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허은정,황재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Middle-aged Women’s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Eunjung Heo & Jaewon Hw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in middle-aged wome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27 middle-aged women across the countr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21.0 for data processing.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the other three factors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i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elf-defense ambivalence, and the other three factors had no moderating effect. This means that the moderating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also shows that the social support that can be appli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ype is different. In other words, it was suggested that emotional support was effective for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material support was effective for self-defense ambivalence. Key Words: Middle-aged Wom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ocial Support, Moderating Effect 중년여성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허 은 정**ㆍ황 재 원***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전국의 중년여성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를 위해서 SPSS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관계관여적양가성에는 정서적지지의 조절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세 요인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한편 자기방어적양가성에는 물질적지지의 조절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나머지 세 요인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결론 및 제언: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고 또한 정서표현양가성 유형에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지지가 다름을 보여주었다. 즉 관계관여적양가성에는 정서적지지가 효과적이고 자기방어적양가성에는 물질적지지가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핵심어: 중년여성,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1일, 수정일: 2022년 11월 2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허은정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군산언어심리센터 언어치료사(First Author, Speech Therapist, Gunsan Language Psychology Center, Email: heunj00@naver.com)*** 교신저자, 군산대학교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unsan National Univ., Email: hjw504@kunsan.ac.kr)

      • KCI등재

        배드민턴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매개효과

        홍영준,최유리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allel multi-mediating effect of Athletic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Exhaustion in Badminton Play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of 255 badminton players registered as players in the Korean Sports Council in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v.3.3)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mo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motional/physical exhaustion. Secon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xhaustion of a sense of achievement. Third, positive emo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d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ach's support for autonomy perceived by the players mediates athletic emotion and reduces exercise exhaustion. In addition, positive emotions experienced by athletes decreased exercise exhaustion, and negative emotions increased exercise exhaustion, indicating that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burnout are closely relat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ffective for the coach to maintain a positive emotion by autonomy supporting the of the athletes in order to reduce the athletes' exhaustion. 본 연구는 배드민턴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대한체육회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배드민턴 선수 25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검사,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PROCESS macro(v.3.3)의 모델 4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긍정정서는 자율성지지와 정서/신체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모두 자율성지지와 성취감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긍정정서는 자율성지지와 평가저하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이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운동정서를 매개하여 운동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수가 경험하는 긍정정서는 운동탈진을 감소시키고, 부정정서는 운동탈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정서와 운동탈진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선수들의 운동탈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도자는 선수들에게 자율성을 지지하여 긍정정서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후보

        저소득가정의 환경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고선주,박옥임,문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저소득가정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인 지지의 일반적인 경향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저소득가정 아동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14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24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SPSS/win 15.0 program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소득가정 아동의 일반적 경향은 가족지지, 또래지지, 교사지지 지역아동센터지지는 모두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환경적 지지의 경우, 가족지지와 또래지지에 따라서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지지에서는 정서억제 부분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아동센터의 지지부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저소득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환경들의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영향력은 아니지만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족지지와 정서·행동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이 나타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충동적이거나 강박적인 특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친구지지에 대하여 거부·버림에 대한 영향력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저소득가정 아동의 환경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역아동센터지지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밝혀지지 않아 지역사회내 서비스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아동에게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질적인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고위험 상황에 있는 저소득가정 아동들의 정서·행동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족기능 강화와 또래향상 프로그램 등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tendency of environmental support to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and its effects on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46 low-income family children in Gwangyang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Win 15.0. This is the summarized result of the research. General tendency of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On average, Family's support got 3.94, peer's got 3.44, teacher's got 3.26, and local children center's got 3.69 ranking higher than the average. In the respect of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environmental support to low-income family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family's and peer's support. On the other hand, to the teacher's support, it leads meaningful difference in emotion-control aspect only. Moreover, to the local children center's support, i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Since the family's support and children's emotion and behaviors are highly correlated, the bigger family's support is, the less impulsive and compulsive children are. Besides, rejection has great impact in the respect of peer's support. Seeing the above results, environmental support to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is identified to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at is, children who perceive that they are getting higher environmental supports have les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owever, in case of the local children center regarding local welfare environment, it has no meaningful influence and impact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the programs that help children emotionally should be created and strengthen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허송연,김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역량과 행복감, 그리고 사회적지지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위해 G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625명을 연구대상으로 직접방문과 우편 및 Google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Ducan의 사후검증분석, 행복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역량, 행복감과 사회적지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역량, 행복감과 사회적지지 모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 높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이 뒷받침될 때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욱 증진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는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육교사의 정서역량과 행복감, 그리고 사회적지지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돕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에 대한 이론적 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실행에 매우 중요한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정서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에서는 정서역량과 행복감, 사회적지지에 대한 내용을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겠다. 또한 추후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정서역량과 행복감, 사회적지지의 체계적인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보육기관차원에서도 효과적인 정서역량과 행복감, 사회적지지의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ffect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test the effects of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625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G-do were analyzed by distributing and collecting Google questionnaires through in-person visits and mail, and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nd correlation analysis, Ducan's post hoc test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ere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re the main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we found that teachers' happin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by which emotional competence affects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suggests that high quality teacher-infant interactions are more likely to be enhanced when they are supported by teachers' happiness. Third, child care workers' social support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competence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Conclusions We found that child care work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rder to support high-quality teacher-infan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mpetence wi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competence of childcare teachers, which is cruc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theoretical 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is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in training programs for in-service teachers. Furthermore, future studies should develop programs to systematically cultivate the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and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support systems at the level of childcare institutions.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 연구

        ( Yang Yue ),신태섭 ( Tae Seob Sh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하여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중국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산동성 쯔보시 중학교 3학년 43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사회정서역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수록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많을수록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높아졌다. 특히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때 역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더 충족시키고 사회정서역량에 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교사뿐만 아니라 부모의 역할이 필수적이고, 특히 중국에서 부모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 개선과 부모 교육 확대의 필요를 시사한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Data of 434 students in Zibo city in Shandong Provinc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met,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Second, the more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e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had. In particular, parental autonomy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had a more direct impa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Lastly, parents' autonomy support stimulated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ore tha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s a greater influence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ole of parents as well as teachers is essential, suggesting the need to raise awareness of parent education in China and to expand and implement parent education at national level.

      • KCI등재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의 정서조절 매개효과 검증

        최자은(Choi Ja-eu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 아동의 정서조절,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아동의 정서조절이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66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SRMR, RMSEA, CFI, TLI.를 통해 모델부합도를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와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에 직접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사이를 매개하였다. 넷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사이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이 아동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있어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며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와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과 자아탄력성과 같은 개인역량 증진의 기본이 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age children’s self-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on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69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children in the region of D c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ffected directly on children’s self-resilience. Second,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ffected directly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r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mediated between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the children’s self-resilience. Parent-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re the basis for promoting individual competence, such a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이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구

        신재희,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 사회적 지지,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애착 수준과 정서적 유대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 구 대상자 중 여자는 113명(94.2%), 남자는 7명(5.8%)이었으며, 연령은 30~39세 집단이 76명 (61.7%)으로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석사 학위 집단이 100명(83.3%)이며, 파트타임으로 근무 하는 치료사가 93명(77.5%)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연령에 따 라 정서적 유대에 차이가 있었고, 근무 기관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 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과 정서적 유대, 사회적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 정서적 유대와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은 내담자와 정서적 유대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사의 사회적 지지는 성인애착과 내담자와 정서적 유대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과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내담자와 정서적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ult attachment level of music therapist,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 of emotional bond with cli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music therapist's adult attachment level on clients and emotional bo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20 music therapists who are clinically active. Among those studied were 113(94.2%) women and 7(5.8%) men. The largest groups were the 30-39 age group(76 people, 61.7%), the master's degree group(100 people, 83.3%) and the part-time group(93 people, 77.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bond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music therapist,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the 'Working institution'. Second, music therapists' adult attachment levels, emotional bonds, and social support are negative correlations, emotional bonds and social support are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 level of adult attachment of music therapists has an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bonds with the client. Forth, The social support of music therapist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bond with cl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understand the social support that affects emotional bond with client. In addition, music therapists suggest ways to strengthen emotional bond with client.

      • KCI등재후보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적 지지가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Jung Mi Park),정남운(Nam Woon Chung) 한국심리치료학회 2018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 세에서 65 세 연령의 성인 남녀 400 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TMMS), 정서표현 척도(EES), 정서적지지 척도(Social Support Scale Ⅱ), 수용-행동 질문 지(AAQ-Ⅱ)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적지지, 심리 적 수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스트랩(bootstrap) 기 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 식명확성은 정서표현, 정서적지지, 심리적 수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표현은 정서적 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적 지지는 심리적 수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 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부적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정서인 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heck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For this research, samples of 400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20 years to 65 years in all parts of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the Trait Meta-Mood Scale (TMMS),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EES), Social Support Scale Ⅱ,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 (AAQ-Ⅱ).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for emotional clarity,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was tested by using bootstra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acceptance. Thir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negative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Fourth.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support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박서윤 ( Park¸ Suhyeun ),장유진 ( Chang¸ Yu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교사, 부모, 또래의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자기조절력인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이 매개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개교의 5, 6학년 4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5와 AMOS 22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또래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또래지지는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모두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이 종속변인들(주관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삶의 안녕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교사, 부모, 또래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지의 차별적인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정서적 지지와 학생의 안녕감과 적응 사이를 매개하는 정서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four kinds of variables: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perceived by upper elementary students; students’ self-regulation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ubjective well-being;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students’ outcome variables(i.e.,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are mediated by their self-regulation(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473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using SPSS 25 and AMOS 22 to analyze the dat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each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s’ support and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ird,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 of peer support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direct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and that from peers directly predicted both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Meanwhile, among sub-variables of self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affecting 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e findings indicate the significant role of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in making students feel well-being and happiness, and lead positive school life. The results also show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gulation mediating the relations of emotional support to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길경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0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사회적 지지 검사, 정서지지능 검사를 설문지 조사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개방-폐쇄형, 자율-타율형의 순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정서지능은 정서인식, 감정이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양육태도는 성별에 대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지능에서는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에서는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는 서로 약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는 아동에게 매우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지지와 학교에서의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