된 부분을 금기로 여기거나 천주교 교리와 관련된 부분을 완전히 부정하고 기술적 측면만 논하는 담론의 성격을 띠었다. 특히 서양의학의 실측성이 주목되었다. 비록 이 시기 서양의학 담론이 양적으로 적고, 단편적이었고, 이후의 영향이 크지 않았다고 해도, 그 담론이 사상계, 의학계의 주요현상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가치가 있다. I examine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in Korea during 1720-1876. Many previous Korean researchers had a tendency to interpret them as signs of modernity, these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were more highly regarded if they approached the contents of modern Western medicine more closely. On the other hand, they ignored the social contexts, historical reverberations, and even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by period. On the contrary, in this article, I argue the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in historical context. I have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discourses on medicine, and furthermore they were fragmented during 1720-1876. Before the 19th century, topics on Western medicine confined into two areas: First, seeking for effective Western drugs and drug management system like Western countries; Second, being interested in the theory that the brain was the central organ of perception, sensitivity, and morality of the human body in medicine, greatly different from the heart was the central organ of the body in traditional view. After the 19th century, because Catholicism was branded as an evil religion, aspects of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that alluded to the West or Catholicism became taboo and hence were negated, and only technical aspect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measurability of Western medicine isolated from Western religion caught Koreans` attention. Finally I insist that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in Korea during 1720-1876 were selected, not by chance,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situation for requiring more reliable medicine in the course of "expansion of medical care in Korea" throughout the 18th and 19th cent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